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206A -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110206A KR20040110206A KR1020030039419A KR20030039419A KR20040110206A KR 20040110206 A KR20040110206 A KR 20040110206A KR 1020030039419 A KR1020030039419 A KR 1020030039419A KR 20030039419 A KR20030039419 A KR 20030039419A KR 20040110206 A KR20040110206 A KR 200401102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terminal
- address
- data
- access point
- data fram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동일 BSS 내에 속하는 DSS-AP와 무선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시, 고정되어 사용되는 표준 길이의 주소 정보를 가지는 주소 필드를, 상기 표준 길이의 주소 정보보다 짧은 길이의 단축 주소 ID값을 가지는 단축 주소 필드로 대체함으로써, 무선랜의 표준 데이터 프레임보다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것은, 데이터 헤더에 사용되는 무선대역폭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무선대역폭을 데이터통신에 더 많이 활용하게 되어, 한정된 무선 자원을 다수의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함으로써, 전송타임을 단축시키고 이로 인해 무선 매체접속 시 충돌 확률이 줄어, DSS-AP의 전체 수용 단말의 수를 종래의 방법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임의의 무선단말기간의 데이터 송수신시,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거리통신망(LANs)은 수 km의 한정된 지역에서 컴퓨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단말기간에 통신이 되도록 구성된 망으로 100Mbps까지의 정보 전송이 가능하다. 이러한 일반적인 근거리 통신망에 있어서, 근래의 무선랜은 빌딩간의 네트워크 접속, 원격측정, 백화점 주차장, Rent 업체 등 케이블링이 어렵고 이동 컴퓨팅이 필요하면 빈번하게 네트워크 환경이 변하는 곳에 쓰이고 있으며,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현재 시판중인 표준 무선랜 제품의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은 IEEE 작업 그룹이 개발한 IEEE802.11이다. 상기에서 MAC은 여러개의 무선단말기가 동일한 전송매체를 공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송권을 확보하도록 하는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제 2계층,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상기 설명한 IEEE802.11 기반 표준 무선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업에서 시작된 무선랜 열풍이 최근 가정에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나, 가정을 무선랜으로 연결하는 것은 아직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현재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에서 한정된 무선 자원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유무선 통합을 가능케 하는 2.3㎓ 주파수대역 이용 활성화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도 1은 상기 무선랜의 MAC 표준인 IEEE802.11에서 제시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표준 구성 요소를 도시하고 있으며,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이하 BSS라 칭함), 분산시스템(Distribution System, 이하 DS라 칭함), 확장 서비스 셋(Extended Service Set, 이하 ESS라 칭함), 분산 시스템 용 억세스 포인트(Distribution System Service - Access Point, 이하 DSS-AP라 칭함), 무선단말기(Station or STAx)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단말기(10)는 IEEE 802.11a/b/g 무선 서비스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서, 휴대전화기, PDA, 스마트폰, 무선 VoIP폰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BSS(30)는 하나의 제어 기능(Coordination Function) 또는 하나의 DSS-AP(2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무선단말기(10)의 집합이며, 또한 상기 DSS-AP(20)이 제어하는 임의의 무선랜 서비스 영역이다. 또한, 상기 DS(40)는 상기 BSS(30)를 외부 네트웍인 근거리통신망(LANs)과 연결시켜, ESS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그리고 상기 DSS-AP(20)는 상기 BSS(30)와 상기 DS(40)를 상호 연동시키는 접속지점(Access Point)으로써, 상기 DS(40)를 통해 외부 네트웍과 연결되고, 상기 BSS(30)를 제어한다.
상기 무선단말기(10)과 DSS-AP(20)간에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과정을 통한 인증 및 Association을 맺어야 한다.
