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684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684A
KR20040110684A KR1020030040113A KR20030040113A KR20040110684A KR 20040110684 A KR20040110684 A KR 20040110684A KR 1020030040113 A KR1020030040113 A KR 1020030040113A KR 20030040113 A KR20030040113 A KR 20030040113A KR 20040110684 A KR20040110684 A KR 20040110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static electricity
pad
substrate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828B1 (ko
Inventor
김범준
박명재
공향식
허명구
김성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828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50Carbon dioxide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전극을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공통전극과 연결되며 일측에 공통패드가 마련된 공통라인을 갖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에 상기 공통패드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는 정전기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가 공통패드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전기에 의한 공통패드, 공통라인 및 액티브 영역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 및 소모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특정한 분자배열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른 분자배열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분자배열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셀의 복굴절성, 선광성 및 광산란 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적 변화로 변환하는 것으로, 액정셀에 의한 빛의 변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을 향해 빛을 조명하는 백라이트유니트와, 백라이트유니트의 후방으로부터 백라이트유니트를 수용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액정표시패널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액정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섀시를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은 공통전극이 형성된 제1기판과,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 등의 스위칭소자와 화소전극 등이 형성된 제2기판과, 양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을 포함한다. 화상신호는 TFT 기판의 게이트 드라이브 IC 및 데이터 드라이브 IC를 통해 TFT에 인가되며, 이에 의해 액정은 전기적으로 신호를 받아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의 빛을 조정하여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TFT가 마련된 제2기판(100)의 평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판(100) 상에는 화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A)(Active Area)이 마련된다. 액티브 영역(AA)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라인(112)과, 복수의 게이트라인(112)과 교차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라인(110)이 형성된다. 또한, 제2기판(100) 상의 액티브 영역(AA)에는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화소영역이 매트릭스 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화소영역에는 각각 TFT)가 마련된다. 여기서, 각 TFT의 게이트단은 게이트라인(112)과 연결되고, 각 TFT의 소스단은 데이터라인(110)과 연결되어, 게이트 드라이브 IC 및 데이터 드라이브 IC로부터 인가되는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화소영역을 활성화시킨다.
한편, 게이트라인(112)은 액티브 영역(AA)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말단에는 게이트패드가 마련된다. 또한, 데이터라인(110)에는 그 말단에 데이터패드가 마련된다. 여기서, 게이트패드와 데이터패드는 게이트라인(112) 및 데이터라인(110)으로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가 인가되는 통로로서, 게이터 드라이브 IC 및 데이터 드라이브 IC의 핀이 직접 연결되거나, 플랙시블한 회로기판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브 IC 및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기판(100) 상에는 제1기판의 공통전극되는 공통라인(113)이 액티브 영역(AA)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공통라인(113)의 일측에는 게이트패드 및/또는 데이터패드와 인접하게 공통패드(114)가 마련되어 있으며, 공통패드(114)는 게이트 드라이브 IC 및/또는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연결되어, 신호를제1기판의 공통전극에 인가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 중이나 사용중에 외부로부터 공통패드(114)를 통해 정전기가 유입되어, 공통패드(114) 또는 공통라인(113)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통패드(114)를 통해 유입되는 정전기가 공통라인(113)을 통해 흐르는 동안, 정전기가 인접한 제2기판(100)의 액티브 영역(AA)으로 유입되어, 게이트라인(112) 및/또는 데이터라인(110)을 오픈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공정 중 데이터라인(110)의 오픈을 검사하기 위해 마련된 OS(Open Shot)패드의 경우, 액티브 영역(AA)의 하부로 연장된 데이터라인(110)의 말단에 마련되는데, 공통라인(113)을 통해 흐르는 정전기가 인접한 OS패드(115)로 전달되어 데이터라인(110)에 손상을 주는 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통라인이 형성된 제2기판 상으로 유입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정전기에 의한 공통패드, 공통라인 및/또는 액티브 영역의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제2기판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2기판 중 일 영역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2기판 상에 마련된 정전기 제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이터라인 12 : 게이트라인
13 : 공통라인 14 : 공통패드
15 : OS패드 20 : 정전기 제거부
22 : 유입패드부 24 : 정전기 소모소자
26 : 플로우팅바 31 : 게이트 절연막
32 : 보호막층 33 : S/D메탈층
34 : IZO층 40 : 글래스기판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공통전극을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공통전극과 연결되며 일측에 공통패드가 마련된 공통라인을 갖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에 상기 공통패드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는 정전기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전기 제거부는 상기 정전기가 유입되는 유입패드부와, 상기 유입패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패드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소모하는 정전기 소모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패드부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제2기판의 판면방향 외측을 향하는 피뢰침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패드부는 상기 공통패드보다 상기 제2기판의 판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통패드의 가장자리 영역은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기판에는 상호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이 마련되고, 상기 공통라인은 상기 데이터라인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도록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 근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통라인과 인접한 상기 제2기판 상에는 상기 공통라인으로 통해 유입되는 정전기를 흡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팅바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로우팅바의 적어도 어느 일측 가장자리는 피뢰침 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입패드부는 상기 정전기 소모소자와 연결되는 S/D메탈층과, 상기 공통패드와 연결되는 신호전달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상기 S/D메탈층으로 전달하는 IZO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상기 유입패드부는 상기 S/D메탈층의 양측에 마련된 보호막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IZO층은 상기 보호막층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층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공통전극을 갖는 제1기판과, 제1기판의 공통전극과 연결되며 일측에 공통패드(14)가 마련된 공통라인(13)을 갖는 제2기판을 포함한다.
