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054A - 전송 속도 변경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지국 장치 - Google Patents

전송 속도 변경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지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054A
KR20040101054A KR1020040036263A KR20040036263A KR20040101054A KR 20040101054 A KR20040101054 A KR 20040101054A KR 1020040036263 A KR1020040036263 A KR 1020040036263A KR 20040036263 A KR20040036263 A KR 20040036263A KR 20040101054 A KR20040101054 A KR 20040101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eriod
channel
transmission rat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852B1 (ko
Inventor
우찌다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Abstract

변조 방식 변경에 따른 전송 효율의 열화를 방지한다. 변복조부(32)는, 송신하여야 할 정보를 변조하고, 또한, 수신한 정보를 복조한다. 타임 슬롯 제어부(42)는, 기지국 장치(12)가 단말 장치(10)에 접속하는 경우, 단말 장치(10)에 대하여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품질 도출부(36)는, 전송로의 품질을 적절하게 도출한다.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전송로의 품질에 적합한 변조 방식을, 상향 회선 및 하향 회선에 대하여 각각 결정한다. 또한,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타임 슬롯의 잔여 기간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한 변조 방식으로의 변경을 결정하지만, 잔여 기간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결정한 변조 방식으로 변경하지 않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의 계속 사용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전송 속도 변경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지국 장치{TRANSMISSION RATE CHANGING METHOD AND BASESTATION DEVI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전송 속도 변경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통신 중에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 전송 속도 변경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로 환경이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데, 그와 같은 전송로 환경 하에서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의 하나로서 적응 변조 방식이 있다. 적응 변조 방식은, 전송로 환경에 따라 변조 방식을 제어하여, 예를 들면, 전송로 환경이 나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고신뢰도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한편, 전송로 환경이 좋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정보량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통신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향 회선의 슬롯과 하향 회선의 슬롯이, 규칙적으로 교대로 송신된다.
또한, 각각의 슬롯은, 전송로 환경의 추정에 사용되는 프리앰블, 송신에 사용한 변조 방식을 나타낸 변조 방식 정보, 정보 심볼을 포함한다. TDD 방식에 있어서 전송로의 가역성이 성립하는 경우, 기지국 장치는 슬롯을 수신하여, 수신 기저 대역 신호 및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의 수신 레벨 정보로부터, 전송로의 C/N(Carrier to Noise Ratio)나 지연 스프레드 등을 검출하여, 다음의 송신 타이밍에서의 전송로 환경을 추정한다. 또한, 이 추정 결과에 따라서, 송신에 사용하여야 할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특허 문헌1>
일본 특개2002-290246호 공보
본 발명자는 이러한 상황 하에서, 이하의 과제를 인식하기에 이르렀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기지국 장치가, 단말 장치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변조 방식의 변경을 결정하고, 해당 변경을 단말 장치에 지시 혹은 통지한다. 이에 덧붙여서,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의 변조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신호를 상호 송수신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가 단말 장치에 지시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로부터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으로의 변경에 따라, 단말 장치가 기지국 장치에 16 QAM에 의한 제어 신호를 복수회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는, 해당 제어 신호를 계속해서 QPSK에 의해서 수신하고, 소정 횟수의 수신 오류가 발생된 경우에, 단말 장치의 변조 방식의 변경을 인식한다. 또한, 링크 확립을 위해,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의 사이에서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가 복수의 단말 장치를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로 다중화하고 있으면, 일반적으로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된 소정의 슬롯을 단말 장치에 할당하지만, 다중화하여야 할 단말 장치의 수가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된 슬롯 수보다 많은 경우, 복수의 프레임에 걸쳐 포함되는 복수의 슬롯을 복수의 단말 장치에 각각 할당한다. 또한 상술의 경우, 어느 단말 장치에는, 복수의 연속한 프레임에 걸쳐 슬롯을 할당하고, 다른 단말 장치에는, 해당 복수의 연속한 프레임에 걸쳐 슬롯을 할당하지 않고, 해당 복수의 연속한 프레임의 경과 후에 슬롯을할당하는 단말 장치를 교환하도록 슬롯 할당을 제어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 장치와 제2 단말 장치에 대하여,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하나의 슬롯을 100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할당하는 경우, 1 내지 100 프레임에서는, 제1 단말 장치에 슬롯을 할당하고, 101 내지 200 프레임에서는, 제2 단말 장치에 슬롯을 할당하고, 201 내지 300 프레임에서는, 제1 단말 장치에 슬롯을 할당한다.
