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575A -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575A
KR20040107575A KR1020030036313A KR20030036313A KR20040107575A KR 20040107575 A KR20040107575 A KR 20040107575A KR 1020030036313 A KR1020030036313 A KR 1020030036313A KR 20030036313 A KR20030036313 A KR 20030036313A KR 20040107575 A KR20040107575 A KR 20040107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ying
waterproof
wall
mixed
extern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4371B1 (ko
Inventor
노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Priority to KR102003003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371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벽에 지속적인 방수성을 부여해주어 내부결로 및 단열 취약부위의 표면 결로를 방지히주고, 자외선차단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키며, 외벽 방수시 도외시돼어졌던 칼라마감을 실시함으로서 시공성과 구조체의 안전을 향상시키고 건물 외벽의 특성상 외장 마감재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법은, 도막방수가 이루어질 외벽 방수 취약부위의 백화현상 및 황변현상 제거를 위한 고압세척 작업을 수행하는 제1단계;(ST 1) 상기 세척이 이루어진 외벽의 조인트부위와 크랙부분, 그리고 백화 및 황변현상 부위에 침투성 방수제로서 수용성 알카리 실리게이트를 도포하여 하도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제2단계;(ST 2) 상기 침투성 방수제 도포후 에멀젼 형태의 결합제와 파우더 형태의 무기충전제를 혼합한 크랙보수재를 도포하되, 무기충전제의 혼입량을 결합제보다 많도록 혼합한 보수재를 도포하는 제3단계;(ST 3) 상기 크랙보수재 도포후 에멀젼 형태의 결합제와 파우더 형태의 무기충전제를 혼합한 무기질 탄성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되, 무기충전제의 혼입량을 결합제보다 적도록 혼합한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제4단계;(ST 4) 상기 도막방수제의 도포후 일액형 아크릴계 도막방수제에 단열성을 위해 미세 중공 세라믹분말 및 조색제를 첨가하여 도포함으로서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제5단계;(ST 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COLOR ADIABATIC EXTERNAL WALL WATERPROOF METHOD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벽에서 우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공법과 외벽으로의 열손실 및 태양열 차단으로 인한 냉난방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단열공법을 만족시키기 위한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외벽방수를 위한 시공공법으로는, 방수 마감제가 그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등한시 돼었기 때문에 외벽에 발생한 크랙을 크랙 보수제 등으로 충진하고 페인트를 바르거나 발수제를 도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적벽돌 조적벽체의 경우 일반적으로 발수제를 사용하여 실리콘 혹은 아크릴 성분을 용제로 녹여 표면에 코팅 혹은 침투시키는 공법이 보편적으로 시공되고 있으나, 햇빛에 의해 발수성분이 변성, 박리 되므로 그 효과가 6개월 혹은 2~3년 못가서 재차 발수제로 도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아울러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었다.
또한, 발수제를 과다하게 사용하거나 정상적으로 도포하였을 경우에도 적벽돌이나 벽체 표면에 백화나 얼룩이 생기는 경우도 발생한다.
적벽돌로 외장한 건물은 벽 안쪽에 폴리스틸렌폼 단열제를 넣어주기 때문에 시공상 창틀 부위나 인방, 모서리, 벽이 맞닿는 부분등 단열 취약 부위에 해당되어 입주 후 결로 및 곰팡이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드라이비트 외단열 공법은 약 50mm 내외의 압축 폴리스틸렌폼을 외벽에 접착시켜 단열성을 높이고, 그 위에 메쉬를 붙인 후 칼라 몰탈 미장 마감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시공시 작업대 설치비가 추가로 발생하며 충격에 약하여 바람에 의해 압축 폴리 스틸렌폼 부분이 건물 벽체에서 떨어져 외관을 해치는 경우가 있으며, 시공후 1~2년이 지나면 동결융해에 의해 잔크랙이 발생하여 우천시 빗물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단열성능이 저하되고, 칼라가 변색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압축 폴리스틸렌폼의 공극속에 습기가 유입되어 단열성이 저하되고, 압축 폴리스틸렌폼 이음새에서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어 방수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단열에 가장 효과적인 재료는 정지된 공기(Still Air)이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정지된 공기를 머금을 수 있는 판을 형성하여 내벽에 덧대거나 뿌리는 방식의 공법이 성행해 왔다.
