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827A - 박공지붕 카톤 - Google Patents

박공지붕 카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827A
KR20040106827A KR1020030037681A KR20030037681A KR20040106827A KR 20040106827 A KR20040106827 A KR 20040106827A KR 1020030037681 A KR1020030037681 A KR 1020030037681A KR 20030037681 A KR20030037681 A KR 20030037681A KR 20040106827 A KR20040106827 A KR 2004010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pair
rib
roof
fla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득
Original Assignee
이경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득 filed Critical 이경득
Priority to KR102003003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6827A/ko
Publication of KR2004010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82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7Gable-top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공지붕 카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자의 입이 접촉되는 토출구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부위가 접혀 있어 그 부위가 잘 해지지 않고 입이 닿는 촉감이 좋은 박공지붕 카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은, 밀봉플랩과 네개의 측면판을 갖는 통모양의 동체와, 상기 동체의 하부를 막는 바닥막이와, 서로를 향해 기울어지고 상기 동체를 덮는 한 쌍의 대향 지붕판과, 상기 지붕판 사이에서 상기 지붕판의 대향 말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접힌 한 쌍의 삼각형 모양의 대향 상부판과, 각 쌍이 상기 지붕판 아래에 놓인 절첩선을 따라 상기 상부판 각각과 일체로 되고, 각각이 상기 지붕판 각각의 내면에 근접하게 뒷쪽 방향으로 접힌 두 쌍의 삼각형 모양의 접힘플랩과, 각각 상기 지붕판 각각과 일체로 되고 상기 지붕판 각각의 상부에 놓이며 윗쪽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브판과, 각각 상기 접힘플랩 각각과 일체로 되고 상기 접힘플랩 상부에 놓이며, 각 쌍의 각각이 서로 기대어지고 각각 상기 리브판 각각의 내면에 기대어지도록 접힌 두 쌍의 리브플랩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물질이 코팅된 판지로 된 블랭크로 형성되며, 개봉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토출구가 부분적으로 하나의 상부판과, 이웃하는 한 쌍의 접힘플랩과, 이웃하는 한 쌍의 리브플랩과, 상기 지붕판 및 상기 리브판의 이웃하는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박공지붕 카톤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토출구를 한정하는 상기 한 쌍의 리브플랩 각각의 상부에서 상기 리브플랩 각각과 일체로 되고, 각각이 서로 기대어지고 각각 상기 리브플랩 각각의 외면에 기대어지도록 접힌 한 쌍의 연장리브플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공지붕 카톤{GABLE-TOP CARTON}
본 발명은 박공지붕 카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자의 입이 접촉되는 토출구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부위가 접혀 그 부위가 잘 해지지 않고 입이 닿는 촉감이 좋은 박공지붕 카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 때문에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이 양측 표면에 코팅된 판지를 절단하거나 금을 새겨 형성된 블랭크(Blank)로부터 바닥과 박공지붕을 갖도록 박스 형태로 제작된 박공지붕(Gable-top)의 카톤(Carton)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을 참조하면, 박공지붕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는 일반적으로 양면에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이 코팅된 종이 판지와 같이 단단하고 접히며 가요성을 갖는 물질 한 장으로 형성된다. 상기 블랭크는 평평한 바닥과 박공지붕을 갖는 사각형의 카톤(도 2참조)이 형성되도록 절단되고 접히기 위한 선이 새겨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박공지붕 카톤을 형성하고 밀봉하는 것은 상기 미국특허 제3120335호 및 미국특허 제45680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박공지붕 카톤은 지붕막이의 일부가 개봉된 상태에서 토출구가 형성되게 되며, 음용자는 상기 토출구의 가장자리에 입을 대고 토출구를 통해 음료를 마시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박공지붕 카톤의 경우에는 밀봉된 박공형상의 지붕막이가 개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토출구는 블랭크의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가장자리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 블랭크는 양면이 열가소성 물질로 코팅된 판지와같은 복층 구조이다. 따라서, 토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붕막이를 개봉할 때 토출구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블랭크의 절단면에서 복층구조의 층이 분리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음용자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우유나 쥬스와 같은 제품을 마시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복층 구조로 된 블랭크의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토출구의 가장자리는 수분이 코팅층 사이의 층으로 흡수됨으로써 토출구의 가장자리가 잘 해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블랭크의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토출구의 가장자리는 절단면에 의해 날카롭기 때문에 음용자의 입이 닿는 촉감이 나쁜 단점을 갖는다. 