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666A -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666A
KR20040103666A KR1020030035283A KR20030035283A KR20040103666A KR 20040103666 A KR20040103666 A KR 20040103666A KR 1020030035283 A KR1020030035283 A KR 1020030035283A KR 20030035283 A KR20030035283 A KR 20030035283A KR 20040103666 A KR20040103666 A KR 20040103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k
processing block
message processing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영
Original Assignee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3666A/ko
Priority to PCT/KR2004/001310 priority patent/WO2004107774A1/en
Publication of KR2004010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6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5Provisions for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셋 내의 첫 번째 신호링크가 가용으로 전환되었음을 수신하는 제1단계; 링크셋 내의 신호루트를 선택하는 제2단계; 신호루트들이 실려있는 링크셋 내 신호링크의 수를 조사하여 파악하는 제3단계;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간의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단계; 신호루트간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 경우,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내의 신호링크의 비율에 따라 신호루트에 SLS 비트를 분배하는 제5단계;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셋 내의 모든 신호루트에 대하여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6단계; 및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된 경우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인접 혹은 자국 신호점 재시작 절차를 계속해서 수행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신호루트 간의 막연한 1:1 부하분담으로 인한 신호링크 간 부하 차이를 해소하여 망 상태 전환시 안정성을 높이고, 링크셋 가용 천이시 발생할 수 있는 신호링크 폭주나 비가용을 막고 그에 따른 메시지 유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NETWORK MANAGEMENT METHOD WHEN STATE OF NO.7 NETWORK CHANGED IN TELECOMMUNICATION MSC}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프로토콜에서 신호링크 전환, 복구 및 제어 재루팅 작업 변경시 망 상태의 변경에 따라 신호링크간 트래픽을 적절히 조절하여 망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교환기의 No.7 프로토콜에서 특정 신호점(Signalling Point)으로의 신호루트(Signalling Route)가 나눠 가지는 SLS(Signalling Link Selection) 비트는 신호루트가 갖는 링크셋(Signalling Linkset)내의 신호링크의수와 관계없이 16/N(N=신호 루트의 수)개를 갖게 된다. 더욱이 안정 상태에서의 트래픽은 충분히 고려되어 망 설계가 이루어지지만 신호링크의 전환, 복구 및 제어 재루팅 등 망 상태가 변환되는 시점에서의 신호링크 간의 트래픽의 차는 매우 커서 이것을 모두 반영하여 설계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렇게, 링크셋 내에서 신호링크가 막 살아난 경우에 인접 신호점 재시작 절차를 거치는 동안 다른 신호 링크들이 살아나지 못한다면 하나의 신호링크로 해당 링크셋이 분담해야 할 트래픽을 모두 전달해야 한다. 또한, 정상 상태에서 신호링크 전환이 연쇄적으로 일어난다면 적은 수의 신호링크로 링크셋에 부과된 트래픽을 모두 전달하여야 하며, 만일 이러한 상태의 트래픽을 신호링크가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 N0.7 프로토콜에서 신호링크 복구, 전환 및 제어 재루팅시와 같은 망 상태 변화시 추가적인 신호링크의 전환이나 폭주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재루팅시 신호루트간에 나누어주는 SLS 비트를 링크셋 내의 신호링크 비에 따라 조절하여 트래픽을 신호링크간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함으로써 신호링크의 폭주를 방지하고, 그에 따른 메시지 유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링크 전환 혹은 복구시 링크셋 내에서SLS 비트를 나누는 것 외에 신호루트 간의 SLS 비트도 링크셋 내의 신호링크 비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신호링크 간 부하 차이를 해소하여 망 상태 전환시의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은, MTP3와,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을 구비한 교환기에서의 제어 재루팅 시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있어서,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첫 번째 신호링크가 가용으로 전환되었음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신호루트를 선택하는 제 2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 들이 실려있는 링크 셋 내 신호링크의 수를 조사하여 파악하는 제 3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간의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신호루트간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 경우,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내의 신호링크의 비율에 따라 신호루트에 SLS 비트를 분배하는 제 