도 2는 상기 무선단말기(10)과 DSS-AP(20)간에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증 및 Association을 맺는 과정의 상태 천이도이다. 최초 상기 무선단말기(10)와 DSS-AP(20)는 모두 비인증/비접속 상태(Unauthenticated/Unassociated)(S10)로 초기화 되어 있으며, 무선단말기(10)의 인증 요청에 의해 DSS-AP(20)가 응답하는 과정을 통해서 인증/비접속 상태(Authenticated/Uassociated)(S11)로 천이된다. 인증과정을 마친 무선단말기(10)는 DSS-AP(20)에게 접속(Association) 요청(Request) 메시지를 보내고, DSS-AP(20)는 무선단말기(10)에게 상기 Association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Response)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인증/접속 상태(Authenticated/Associated)(S12) 상태로 천이되며,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상기 Association 절차를 위한 상기 요청 및 응답 메세지에는 상기 무선단말기(10) 및 DSS-AP(20)의 서비스 지원 가능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 3은 무선단말기(10) 및 DSS-AP(20)의 상기 서비스 지원 가능 정보(이하 Capability Information라 칭함)의 표준 프레임 구조로써, ESS(Extended Service Set)필드 (F10), IBSS(Independent Basic Service Set) 필드(F11), CF(Connection Free) Pollable 필드(F12), CF Poll Request 필드(F13), Privacy 필드(F14), 그리고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는 11비트의 Reserved 필드(F15)로 구성된다. 상기 Reserved 필드를 제외한 각 필드는 임의의 서비스 지원 여부에 대한 플래그로써 On(1) 또는 Off(0)의 값을 가지며, DSS-AP(20)와 무선단말기(10)는 도3에 도시된 표준 구조의 Capability Information 프레임을 교환함으로써, 상호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파악하게 되며, 상기 인증/접속 상태(Authenticated/Associated)(S12)로 천이된 무선 단말기(10)와 DSS-AP(20)는 IEEE802.11에서 정의하는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는데, 전송할 프레임에 따라 Management, Control, Data 등의 전송프레임 타입을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 내의 FC(Frame Control) 필드에 명시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상기 표준 FC(Frame Control)필드의 구조로써, V(프로토콜 버젼)(F201), T(타입)필드(F202), ST(Subtype)필드(F203), ToDS(To Distribution System)필드(F204), FromDS(From Distribution System)필드(F205), MFrag(More Fragment)필드(F206), Re(Retry)필드(F207), PMgt(Power Management)필드(F208), MData(More Data)필드(F209), WEP(Wired Equivalent Privacy)필드(F210), O(Order)필드(F211)를 포함한다.
상기 T필드(F202)는 Management, Control, Data 등의 전송프레임 타입을 나타내며 더 상세한 타입은 ST필드(F203)에 나타낸다. 또한 ToDS필드(F204)는 데이터의 방향을 나타내는 플래그로써, 상기 무선단말기(10)에서 DS(40)로 나가는 데이터의 경우 ON(1)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FromDS필드(F205) 역시, 데이터의 방향을 나타내는 플래그로써, 상기 DS(40)에서 무선단말기(10)로 들어오는 데이터의 경우ON(1) 상태가 된다.
상기 FC(Frame Control) 필드(F20)의 T필드(F202)가 Data 타입에 해당하는 값으로 셋팅된 경우에는, 무선단말기(10)와 AP(20)가 도 5에 도시된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 구조로써, FC(Frame Control) 필드(F20), Duration/ID 필드(F21), AD1(Address 1) 필드(F22), AD2(Address 2) 필드(F23), AD3(Address 3) 필드(F24), SEQ(Sequence) 필드(F25), AD4(Address 4) 필드(F26), FB(Frame Body) 필드(F27), FCS(Frame Check Sequence)(F28)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ADx필드(F22,F23,F24,F26)는 FC필드(F20)의 ToDS(F204)와 FromDS(F205)플래그 값에 따라 DA(Destination Address), SA(Source Address),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cation), N/A(Not Applicable), RA(Receiving Address), TA(Transmitter Address) 등의 조합으로 번역되며, 상기 ADx 필드(F22,F23,F24,F26)는 각각 6바이트이다. 임의의 무선단말기(10)가 동일 BSS(30)내의 DSS-AP(20)과 통신함에 있어서, DSS-AP(20)의 주소와 무선단말기(10)의 주소는 상호 약속된 값으로 고정되므로, 총 24바이트의 ADx 필드(F22,F23,F24,F26)의 내용은 변화가 없게 된다. 이렇게 변화가 없는 24바이트의 주소 필드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비효율성이 있다.
1. 오버헤드가 많은 주소 필드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전체 프레임의 길이가 길다.
2. 전체 프레임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전송타임이 길어진다.
3. 전송타임이 길기 때문에, 다른 단말의 무선 매체접속 시 충돌 확률이 높아진다.
4. 무선 매체접속 시 충돌 확률이 높아지므로, 단말의 프레임 처리율이 낮아진다.
5. 무선 매체접속 시 충돌 확률이 높아지므로, DSS-AP의 전체 수용 단말의 수가 제한이 된다.
6. 각 프레임마다 헤더의 사용으로 인한 무선 대역폭의 낭비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동일 BSS(30)내에 속하는 DSS-AP(20)와 무선단말기(10) 사이의 데이터 프레임 송수신시, 표준 주소 정보를 가지는 표준 길이의 주소 필드를, 상기 표준 길이의 주소 필드보다 짧은 길이의 단축 주소 필드로 대체함으로써, 무선랜의 표준 데이터 프레임보다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함이다.
도 1은 종래의 표준 무선랜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DSS-AP 및 무선단말기(STAx)의 상태 천이도.