특히, 상기와 같이 토출구 가장자리의 복층구조가 분리되거나 수분의 흡수로 해어진 경우에 음용자의 입이 닿는 촉감이 매우 악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용자의 입이 접촉되는 토출구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부위를 접어 그 부위가 토출구의 개봉시 잘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분의 흡수로 잘 해어지지 않는 박공지붕 카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구의 가장자리에 입이 닿는 촉감이 좋은 박공지붕 카톤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절단되고선이 새겨진 블랭크의 표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개방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을 도시한 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30,31,32,33 측면판 34 제1밀봉플랩
40,41,42,43 바닥판 44 제2밀봉플랩
50,51,55,56 제1접힘플랩 60,62 상부판
61,63 지붕판 71,72 리브판
75,76,83,84 제2접힘플랩 81,82,88,89 리브플랩
91,92,98,99 연장리브플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은, 밀봉플랩과 네개의 측면판을 갖는 통모양의 동체와, 상기 동체의 하부를 막는 바닥막이와, 서로를 향해 기울어지고 상기 동체를 덮는 한 쌍의 대향 지붕판과, 상기 지붕판 사이에서 상기 지붕판의 대향 말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접힌 한 쌍의 삼각형 모양의 대향 상부판과, 각 쌍이 상기 지붕판 아래에 놓인 절첩선을 따라 상기 상부판 각각과 일체로 되고, 각각이 상기 지붕판 각각의 내면에 근접하게 뒷쪽 방향으로 접힌 두 쌍의 삼각형 모양의 접힘플랩과, 각각 상기 지붕판 각각과 일체로 되고 상기 지붕판 각각의 상부에 놓이며 윗쪽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브판과, 각각 상기 접힘플랩 각각과 일체로 되고 상기 접힘플랩 상부에 놓이며, 각 쌍의 각각이 서로 기대어지고 각각 상기 리브판 각각의 내면에 기대어지도록 접힌 두 쌍의 리브플랩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물질이 코팅된 판지로 된 블랭크로 형성되며, 개봉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토출구가 부분적으로 하나의 상부판과, 이웃하는 한 쌍의 접힘플랩과, 이웃하는 한 쌍의 리브플랩과, 상기 지붕판 및 상기 리브판의 이웃하는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박공지붕 카톤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토출구를 한정하는 상기 한 쌍의 리브플랩 각각의 상부에서 상기 리브플랩 각각과 일체로 되고, 각각이 서로 기대어지고 각각 상기 리브플랩 각각의 외면에 기대어지도록 접힌 한 쌍의 연장리브플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은, 상기 블랭크는, 세로방향 접철선 각각을 따라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된 4개의 측면판과 제1밀봉플랩을 갖는 복수의 동체판과,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상기 동체판 하나의 하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네개의 바닥판과, 상기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제1밀봉플랩의 하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제2밀봉플랩을 갖는 바닥막이와, 각각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서로 이웃하지 않는 2개의 동체판 중 하나의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지붕판과, 각각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서로 이웃하지 않는 나머지 2개의 동체판 중 하나의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붕판 사이에서 상기 지붕판의 대향 말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접히도록 변형되는 한 쌍의 삼각형 모양의 상부판과, 각 쌍이 사선방향 접철선을 따라 상기 상부판 각각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지붕판 하나의 내면에 근접하게 접히도록 변형되는 두 쌍의 삼각형 모양의 접힘플랩과, 각각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상기 지붕판 중 하나의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 자세로 서로 결합되도록 변형되는 한 쌍의 리브판과, 각각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접힘플랩 하나의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쌍의 각각이 서로 기대어지고 각각이 상기 리브판 각각의 내면에 기대어지도록 접히는 두 쌍의 리브플랩과, 각각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리브플랩 각각의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은 서로 기대어지고 각각 상기 리브플랩 하나의 외면에 기대어지도록 접히는 한 쌍의 연장리브플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절단되고선이 새겨진 블랭크의 표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토출구가 형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1)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10)는 일반적으로 양면에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이 코팅된 종이 판지와 같이 단단하고 접히며 가요성을 갖는 물질 한 장으로 형성된다. 상기 블랭크(10)는 도 2에서와 같이 평평한 바닥막이와 박공형상의 지붕막이를 갖는 사각 통형상의 카톤이 형성되도록 절단되고 선이 새겨진다.