상술과 같은 유한의 연속한 프레임 단위로 단말 장치에 슬롯을 할당하고, 또한 변조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서 복수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장치가, 슬롯을 할당해야되는 연속한 프레임의 잔여 기간이 짧은 경우에, 변조 방식을 변경하려고 하면, 변조 방식의 변경에 필요한 복수의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프레임의 잔여 기간이 더욱 짧아지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여, 본 발명을 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송 효율을 고려하여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 전송 속도 변경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지국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기억부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프레임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타임 슬롯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타임 슬롯 관리부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의 변조 방식의 변경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1의 통신 개시 처리의 시퀀스도.
도 8은 도 1의 하향 회선의 변조 방식 변경 처리의 시퀀스도.
도 9는 도 1의 상향 회선의 변조 방식 변경 처리의 시퀀스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 장치
12 : 기지국 장치
14 : 처리부
16, 32 : 변복조부
18, 30 : RF부
20 : 변조 방식 결정부
22 : 품질 측정부
24, 38 : 제어부
26 : 단말기용 안테나
28 : 기지국용 안테나
34 : 변조 방식 제어부
36 : 품질 도출부
40 : 기억부
42 : 타임 슬롯 제어부
44 : 인터페이스부
46 : 네트워크
50 : 타임 슬롯 할당부
52 : 타임 슬롯 관리부
54 : 할당 기간 검출부
56 : 카운터
58 : 잔여 기간 계산부
100 : 통신 시스템
200 : 기간 정보
202 : 타임 슬롯 정보
본 발명의 한 양태는, 기지국 장치이다. 이 장치는, 단말 장치와 가변의 전송 속도로 통신하는 통신부와,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기간에 걸쳐서 채널을 할당하는 채널 할당부와,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에,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 속도를 변경하여야 할 타이밍을 계획하는 변경 계획부와, 채널이 할당된 기간에 있어서의, 변경 계획부에 의해서 전송 속도의 변경이 계획되는 타이밍으로부터,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 속도의 변경의 실행 가부를 결정하는 변경 결정부를 포함한다.
「채널」이란, 기지국 장치와 단말 장치 등의 무선 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설정되는 무선 통신로를 뜻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인 경우에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가리키고, TDMA인 경우에는 특정한 타임 슬롯 또는 슬롯을 가리키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인 경우에는 특정한 부호 계열을 가리키는데, 여기서는 이들을 구별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상의 장치에 의해, 채널이 할당된 기간과, 전송 속도의 변경이 계획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전송 속도의 변경을 결정하기 때문에, 채널의 시간적인 유한성을 고려하면서, 전송 속도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어, 전송 속도가 개선 가능하다.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을 도출하는 전송로 품질 도출부를 더 포함하며, 변경 결정부는, 채널이 할당된 기간의 길이와 전송 속도의 변경이 계획되는 타이밍으로부터, 전송 속도를 변경한 경우의 채널의 잔여 기간을 도출하고, 또한 도출한 채널의 잔여 기간에 따라, 도출한 전송로 품질에 기초한 전송 속도로의 변경의 실행을 결정해도 된다.
「채널의 잔여 기간을 도출」이란, 새로운 계산을 실행하지 않고, 채널이 할당된 기간의 길이나 전송 속도의 변경이 계획되는 타이밍으로부터, 직접 취득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전송로 품질 도출부는,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로서,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기초로 전송로 품질을 측정해도 된다. 전송로 품질 도출부는,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로서,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전송로품질에 관한 정보를 검출해도 된다.