도 3은 종래의 서비스 지원 가능 정보의 표준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의 표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무선랜 표준 데이터 프레임 표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DSS-AP(200)및 무선단말기(100)의 상태 천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에서 DSS-AP로 보내는 서비스 지원 가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모드접속(CA)을 맺은 DSS-AP와 무선단말기가 송수신하는 단축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기 위한 STAx의 CA 신호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기 위한 DSS-AP의 CA 신호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DSS-AP의 단축주소 ID 생성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단축 데이터 프레임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표준 데이터 프레임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기 위한 단축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절차 중, DSS-AP 및 STAx에서 주소 필드 단축 해제를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기 위한 단축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절차 중, DSS-AP 및 STAx에서 주소 필드 단축 해제 요청을 수신했을 때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종래의 무선단말기(STAx)
20 : 종래의 DSS-AP
30 : BSS (Basic Service Set)
40 : DS (Distribution System)
100 :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 (STAx)
200 : 본 발명에 따른 DSS-AP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시스템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BSS(Basic Service Set)와 DS(distribution System)로 이루어지는 무선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BSS와 DS를 상호 연동시키는 DSS-AP와, 상기 BSS에 속하며 상기 DSS-AP와 무선랜으로 연결되는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DSS-AP와 상기 무선단말기가 무선랜 표준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필드보다 짧게 설정된 단축 주소 필드를 가지는 단축 데이터 프레임에 의해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며, 상기 단축 주소 필드는 상기 DSS-AP와 상기 무선단말기 간에 상기 무선랜 표준에 따라 상대방으로 전송되어야 할 주소 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무선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단축 주소 ID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DSS-AP는 DS와 연동하여 DSS를 제공하는 DSS-AP이며,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무선단말기로 보낼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 헤더내의 타입을 분석하여 해당 처리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제어부; 상기 데이터 제어부가 송신한 상기 무선랜 표준 방식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표준모드 처리부; 상기 데이터 제어부가 송신한 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처리하며, 상기 무선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단축 주소 ID를 생성하는 단축모드 처리부; 상기 단축모드 처리부에서 생성한 단축 주소 ID와 상기 무선랜 표준에 따라 상대방으로 전송되어야 할 주소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축 주소 ID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는 IEEE 802.11x 무선 서비스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서, 휴대전화기, PDA, 스마트폰, 무선VoIP폰이 될 수 있으며, 상기 DSS-AP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DSS-AP로 보낼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 헤더내의 타입을 분석하여 해당처리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제어부; 상기 데이터 제어부가 송신한 상기 무선랜 표준 방식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표준모드 처리부; 상기 데이터 제어부가 송신한 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축모드 처리부; 상기 DSS-AP로부터 할당받은 단축 주소 ID와 상기 무선랜 표준에 따라 상대방으로 전송되어야 할 주소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축 주소 ID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랜 시스템의 임의의 BSS(Basic Service Set)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와, 상기 BSS(Basic Service Set)를 DS(distribution System)와 연동시키는 DSS-AP가 무선랜을 통하여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무선랜 표준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필드보다 짧게 설정된 단축 주소 필드를 가지는 단축 데이터 프레임에 의해 상기 DSS-AP와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는 단축모드 설정을 상기 DSS-AP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을 받은 DSS-AP가, 상기 무선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단축 주소 ID를 생성한 후, 상기 무선단말기에 상기 단축 주소 ID를 포함한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메세지를 수신한 무선단말기가, 상기 무선랜 표준에 따라 상기 DSS-AP로 전송해야 할 주소 정보와, 상기 응답 메세지가 포함한 상기 단축 주소 ID를 대응시켜 저장하고, 이에 대한 확인 메세지를 상기 DSS-AP로 송신한 후, 상기 무선단말기의 설정모드를 상기 단축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DSS-AP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확인 메세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단축 주소 ID와 상기무선랜 표준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기로 전송해야 할 주소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고 상기 DSS-AP의 상기 무선단말기에 대한 설정모드를 상기 단축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은 크게 단축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단말기(100), 단축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DSS-AP(200), 상기 무선단말기(100)의 집합 개념인 BSS(30) 그리고 BSS(30)를 근거리통신망(LANs)과 연동시키는 분산시스템(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기(100)는 같은 BSS(30)에 속해 있는 DSS-AP(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DSS-AP(200)로 보낼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01)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01)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 헤더내의 타입을 분석하여 해당 처리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제어부(102), 상기 데이터 제어부(102)로부터 무선랜 표준 방식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표준모드처리부(105)와, 상기 데이터 제어부(102)로부터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축모드처리부(103), 그리고 상기 DSS-AP(200)로부터 할당받은단축 주소 ID(이하 'CAID': Compressed Association Identifier라 칭함)와 상기 무선랜 표준에 따라 상대방으로 전송되어야 할 주소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축 주소 ID 테이블(이하 'CAID 테이블'이라 칭함;10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DSS-AP(200)는 BSS(30)와 DS(40)를 상호 연동시키는 AP로써, 같은 BSS(30)에 속해있는 임의의 무선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무선단말기(100)로 보낼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201)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201)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 헤더내의 타입을 분석하여 해당 처리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제어부(202),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제어부(202)로부터 무선랜 표준 방식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표준모드 처리부(205), 또한 상기 데이터 제어부(202)로부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처리하며, 상기 무선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CAID를 생성하는 단축모드 처리부(203)와 상기 단축모드 처리부(203)에서 생성한 CAID와 무선랜 표준에 따라 무선단말기(100)로 전송되어야 할 주소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CAID 테이블(20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DSS-AP(200)는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단축모드 접속을 맺은 무선단말기(100)에 대한 주소정보를 상기 CAID 테이블(204)에 저장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무선단말기(100)는 자신과 단축모드 접속을 맺은 DSS-AP(200)에 대한 주소정보를 상기 CAID 테이블(104)에 저장하게 된다.
