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5289A - 전기 콘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289A
KR20040105289A KR1020030035991A KR20030035991A KR20040105289A KR 20040105289 A KR20040105289 A KR 20040105289A KR 1020030035991 A KR1020030035991 A KR 1020030035991A KR 20030035991 A KR20030035991 A KR 20030035991A KR 20040105289 A KR20040105289 A KR 20040105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d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700B1 (ko
Inventor
김혁중
Original Assignee
김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중 filed Critical 김혁중
Priority to KR10-2003-003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700B1/ko
Publication of KR2004010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콘넥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전기 콘넥터는 탄성을 갖는 삽입단자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슬롯을 구비한 홀더와, 이 홀더의 삽입단자에 탄력적으로 끼움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린트 회로기판의 단자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전기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어셈블리는 홀더의 삽입단자에 대응되는 프린트 회로기판의 일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슬릿 및 이들 슬릿의 각 일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면서 프린트 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끼움구멍과; 일단은 상기 슬릿에 끼워 맞춤되게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고, 타단은 수회 굽힘 연장되어 끼움구멍을 삽입 통과하여 납땜으로 고정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홀더의 삽입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체로 된 단자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전기 콘넥터는 기존의 홀더와 호환이 가능하면서, 특히 프린트 회로기판이 잦은 탈부착으로 인한 스파크나 노이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시스템의 전체적인 안정성과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콘넥터{electricity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보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린트 회로기판의 단자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하여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접속환경을 보장하는 전기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각종 전자장치 및 전기장치는 통상적으로 프린트 회로기판을 외부회로와 전기 및 회로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콘넥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때의 전기 콘넥터는 통상 프린트 회로기판에 일체로 마련되는 접속부와, 이 접속부와 끼움구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부회로와 배선되는 홀더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콘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 콘넥터는 크게 프린트 회로기판(p)에 일체로 형성되는 접속부(110)와, 이 접속부(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210)을 형성하면서 외부회로와 와이어(w)로 연결되는 홀더(200)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부(110)는 프린트 회로기판(p)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p)에 구비되는 각종 회로부품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접속부(110)는 일정 등간격을 두고 소정폭을 갖는 다수의 단자 플레이트(111)를 구비하는 바, 이때의 각 단자 플레이트(111)는 일면에 전도성이 높은 구리 또는 금과 같은 금속물질이 코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린트 회로기판(p)은 접속부(110)에 마련된 각 단자 플레이트(111)를 통해 홀더(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홀더(200)는 등간격을 두고 소정폭을 갖는 장공의 구멍 즉, 슬롯(210)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바, 이때의 각 슬롯(210) 내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탄성력을 갖는 삽입단자(211)가 구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삽입단자(211)는 통상적으로 전류통전이 우수한 평판의 철편을 굽힘시켜 탄성력을 갖도록 성형한 것으로서, 이러한 단자를 한쌍으로 상,하 배치시키는 구조에 의해 그 사이에 삽입되는 단자 플레이트(111)가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단자(211)는 일단부에 외부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와이어(w)가 배선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기 콘넥터는 프린트 회로기판(p)에 일체로 마련된 접속부(110)의 각 단자 플레이트(111)를 대응되는 홀더(200)의 각 슬롯(210)에 끼움 결합시키게 되면, 각 슬롯(210)에 마련된 삽입단자(211)가 자체 탄성력으로 단자 플레이트(111)의 상,하면을 가압하면서 접촉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외부회로와 배선된 홀더(200)와 접속부(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프린트 회로기판(p)이 외부회로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기 콘넥터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잦은 탈부착에 의한 접속불량 즉, 스파크나 노이즈에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현상에 의해 프린트 회로기판(p)의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회로적인 특성이 불량해지게 되어 시스템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특히, 전기 콘넥터에서 프린트 회로기판(p)에 일체로 마련되는 접속부(110)가 스파크나 기타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에는 부득이 고가의 프린트 회로기판(p)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20-0259756호를전기 콘넥터를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전기 콘넥터의 구조는 프린트 회로기판상에 접속세트부를 일체로 구비시키고, 이 접속세트부와 끼움구조를 갖는 홀더로 이루어지는 바, 이때 상기 접속세트부는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삽입홀을형성하고 이 삽입홀의 내부에 단자핀이 돌출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출원한 전기 콘넥터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홀더와는 호환성이 없는 단점이 있다.