「전송로 품질」은, 신호의 강도나 신호의 오류율을 포함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로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이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전송 속도 변경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단말 장치에 대하여 채널을 할당한 기간 내에, 전송 속도의 변경을 계획하는 단계와, 계획의 실행 가부를 해당 계획의 실행에 수반하는 전송 효율의 저하분을 가미하여 정해진 기준에 의해 연산 처리에 의해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전송 속도의 변경에 수반하는 전송 효율의 저하분을 고려하여, 전송 속도의 변경을 결정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도, 전송 속도 변경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기간에 걸쳐서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에,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 속도를 변경하여야 할 타이밍을 계획하는 단계와, 계획된 타이밍에서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가 여부를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의 계획된 타이밍을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계획된 타이밍에서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가 여부를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의 계획된 타이밍을 기초로 판단하기 때문에, 채널의 시간적인 유한성을 고려하면서, 전송 속도의 변경을 실행할 수 있어, 전송 속도가 개선 가능하다.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계획된 타이밍에서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가 여부를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의 계획된 타이밍을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는, 채널이 할당된 기간의 길이와 변경 계획부에 의해서 전송 속도의 변경이 계획되는 타이밍으로부터, 전송 속도를 변경한 경우의 채널의 잔여 기간을 도출하고, 또한 도출한 채널의 잔여 기간에 따라, 도출한 전송로 품질에 기초한 전송 속도로의 변경의 실행을 결정해도 된다.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을 도출하는 단계는,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로서,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기초로 전송로 품질을 측정해도 된다.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을 도출하는 단계는,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로서,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전송로 품질에 관한 정보를 검출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기간에 걸쳐서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에,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 속도를 변경하여야 할 타이밍을 계획하는 단계와, 계획된 타이밍에서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가 여부를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의 계획된 타이밍을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계획된 타이밍에서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가 여부를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의 계획된 타이밍을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는, 채널이 할당된 기간의 길이와 변경 계획부에 의해서 전송 속도의 변경이 계획되는 타이밍으로부터, 전송 속도를 변경한 경우의 채널의 잔여 기간을 도출하고, 또한 도출한 채널의 잔여 기간에 따라,도출한 전송로 품질에 기초한 전송 속도로의 변경의 실행을 결정해도 된다.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을 도출하는 단계는,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로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기초로 전송로 품질을 측정해도 된다.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을 도출하는 단계는,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로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전송로 품질에 관한 정보를 검출해도 된다.
또,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기록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발명의 실시예>
본 실시예는, 복수의 단말 장치를 다중 접속하기 위해서, 단말 장치에 소정의 기간에 걸쳐 타임 슬롯을 할당하고 (이하, 타임 슬롯을 할당한 기간을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이라 함), 또한 타임 슬롯 할당 기간 중에, 각각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적응 변조하는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는, 변조 방식의 변경 처리에 대하여,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신호를 송수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소정의 기간을 필요로 한다(이하, 이 기간을 「변경 처리 기간」이라 함).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는, 상향 회선의 전송로 품질을 수신한 신호로부터 측정하고, 측정한 전송로 품질로부터 상향 회선의 변조 방식을 결정하지만,하향 회선에 적합한 변조 방식을 단말 장치로부터 통지받고, 통지된 정보를 기초로 하향 회선의 변조 방식을 결정한다. 또한, 변조 방식의 변경을 실행하는 타이밍(이하, 「예정 타이밍」이라 함)과 타임 슬롯 할당 기간부터, 변조 방식을 변경한 경우의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의 잔여 기간(이하, 「잔여 기간」이라 함)을 도출하여, 잔여 기간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결정한 변조 방식으로 변경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단말 장치(10), 기지국 장치(12), 네트워크(46)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장치(10)는, 처리부(14), 변복조부(16), RF 부(18), 변조 방식 결정부(20), 품질 측정부(22), 제어부(24), 단말기용 안테나(26)를 포함하며, 기지국 장치(12)는, 기지국용 안테나(28), RF 부(30), 변복조부(32), 변조 방식 제어부(34), 품질 도출부(36), 제어부(38), 기억부(40), 타임 슬롯 제어부(42), 인터페이스부(44)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로서, 기간 정보(200), 타임 슬롯 정보(202)를 포함한다.
처리부(14)는, 단말 장치(10)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된다. 또한, 수신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재송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단말 장치(10)가 오류 정정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송신하여야 할 정보의 부호화 및 수신한 정보의 복호를 실행한다.
변복조부(16)는, 송신하여야 할 정보를 변조하고, 또한 수신한 정보를 복조한다. 여기서는, 변복조부(16)에 의해서 처리되는 변조 방식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π/4 시프트 QPSK, 16 QAM 중 어느 하나로 하고, 또한 변조 방식은, 적응적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한다. 복조는, 16 QAM에 대해서는 동기 검파하지만, BPSK과 π/4 시프트 QPSK에 대해서는 지연 검파한다. 또, 변조 방식은, 후술한 기지국 장치(12)에 의해 결정되고, 변복조부(16)는, 기지국 장치(12)로부터의 소정의 지시 신호에 대응하여, 결정된 변조 방식에 대응한 처리를 한다.