도 7은 상기 단축모드 접속 과정을 포함하는, 무선단말기(100)과 DSS-AP(200)간에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증 및 Association을 맺는 과정의상태 천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태 천이도는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상태 천이도에서 '인증/단축모드 접속 상태'(S13)가 더 추가된 것으로, 최초 상기 무선단말기(100)와 DSS-AP(200)는 모두 비인증/비접속 상태(Unauthenticated/Unassociated)(S10)로 초기화되어 있으며, 무선단말기(100)의 인증 요청에 의해 DSS-AP(200)가 응답하는 과정을 통해서 인증/비접속 상태(Authenticated/Unassociated) (S11)로 천이된다. 인증과정을 마친 상기 무선단말기(100)는 DSS-AP(200)에게 접속(Association) 요청(Request) 메시지를 보내고, DSS-AP(200)는 무선단말기(100)에게 상기 Association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Response)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인증/접속 상태(Authenticated/Associated)(S12)로 천이되며,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상기 Association 절차를 위한 상기 요청 및 응답 메세지에는 상기 무선단말기(100) 및 DSS-AP(200)의 서비스 지원 가능 정보 필드(이하, 'Capability Information 필드'라 칭함.)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기(100)와 DSS-AP(200)가 상호 교환한 Capability Information 필드에서 '단축모드 지원'에 대한 플래그가 양쪽 모두 ON(즉, 지원가능)으로 되어 있으면, 상기 단축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기(100)와 DSS-AP(200)가 상호 단축모드접속(CA) 요청(Request) 메세지와 이에 대한 응답(Response) 메세지를 주고받음으로써 '인증/단축모드접속' 상태(S13)로 천이하게 된다.
도 8은 상기 '단축모드 지원'에 대한 플래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Capability Information 필드 구조이다. 상기 '단축모드 지원'에 대한 플래그(CA)는, 도 3에서 도시한 종래의 표준 Capability Information 프레임 구조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 11비트의 Reserved 필드(F15) 중 하나의 비트(F151)를 사용한다. 여기서 DSS-AP(200)에서 무선단말기(100)로 보내는 상기 Association 응답(Response) 메세지의 Capability Information 필드는 무선단말기(100)에서 DSS-AP(200)으로 보내는 Association 요청(Request) 메세지의 Capability Information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상기 무선단말기(100)와 DSS-AP(200)가 상호 교환한 Capability Information 필드에서 '단축모드 지원'에 대한 플래그가 양쪽 모두 ON(즉, 지원가능)으로 되어 있음을 확인한 상기 무선단말기(100)와 DSS-AP(200)는 '인증/단축모드접속' 절차(S13)를 거친 후,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도 9는 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FC필드(F20)는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FC필드를 그대로 사용하며, 다만 T(Type)필드(F202), ST(SubType)필드(F203)값은 단축모드에 해당하는 소정의 값이 된다. CAID 필드(F99)는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표준 데이터 프레임에서, 총 24바이트의 AD1(F22), AD2(F23), AD3(F24), AD4(F26)필드 전체를 대체하는 것으로, 상기 CAID필드(F99)의 길이는 2바이트이므로 22바이트 만큼 데이터 프레임 길이가 단축된다. 그러므로 Duration/ID필드(F21)는 22바이트에 해당하는 시간을 감소한 값을 사용한다. 나머지 SEQ(Sequence)필드(F25), FB(FrameBody)필드(F27), FCS(Frame Check Sequence)필드(F28)는 모두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필드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상기 CAID(Compressed Association Identifier)는 DSS-AP(200)가 랜덤하게 생성한 두 바이트의 단축 주소 ID를 의미하며, 상기 '인증/단축모드접속' 절차(S13)를 맺기 위하여 상기 무선단말기가(100) 보낸 단축모드접속(이하 CA라 칭함) 요청(Request) 메세지를 받은 DSS-AP(200)가 상기 CAID를 랜덤하게 생성한 후, 이를 CA 응답(Response) 메세지에 포함하여 무선단말기(100)에 송신하게 된다.