그중 스치로폼이나 발포 우레탄의 경우 시공이 간편하고 자재가 저렴하여 많은 건물의 단열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우레탄폼은 석유화학 제품이기 때문에 화제시 강한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극가연성으로서 100g의 우레탄폼 연소시 치명적인 독가스인 시안화 수소가 420ppm, 일산화탄소는 7850ppm이나 검출이 되어 사람이 호흡기를 통해 계속 흡입할 경우 단시간에 사망에 이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단열 방수재료를 이용한 외벽방수공법을 제공함으로서 내부결로 및 단열 취약부위의 표면 결로를 방지해주고, 외벽 방수시 도외시돼 왔던 칼라마감을 해주므로써 외장 마감의 기능성을 부여해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손실은 최소화하고 냉.난방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함에 있어 화재시 불에 잘 타지않는 무기질 난연성 재료를 사용함으로서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외벽방수 공법의 작업 순서도.
상기 목적은, 도막방수가 이루어질 외벽 방수 취약부위의 백화현상 및 황변현상 제거를 위한 고압세척 작업을 수행하는 제1단계; 상기 세척이 이루어진 외벽의 조인트부위와 크랙부분, 그리고 백화 및 황변현상 부위에 침투성 방수제로서 수용성 알카리 실리게이트를 도포하여 하도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제2단계; 상기 침투성 방수제 도포후 에멀젼 형태의 결합제와 파우더 형태의 무기충전제를 혼합한 크랙보수재를 도포하되, 무기충전제의 혼입량을 결합제보다 많도록 혼합한 보수재를 도포하는 제3단계; 상기 크랙보수재 도포후 에멀젼 형태의 결합제와 파우더 형태의 무기충전제를 혼합한 무기질 탄성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되, 무기충전제의 혼입량을 결합제보다 적도록 혼합한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제4단계; 상기 도막방수제의 도포후 일액형 아크릴계 도막방수제에 단열성을 위해 미세 중공 세라믹분말 및 조색제를 첨가하여 도포함으로서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제5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시공과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시공을 위한 예비단계(ST 1)로서 외벽방수 시공부위의 먼지, 이끼, 레이턴스, 페인트 박리부분, 백화, 황변 현상으로 얼룩진 부분을 고압세척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크린징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침투성 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ST 2)에서는 외벽 건축조인트 부위와 크랙부분, 백화현상 및 황변현상 부위에 프라이머로서 수용성 알카리 실리게이트를 도포하여 염분을 코팅해주고, 외벽 취약부위에 도막방수층과의 접착력 및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침투성 방수제를 도포하게 된다.
상기 수용성 알카리 실리게이트는 필요한 침투 정도에 따라서 수회 도포 또는 스프레이 해 줌으로써 구조체 표면의 유해염분을 화학적으로 중성화 하고 밀봉하여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으로의 전이를 막아주어 구조체의 균열 및 파손현상의 원인을 제거해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단계(ST 2)작업에 따른 작용효과를 좀더 살펴보면, 침투성 방수제는구조체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고 접착력을 증대시켜 주기 때문에 기존 콘크리트, 적벽돌, 석조물과 도막 방수층이 일체화 되도록 도와주며, 무기질로서 내균성이 우수하여 벽체에 장기간 빗물 유입시 발생하는 이끼, 백화, 황변현상, 곰팡이등을 막아주게 되고, 저점도 액상으로 물에 용해시켜 건축물 벽체에 도포시키면 뛰어난 삼투작용에 의해 벽체 내부로 침투하여 황산염, 질산염, 염화물 등 유해염분들을 둘러싸서 구조물 표면으로의 확산을 저지하여 구조물 내부를 보호하며, 건축물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몰탈, 콘크리트, 벽돌, 회벽, 자연석, 인조석 등 광물계 건자재를 안정 강화시키게 되고, 또한 표면에 도포된 용해성 알카리 실리게이트는 내부에 남아있는 회분을 칼시움 실리게이트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건자재의 손상된 강도를 최대 60%까지 향상시켜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침투성 방수제는 수분 증발확산력을 저해하지 않고서도 벽면의 과다한 수분 흡수를 감소시켜주며, 본 침투성 방수제가 침투된 표면은 수분투과성이 유지되어 이후 형성될 무기질 도막 방수층과 일체화된 층상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후, 크랙보수제를 도포하는 단계(ST 3)에서는 결합제와 무기 충전제가 1 : 1.5의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되게 되는데, 상기 결합제의 주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유기고분자수지는 아크릴살 에스테르계 에멀젼이 사용되며, 내수성, 내알카리성, 내후성이 우수하며 시멘트와의 혼화성이 우수하여 기존 실리콘이나 크랙보수제가 방수제와 접착력이 좋지 않음으로 인한 단점을 보완시켜줄 수 있게된다.