품질 측정부(22)는, 수신한 신호의 품질을 적절하게 측정한다. 수신한 신호의 품질은, 임의의 것이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변복조부(16)에 의해 복조한 신호 혹은 RSSI로부터, 수신한 희망 신호의 강도, 수신한 간섭 신호의 강도, 희망 신호와 간섭 신호와의 강도의 비 등을 측정한다. 혹은, 변복조부(16)에 의해 복조한 신호의 오류율을 측정해도 된다.
변조 방식 결정부(20)는, 품질 측정부(22)에 의해 측정한 신호의 품질로부터, 해당 측정한 품질에 따른 변조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한 변조 방식을 기지국 장치(12)에 통지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신호의 품질을 희망 신호와 간섭 신호와의 강도의 비로 하는 경우에, 미리 제1 기준치가 제2 기준치보다 높은 레벨에 있는 제1 기준치와 제2 기준치를 규정하여, 이들을 기억해 두고, 측정한 강도의 비가 제1 기준치 이상이면, 변조 방식을 16 QAM으로 결정하고, 측정한 강도의 비가 제1 기준치보다 작고 제2 기준치 이상이면, 변조 방식을 π/4 시프트 QPSK로 결정하고, 측정한 강도의 비가 제2 기준치보다 작으면, 변조 방식을 BPSK로 결정한다.
RF 부(18)는, 변복조부(16)에 의해 처리되는 기저 대역의 신호와 무선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주파수 변환, 증폭, AD 또는 DA 변환 등을 행한다.
단말기용 안테나(26)는, 무선 주파수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단말기용안테나(26)는, 무지향성 안테나, 소정의 지향성 안테나, 적응 어레이 안테나 중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제어부(24)는, 단말 장치(10)의 타이밍 처리, 제어 신호의 처리 등을 실행한다.
기지국용 안테나(28)는, 단말기용 안테나(26)와 마찬가지로 무선 주파수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기지국용 안테나(28)도, 무지향성 안테나, 소정의 지향성 안테나, 적응 어레이 안테나 중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RF 부(30)는, 후술한 변복조부(32)에 의해 처리되는 기저 대역의 신호와 무선 주파수의 신호 사이의 주파수 변환, 증폭, AD 또는 DA 변환 등을 행한다.
변복조부(32)는, 송신하여야 할 정보를 변조하고, 또한, 수신한 정보를 복조한다. 변조 방식은, BPSK, π/4 시프트 QPSK, 16 QAM 중 어느 하나를 적응적으로 선택한다. 여기서는, 하나의 단말 장치(10)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복수의 단말 장치(10)와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10) 단위로 변조와 복조를 실행한다.
인터페이스부(44)는, 기지국 장치(12)와 네트워크(46)를 접속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변복조부(32)에 의해 변조하여야 할 정보의 형식과 변복조부(32)에 의해 복조한 정보의 형식과, 네트워크(46)에서 통신되는 정보의 형식과의 변환을 실행한다. 네트워크(46)의 일례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인데, 인터페이스부(44)는 ISDN에 대응한 물리적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한다.
타임 슬롯 제어부(42)는, 기지국 장치(12)가 단말 장치(10)에 접속하는 경우, 단말 장치(10)에 대하여 타임 슬롯을 할당하고, 또한 할당한 타임 슬롯의 지시를 타임 슬롯 정보(202)에 포함시켜, 변복조부(32)로 출력한다. 또, 단말 장치(10)와의 통신이 패킷 통신이고, 또한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된 타임 슬롯 수 이상의 단말 장치를 접속하는 경우, 하나의 단말 장치(10)에 대한 타임 슬롯의 할당은, 타임 슬롯 할당 기간에 있어서 연속한 프레임에서 타임 슬롯을 할당하지만, 타임 슬롯 할당 기간 경과 후에는 할당하지 않고, 다시 타임 슬롯 할당 기간에 있어서 연속한 프레임에서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또한, 후술한 바와 같이, 잔여 기간을 계산한다.