5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모든 신호루트에 대하여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인접 혹은 자국 신호점 재시작 절차를 계속해서 수행하는 제 7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은, MTP3와,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을 구비한 교환기에서의 링크 셋 내 신호링크 전환 및 복구시에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있어서,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첫 번째 신호링크가 전환 또는 복구되었음을 수신하는 제 11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신호루트를 선택하는 제 12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 들이 실려있는 링크 셋 내 신호링크의 수를 조사하여 파악하는 제 13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간의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4 단계;
상기 제 14 단계에서 신호루트간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 경우,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내의 신호링크의 비율에 따라 신호루트에 SLS 비트를 분배하는 제 15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모든 신호루트에 대하여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6 단계; 및
상기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나머지 링크 셋 내의 신호링크에 대한 제어 재루팅과 전환 및 복구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제 17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있어서 정상 상태에서의 STP간의 신호루트 및 신호링크의 부하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망관리 방법으로 링크셋 비가용 및 가용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신호루트간의 부하 분담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도 2에 따라 부하 분담을 한 경우의 링크셋 내의 신호링크간 부하 차가 존재함을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시 제어 재루팅 개선후의 부하 분담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제어 재루팅 개선후의 신호링크 수에 따른 부하 분담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중 제어 재루팅시를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중 링크셋 내 신호링크의 전환 및 복구시를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환기 101 : MTP3
102 : MTP3 메시지 처리블록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있어서 정상 상태에서의 STP간의 신호루트 및 신호링크의 부하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상태에서의 STP간 부하 분담에서 망 상태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서의 신호루트 및 신호링크 간의 부하 분담을 알 수 있다. 여기서는 각 신호 링크셋 내의 신호링크 수를 4개로 가정하였으며, 도 1에 도시된 도면중 상측 도면에서 신호점 SP1으로부터 신호점 SP2로의 루트는 2개이며, 해당 루트간에 SLS 비트를 8:8로 잘 나누어 가졌음을 알 수 있다. 하측 도면은 각 신호루트를 구성하는 링크셋 내에서 신호링크 간의 부하 분담을 나타내며, 신호링크들 역시SLS 비트를 2개씩 잘 나누어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망관리 방법으로 링크셋 비가용 및 가용 전환이 발생되었을 때 신호루트간의 부하 분담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라 부하 분담을 한 경우의 링크셋 내의 신호링크간 부하 차가 존재함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신호점(STP1)으로의 링크셋이 비가용으로 전환되었다가 다시 가용으로 전환되었을 경우 신호루트 간의 SLS 비트를 나눠 갖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신호 루트간의 트래픽을 살펴보면 링크셋이 비가용 전환되었을 경우 한 신호루트로 몰렸다가 다시 링크셋이 가용 전환된 후 양쪽의 신호루트가 균등하게 트래픽을 나눠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신호루트가 분담하고 있는 트래픽은 균등하게 잘 분배가 되고 있지만 링크셋 내의 신호링크가 단 하나만 살아났을 경우에 신호링크가 분담하는 트래픽은 도 3에 도시된 하측 도면과 같으며, STP2로의 트래픽은 각 신호링크당 2개씩 잘 분배되고 있지만 신호링크가 1개뿐인 STP1으로의 링크셋 내 신호링크가 분담하는 트래픽의 양은 STP2로의 링크셋 내 신호링크가 분담하는 트래픽의 양의 4배에 이르며, 각 신호루트간 신호링크의 수가 많다면 그 차이는 더욱 커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시 제어 재루팅 개선후의 부하 분담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참고도로서, 신호루트간의 트래픽은 불균형 해졌지만 신호링크간의 트래픽은 매우 비슷해졌음을 알수 있으며, 신호링크가 불안정할 경우를 충분히 고려해서 설계된 망이라면 신호링크가 다시 비가용으로 전환되거나 폭주로 빠지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제어 재루팅 개선후의 신호링크 수에 따른 부하 분담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참고도로서, 가용 전환된 신호루트의 링크셋 내 신호링크가 추가로 복구되는 경우를 잘 도시하고 있으며, 신호링크가 복구될 때 마다 신호루트간의 SLS 비트를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신호링크 간의 불균형을 최소화 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중 제어 재루팅시를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링크 셋 내의 첫 번째 신호링크가 가용으로 전환되었음을 수신한다(S1).