상기 무기 충전제에는 시멘트, 규사, 점토 및 장섬유질 첨가제를 첨가하여 결합제와의 작용을 통해 투수성 및 투습성과 아울러 건물의 진동수축 팽창에 의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크랙보수 효과를 지니게 해주며, 이후 도포될 도막방수제와 일체화된 접착력을 지니게 해주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무기 충전제로서 사용되는 시멘트는 여러가지 종류의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는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 혼합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중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한 시멘트 분말에 백색 포틀랜트 시멘트 또는 백색 알루미나 시멘트의 비율을 3.5:7.5 내지 5:5로 하여 혼합할 수 있다.
제4단계(ST 4)인 방수막 형성단계에서 사용되는 무기질 탄성도막 방수제는 에멀젼 형태의 결합제와 파우더 형태의 무기충전제가 1 : 0.9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결합제는 투습성의 아크릴상 에스테르 에멀젼 35~65중량%, 물 2~7중량%, 미소포제 0.01~0.05중량%로 이루어지며, 무기충전제는 시멘트 22~60중량%, 점토 2~5중량%, 장섬유첨가제 0.5~1.0중량%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5단계(ST 5)인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일액형 수성 아크릴계 탄성 외벽방수제는 아크릴산 부틸 22~40중량%, 아크릴산 에스테르 12~25중량%, 충진제로서 탈크, 탄산칼슘염 10~20중량%, 조색제 0.1~5중량%, 소포제 0.1~중량%, 물 1~10중량%, 분산제 2~3중량%, 증점제 0.1~0.5중량%, 오존산화방지게 0.5~0.8중량%, 가소제 3~5중량%, 암모니아 2~3중량%, 계면활성제 0.2~0.5중량%, 카본 3~5중량%가 첨가되어진 것으로서, 여기에 30~100마이크론 크기의 미세중공체인 세라믹비드를 5~17중량%로 혼입하여 3~5분간 교반후 2~3회 붓, 롤러, 스프레이등을이용하여 건축물 외벽 단열방수층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세라믹비드는 알루미늄 실리게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므로, 자외선차단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시켜 건축물 외벽의 도막방수층 수명을 연장시켜주며 냉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외벽방수제에는 30가지 이상의 다양한 조색제가 첨가되어짐으로써 건축물 외벽에 다양한 칼라마감을 통해 산뜻히고 미려한 건물 외장기능을 겸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외벽 단열 방수공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안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외벽단열 방수공법은, 건물 외벽에 지속적인 방수성을 부여해주어 내부결로 및 단열 취약부위의 표면 결로를 방지히주고, 외벽 방수시 도외시돼어졌던 칼라마감을 실시함으로서 시공성과 구조체의 안전을 향상시키고 건물 외벽의 특성상 외장 마감재의 기능을 겸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된다.