품질 도출부(36)는, 상향 회선의 신호의 품질로서, 수신한 신호의 품질을 적절하게 측정한다. 수신한 신호의 품질로서는, 품질 측정부(22)와 마찬가지로, 변복조부(32)에 의해 복조한 신호 혹은 RSSI로부터, 수신한 희망 신호의 강도, 수신한 간섭 신호의 강도, 희망 신호와 간섭 신호와의 강도의 비 등을 측정한다. 한편, 하향 회선의 신호의 품질로서, 단말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변조 방식 결정부(20)에 의해 결정한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를 검출한다. 또는, 변조 방식 결정부(20)에 의해 결정한 변조 방식에 관한 정보 대신에, 품질 측정부(22)에 의해 측정한 신호의 품질이어도 된다. 또, 이상의 처리는, 타임 슬롯 제어부(42)와 마찬가지로, 단말 장치(10) 단위로 실행한다.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품질 도출부(36)에 의해 측정한 상향 회선의 신호의 품질 및 품질 도출부(36)에 의해 검출한 하향 회선의 신호의 품질에 적합한 변조 방식을, 상향 회선 및 하향 회선에 대하여 각각 결정한다. 신호의 품질이 희망신호와 간섭 신호와의 강도의 비인 경우,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희망 신호와 간섭 신호와의 강도의 비를 기억부(40)에 미리 기억한 기준치와 비교하여, 변조 방식을 결정한다. 도 2에, 기억부(40)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상술한 변조 방식 결정부(20)와 마찬가지로 2개의 기준치를 갖고 이들을 각각 「A」와 「B」로 한다. 측정한 희망 신호와 간섭 신호와의 강도의 비가 「A」 이상이면, 변조 방식을 16 QAM으로 결정하고, 측정한 희망 신호와 간섭 신호와의 강도의 비가 「A」보다 작고 「B」 이상이면, 변조 방식을 π/4 시프트 QPSK로 결정하고, 측정한 희망 신호와 간섭 신호와의 강도의 비가 「B」보다 작으면, 변조 방식을 BPSK로 결정한다.
또한,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타임 슬롯 제어부(42)와의 사이에서 입출력하는 기간 정보(200)에 포함된 잔여 기간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여, 잔여 기간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한 변조 방식으로의 변경을 결정하지만, 잔여 기간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결정한 변조 방식으로 변경하지 않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의 계속 사용을 결정한다.
제어부(38)는, 기지국 장치(12)의 타이밍 처리, 제어 신호의 처리 등을 실행한다.
이 구성은, 하드웨어적으로는, 임의의 컴퓨터의 CPU, 메모리, 그 밖의 LSI에서 실현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메모리의 로드된 예약 관리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서 실현되는데, 여기서는 이들의 제휴에 의해서 실현되는 기능블록을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기능 블록이 하드웨어만으로, 소프트웨어만으로, 또는 이들이 조합에 의해서 여러가지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다. 해당 프레임 포맷에서는, 복수의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것을 「프레임1」 내지 「프레임100」으로 도시하지만, 그 전후에도 도시 생략된 프레임이 배치되어 있다. 또, 소정의 단말 장치(10)에 대한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을 100 프레임으로 하면, 도시한 「프레임1」 내지 「프레임100」이 하나의 타임 슬롯 할당 기간에 상당한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이 8개의 타임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고,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것을 「슬롯1」 내지 「슬롯8」로 도시한다.
또한, 8개의 타임 슬롯 중, 4개의 타임 슬롯, 즉「슬롯1」 내지 「슬롯4」가 하향 회선에 사용되고, 남은 4개의 채널, 즉「슬롯5」 내지 「슬롯8」이 상향 회선에 사용된다.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슬롯1」 내지 「슬롯8」의 변조 방식을 각각 독립적으로 결정한다. 기지국 장치(12)는, 하나의 단말 장치(10)에 대하여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임 슬롯을 각각 할당하는데, 이것을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와 「슬롯6」으로 한다.
도 4는, 타임 슬롯 제어부(42)의 구성을 도시한다. 타임 슬롯 제어부(42)는, 타임 슬롯 할당부(50), 타임 슬롯 관리부(52), 할당 기간 검출부(54), 카운터(56), 잔여 기간 계산부(58)를 포함한다.