그런후,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링크 셋 내의 신호루트를 선택한다(S2).
이어서,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신호루트 들이 실려있는 링크 셋 내 신호링크의 수를 조사하여 파악한다(S3).
그런후,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신호루트간의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
이때, 상기 제 4 단계(S4)에서 신호루트간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 경우,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신호루트내의 신호링크의 비율에 따라 신호루트에 SLS 비트를 분배한다(S5).
이후,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링크 셋 내의 모든 신호루트에 대하여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6).
이때, 상기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단계(S2)로 진행하는 한편,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인접 혹은 자국 신호점 재시작 절차를 계속해서 수행한다(S7).
반면에, 상기 제 4 단계(S4)에서 신호루트간 신호 링크비가 균등한 경우,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각각의 신호루트에 정상 상태의 SLS 비트를 할당하여 분배한 후 상기 제 6 단계(S6)로 진행한다(S8).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중 링크셋 내 신호링크의 전환 및 복구시를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먼저,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링크 셋 내의 첫 번째 신호링크가 전환 또는 복구되었음을 수신한다(S11).
그런후,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링크 셋 내의 신호루트를 선택한다(S12).
이어서,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신호루트 들이 실려있는 링크 셋 내 신호링크의 수를 조사하여 파악한다(S13).
그런후,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신호루트간의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4).
이때, 상기 제 14 단계(S14)에서 신호루트간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 경우,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신호루트내의 신호링크의 비율에 따라 신호루트에 SLS 비트를 분배한다(S15).
이어서,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링크 셋 내의 모든 신호루트에 대하여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
이때, 상기 제 16 단계(S16)에서 상기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2 단계(S12)로 진행하는 한편,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나머지 링크 셋 내의 신호링크에 대한 제어 재루팅과 전환 및 복구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한다(S17).
반면에, 상기 제 14 단계(S14)에서 신호루트간 신호 링크비가 균등한 경우, 상기 교환기(100)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102)은 각각의 신호루트에 정상 상태의 SLS 비트를 할당하여 분배한 후 상기 제 16 단계(S16)로 진행한다(S1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의하면,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프로토콜에서 신호링크 전환, 복구 및 제어 재루팅 작업 변경시 망 상태의 변경에 따라 신호링크간 트래픽을 적절히 조절하여 망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신호루트 간의 막연한 1:1 부하분담으로 인한 신호링크 간 부하 차이를 해소하여 망 상태 전환시 안정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링크셋 가용 천이시 발생할 수 있는 신호링크 폭주나 비가용을 막고 가용상태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메시지 유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MTP3와,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을 구비한 교환기에서의 제어 재루팅 시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있어서,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첫 번째 신호링크가 가용으로 전환되었음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신호루트를 선택하는 제 2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 들이 실려있는 링크 셋 내 신호링크의 수를 조사하여 파악하는 제 3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간의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신호루트간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 경우,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내의 신호링크의 비율에 따라 신호루트에 SLS 비트를 분배하는 제 5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모든 신호루트에 대하여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처리블록이 인접 혹은 자국 신호점 재시작 절차를 계속해서 수행하는 제 7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신호루트간 신호 링크비가 균등한 경우,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각각의 신호루트에 정상 상태의 SLS 비트를 할당하여 분배한 후 상기 제 6 단계로 진행하는 제 8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
  3. MTP3와,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을 구비한 교환기에서의 링크 셋 내 신호링크 전환 및 복구시에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에 있어서,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첫 번째 신호링크가 전환 또는 복구되었음을 수신하는 제 11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신호루트를 선택하는 제 12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 들이 실려있는 링크 셋 내신호링크의 수를 조사하여 파악하는 제 13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간의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4 단계;
    상기 제 14 단계에서 신호루트간 신호 링크비가 불균등한 경우,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신호루트내의 신호링크의 비율에 따라 신호루트에 SLS 비트를 분배하는 제 15 단계;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링크 셋 내의 모든 신호루트에 대하여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6 단계; 및
    상기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신호링크의 분배처리 과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나머지 링크 셋 내의 신호링크에 대한 제어 재루팅과 전환 및 복구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제 17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 단계에서 신호루트간 신호 링크비가 균등한 경우, 상기 교환기내 MTP3 메시지 처리블록이 각각의 신호루트에 정상 상태의 SLS 비트를 할당하여 분배한 후 상기 제 16 단계로 진행하는 제 18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 방법.
