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765A - 링거거치대 - Google Patents

링거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765A
KR20040107765A KR1020030038185A KR20030038185A KR20040107765A KR 20040107765 A KR20040107765 A KR 20040107765A KR 1020030038185 A KR1020030038185 A KR 1020030038185A KR 20030038185 A KR20030038185 A KR 20030038185A KR 20040107765 A KR20040107765 A KR 20040107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case
signal
uni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3390B1 (ko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102003003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390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5Visors with full face protection, e.g. for industrial safety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 등에서 주사되는 링거의 무게를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링거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링거거치대는, 내측에 무게측정부와 신호송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무게측정부에 부착된 상태로 케이스의 저부로 돌출되는 링거홀더;와,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폴대;와, 수액투여를 차단하는 개폐기;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으로 구성되어,
환자에게 수액이 투여되고 있는 링거의 무게를 유무선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송출부를 통해 출력하며, 필요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수액투여를 차단할 수 있도록 동작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링거거치대{Ringer hangning uuit}
본 발명은 환자에게 투여되는 링거를 매다는 링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링거의 수액 투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액이 투여되고 있는 링거의 무게를 측정하여 출력하며, 투액을 중단 또는 계속할 수 있는 링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링거에 의한 수액을 투여하는 경우, 링거수액 투여 상황을 감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링거 또는 팩에 의한 수액투여를 감시하고 수액투여가 완료된 경우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발명 또는 고안이 다수 출원되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수액의 방울 수를 측정함으로써 잔류 수액량을 산출하도록 발명된 등록실용신안 제195385호의 "수액확인장치", 링거의 용기에 수위 감지 장치를 꼽아 수액의 수위를 감지한 후, 수액이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발명된 등록실용신안 제302890호의 "전자 경보 및 발광 신호기", 및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무게 측정 방식으로 링거의 무게를 측정하여 잔류 수액량 및 경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된 등록실용신안 제310677호의 "링거(링겔)용액 저수위 감지용 경보기"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링거의 무게변화를 측정하여 표시하고, 경보를 울리는 기능은 수행할 수 있으나, 링거의 정확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들이 아닐 뿐만 아니라 경보를 울린다고 하더라도 그 경보 범위가 병실내로 한정되므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링거 주사를 시술하는 경우에는 사실상 무용지물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액 투여 중인 링거의 무게를 측정하여 원격지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유무선데이터 신호로 송출하는 링거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링거거치대의 사용유무, 사용기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차후 독출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링거거치대의 사용내역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팩을 가지는 링거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링거거치대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링거거치대의 블록 구성도,
도3은 도1 및 도2의 개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1 및 도2의 배터리팩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5 : 링거 6 : 수액관
107 : 폴대
100 : 링거거치대 200 : 배터리팩
101 : 케이스 102 : 신호송출부
111 : 제어부 112 : 저장부
113: 로드셀 114 : A/D컨버터
116 : 적외선송신부 119 : 경보출력부
120 : 폴더고정부 121 : 압축너트
122 : 관 150 : 개폐기
151 : DC모터 152 : 적외선센서
153 : 구동부 156 : 클램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링거거치대는, 내측에 무게측정부와 신호송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무게측정부에 부착된 상태로 케이스의저부로 돌출되는 링거홀더;와, 케이스를 지지하는 폴대;로 구성된다.
상기 링거거치대는 수액관이 고정되어 수액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동작되는 개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기 지정된 사용기간 이후에 상기 케이스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사용시간, 사용기간 데이터를 차후 출력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배터리팩;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링거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1에서 링거거치대(100)는, 내측에 링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부와 측정된 링거의 무게를 외부로 송출하는 신호송출부(012) 등이 장착되는 아치형 상부면을 가지는 상자형 케이스(101)와, 케이스(101)의 저면에서 무게측정부에 부착된 상태로 링거(5)를 매달릴 수 있도록 돌출되는 링거홀더(105)와, 케이스(101)를 지지하는 폴대(107)로 구성되어, 수액이 투여되는 링거(5)의 무게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외부로 송출한다.
무게측정부(100a)는 외력의 작용에 따라 저항이 변화되는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전류가 발생되는 압전소자 등을 사용하여, 링거의 무게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 또는 전류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링거의 현재 무게를 측정한 후 데이터 변환하여 신호송출부로 출력한다.