상기 블랭크(10)는 지붕부(12)와 동체부(14) 및 바닥부(16)를 구비한 세개의 주요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상기 블랭크(10)의 동체부(14)는 두개의 가로방향 절첩선(20,21) 사이에 위치되며 조립되는 경우에 통형상의 카톤의 동체가 되는 복수의 동체판을 포함한다. 상기 동체부(14)는 세로방향의 절첩선(25,26,27,28) 각각을 따라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된 제1측면판(30), 제2측면판(31), 제3측면판(32), 제4측면판(33), 및 제1밀봉플랩(34)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에서 상기 가로방향 절첩선(20,21)은 연속된 선이 아닐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가로방향 절첩선(20,21)은 상기 블랭크(10)를 다양한 절첩선을 따라 접음에 따라 복수의 절첩선이 만나는 접합점에서 판지가 과도하게 모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첩선이 연속된 것인지 또는 엇갈리는 것인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는 필수적이지 않다.
상기 블랭크(10)의 바닥부(16)는 각각 절첩선 21을 따라 상기 제1측면판(30), 제2측면판(31), 제3측면판(32), 제4측면판(33), 및 제1밀봉플랩(34)의 하단부 각각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바닥판(40,41,42,43)과 제2밀봉플랩(44)을 포함한다. 바닥판 41은 양측이 각각 사선방향의 절첩선(52,53)을 따라 상기 바닥판 41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1접힘플랩(50,51)에 의해 둘러 싸인다. 마찬가지로, 바닥판 43은 양측에 각각 사선방향의 절첩선(57,58)을 따라 상기 바닥판 43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1접힘플랩(55,56)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바닥판으로 바닥막이를 형성하는 것은 상술한 미국특허 제3120333호 및 미국특허 제4568018호를 통해 잘 알려진 것이다.
상기 블랭크(10)의 지붕부(12)는 각각 절첩선 20을 따라 상기 제1측면판(30), 제2측면판(31), 제3측면판(32), 제4측면판(33), 및 제1밀봉플랩(34)의 상단부 각각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지붕막이용 판(60,61,62,63)과 제3밀봉플랩(64)을 포함한다. 가로방향 절첩선 65 아래쪽에 해당하는 상기 지붕부(12) 하부는 카톤 지붕막이의 지붕판과 상부판을 결정한다. 반면에 상기 절첩선 65 윗쪽에 해당하는 상기 지붕부(12)의 상부는 상방으로 연장된 중앙 골격(70)을 결정한다(도 2 및 도 3참조). 판 61과 63 각각은 각각 절첩선 20을 따라 서로 이웃하지 않는 제2측면판(31) 및 제4측면판(33)의 상단 각각에 연결된 지붕판을 형성한다. 상기 중앙 골격(70)을 형성하는 한 쌍의 리브판(71,72) 각각은 상기 지붕판(61,63)의 상부에서 절첩선 65를 따라 상기 지붕판(61,63)의 상단부 각각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판 60과 62 각각은 각각 절첩선 20을 따라 서로 이웃하지 않는 제1측면판(30) 및 제3측면판(32)의 상단 각각에 연결된 삼각형 모양의 상부판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판 60은 양측이 각각 사선방향의 절첩선(77,78)을 따라 상기 상부판 60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2접힘플랩(75,76)에 의해 둘러 싸인다. 상기 상부판 6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연장부는 연직인 절첩선 80으로 분할되어 리브플랩 한 쌍(81,82)이 된다. 상기 상부판 62은 양측이 각각 사선방향의 절첩선(85,86)을 따라 상기 상부판 62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제2접힘플랩(83,84)에 의해 둘러 싸인다. 상기 상부판 6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연장부분은 연직인 절첩선 87으로 분할되어 리브플랩 한 쌍(88,89)이 된다.