KR1020030035283A 2003-06-02 2003-06-02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방법 KR20040103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283A KR20040103666A (ko) 2003-06-02 2003-06-02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방법
PCT/KR2004/001310 WO2004107774A1 (en) 2003-06-02 2004-06-02 Method of distributing network traffic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283A KR20040103666A (ko) 2003-06-02 2003-06-02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666A true KR20040103666A (ko) 2004-12-09

Family

ID=3348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283A KR20040103666A (ko) 2003-06-02 2003-06-02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103666A (ko)
WO (1) WO2004107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3384A1 (en) * 2007-10-05 2009-04-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ad sharing in ss7 or sctp signalling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869B1 (ko) * 1999-09-17 2002-04-03 서평원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 트래픽 부하 분담 방법
US6515985B2 (en) * 2000-02-08 2003-02-04 Airslide Systems Ltd. Convergence of telephone signaling, voice and data over a packet-switched network
KR20020000653A (ko) * 2000-06-27 2002-01-05 서평원 신호망의 효율적인 트래픽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7774A1 (en)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9494B2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US5526414A (en) Dynamically controlled routing using virtual nodes
CA2220469C (en) Failure restoration system suitable for a large-scale network
JP3043421B2 (ja) 通信網におけるダイナミック・トラフィック制御のためのル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ルーティング装置
US7885398B2 (en) Multiple criteria based load balancing
CA2322090C (en) Dynamic load balancing during message process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network
US5615254A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routing in a switched comunication network
AU7071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traffic in a circuit-switched network
JPH06510645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非階層的トラフィック経路指定方法
US7535827B2 (en) High availability of resources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ing synchronized redundancy mechanism
JPH02205153A (ja) 通信回線切替・併用方式
JP4917742B2 (ja) マルチプロトコル・ラベル・スイッチングによるネットワーク・チューニ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1097436A2 (en) High speed protection switching in label switched networks through pre-computation of alternate routes
KR910008760B1 (ko) 공통선 신호장치의 개선된 내부망 트래픽 루팅방법
US4731825A (en) Nonblocking switching system and method
US5537469A (en) Bandwidth allocation of DPNSS networks
US7804952B2 (en) Prioritized call load balancing
KR20040103666A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no.7 망 상태 변경시의 망관리방법
EP0376556B1 (en) Real-time network routing
US7532584B2 (en) Implementation of constraints to ensure deadlock avoidance in networks
Acharya et al. Hitless network engineering of SONET rings
US78646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routing circuits on SONET and SDH rings without disrupting service
KR100325387B1 (ko) 넘버.세븐 신호망에서의 신호 메시지 라우팅 방법
KR100204476B1 (ko) 에이티엠 망에서의 최적 경로 설정 방법
Sivabalan et al. Design of link-state alternative path routing protocols for connection-oriented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