도 10은 상기 무선단말기(100)의 CA 요청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단축 모드를 지원하고 인증/접속 상태(S12)에 있는 무선단말기(100)는 역시 단축 모드를 지원함을 확인한 DSS-AP(200)에게 상기 CA 요청 메세지를 전송한 후(S101), DSS-AP의 응답(Response) 메세지를 기다린다. 소정의 타임아웃 시간 내에 CA 응답 메세지를 수신했는가를 판단하여(S102) 만약 타임아웃 시간을 초과하였으면, 상기 DSS-AP(200)에게 재전송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재전송 요청 횟수가 소정의 최대 횟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전송하는 단축 모드가 아닌, 종래의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전송하는 표준 모드로 전송하게 된다. 무선단말기(100)가 DSS-AP(200)로부터 CA 응답 메세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응답 메세지에 포함된 CAID를 원래의 24바이트 길이의 DSS-AP(200) 주소와 매핑시켜서 자신의 CAID 테이블(104)에 기록한 후(S103), 상기 DSS-AP(200)로 확인(Confirm) 메세지를 송신하고(S104), 이후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설정 모드를 단축모드로 셋팅한다(S105).
도 11은 상기의 CA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 DSS-AP(200)가 응답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무선단말기(100)로부터 CA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S201) 상기 DSS-AP는, 소정의 방법을 통해 CAID를 생성한다(S202). 생성한 CAID를 CA 응답 메세지에 포함시켜 상기 무선단말기(100)로 전송하고(S203) 무선단말기(100)의 확인 메세지를 기다린다. 소정의 타임아웃 시간내에 확인(Confirm) 메세지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여(S204), 만약 타임아웃 시간을 초과하였으면, 상기 무선단말기(100)에게 재전송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재전송 요청 횟수가 소정의 최대 횟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단축 모드가 아닌, 종래의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전송하는 표준 모드로 전송하게 된다. DSS-AP(200)가 무선단말기(100)로부터 확인(Confirm) 메세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생성한 CAID를 CAID 테이블(204)에 기록한 후(S205), 이후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설정 모드를 단축모드로 셋팅한다(S206).
도 12는 DSS-AP(200)가 상기 CAID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먼저, 일반적인 랜덤 함수에 의해 랜덤한 숫자를 생성한 후(S2021), 생성한 숫자가 홀수인지를 판단하여(S2022), 홀수라면 그대로 두고, 만약 짝수라면 1을 더해서 홀수로 만든다(S2023). 이렇게 만들어진 숫자에 대해, 기존의 CAID와 중복되었는지를 확인하고(S2024) 만약, 중복되었다면 다시 랜덤한 숫자를 생성하고(S2021) 중복되는 CAID가 없다면, 생성한 상기 숫자를 CAID로써 출력하는(S2025) 과정이다.
상기 과정에서 CAID를 무조건 홀수로 하는 이유는 DSS-AP(200)로부터 무선단말기(100)로 데이터를 보낼 때와 무선단말기(100)로부터 DSS-AP(200)로 데이터를 보낼 때의 CAID를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홀수인 CAID는 DSS-AP(200)로부터 무선단말기(100)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하는 CAID이고, 상기 DSS-AP(200)의 CAID 테이블(204)에 저장되는 값이다. 이때 무선단말기(100)의 24바이트 표준 주소 필드 또한 상기 CAID와 매핑되어 함께 저장된다. 짝수인 CAID는 무선단말기(100)로부터DSS-AP(200)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하는 CAID이고, 이는 상기 DSS-AP(200)의 CAID 테이블(204)에 저장된 CAID에 1을 더한 값이므로 CAID 테이블(204)에는 추가로 저장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DSS-AP(200) 및 무선단말기(100)의 CAID 테이블(104, 204)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생성된 2바이트의 CAID는, 무선단말기(100)와 DSS-AP(200)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어서 변함이 없는 종래의 표준 데이터 프레임 내의 24바이트 주소 필드 (ADD1, ADD2, ADD3, ADD4)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프레임 길이를 22바이트 단축시켜서 무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도 13은 무선단말기(100) 또는 DSS-AP(200)가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함께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수신한 프레임이 DSS-AP와 교환되는 데이터 프레임인지를 판단하여(S501), DSS-AP와 교환되는 데이터 프레임이 아닐 경우는 프레임 포맷의 변화가 없이 표준 모드로 처리하고(S502), 24바이트의 주소 필드(ADD1, ADD2, ADD3, ADD4)를 가지는 '데이터' 타입의 데이터 프레임일 경우에는 자신의 CAID테이블(104 또는 204)을 검색(Search)하여, 상기 24바이트의 주소 필드의 값에 매핑되는 CAID가 있는지 판단한다(S503). 만약 매핑되는 CAID가 없다면 프레임 포맷의 변화가 없이 표준 모드로 처리하고(S502), 매핑되는 CAID가 있다면 그 값에 ToDS 값을 더해서 데이터 프레임 내의 CAID 필드에 채우고(S504), 데이터 프레임 내의 24바이트의 주소필드(ADD1, ADD2, ADD3, ADD4)는 삭제하고(S505), FC필드의 Type 필드와 Sub Type 필드를 단축 데이터 프레임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CAID에 ToDS(F204) 값을 더하는 이유는, 무선단말기(100)의 경우 CAID 테이블(104)에서 찾은 CAID가 홀수이기 때문에, 짝수를 사용하여 DSS-AP(200)로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위함이다.
