KR200401174Y1 - 소변배양용기 - Google Patents

소변배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74Y1
KR200401174Y1 KR20-2005-0024869U KR20050024869U KR200401174Y1 KR 200401174 Y1 KR200401174 Y1 KR 200401174Y1 KR 20050024869 U KR20050024869 U KR 20050024869U KR 200401174 Y1 KR200401174 Y1 KR 200401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collection
culture vessel
contain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욱
송원근
이경원
용동은
정석훈
이신영
이신원
홍성근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욱 filed Critical 이종욱
Priority to KR20-2005-0024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변배양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소변배양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소변을 수용하는 함체로 되며 외측 소정부위에 양측으로 접철되는 손잡이가 부착된 소변수용부와, 상기 소변수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어 하부로 길게 형성되며 하단부에 채취된 소변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소변채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소변배양용기를 손잡이로 잡고 소변을 채집하도록 하여 채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소변채집후 바로 배양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집용기와 배양용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고, 채집용기로부터 배양용기로 옮겨 담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손잡이를 접철되도록 하여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별도의 소변채취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며, 소변채취부가 소변수용부 내에 보관되게 되므로 별도의 보관 및 세척이 필요가 없고, 소변채취부의 분실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소변배양용기{Urine Culture Vessel}
본 고안은 소변배양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변채집과 소변배양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며, 검사를 위하여 일정량의 소변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배양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변채집용기는 대부분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종이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소변을 채집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종이컵 등의 용기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환자가 소변을 채집하는 과정에서 소변이 손에 묻게 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 및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변용기에 손잡이가 형성된 경우에는 이 손잡이가 접철식으로 되어 있지 않아 소변채집용기를 다수개 보관하는 경우에 이 손잡이에 의해 보관장소를 많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변배양용기는 소변채집용기와 별도로 구비되어 소변채집용기에 채집된 소변을 옮겨 담도록 되어 있었다. 소변채집용기로 채집된 후에 환자가 검사자에게 넘기는 과정이나 소변배양용기로 옮기는 과정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불가피하게 되며, 특히 옮기는 과정에서 소변을 흘리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소변채취기구는 소변배양용기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으며, 소변채취기구 보관시에는 소변배양용기와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므로 장소확보와 분실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변의 채집을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변채집용기와 소변배양용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동시에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소변배양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소변채취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일정량의 소변을 채취하도록 하는 소변배양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상 편리하며 보관시에 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고 소변채취기구의 분실 우려가 없는 소변배양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변배양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소변을 수용하는 함체로 되며 외측 소정부위에 양측으로 접철되는 손잡이가 부착된 소변수용부와, 상기 소변수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어 하부로 길게 형성되며 하단부에 채취된 소변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소변채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소변채취부의 수용홈은 가늘고 긴 상하방향의 미세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밀폐부와 상기 소변채취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소변배양용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소변배양용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소변배양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밀폐부와 소변채취부가 일체로 된 소변배양용기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밀폐부와 소변채취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밀폐부와 소변채취부가 분리가능한 소변배양용기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밀폐부와 소변채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소변배양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되며 외측 소정부위에 접철되는 손잡이(11)가 부착된 소변수용부(10)와, 상기 소변수용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밀폐부(20) 및 상기 밀폐부(20)의 하단 중앙에 결합되며 소변을 채취하는 소변채취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소변수용부(10)는 상부가 개방되고 소변을 수용하는 함체로 되며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다. 상기 소변수용부(10)의 외측 소정부위에는 양측으로 접철되는 손잡이(11)가 부착되며, 상기 손잡이(11)는 양측으로 통공된 손잡이 고정부(12)에 끼워 고정되게 된다. 상기 소변수용부(10)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기 밀폐부(20)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 소변수용부(10)와 상기 밀폐부(20)는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거나 끼워 맞춤식의 스냅결합으로 된다. 상기 밀폐부(20)은 상기 소변수용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양측으로 접철되는 손잡이(11)의 상부 일부를 수용하여 상기 손잡이(11)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소변배양용기를 손잡이로 잡고 소변을 채집함으로써 소변의 채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손잡이를 접철되도록 하여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소변배양용기는 채집된 소변을 별도의 배양용기에 옮겨 담을 필요없이 소변의 배양을 바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상기 밀폐부(20)는 상기 소변수용부(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소변수용부(10)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밀폐부(20)의 하단 중앙에는 소변채취부(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되게 된다.
도 3과 도 4는 상기 밀폐부(20)와 소변채취부(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20)의 하단 중앙에는 "ㄱ" 자형태로 된 홈(21)이 형성된 결합부(22)가 구비되어 상부가 상기 홈(21)과 상응되는 "ㄱ" 자형태로 되어 일측으로부터 끼워 결합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소변채취부(30)를 교환하고 상기 소변수용부(10)와 상기 밀폐부(20)를 세척함으로써 다른 환자의 소변에도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5와 도 6은 상기 밀폐부(20)와 소변채취부(30)가 일체로 된 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일회용으로 사용하거나 소변을 보관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변채취부(30)는 상기 밀폐부(20)의 하단 중앙에 결합되거나 상기 밀폐부(20)와 일체로 되며, 하부로 길게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채취된 소변을 수용하는 수용홈(31)이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은 별도의 소변채취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며, 소변채취부(30)가 소변수용부(10) 내에 보관되게 되므로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분실의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용홈(31)은 가늘고 긴 상하방향의 미세홈으로 되어 있으며, 두개로 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31)은 수용되는 소변의 양, 즉, 한번 소변에 찍어 수용되는 양이 대략 1 ㎕의 양을 갖도록 하는 크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용홈(31)에 수용되는 소변은 모세관현상에 의해 수용홈(31)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측정기구 없이 채취되는 소변의 양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변배양용기는 소변배양용기를 손잡이로 잡고 소변을 채집하도록 하여 채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소변채집후 바로 배양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집용기와 배양용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고, 채집용기로부터 배양용기로 옮겨 담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손잡이를 접철되도록 하여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별도의 소변채취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며, 소변채취부가 소변수용부 내에 보관되게 되므로 별도의 보관 및 세척이 필요가 없고, 소변채취부의 분실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소변배양용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소변배양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밀폐부와 소변채취부가 일체로 된 소변배양용기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밀폐부와 소변채취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밀폐부와 소변채취부가 분리가능한 소변배양용기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밀폐부와 소변채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소변수용부 11: 손잡이
12: 손잡이 고정부 20: 밀폐부
21: 홈 22: 결합부
30: 소변채취부 31: 수용홈
100: 소변배양용기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소변을 수용하는 함체로 되며 외측 소정부위에 양측으로 접철되는 손잡이가 부착된 소변수용부와,
    상기 소변수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어 하부로 길게 형성되며 하단부에 채취된 소변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소변채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배양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채취부의 수용홈은 가늘고 긴 상하방향의 미세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배양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와 상기 소변채취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배양용기.
KR20-2005-0024869U 2005-08-29 2005-08-29 소변배양용기 KR200401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869U KR200401174Y1 (ko) 2005-08-29 2005-08-29 소변배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869U KR200401174Y1 (ko) 2005-08-29 2005-08-29 소변배양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74Y1 true KR200401174Y1 (ko) 2005-11-15