신호송출부(102)는 무게측정부(100a)(도2참조)에서 측정된 무게 데이터를 유무선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링거거치대(100)의 외부로 송출하는 것으로서, RS232C, RS422, UTP 케이블 등에 의한 유선통신 또는, RF통신,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등에 의한 무선통신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병원의 경우에는 외부의료기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선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 방법을 사용하도록 신호송출부(01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거거치대(100)는 수액관(6)을 고정하며, 필요에 따라 DC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수액관을 압착하여 수액투여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폐수단을 가지는 개폐기(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1에서는 상술한 개폐기(150)가 폴대(107)의 소정위치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링거거치대(100)가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케이스(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식 배터리 또는 일회형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로 케이스(100)의 일측면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배터리팩(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는 폴대(107)와 탈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 경우 상기 케이스(101)는 폴대(107) 또는 일반적으로 병원에 널리 사용되는 폴더의 상단부가 끼우져 결합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저면에서 돌출된 관(122)과 압축너트(121)로 구성되는 폴더고정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관(122)은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방사상으로 길이를 따라 절개된 다수의 홈을 가지며, 관(122)의 외주에 끼워진 압축너트(121)의 너트구멍 직경은 상부로 올라갈수록 좁아지게 구성되어 있어, 폴더 또는 폴대(107)의 상부 단면이 관(122)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압축너트(121)가 하부로 이동되도록 돌리면, 상부의 좁은 너트구멍에 의해 관(122)의 직경이 좁아져서 폴대(107)의 상단부를 긴밀하게 압착하게 되어 케이스(101)만으로 구성되는 링거거치대(100)가 폴대(107) 또는 폴더의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도2는 신호송출부(102)가 적외선송신부(116)로 구성되며, 무게측정부(100a)가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로드셀(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거거치대(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거치대는 무게측정부(100a), 신호송출부로서의 적외선송신부(116), 개폐기(150) 및 배터리팩(200)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무게측정부(100a)는, 링거(5)가 매달리는 링거홀더(105)가 부착되어링거의 무게 정보를 가지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로드셀(113);과, 로드셀(113)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114);와, A/D컨버터(114)에서 출력된 링거의 무게 정보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를 연산처리하여 링거의 무게를 산출하는 제어부(111);로 구성되며, 신호송출부로서의 적외선송신부(116)는 제어부(111)에서 출력되는 링거의 무게 신호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를 적외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무게측정부(100a)의 제어부(111)에 연결 구성된다.
상기 로드셀(113)은 무게의 변화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무게에 따라 변형되는 탄성체와 탄성체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 및 스트레인 게이지로부터 탄성체의 변형에 대응되는 전압, 전류 등의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휘트스톤브리지 등의 저항 검출회로로 구성되며, 이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그 상세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로드셀(113)은 링거홀더(105)에 링거(5)가 매달리어지면, 링거(5)의 무게에 의해 탄성체가 변형되고, 탄성체의 변형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의 내부 저항이 변화되어 저항검출회로의 입력된 전압에 의한 출력전압이 내부 저항 변화를 반영하는 값으로 출력된다.
제어부(111)는 저항검출회로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스트레인 게이지의 내부 저항변화를 계산하고 다시 저항변화로부터 탄성체에 작용된 힘의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링거의 무게 또는 잔류수액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링거의 무게 또는 잔류 수액량을 적외선송신부(116)로 전송한다.
적외선송신부(116)는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적외선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송출한다.
도2의 설명에서 상술한 무게측정부(100a)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로드셀이 구성된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용된 힘에 따라 전압 또는 전류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또는, 신축이 발생되는 코일 탄성체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한 후 코일 변화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링거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개폐기(150)는 수액관(6)이 고정되는 차폐수단과 DC모터(151)와 구동부(153)로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외부에서 구동신호를 입력받는 스위치 또는 RF, 적외선 수신기 등의 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2 및 도3에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센서(152)로 도시하였다.
도3은 적외선 센서를 가지는 상술한 도2의 개폐기(15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개폐기(150)는 DC모터(151)와, 신호수신부로서의 적외선센서(152), 적외선센서(152)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DC모터(15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53)와, 수액관(6)이 끼워진 상태로 DC모터(151)의 축(151a)에 부착되어 수액관(6)의 투여를 차단하는 차폐수단으로서의 클램프(156)로 구성된다.
상술한 클램프(150)는 DC모터(151)의 외부에 부착되며 내측으로 오목부가 형성된 수용돌기(158)를 가지는 외부케이스(155);와 DC모터(151)의 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축상에서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DC모터(151)의 축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외부케이스(155)내에 위치되며, 또한, 수용돌기(158)와 긴밀하게 밀착되는 볼록부를 가지는 압착돌기(157)를 가지는 이동편(1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액관(6)은 압착돌기(157)와 수용돌기(158) 사이에 고정된다.
상술한 구동부(153)는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DC모터(151)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외부입력신호는 DC모터 구동을 위해 부착되는 스위치 또는 케이스(101)로 부터 출력되는 링거무게 신호일 수 있으며, 특히, 링거의 최저 무게 정보신호 일 수 있다.