도 14는 도 13과는 반대의 경우로, 무선단말기(100) 또는 DSS-AP(200)가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표준 데이터 프레임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함께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의 FC(F20) 필드의 Type(F202) 및 Subtype(F203) 필드값이 단축모드에 해당하는 소정의 값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S601) 만약 단축모드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종래의 표준 길이의 주소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는 방식인 표준모드 방식으로 프레임을 처리한다(S607). 만약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의 FC(F20) 필드의 Type(F202) 및 Subtype(F203) 필드값이 단축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CAID(F99) 필드가 포함하고 있는 CAID값을 ToDS(F204)플래그의 값 만큼을 감소시킨 후(S602), 그 CAID 값을 CAID테이블에서 찾는다(S603). 여기서 상기 ToDS(F204)플래그는 무선단말기(100)에서 DSS-AP(200)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1, 무선단말기(100)가 DSS-AP(200)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0의 값을 가진다. 상기 S602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CAID(F99) 필드가 포함하고 있는 CAID값을 ToDS(F204)플래그의 값 만큼을 감소시킨 이유는 DSS-AP(200)의 경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CAID값은 짝수이고, CAID 테이블(204)에 저장된 CAID 값은 모두 홀수이므로, 저장된 홀수의 CAID를 사용하여 해당되는 무선단말기(100)에 대한 CAID를 찾기 위함이다. 상기 S602에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CAID가 짝수인 경우는 무선단말기(100)가 DSS-AP(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을 의미하므로 , 무선랜 표준에서 지정한 순서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주소 필드 내용 AD1(DA), AD2(BSSID), AD3(SA), AD4(N/A) 순서를 그대로 사용하여 표준 모드 프레임으로 처리한다(S605). 이와 달리, 상기 S602에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CAID가 짝수인 경우는 DSS-AP(200)가 무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을 의미하므로 , 무선랜 표준에서 지정한 순서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주소 필드 내용을 AD2(BSSID), AD3(SA), AD1(DA), AD4(N/A) 순서로 바꾸어 표준 모드 프레임으로 처리한다(S606).
상기 단축 모드 프레임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던, 상기 DSS-AP(200) 및 무선단말기(100)가, 상기 단축 모드 설정을 취소하고, 다시 표준 길이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신호절차를 통해서 표준 모드로 리셋(reset)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축 모드를 해제하는 신호절차 중, DSS-AP(200) 또는 무선단말기(100)에서 주소 필드 단축을 해제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DSS-AP(200) 또는 무선단말기(100)에서 단축모드 해제 요청을 전송한 후(S301), 정해진 타임아웃 시간 내에 상대방의 단축모드 해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했는지를 판단한다(S302). 만약 정해진 타임아웃 시간 내에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는, 최대 재전송 횟수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단축모드 해제 요청을 재전송한다.(S305,306) 이 때, 재전송 횟수가 최대 재전송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는, 상대방의 응답을 포기하고 단축모드 해제를 진행하게 된다. 반면, 정해진 타임아웃 시간 내에 응답을 수신한 경우는, 자신의 CAID테이블(104 또는 204)에서, 단축모드 해제 응답 메세지가 포함한 CAID와, 상기 CAID와 대응되어 저장된 표준 길이의 주소 정보를 삭제하고(S303), 표준 모드로 리셋한다(S304).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기 위한 상기 단축 모드를 해제하는 신호절차 중, DSS-AP(200) 및 무선단말기(100)에서 주소 필드 단축 해제를 요청 받은 경우이다. 상기 DSS-AP(200) 또는 무선단말기(100)가 단축모드 해제 요청을 수신하면(S401), 상기 단축모드 해제 요청에 대해 송신측에 응답 메세지를 송신한다(S402). 또한, 상기 단축모드 해제 요청 메세지에 포함된 CAID를 자신의 CAID 테이블(104 또는 204)에서 찾아, 상기 CAID와, 상기 CAID와 대응되어 저장된 표준 길이의 주소 정보를 삭제하고(S403), 표준 모드로 리셋한다(S40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것은, 데이터 헤더에 사용되는 무선대역폭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무선대역폭을 데이터통신에 더 많이 활용하게 되어, 한정된 무선 자원을 다수의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무선단말기(100)가 음성단말이고, MPDU(MAC Protocol Data Unit)의 길이가 100 바이트인 경우, 주소 필드 단축을 사용하지 않은 종래의 방법은 물리계층의 전송 프레임의 길이가 168 바이트이다. 반면에 주소 필드 단축을 사용하는 방법은 물리 계층의 전송 프레임의 길이가 22바이트 축소된 146 바이트가 된다. 전송 프레임의 길이는 곧 전송 시간이므로 무선 링크 사용의 17% 향상을 가져오는 셈이다.