Family

ID=4370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869U KR200401174Y1 (ko) 2005-08-29 2005-08-29 소변배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577A (ko) * 2014-05-22 2015-12-0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결시료 채집수단이 도입된 동결 튜브
KR102356273B1 (ko) 2021-08-11 2022-02-08 김민정 소변 채취용 튜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577A (ko) * 2014-05-22 2015-12-0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결시료 채집수단이 도입된 동결 튜브
KR101657301B1 (ko) 2014-05-22 2016-09-20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결시료 채집수단이 도입된 동결 튜브
KR102356273B1 (ko) 2021-08-11 2022-02-08 김민정 소변 채취용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285B1 (ko) 면봉 테스트 장치 및 방법
US4982615A (en) Sterile container for collecting biological samples for purposes of analysis
US4569090A (en) Disposable urine specimen collecting device
EP2080997A1 (en) Collapsible measuring cup with pivoting handle
JP2009507738A (ja) 汚物を収容及び蓄えるための汚物貯蔵装置
KR200401174Y1 (ko) 소변배양용기
US5342330A (en) Assemblies for collecting urine and other body fluids
US6021530A (en) Female urinal bottle
KR20050033598A (ko) 면봉 저장 용기
JP4123401B2 (ja) 検診用容器、試料検体の採取方法および採便容器
CN216427289U (zh) 一种用于食品检验的全自动菌落计数器
US3072132A (en) Lens soaking kit
KR200401183Y1 (ko) 소변채집용기
CN209499773U (zh) 一种检验科检验用集尿器
KR20080007565A (ko) 콘택트렌즈 패키지 및 어플리케이터와, 그 사용방법
CN208679180U (zh) 一种检验科用检验容器
CN209485785U (zh) 可折叠尿液收集器
CN216455311U (zh) 一种手提式换药箱
CN211381466U (zh) 便携式留尿容器
KR20100011088U (ko) 게재식 분유용기 스푼
CN220780461U (zh) 一种可区分的标本试管架
CN207734177U (zh) 男性尿检取样装置
CN210871716U (zh) 一种防污尿杯
CN219896272U (zh) 一种同妇科手术床配合的护理托盘
KR101607700B1 (ko) 제습 용기용 제습백 지지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