타임 슬롯 할당부(50)는, 통신 대상의 복수의 단말 장치(10)에 대하여 타임 슬롯을 각각 할당한다. 또한, 할당한 타임 슬롯의 지시를 변복조부(32)에 대하여, 타임 슬롯 정보(202)를 통하여 행함과 함께, 새로운 타임 슬롯의 할당의 요구를 변복조부(32)로부터 타임 슬롯 정보(202)에 의해서 접수한다.
타임 슬롯 관리부(52)는, 타임 슬롯 할당부(50)에 의해 할당된 타임 슬롯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관리하는 정보는, 단말 장치(10)에 할당된 타임 슬롯의 번호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을 포함하고, 또한 여기서는, 타임 슬롯 할당 기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5는, 타임 슬롯 관리부(52)에 의해 관리하는 할당된 타임 슬롯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사용자 ID」는, 단말 장치(10)를 식별하기 위한 기호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AABBCCDD」와 같이 알파벳 기호에 의해서 단말 장치(10)를 식별하지만, 이것은 숫자여도 되고, 또한 단말 장치(10)에 설정된 전화 번호이어도 된다. 「할당 슬롯」은, 하나의 단말 장치(10)에 할당한 타임 슬롯을 나타내어, 예를 들면 「#2, #6」은, 하향 회선에「슬롯2」를 할당하고, 상향 회선에「슬롯6」을 할당하고 있다. 또,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에 복수의 타임 슬롯을 할당하여도 된다.
「슬롯 구분」은,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처리의 간략화를 위해, 단말 장치(10) 단위로 독립한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을 설정하지 않고,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을 2개의 그룹 「α」와 「β」로 분류하여, 그룹 단위로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이 교대로 유효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면, 「α」의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이 「프레임1」 내지 「프레임100」으로 설정되면, 「β」의 타임슬롯 할당 기간이 「프레임101」 내지 「프레임200」으로 설정되고, 또한 「α」의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이, 「프레임201」 내지 「프레임300」으로 다시 설정된다. 「변조 방식(상향)」은, 상향 회선에 대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이고, 「변조 방식(하향)」은, 하향 회선에 대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이다.
할당 기간 검출부(54)는, 타임 슬롯 관리부(52)에 의해 관리하는 타임 슬롯에 관한 정보로부터, 타임 슬롯 할당 기간, 특히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의 종료 타이밍을 검출한다.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은, 상술된 바와 같이 슬롯 구분 「α」 또는 「β」으로서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α」 또는 「β」로부터, 해당 슬롯 구분이 종료하는 타이밍 혹은 시각으로 환산한다. 예를 들면, 「α」로부터 「프레임100」에서 종료나, 「프레임300」에서 종료로 도출한다.
카운터(56)는, 프레임 단위로 카운트를 실행하여, 현재의 타이밍이나 프레임의 번호를 관리한다. 여기서는, 적응 변조의 동작 타이밍을 프레임 단위로 하기 때문에, 카운트치가 그대로 변조 방식의 변경을 계획하는 타이밍, 즉 상술한 예정타이밍에 상당한다.
잔여 기간 계산부(58)는,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의 종료 타이밍과 예정 타이밍에서, 잔여 기간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의 종료 타이밍이 「프레임300」이고, 예정 타이밍이 「프레임250」이면, 잔여 기간은 「50」으로 된다. 잔여 기간 계산부(58)는, 계산한 잔여 기간의 결과를 기간 정보(200)에 포함시켜 출력한다. 또한, 기간 정보(200)는, 도 1의 변조 방식 제어부(34)가, 타임 슬롯 관리부(52)로부터 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도 6은, 변조 방식의 변경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조 방식의 변경 처리는, 프레임 단위로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타임 슬롯 관리부(52)는, 할당된 타임 슬롯에 관한 정보로부터 슬롯 할당 대기 사용자의 존재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프레임으로 3 사용자의 단말 장치(10)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기지국 장치(12)의 경우, 타임 슬롯 관리부(52)에 의해 기억된 단말 장치(10)의 수가 4 이상이면, 슬롯 할당 대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슬롯 할당 대기 사용자가 있으면(S10의 Y), 할당 기간 검출부(54)가 타임 슬롯 관리부(52)로부터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을 검출한다(S12). 카운터(56)는, 예정 타이밍을 검출한다(S14). 잔여 기간 계산부(58)는, 타임 슬롯 할당 기간과 예정 타이밍으로부터 잔여 기간을 계산한다(S16).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잔여 기간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잔여 기간이 임계값 이상이면(S18의 Y), 품질 도출부(36)에 의해 도출된 전송로 품질로부터 새로운 변조 방식을 취득한다(S20). 또한, 타임 슬롯 관리부(52)에 있어서, 슬롯 할당 대기 사용자가 없다(S10의 N)라는 결과가 얻어지면,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새로운 변조 방식을 취득한다. 그때까지 사용하고 있었던 변조 방식과 새롭게 취득한 변조 방식이 동일하지 않으면(S22의 N), 변조 방식 변경 처리를 실행한다(S24). 한편, 변조 방식 제어부(34)에 의해 비교한 잔여 기간이 임계값 이상이 아니면(S18의 N), 혹은 그때까지 사용하고 있었던 변조 방식과 새롭게 취득한 변조 방식이 동일하면(S22의 Y), 변조 방식을 변경하지 않는다(S26).