또한, 상기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함으로써, 전송타임을 단축시키고 이로 인해 무선 매체접속 시 충돌 확률이 줄어, DSS-AP의 전체 수용 단말의 수를 종래의 방법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15)
- 임의의 무선랜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고,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네트웍과 연결되는 억세스 포인트와, 상기 무선랜 서비스 영역에 속하며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 무선랜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억세스 포인트는 발신주소와 수신주소, 상기 무선랜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는 주소 필드를 가지는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표준모드와,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내의 상기 주소 필드보다 짧은 길이의 단축 주소 필드를 가지는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축모드를 모두 지원하고,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표준모드와, 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축모드를 모두 지원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억세스 포인트는 DSS-AP(Distribution System Service-Access Point)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무선 서비스 영역은 BSS(Basic Service Set)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축 주소 필드는,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필드가 포함하는 주소 정보와 대응되고 상기 무선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축 주소 ID(identifier)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은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의 타입, 사용하는 프로토콜 버젼, 그리고 다수의 제어 플래그를 포함하는 프레임 제어 필드와,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의 예상 전송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duration/id 필드와,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필드가 포함하는 주소 정보와 대응되고, 상기 무선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축 주소 ID(identifier)값을 포함하는 단축 주소 ID필드와,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의 손실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SQ(Sequence) 필드와,실제 전송될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FB(Frame Body) 필드와,오류 제어에 사용되는 FCS(Frame Check Sequence)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억세스 포인트는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무선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 헤더내의 타입을 분석하여 해당 처리 모듈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제어부;상기 데이터 제어부가 전달한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는 표준모드 처리부;상기 데이터 제어부가 전달한 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며,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필드가 포함하는 주소 정보와 대응되고, 상기 무선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축 주소 ID(identifier)를 생성하는 단축모드 처리부;상기 단축모드 처리부에서 생성한 상기 단축 주소 ID와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필드가 포함하는 주소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축 주소 ID 테이블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무선단말기는상기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억세스 포인트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 헤더내의 타입을 분석하여 해당 처리 모듈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제어부;상기 데이터 제어부가 전달한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는 표준모드 처리부;상기 데이터 제어부가 전달한 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는 단축모드 처리부;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필드가 포함하는 주소 정보와, 상기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할당받은 상기 무선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단축 주소 ID(identifier)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축 주소 ID 테이블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
- 임의의 무선랜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고,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네트웍과 연결되는 억세스 포인트와, 상기 무선랜 서비스 영역에 속하며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 무선랜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기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발신주소와 수신주소, 그리고 상기 무선랜 서비스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는 주소 필드를 갖는 표준 데이터 프레임이 아닌,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필드보다 짧은 길이의 단축 주소 필드를 가지는 단축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축모드를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억세스 포인트가 상호 확인하는 단계;상기 무선단말기와 상기 억세스 포인트가 상기 단축모드를 지원함을 확인한 후,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억세스 포인트에게 상기 단축모드로의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상기 요청을 받은 억세스 포인트가,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필드가 포함하는 주소 정보와 대응되고, 상기 무선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축 주소 ID(identifier)를 생성한 후, 이를 포함한 응답 메세지를 상기 무선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상기 응답 메세지를 수신한 무선단말기가, 상기 억세스 포인트로 전송해야 할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내의 주소 필드가 포함하는 주소 정보와, 상기 응답 메세지가 포함한 상기 단축 주소 ID를 대응시켜 저장하고, 이에 대한 확인 메세지를 상기 억세스 포인트로 송신한 후, 상기 무선단말기의 설정모드를 상기 단축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상기 억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확인 메세지를 수신한 후, 상기 단축 주소 ID와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필드가 포함하는 주소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상기 무선단말기에 대한 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상기 무선단말기에 대한 설정모드를 상기 단축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은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의 타입, 사용하는 프로토콜 버젼, 그리고 다수의 제어 플래그를 포함하는 프레임 제어 필드와,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의 예상 전송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duration/id 필드와,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필드가 포함하는 주소 정보와 대응되고, 상기 무선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축 주소 ID(identifier)를 포함하는 단축 주소 ID 필드와,상기 단축 데이터 프레임의 손실감지에 사용되는 SQ(Sequence) 필드와,실제 전송될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FB(Frame Body) 필드와,오류 제어에 사용되는 FCS(Frame Check Sequence)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억세스 포인트와 상기 무선단말기의 상기 단축 모드 지원 확인은,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서비스가능정보(Capability