상기 리브플랩 81,82 각각의 상부에는 한 쌍의 연장리브플랩(91,92) 각각이 절첩선 93을 따라 상기 리브플랩(81,82) 각각의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연장리브플랩(91,92)은 연직인 절첩선(90)을 따라 절첩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리브플랩 88와 89 각각의 상부에는 한 쌍의 연장리브플랩(98,99) 각각이 절첩선 96을 따라 상기 리브플랩(88,89) 각각의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연장리브플랩(98,99)은 연직인 절첩선(90)을 따라 절첩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도면에는 2쌍의 연장리브플랩을 갖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1)은 상기 연장리브플랩은 카톤(1)이 개봉되어 하술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쪽에만 한 쌍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1)은 상기 리브플랩 중 적어도 한 쌍(91,92 또는 98,9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량된 부분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1)의 중앙 골격(70)의 일부는 분리되어 토출구가 되며, 상기 토출구는 부분적으로 상기상부판 중 하나(60 또는 62)와, 이에 이웃하는 제2접힘플랩 한 쌍(75,75 또는 83,84)과, 이에 이웃하는 리브플랩 한 쌍(81,82 또는 88,89))과, 이에 이웃하는 연장리브플랩 한 쌍(91,92 또는 98,99)과, 상기 지붕판(61,63)과 상기 리브판(71,72)중에서 이에 이웃하는 부위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토출구의 가장자리 일부에는 음용자의 입이 닿게 되는데, 음용자의 입이 주로 닿는 가장자리 일부는 상기 리브플랩 한 쌍(81,82 또는 88,89))과, 이에 이웃하는 연장리브플랩 한 쌍(91,92 또는 98,99)이 만나는 절첩선(93 또는 96)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은 음용자의 입이 주로 닿는 토출구의 가장자리 일부가 판지의 절단으로 형성된 절단면이 아니고 접혀진 부분이기 때문에 절단면을 통해 카톤지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어 해어지거나 카톤의 개봉으로 복층 구조의 층이 분리되는 종래의 카톤이 가지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접혀진 토출구의 가장자리는 날카로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토출구의 가장자리와는 달리 촉감이 월등히 향상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1)은 도 1에 도시된 블랭크(10)로 조립된다. 우선, 관형상의 동체를 형성되도록 절첩선 25,26,27,28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상기 블랭크(10)를 접고, 폴리에틸렌이 녹을 정도록 표면을 가열하는 것과 같은 종전의 기술로 액체가 새지 않도록 측부가 시임(Seam) 밀봉된다. 다음으로, 바닥판 41,43 각각이 절첩선 21,52,53 및 21,57,58을 따라 안쪽으로 접힌다. 바닥판 40,42 각각은 안쪽으로 접혀지고, 바닥막이는 잘 알려진 종래의 방법으로 물이 새지 않도록 밀봉된다. 카톤에 우유나 쥬스와 같은 제품이 수용된 후에 하기와 같이 지붕막이가 형성된다.