도 7은, 통신 개시 처리의 시퀀스도이다. 해당 처리는, 적응 변조를 실행하지 않지만, 적응 변조를 위한 전(前)처리에 상당한다. 단말 장치(10)는, 기지국 장치(12)에 대하여 새로운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LCH(Link channel) 확립 요구를 출력한다(S30). 기지국 장치(12)의 타임 슬롯 제어부(42)가, 해당 단말 장치(10)에 타임 슬롯을 할당한 경우, 즉 LCH를 할당한 경우, 단말 장치(10)에 LCH 할당을 출력한다(S32). 단말 장치(10)는, 통신 프로토콜의 더 상위층에서의 동기를 확립하기 위해서, 할당된 타임 슬롯에서, 기지국 장치(12)에 대하여 동기 버스트를 출력한다(S34).
또한, 기지국 장치(12)는 단말 장치(10)에 대하여, 동기 버스트의 응답을 출력한다(S36). 단말 장치(10)와 기지국 장치(12)의 사이에서 소정의 정보가 교환 가능하게 되면, 단말 장치(10)와 기지국 장치(12)는, 처리 가능한 변조 방식의 정보 교환하는 등 처리를 포함한 기능 협의를 실행한다(S38). 단말 장치(10)와 기지국 장치(12)는, 초기적으로 정해진 π/4 시프트 QPSK로 통신한다(S40). 이 단계에서는, 전송로 품질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적응 변조도 실행하지 않는다.
도 8은, 하향 회선의 변조 방식 변경 처리의 시퀀스도이다. 단말 장치(10)와 기지국 장치(12)는, 도 7의 단계 40과 마찬가지로, π/4 시프트 QPSK로 통신한다(S50). 단말 장치(10)의 품질 측정부(22)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전송로 품질을 측정한다(S52). 변조 방식 결정부(20)는, 측정한 전송로 품질로부터, 기지국 장치(12)에 요구하여야 할 변조 방식을 16 QAM으로 결정한다(S54). 또한, 단말 장치(10)로부터 기지국 장치(12)에 대하여, 요구하여야 할 변조 방식의 정보가 포함된 변조 방식 전환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S56). 기지국 장치(12)의 타임 슬롯 제어부(42)와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스케쥴링 조건을 판정하여 (S58), 즉, 타임 슬롯 제어부(42)에 의해 계산한 잔여 기간이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π/4 시프트 QPSK로부터 16 QAM으로의 변조 방식의 변경을 결정한다(S60). 기지국 장치(12)는, 단말 장치(10)에 결정한 변조 방식으로의 변경을 지시하기 위해서, 변조 방식 통지 신호를 송신한다(S62). 단말 장치(10)와 기지국 장치(12)의 사이에서, 변조 방식을 전환하기 위해서, 재동기 처리 등을 포함한 변조 방식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S64). 그 후, 단말 장치(10)와 기지국 장치(12)는, 16 QAM으로 통신한다(S66). 또, 단계 58에서, 잔여 기간이 임계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변조 방식의 변경을 실행하지 않는다. 그 결과, 단계 62와 단계 64의 처리가 생략되어, 해당 처리에 요하는 기간에 걸쳐 있더라도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효율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상향 회선의 변조 방식 변경 처리의 시퀀스도이다. 단말 장치(10)와 기지국 장치(12)는, 도 7의 단계 40과 같이, π/4 시프트 QPSK로 통신한다(S70). 기지국 장치(12)의 품질 도출부(36)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전송로 품질을 측정한다(S72). 타임 슬롯 제어부(42)와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스케쥴링 조건을 판정하여(S74), 즉, 타임 슬롯 제어부(42)에 의해 계산한 잔여 기간이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측정한 전송로 품질로부터, π/4 시프트 QPSK로부터 16 QAM으로의 변조 방식의 변경을 결정한다(S76).