Information) 패킷과, 상기 억세스 포인트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무선단말기의 서비스가능정보(Capability Information) 패킷내에서, 상호 약속한 특정 위치의 플래그 값을 통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무선단말기의 설정모드를 단축모드로 설정한 상기 무선단말기에 있어서,상기 단축모드를 해제할 경우,상기 억세스 포인트로 단축 모드 해제 요청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상기 요청메세지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상기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단축 주소 ID테이블에서 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단축주소ID와, 상기 단축 주소 ID에 대응되는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상기 무선단말기의 설정모드를,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표준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무선단말기의 설정모드를 상기 단축모드로 설정한 상기 무선단말기에 있어서,상기 단축모드에 대한 해제 요청 메세지를 상기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경우,상기 단축모드에 대한 해제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상기 억세스 포인트로 송신하는 단계;상기 단축 주소 ID테이블에서 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단축주소ID와, 상기 단축 주소 ID에 대응되는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상기 무선단말기의 설정모드를,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표준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억세스 포인트가 생성한 상기 단축 주소 ID는,임의의 랜덤한 숫자를 생성하는 제 1단계;상기 랜덤한 숫자가 홀수인지를 확인하는 제 2단계;상기 확인 결과 상기 랜덤한 숫자가 홀수가 아니라면 1을 더해서 홀수로 만드는 제 3단계;홀수인 상기 랜덤한 숫자가 기존의 단축 주소 ID와 겹치는가를 판단하는 제 4단계;상기 판단 결과 상기 랜덤한 숫자가 기존의 단축 주소 ID와 겹치는 경우 다시 제 1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랜덤한 숫자가 기존의 단축 주소 ID와 겹치지 않는 경우 상기 랜덤한 숫자를 출력하는 제 5단계를 통해서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상기 무선단말기에 대한 설정모드를 상기 단축모드로 설정한 상기 억세스 포인트에 있어서,상기 단축모드를 해제할 경우,상기 무선단말기로 단축 모드 해제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상기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단축 주소 ID테이블에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단축주소ID와, 상기 단축주소ID에 대응되는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의 주소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상기 무선단말기에 대한 설정모드를 상기 표준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표준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상기 무선단말기에 대한 설정모드를 단축모드로 설정한 상기 억세스 포인트에 있어서,상기 단축모드에 대해 해제를 요청하는 메세지를 상기 무선단말기부터 수신할 경우,상기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상기 단축 주소 ID테이블에서, 상기 무선단말기의 단축주소ID와, 상기 단축 주소ID에 대응되는 상기 표준 길이의 주소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상기 억세스 포인트의 상기 무선단말기에 대한 설정모드를, 상기 표준 길이의 주소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표준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9419A KR100526549B1 (ko) | 2003-06-18 | 2003-06-18 |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39419A KR100526549B1 (ko) | 2003-06-18 | 2003-06-18 |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110206A true KR20040110206A (ko) | 2004-12-31 |
KR100526549B1 KR100526549B1 (ko) | 2005-11-03 |
Family
ID=3738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9419A KR100526549B1 (ko) | 2003-06-18 | 2003-06-18 |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2654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8326B1 (ko) * | 2005-04-13 | 2011-04-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네트워크 통신방법 |
WO2013077600A1 (ko) * | 2011-11-21 | 2013-05-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
2003
- 2003-06-18 KR KR10-2003-0039419A patent/KR10052654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8326B1 (ko) * | 2005-04-13 | 2011-04-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네트워크 통신방법 |
WO2013077600A1 (ko) * | 2011-11-21 | 2013-05-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US9992765B2 (en) | 2011-11-21 | 2018-06-05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ame in a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26549B1 (ko) | 2005-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5684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bluetooth for WLAN service authentication and discovery | |
JP4138742B2 (ja) | 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によって援助された端末の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化 | |
TW552493B (en) | Communication setup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 |
US814459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rout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 |
EP2127236B1 (en) | Personal area network implementation within an infrastructure network | |
US20080107077A1 (en) | Subnet mobility supporting wireless handoff | |
US2003018517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between subnetworks of mobile node in wireless LAN | |
US20070140191A1 (en) | Wireless LAN device and communication mode switching method | |
US2007021302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of Emergency Calls in a Shared Resource Network | |
KR20100103639A (ko) | 다중 무선 네트워크에 동시 액세스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JP2002505566A (ja) | 無線atm通信網のatm移動体端末とatmアクセス・ノードとの間の安全な通信のための認証方法および認証装置 | |
CN117135771B (zh) | 用于多链路设备的链路操作的方法和装置 | |
EP1947818B1 (en) |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 |
JP3497885B2 (ja) | 無線lanメディアアクセス方法 | |
CN113891425A (zh) | 数据传输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 |
US20030058819A1 (en) | Optimizing data traffic in an AD-HOC established device network | |
KR100526549B1 (ko) | 단축된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랜시스템 및 그 방법 | |
EP3557915A1 (en) |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vice, and access point | |
CN103973570B (zh) | 一种报文传输的方法、ap及系统 | |
JP4357401B2 (ja) | フィルタリング方法 | |
WO2011091630A1 (zh) | 无线保真网络中数据传输的方法及系统 | |
US20210127440A1 (en) | Techniques for multipath bundling and determining wi-fi connections for multipath bundling | |
JP2010136165A (ja) | 小型基地局 | |
CN117715151A (zh) | 用于接入协议的系统及方法 | |
CN117295111A (zh) | 数据传输方法、装置、upf实体及通信实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