서로 대향하는 상기 상부판(60,62) 각각은 절첩선 20,77,78 및 20,85,86을 따라 안쪽으로 접힌다. 이와 동시에 서로 대향하는 지붕판(61,63)이 상기 동체의 상부를 덮도록 서로를 향해 기울어 지며, 제2접힘플랩(75,76,83,84)은 각각 상기 지붕판(61) 하나의 내면과 근접되어 상기 지붕판(61)의 하부에 놓이도록 다양한 절첩선 근처에서 접힌다. 이에 따라, 상부판(60,62)은 상기 지붕판(61,63)의 대향 말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접혀 상기 지붕판(61,63)의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연장리브플랩(91,92,98,99)은 각 쌍(91,92 및 98,99)의 각각이 서로 기대어지고 상기 리브플랩(81,82 및 88,89) 각각의 외면에 기대어지도록 각각 절첩선 90,93 및 96,97 을 따라 바깥쪽으로 접히고, 상기 리브플랩(81,82,88,89) 각각은 상기 제2접힘플랩 중 하나의 상부에서 상기 리브판(71,72) 중 하나의 내면에 기대어지도록 접힌다. 다음으로 상기 지붕막이는 연직인 골격을 갖는 박공지붕 카톤(1)이 형성되도록 잘 알려진 종래의 기술로 밀봉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박공지붕 카톤(1)은 개봉된 상태에서 형성된 토출구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토출구는 부분적으로 상기 상부판(62)과, 이에 이웃하는 제2접힘플랩 한 쌍(83,84)과, 이에 이웃하는 리브플랩 한 쌍(88,89))과, 이에 이웃하는 연장리브플랩 한 쌍(98,99)과, 상기 지붕판(61,63) 및 상기 리브판(71,72)의 이웃하는 부위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지붕판(61,63)을 가로질러 연장된 절첩선(90,91)은 토출구의 개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은, 카톤의 개봉으로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음용자가 제품을 마실 때 음용자의 입과 액체인 제품이 접촉되는 토출구의 가장자리 일부가 상기 리브플랩 한 쌍과, 이에 이웃하는 연장리브플랩 한 쌍이 만나는 절첩선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카톤의 개봉으로 상기 토출구의 가장자리에서 복층 구조가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분이 흡수되지 않아 토출구의 가장자리가 잘 해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박공지붕 카톤은 토출구의 가장자리가 날카로운 절단면이 아니고 접혀진 부위이기 때문에 토출구의 가장자리에 닿는 입의 촉감이 월등히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2)

  1. 밀봉플랩과 네개의 측면판을 갖는 통모양의 동체와, 상기 동체의 하부를 막는 바닥막이와, 서로를 향해 기울어지고 상기 동체를 덮는 한 쌍의 대향 지붕판과, 상기 지붕판 사이에서 상기 지붕판의 대향 말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접힌 한 쌍의 삼각형 모양의 대향 상부판과, 각 쌍이 상기 지붕판 아래에 놓인 절첩선을 따라 상기 상부판 각각과 일체로 되고, 각각이 상기 지붕판 각각의 내면에 근접하게 뒷쪽 방향으로 접힌 두 쌍의 삼각형 모양의 접힘플랩과, 각각 상기 지붕판 각각과 일체로 되고 상기 지붕판 각각의 상부에 놓이며 윗쪽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리브판과, 각각 상기 접힘플랩 각각과 일체로 되고 상기 접힘플랩 상부에 놓이며, 각 쌍의 각각이 서로 기대어지고 각각 상기 리브판 각각의 내면에 기대어지도록 접힌 두 쌍의 리브플랩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물질이 코팅된 판지로 된 블랭크로 형성되며, 개봉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토출구가 부분적으로 하나의 상부판과, 이웃하는 한 쌍의 접힘플랩과, 이웃하는 한 쌍의 리브플랩과, 상기 지붕판 및 상기 리브판의 이웃하는 부분에 의해 한정되는 박공지붕 카톤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토출구를 한정하는 상기 한 쌍의 리브플랩 각각의 상부에서 상기 리브플랩 각각과 일체로 되고, 각각이 서로 기대어지고 각각 상기 리브플랩 각각의 외면에 기대어지도록 접힌 한 쌍의 연장리브플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 카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는, 세로방향 접철선 각각
    을 따라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된 4개의 측면판과 제1밀봉플랩을 갖는 복수의 동체판과,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상기 동체판 하나의 하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네개의 바닥판과, 상기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제1밀봉플랩의 하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제2밀봉플랩을 갖는 바닥막이와,
    각각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서로 이웃하지 않는 2개의 동체판 중 하나의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지붕판과,
    각각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서로 이웃하지 않는 나머지 2개의 동체판 중 하나의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붕판 사이에서 상기 지붕판의 대향 말단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접히도록 변형되는 한 쌍의 삼각형 모양의 상부판과,
    각 쌍이 사선방향 접철선을 따라 상기 상부판 각각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이 상기 지붕판 하나의 내면에 근접하게 접히도록 변형되는 두 쌍의 삼각형 모양의 접힘플랩과,