이와함께, 마감층의 재료로 사용되어지는 세라믹 파우더가 알루미늄 실리게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므로, 자외선차단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시켜 열손실및 태양열 차단으로 인한 냉난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Claims (3)

  1. 도막방수가 이루어질 외벽 방수 취약부위의 백화현상 및 황변현상 제거를 위한 고압세척 작업을 수행하는 제1단계;(ST 1)
    상기 세척이 이루어진 외벽의 조인트부위와 크랙부분, 그리고 백화 및 황변현상 부위에 침투성 방수제로서 수용성 알카리 실리게이트를 도포하여 하도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제2단계;(ST 2)
    상기 침투성 방수제 도포후 에멀젼 형태의 결합제와 파우더 형태의 무기충전제를 혼합한 크랙보수재를 도포하되, 상기 무기충전제의 혼입량은 결합제보다 많은 량으로 혼합한 크랙보수재가 사용되는 제3단계;(ST 3)
    상기 크랙보수재 도포후 에멀젼 형태의 결합제와 파우더 형태의 무기충전제를 혼합한 무기질 탄성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되, 무기충전제의 혼입량을 결합제보다 적도록 혼합한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제4단계;(ST 4)
    상기 도막방수제의 도포후 일액형 아크릴계 도막방수제에 단열성을 위해 미세 중공 세라믹분말 및 조색제를 첨가하여 도포함으로서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제5단계;(ST 5)
    를 순차적으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및 제4단계에서 혼입되는 결합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에멀젼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무기충전제는 시멘트, 점토, 장섬유첨가제가 포함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5단계에서 혼입되는 세라믹분말은 30~100마이크론 크기의 미세중공체 형태로서 알루미늄 실리게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
KR1020030036313A 2003-06-05 2003-06-05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 KR10054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313A KR100544371B1 (ko) 2003-06-05 2003-06-05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313A KR100544371B1 (ko) 2003-06-05 2003-06-05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575A true KR20040107575A (ko) 2004-12-23
KR100544371B1 KR100544371B1 (ko) 2006-01-23

Family

ID=3738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313A KR100544371B1 (ko) 2003-06-05 2003-06-05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12B1 (ko) * 2009-11-25 2010-05-19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유기/세라믹 하이브리드 복합 수중 및 습윤면 콘크리트 보수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수중 및 습윤면 콘크리트 보수 및 보강 방법
KR101596420B1 (ko) * 2015-08-05 2016-03-08 (주)성산기업 콘크리트 내부공극 침투 및 도막을 이용한 친환경 옥상 방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76B1 (ko) * 2009-07-08 2011-10-04 장동원 도포형 단열 마감재 조성물
KR101047447B1 (ko) * 2011-01-24 2011-07-07 (주)실리칼플로어 드라이비트 외부 벽체 방수 또는 보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912B1 (ko) * 2009-11-25 2010-05-19 중앙크리텍 주식회사 유기/세라믹 하이브리드 복합 수중 및 습윤면 콘크리트 보수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수중 및 습윤면 콘크리트 보수 및 보강 방법
KR101596420B1 (ko) * 2015-08-05 2016-03-08 (주)성산기업 콘크리트 내부공극 침투 및 도막을 이용한 친환경 옥상 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4371B1 (ko) 2006-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7413B (zh) 一种内墙用保温腻子及其使用方法
KR101711910B1 (ko) 무기질과 아크릴이 포함된 친환경 수용성 방수재 겸 도장재용 도료를 이용한 방수 방오 컬러 도장공법
KR101777267B1 (ko) 방수성 타일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CN106186933A (zh) 一种环保型外墙保温腻子及其制备方法
CN104831885A (zh) 一种纤维增强发泡水泥保温装饰板
KR10240214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방지 및 에너지 절감 도장방법
RU2724168C1 (ru) Мультифункциональные композиционные строительные материалы и конструкции из них
KR100544371B1 (ko) 칼라 단열 외벽방수 공법
KR100367515B1 (ko) 건축용 내외장용 마감재 패널
KR100497254B1 (ko) 건축물 내벽의 결로방지 시공방법
CN108609963A (zh) 建筑软瓷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548189B1 (ko) 옥상 슬라브의 단열 방수공법
CN115466080A (zh) 一种双组分中空玻璃微珠保温隔热涂料外墙保温系统、制备方法及其应用
CN108930378A (zh) 抗冲击聚氨酯表面装饰材料
KR101590305B1 (ko) 불연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비드 폼 및 이의 제조방법
JP4495529B2 (ja) 耐火被覆及び耐火被覆の施工方法
KR101389873B1 (ko) 외벽단열 마감재
KR101932333B1 (ko) 폐석탄회를 이용한 난연보강층의 시공방법
KR101049960B1 (ko) 친환경 실리케이트 불연 코팅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보수방법
RU617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незащиты строительны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 деревя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0520113B1 (ko) 나노합성 재료를 함유하는 방수 및 단열용 조성물
KR20160033372A (ko) 방화용 불연성 코팅모르타르 조성물
KR100634744B1 (ko) 결로방지제 및 그를 이용한 결로방지시공방법
KR102649460B1 (ko) 친환경 수성 도막 단열재 조성물
CN109107849A (zh) 新型uv装饰板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