제2기판 상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A)(Active Area)이 마련된다. 액티브 영역(AA)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라인(12)과, 복수의 게이트라인(12)과 교차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라인(10)이 형성된다. 또한, 제2기판 상의 액티브 영역(AA)에는 다수의 화소영역이 매트릭스 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화소영역에는 각각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가 마련된다. 여기서, 각 TFT의 게이트단은 게이트라인(12)과 연결되고, 각 TFT의 소스단은 데이터라인(10)과 연결되어, 게이트 드라이브 IC 및 데이터 드라이브 IC로부터 인가되는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화소영역을 활성화시킨다.
한편, 게이트라인(12)은 액티브 영역(AA)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말단에는 게이트패드가 마련된다. 또한, 데이터라인(10)에는 그 말단에 데이터패드가 마련된다. 여기서, 게이트패드와 데이터패드는 게이트라인(12) 및 데이터라인(10)으로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가 인가되는 통로로서, 게이터 드라이브 IC 및 데이터드라이브 IC의 핀이 직접 연결되거나, 플랙시블한 회로기판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브 IC 및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기판 상에는 제1기판의 공통전극과 연결되는 공통라인(13)이 액티브 영역(AA)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공통라인(13)의 일측에는 게이트패드 및/또는 데이터패드와 인접하게 공통패드(14)가 마련되어 있으며, 공통패드(14)는 게이트 드라이브 IC 및/또는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연결되어, 신호를 제1기판의 공통전극에 인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 상에 공통패드(14)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는 정전기 제거부(20)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가 정전기 제거부(20)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정전기가 공통패드(14)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전기 제거부(20)가 공통패드(14)의 양측에 마련되는 것을 일예로 한다.
정전기 제거부(20)는 공통패드(14)의 양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의 정전기가 유입되는 유입패드부(22)와, 유입패드부(22)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소모시키는 정전기 소모소자(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소모소자(24)는 다이오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통패드(14)의 양측에 마련된 정전기 제거부(20)의 다이오드 간은 상호 연결되어 어느 일측의 유입패드부(22)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상호 소모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패드부(22)의 가장자리 영역은 제2기판의 판면방향 외측을 향하는 피뢰침(P)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가 공통패드(14)보다 피뢰침(P) 형상을 갖는 유입패드부(22)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쉽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공통패드(14)부로의 정전기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유입패드부(22)는 공통패드(14)보다 제2기판의 판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입패드부(22)의 피뢰침(P) 형상의 가장자리가 공통패드(14)의 가장자리 영역보다 제2기판의 판면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정전기가 유입패드부(22)에 먼저 접하여 유입패드부(22)로 유입됨으로써, 정전기가 공통패드(14)로 유입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패드(14)의 가장자리 영역은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공통패드(14)로의 정전기 유입을 방지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한편, 제2기판 상의 액티브 영역(AA) 둘레를 따라 마련된 공통라인(13)은 데이터라인(10)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도록 제2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 근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공통패드(14)나 공통라인(13)을 통해 유입되는 정전기가 액티브 영역(AA)으로 이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기판 상의 공통라인(13)과 인접한 영역에 공통라인(13)을 통해 유입되는 정전기가 이전되기 위한 플로우팅바(26)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공통패드(14)나 공통라인(13)을 통해 유입되어 공통라인(13)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가 플로우팅바(26)로 이전됨으로써, 공통라인(13)을 통해 흐르는 정정기가 액티브 영역(A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플로우팅바(26)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기판 또는 액정표지장치의 특정 접지영역에 접지되어, 유입된 정전기가 접지영역을 통해 제거되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플로우팅바(26)의 적어도 어느 일측 가장자리 영역은 피뢰침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전기가 공통라인(13)으로부터 플로우팅바(26)로, 또는 플로우팅바(26) 간에 이전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유입패드부(22)는 제2기판 상의 TFT의 형성시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패드부(22)는 TFT의 소오스(Source)단 또는 드레인(Drain)단을 형성하는 S/D 메탈(Source/Drain)에 의해 형성되는 S/D메탈층(33)과, S/D메탈층(33)의 양측에 형성되는 보호막층(32)과, S/D메탈층(33)과 보호막층(32)에 적층되는 IZO층(34)(Indium Zinc Oxide Layer)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S/D메탈층(33)은 TFT의 소오스단 또는 드레인단의 형성시 마스크 기법을 통해 형성되며, 보호막층(32) 및 IZO층(34) 또한 액티브 영역(AA)에서의 보호막 및 IZO층(34)의 형성시 마스크 기법을 통해 형성된다. 여기서, S/D메탈층(33)은 보호막층(32) 사이에서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IZO층(34)은 S/D메탈층(33)과 보호막층(32)의 상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도포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보호막층(32)의 상부를 도포하는 IZO층(34)은 실장되는 드라이브 IC나 플랙시블한 회로기판과 접촉되는 영역으로, 드라이브 IC나 회로기판을 통해 유입되는 정전기를 S/D메탈층(33)에 전달한다. 여기서, 도 5의미설명 참조번호 31은 게이트 절연막이고, 40은 글래스기판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정전기 제거부(20)의 유입패드부(22)가 제2기판에 마련된 TFT 기판의 형성시 함께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별도의 공정을 통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공통전극을 갖는 제1기판과, 제1기판의 공통전극과 연결되며 일측에 공통패드(14)가 마련된 공통라인(13)을 갖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제2기판에 공통패드(14)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는 정전기 제거부(20)를 마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가 공통패드(14)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전기에 의한 공통패드(14), 공통라인(13) 및 액티브 영역(A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라인이 형성된 제2기판 상으로 유입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정전기에 의한 공통패드, 공통라인 및/또는 액티브 영역의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0)