    각각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상기 지붕판 중 하나의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 자세로 서로 결합되도록 변형되는 한 쌍의 리브판과,
    각각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접힘플랩 하나의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쌍의 각각이 서로 기대어지고 각각이 상기 리브판 각각의 내면에 기대어지도록 접히는 두 쌍의 리브플랩과,
    각각 가로방향 접철선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리브플랩 각각의 상단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은 서로 기대어지고 각각 상기 리브플랩 하나의 외면에 기대어지도록 접히는 한 쌍의 연장리브플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 카톤.
KR1020030037681A 2003-06-11 2003-06-11 박공지붕 카톤 KR20040106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681A KR20040106827A (ko) 2003-06-11 2003-06-11 박공지붕 카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681A KR20040106827A (ko) 2003-06-11 2003-06-11 박공지붕 카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827A true KR20040106827A (ko) 2004-12-18

Family

ID=3738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681A KR20040106827A (ko) 2003-06-11 2003-06-11 박공지붕 카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68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9455A1 (en) * 2021-07-15 2023-01-1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blank, a carton gable top packag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id pack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9455A1 (en) * 2021-07-15 2023-01-1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blank, a carton gable top packag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id package
WO2023285289A1 (en) * 2021-07-15 2023-01-1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blank, a carton gable top packag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arton gable top pack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8982B1 (en) Gable top carton with curved side creases
US6027016A (en) Beveled edge carton and blank therefor
US8851361B2 (en) Container, blank, mandrel and method of forming the container
US5636785A (en) Gable top container
US5147062A (en) Paper pack container with internal bag for receiving fluids
US5848749A (en) Gable top carton and carton blank with curved side creases and coincident corner creases
US6386438B1 (en) Carton blank, carton and method of forming the carton
US20090039144A1 (en) Folded food carton
CA1268745A (en) Bottom design of packing containers
US3245603A (en) Gable top container
CN101415612A (zh) 袋容器
CA1314272C (en) Opening arrangement for gable top container
IL211719A (en) Flexible container packaging with extra bag
US20230015058A1 (en) Paper-based or paperboard-based container and related methods
NO841730L (no) Beholder samt emne til fremstilling av denne
NO854292L (no) Flat toppendelukking for vaeskebeholdere.
NO147593B (no) Emne for termoplastbelagt kartongbeholder, samt beholder dannet av emnet.
CA1156200A (en) Paperboard carton
US4802620A (en) Gable top carton for preventing wicking
US5851630A (en) Container and blank for &#34;duckbill&#34; elimination
KR20040106827A (ko) 박공지붕 카톤
NO158129B (no) Emne for roerformet beholder med innbrettet endelukning og beholder fremstilt fra emnet.
EP1801022B1 (en) Package adapted to receive an opening device
GB2099794A (en) Gable topped cartons
US4468212A (en) Method of nesting multiple paperboard carton bla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