즉, 본 출원인이 출원한 접속세트부는 기존에 널리 공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홀더와의 호환성이 없으므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홀더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구조개선을 통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홀더에 대한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전기 콘넥터의 탈부착에 의한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콘넥터용 프린트 회로기판 단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콘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전기 콘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넥터에서 단자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전기 콘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자 11 : 접점부
12 : 끼움부 20 : 슬릿
21 : 끼움구멍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넥터는, 탄성을 갖는 삽입단자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슬롯을 구비한 홀더와, 이 홀더의 삽입단자에 탄력적으로 끼움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린트 회로기판의 단자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전기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어셈블리는 홀더의 삽입단자에 대응되는 프린트 회로기판의 일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슬릿 및 이들 슬릿의 각 일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면서 프린트 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끼움구멍과; 일단은 상기 슬릿에 끼워 맞춤되게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고, 타단은 수회 굽힘 연장되어 끼움구멍을 삽입 통과하여 납땜으로 고정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홀더의 삽입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체로 된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의 슬릿과 이에 대응되는 단자의 일단부에는 상호 끼워 맞춤 구조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게 하는 돌출부와 요홈이 형성된 것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넥터용 프린트 회로기판 단자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전기 콘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넥터에서 단자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전기 콘넥터는 크게 시스템 보드 또는 외부회로와 연결되는 홀더(2)와, 상기 홀더(2)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프린트 회로기판(p)의 일단에 구비되어 이 프린트 회로기판(p)이 상기 홀더(2)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단자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2)는 등간격을 두고 소정폭을 갖는 다수의 슬롯(3)을 구비하며, 이 슬롯(3)내에는 상·하로 탄성력을 갖는 삽입단자(4)가 구성되는 구조로서, 이때의 삽입단자(4)의 일단부에는 외부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w)가 배선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홀더(2)는 종전의 전기 콘넥터를 구성하는 홀더(2)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홀더(2)에 전기적으로 탈부착되는 프린트 회로기판(p)의 단자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하여 잦은 탈부착에 따른 쇼트나 접점되는 부분의 마모 및 손상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접점되는 단자(10)의 파손시 파손 단자(10)만을 선별적으로 교체 가능하게 하여 유지보수를 개선시킨 단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단자 어셈블리는 크게 프린트 회로기판(p)의 일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슬릿(20)과, 이들 각 슬릿(20)의 일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끼움구멍(21) 그리고 상기 슬릿(20)과 끼움구멍(21)에 동시에 끼워 맞춤되는 단자(10)로 구성된다.
상기 슬릿(20)은 상술한 홀더(2)의 각 삽입단자(4)에 대응되는 프린트 회로기판(p)의 테두리면측에 형성되며, 그 간격 또한 삽입단자(4)에 대응되는 간격을 갖는다.
상기 끼움구멍(21)은 상기 슬릿(2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대략 슬릿(20)에 비해 작은 크기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끼움구멍(21)은 프린트 회로기판(p)에 인쇄된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단자(10)는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계열의 금속재로 성형된 판재형의 부재를 가공한 것으로서, 그 일단은 슬릿(20)에 끼워 맞춤될 수 있게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고, 타단은 수회 굽힘 연장되어 끼움 구멍을 삽입 통과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단자(10)는 슬릿(20)에 끼워 맞춤되는 접점부(11)와, 이 접점부(11)의 일측에서 일체로 수회 굽힘 연장되어 끼움구멍(21)을 삽입 관통하는 끼움부(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접점부(11)는 상술한 홀더(2)의 삽입단자(4)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끼움부(12)는 그 끝단부가 끼움구멍(21)의 외부로 미세하게나마 돌출된 상태에서 납땜(s)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끼움구멍(21)은 프린트 회로기판(p)의 회로와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끼움구멍(21)에 납땜(s)으로 고정된 끼움부(12) 역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전기 콘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단자(10)의 결속구조를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린트 회로기판(p)에 형성되는 슬릿(20)과, 이 슬릿(20)에 끼워 맞춤되는 단자(10)의 일단부에 상호 끼움구조로 유동이 방지되게 하는 돌출부(22)와 요홈(13)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홀더(2)와 끼워지는 프린트 회로기판(p)의 접속부분에 슬릿(20) 및 끼움구멍(21)을 형성하고, 이 슬릿(20)과 끼움구멍(21)에 끼움구조로 구비되는 단자(10)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면 상기 슬릿(20)과 끼움구멍(21) 및 단자(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콘넥터에서 단자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p)에 형성된 슬릿(20)과 그 일측에 형성된 끼움구멍(21)에 단자(10)의 접점부(11)와 끼움부(12)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 뒤 끼워 맞춘다.