  1. 공통전극을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공통전극과 연결되며 일측에 공통패드가 마련된 공통라인을 갖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에 상기 공통패드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흡수하는 정전기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제거부는 상기 정전기가 유입되는 유입패드부와, 상기 유입패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패드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소모하는 정전기 소모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패드부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제2기판의 판면방향 외측을 향하는 피뢰침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패드부는 상기 공통패드보다 상기 제2기판의 판면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패드의 가장자리 영역은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에는 상호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이 마련되고,
    상기 공통라인은 상기 데이터라인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되도록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 근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라인과 인접한 상기 제2기판 상에는 상기 공통라인으로 통해 유입되는 정전기를 흡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팅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팅바의 적어도 어느 일측 가장자리는 피뢰침 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패드부는 상기 정전기 소모소자와 연결되는 S/D메탈층과, 상기 공통패드와 연결되는 신호전달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상기 S/D메탈층으로 전달하는 IZO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패드부는 상기 S/D메탈층의 양측에 마련된 보호막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IZO층은 상기 보호막층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층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30040113A 2003-06-20 2003-06-20 액정표시장치 KR100993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113A KR100993828B1 (ko) 2003-06-20 2003-06-20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113A KR100993828B1 (ko) 2003-06-20 2003-06-20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684A true KR20040110684A (ko) 2004-12-31
KR100993828B1 KR100993828B1 (ko) 2010-11-12

Family

ID=3738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113A KR100993828B1 (ko) 2003-06-20 2003-06-20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1617B2 (en) 2006-11-07 2013-09-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75920A (ko) * 2012-12-11 2014-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7242A (ja) 1998-07-31 2000-02-18 Optrex Corp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1617B2 (en) 2006-11-07 2013-09-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75920A (ko) * 2012-12-11 2014-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828B1 (ko)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6945B2 (en)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07260B1 (ko) 라인 온 글라스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642553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US2005022568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9014120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50105B1 (ko) 액정 표시 장치
US88481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6028986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leakage curren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080020168A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US77464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1813656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050052606A1 (en) One drop fill lcd panel
KR20080055068A (ko) 표시 장치
US20080165300A1 (en) Active device array substrate
KR100993828B1 (ko) 액정표시장치
US7525607B2 (en) LCD device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having first and second common lines interconnected with a third common line through a protection diode means at the first common line end and a conductive means at the second common line end
KR101137869B1 (ko) 액정표시소자
KR10132783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31905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48725A (ko)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US727178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0998100B1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092611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654762B1 (ko) 액정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5773845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decreased line width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