상술한 개폐기의 구성이 도1 내지 도3의 개폐기(150) 및 클램프(156)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클램프(156)는 수액관(6)을 통해 환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수액관(6)을 압착하는 압착형 또는, 볼 또는 판막 등에 의해 수액의 투여를 차단하는 밸브를 가지며, 링거에 연결된 수액관과 주사바늘이 부착된 수액관이 연결되는 밸브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도1 내지 도3 및 그 상세한 설명에서 무게측정부(100a)와 링거홀더(105) 및 개폐기(150)가 링거거치대(100)에 각각 하나씩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착될 링거의 수량에 따라 다수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기의 경우에는 부착될 링거의 수량만큼의 개폐기를 부착하거나, 하나의 개폐기에 다수의 클램프 및 DC모터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3에 설명된 상술한 링거거치대(100)는 식별자를 부여하여 식별하고, 링거의 수액투여 완료시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개폐기(150)는 상기 경보신호에 따라 수액투여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상술한 케이스(101)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수, 병실의 호수, 침대번호, 또는 환자명 등으로 부여되는 식별자정보와 상기 링거의 무게, 수액 종류 등의 링거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04);와, 상기 링거의 식별자정보와 상기 링거의 무게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3);와, 경보출력을 위하여 스피커(117), 엘이디(LED)(118) 등으로 구성되는 경보출력부(119)(도2참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개폐기(150)의 구동부(153)는 수신된 경보신호에 따라 DC모터(151)를 작동하여 수액투여를 차단시킨다.
이 경우 상기 링거거치대(100)의 제어부(111)(도2참조)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링거의 무게 데어터가 상기 식별자를 가지도록 코드변환(encode)하여 상기 신호송출부(102)로 출력한다.
또한, 링거거치대(100)에 다수의 무게측정부(100a) 및 개폐기(15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104)를 통해 각각의 무게측정부(100a) 및 각각의 개폐기(150)를 식별하는 식별자 정보 및 각각의 무게측정부에 수액투여를 위해 매달리는 링거(5)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무게측정부(100a)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경보신호를 수신한 개폐기(150)의 구동부(153)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자신과 대응되는 무게측정부에서 출력된 신호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되며, 판단 결과 자신과 대응되는 무게측정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각의 개폐기가 각각의 링거에 연결된 수액관(6)을 개별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는 사용기간 저장 및 시간설정 기능을 가지는 상술한 배터리팩(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원 발명의 배터리팩(200)은 도1 및 도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101) 또는 개폐기(150)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기간 정보를 저장하고, 독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기간을 설정하여 전원공급을 자동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링거거치대(100)의 구동을 제한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기능을 가지는 배터리팩(200)은 충전용 또는 일회용 배터리가 안착되는 배터리안착부(202);와 배터리의 전원을 케이스(105)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배터리안착부 및 전원제어부(201)에 연결되는 스위치(203);와, 케이스(101)의 제어부(111)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하여 링거거치대(100)의 동작상태를 판별하고, 동작된 날짜, 시간, 동작기간을 저장하며, 일정 시간의 경과 후에는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동작되는 전원제어부(201);및, 상기 링거거치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제어부(201)와 상기 제어부(111)와의 데이터교환을 위한 소켓(2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원제어부(201)는 제어부(111)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하여 링거거치대(100)의 사용시작 날짜, 시간, 그리고 일 수, 또는 경과 시간별로 사용기간 데이터를 저장하며, 또한, 외부에서 사용기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기간이 경과된 후에는 스위치(203)를 차단하여 링거거치대(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전원제어부(201)에 저장된 데이터는 소켓(204)을 통해 PC 등의 장치가 독출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출력된 데이터를 PC등의 외부장치가 다운받아 별도로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상술한 전원제어부(201)에는 배터리팩(200)을 식별하는 식별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상술한 식별코드 및 사용기간 등은 소켓(204)을 통해 PC등의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1에 도시된 링거거치대(100)에 구성되는 입력부(104)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배터리팩(200)의 전원제어부(201)에 저장된 데이터는 제어부(111)로 전송된 후에 적외선송신부(116) 등의 신호송출부에 의하여 송출될 수도 있다.