그러므로, 상기 단자(10)의 접점부(11)는 슬릿(20)상에 끼워진 상태를 이루게 되고, 상기 끼움부(12)는 그 끝단부가 끼움구멍(21)을 삽입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끼움구멍(21)을 통과한 상기 단자(10)의 끼움부(12) 끝단부를 납땜(s)을 하게 되면, 상기 단자(10)는 프린트 회로기판(p)상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됨과 동시에 프린트 회로기판(p)의 회로와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자 어셈블리를 구비한 프린트 회로기판(p)을 홀더(2)와 조립시키면, 상기 단자(10)의 각 접점부(11)가 상기 홀더(2)의 각 삽입단자(4)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기 콘넥터에서 프린트 회로기판(p)에 구비되는 단자 어셈블리는 각 단자(10)가 별도로 구비되는 구조이므로 잦은 탈부착에 의해 단자(10)가 파손되는 경우 해당되는 단자(10)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전기 콘넥터는 기존의 홀더와 호환이 가능하면서, 특히 프린트 회로기판이 잦은 탈부착으로 인한 스파크나 노이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시스템의 전체적인 안정성과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잦은 탈부착으로 인해 홀더와 접촉되는 단자 부분의 파손시, 파손된 단자만을 선별적으로 교체 가능하므로 정비성이 양호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탄성을 갖는 삽입단자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슬롯을 구비한 홀더와, 이 홀더의 삽입단자에 탄력적으로 끼움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린트 회로기판의 단자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전기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어셈블리는 홀더의 삽입단자에 대응되는 프린트 회로기판의 일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슬릿 및 이들 슬릿의 각 일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면서 프린트 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끼움구멍과;
    일단은 상기 슬릿에 끼워 맞춤되게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고, 타단은 수회 굽힘 연장되어 끼움구멍을 삽입 통과하여 납땜으로 고정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홀더의 삽입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체로 된 단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의 슬릿과 이에 대응되는 단자의 일단부에는 상호 끼워 맞춤 구조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게 하는 돌출부와 요홈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넥터.
KR10-2003-0035991A 2003-06-04 2003-06-04 전기 콘넥터 KR100502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991A KR100502700B1 (ko) 2003-06-04 2003-06-04 전기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991A KR100502700B1 (ko) 2003-06-04 2003-06-04 전기 콘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546U Division KR200324360Y1 (ko) 2003-06-04 2003-06-04 전기 콘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289A true KR20040105289A (ko) 2004-12-16
KR100502700B1 KR100502700B1 (ko) 2005-07-22

Family

ID=3738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991A KR100502700B1 (ko) 2003-06-04 2003-06-04 전기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588B1 (ko) * 2005-10-26 2006-11-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인터페이스용 커넥터 및 이것이 구비된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804B1 (ko) 2009-02-03 2010-11-26 한만경 노이즈가 개선된 rj45 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588B1 (ko) * 2005-10-26 2006-11-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인터페이스용 커넥터 및 이것이 구비된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700B1 (ko) 200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1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250450B2 (ja) 電気コネクタ
US7794285B1 (en) Audio jack connector
JP2004014507A (ja) 電気コネクタ端子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WO2016021175A1 (ja) コネクタおよびこの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2006269169A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SG176335A1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EP3273157B1 (en) Led lamp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JP2007128876A (ja) 電気コネクタ
CN107026337B (zh) 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JP2006339141A (ja) 低挿入力コネクタ及び端子
KR20110044813A (ko) 마이크로 usb 소켓
US810070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butting ribs against PCB
US7891991B2 (en) Contact having soldered interconnection between first and second parts
KR100502700B1 (ko) 전기 콘넥터
KR20120075934A (ko) 플러그커넥터, 소켓커넥터 및 그 결합구조
JP2005243407A (ja) ランプ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0324360Y1 (ko) 전기 콘넥터
JP200901634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KR200259756Y1 (ko) 전기 콘넥터
CN111201676B (zh) 用于印刷电路板的插座焊接接触件和接触模块
JP3156557U (ja) 導電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14010938A (ja) 基板対基板用のコネクタ
JPH06208876A (ja) 接触子及びそれを使用する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