상술한 기능을 가지는 본원 발명의 배터리팩(200)은 링거거치대(100)의 사용기간, 사용기간에 따른 비용 산출 등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링거거치대(100) 대여업 등 링거거치대(100)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링거의 수액 투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액이 투여되고 있는 링거의 무게를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경보신호생성, 외부원격 감시기능 등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링거거치대의 사용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실제로 동작된 사용기간을 저장하여 차후에 외부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링거거치대의 사용유무 및 사용기간을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다량의 링거거치대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어, 본원 발명을 이용한 리스 등의 서비스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1)

  1. 내측에 무게측정부와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신호송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무게측정부에 부착된 상태로 케이스의 저부로 돌출되는 링거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부가,
    링거가 매달리는 링거홀더가 부착되어 링거의 무게 정보를 가지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에서 출력된 링거의 무게 정보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를 연산처리하여 링거의 무게를 산출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는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폴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수액관을 차단하는 차폐수단;과, 상기 차폐수단을 구동하는 DC모터;와, 상기 DC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로 구성되는 개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가,
    배터리가 안착되는 배터리안착부;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케이스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배터리안착부에 연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케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하여 상기 링거거치대의 동작상태를 판별하고, 동작된 날짜, 시간, 동작기간 및 사용되도록 허락된 사용기간을 저장하며, 상기 사용기간의 경과 후에는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동작되는 전원제어부;및,
    상기 케이스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제어부와 상기 케이스와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소켓;으로 구성되는 배터리팩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링거거치대 및/또는 무게측정부의 식별자정보와 상기 링거의 무게, 수액 종류, 수액공급 차단 무게 등의 링거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링거의 식별자정보와 상기 링거의 무게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링거의 수액 차단을 알리는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수액공급 차단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경보출력부 및 상기 신호출력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상기 케이스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로부터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링거의 수액 투여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특정 식별코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에 저장되는 식별코드, 사용허락된 사용기간 정보는 상기 소켓을 통해 외부단말기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에 저장된 상기 링거거치대의 사용날짜, 사용시간, 사용기간 정보는 상기 소켓을 통해 외부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배터리팩의 사용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KR1020030038185A 2003-06-13 2003-06-13 링거거치대 KR100543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185A KR100543390B1 (ko) 2003-06-13 2003-06-13 링거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185A KR100543390B1 (ko) 2003-06-13 2003-06-13 링거거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600U Division KR200325787Y1 (ko) 2003-06-13 2003-06-13 링거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765A true KR20040107765A (ko) 2004-12-23
KR100543390B1 KR100543390B1 (ko) 2006-01-23

Family

ID=3738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185A KR100543390B1 (ko) 2003-06-13 2003-06-13 링거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3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266A1 (en) * 2008-04-21 2009-10-29 Se Yong Jeong Device for alarming a situation of the intravenous fluid injec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80043648A (ko) * 2016-10-20 2018-04-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71897A (ko) 2018-12-11 2020-06-22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CN114366930A (zh) * 2022-03-04 2022-04-19 梁丽娟 一种神经内科重症监护室用管路梳理输液架
CN116564024A (zh) * 2023-07-12 2023-08-08 山东斯迈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信号呼叫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266A1 (en) * 2008-04-21 2009-10-29 Se Yong Jeong Device for alarming a situation of the intravenous fluid injec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80043648A (ko) * 2016-10-20 2018-04-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71897A (ko) 2018-12-11 2020-06-22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CN114366930A (zh) * 2022-03-04 2022-04-19 梁丽娟 一种神经内科重症监护室用管路梳理输液架
CN114366930B (zh) * 2022-03-04 2023-10-31 梁丽娟 一种神经内科重症监护室用管路梳理输液架
CN116564024A (zh) * 2023-07-12 2023-08-08 山东斯迈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信号呼叫装置
CN116564024B (zh) * 2023-07-12 2023-09-19 山东斯迈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信号呼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3390B1 (ko) 2006-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53836B2 (en) Monitoring of redundant conductors
US119064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US6690280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infusion monitoring
WO2007037606A1 (en) Intravenous infusion management apparatus
US7490516B2 (en) Manual powered process transmitter
JP2000035305A (ja) 座標測定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表示装置
KR100543390B1 (ko) 링거거치대
US7460025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low power switching sensors of a modular system
KR200325787Y1 (ko) 링거거치대
KR101413945B1 (ko) 수액량 감지장치
GB2418252A (en) Measuring the operational time of a tool
JP2018009843A (ja) 試験システム、及び油圧ポンプ装置
CN114072659A (zh) 对象的结构特性的确定
KR20040107764A (ko) 링거 수액 투여 감시 시스템
JP4014275B2 (ja) 輸液残量監視装置
KR200416092Y1 (ko) 약물주입기용 경보장치
US20080220391A1 (en) Foot actuator adapted to be used with a dental chair
CA2379697A1 (en) Warning device for a compressed air breathing apparatus
JP2011212350A (ja) 灌流液の残量検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灌流吸引装置
WO2020187475A1 (en) Bite indicator
CN215386562U (zh) 一种输液监控提醒组件及输液监控装置
KR20190099577A (ko) 링거 알람 시스템
JP4837474B2 (ja) う蝕診断装置
CN213554458U (zh) 一种输液报警装置
US6679840B1 (en) Patient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