기지국 장치(12)는, 단말 장치(10)에 결정한 변조 방식으로의 변경을 지시하기 위해서, 변조 방식 통지 신호를 송신한다(S78). 단말 장치(10)와 기지국 장치(12)의 사이에서, 변조 방식을 전환하기 위해서, 재동기 처리 등을 포함한 변조 방식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S80). 그 후, 단말 장치(10)와 기지국 장치(12)는, 16 QAM으로 통신한다(S82). 또, 단계 74에서, 잔여 기간이 임계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하향 회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변조 방식의 변경을 실행하지 않는다. 그 결과, 단계 78과 단계 80의 처리가 생략되어, 해당 처리에 요하는 기간에 걸쳐 있더라도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효율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본 실시예에서의 변조 방식 제어부(34)에 의해 잔여 기간과 비교하여야 할 임계값에 대하여,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을 「100 프레임」, 도 8의 단계 64나 도 9의 단계 80의 「변조 방식 전환 기간」을 「10 프레임」, 「변조 방식이 π/4 시프트 QPSK인 경우의 하나의 타임 슬롯에서 송신 가능 데이터 사이즈」를 「160 비트」, 「변조 방식이 16 QAM인 경우의 하나의 타임 슬롯에서 송신 가능 데이터 사이즈」를 「320 비트」로 한다. 채널 할당 기간을 통해서 π/4 시프트 QPSK를 사용한 경우, 16000 비트를 송신 가능하다.
한편, 채널 할당 기간 중, z 프레임에서 변조 방식을 π/4 시프트 QPSK로부터 16 QAM으로 변경한 경우, π/4 시프트 QPSK로 송신한 데이터 수는, 160×z 비트로 되고, 16 QAM으로 송신한 데이터 수는, 320×(90-z) 비트로 된다. π/4 시프트QPSK로 송신한 데이터 수와 16 QAM으로 송신한 데이터 수의 합이, 전부 π/4 시프트 QPSK로 송신한 데이터 수보다 커지면, 변조 방식의 변경에 의해서 전송 효율이 향상하기 때문에, z를 계산하면, z가 80보다 작으면 되게 된다. 그 결과, 임계값은, 21로 된다. 즉,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잔여 기간이 21 프레임 이상인 경우에, 변조 방식을 π/4 시프트 QPSK로부터 16 QAM으로 변경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기지국 장치(12)의 동작을 설명한다. 타임 슬롯 할당부(50)는, 통신 대상의 단말 장치(10)에 대하여,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또한, 타임 슬롯 관리부(52)는, 할당한 타임 슬롯을 관리한다. 할당 기간 검출부(54)는, 타임 슬롯 관리부(52)로부터 해당 단말 장치(10)에 대한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을 검출하고, 검출한 타임 슬롯 할당 기간부터, 해당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의 종료 타이밍을 특정한다.
카운터(56)는, 카운트를 실행하여, 단말 장치(10)에 대하여 적응 변조를 실행할 예정 타이밍을 출력한다. 잔여 기간 계산부(58)는, 타임 슬롯 할당 기간의 종료 타이밍과, 예정 타이밍으로부터 잔여 기간을 계산한다.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잔여 기간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변조 방식을 현재의 것으로부터 변경하지 않는 결정을 한다. 한편, 잔여 기간이 임계값 이상이면, 품질 도출부(36)로부터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의 전송로 품질을 각각 취득하고, 취득한 전송로 품질로부터, 새롭게 사용되어야 하는 변조 방식을 결정한다. 또한, 결정한 변조 방식은, 단말 장치(10)에 통지한다. 최종적으로, 변복조부(32)는, 변경한 변조 방식에 의해서, 변복조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장치는, 소정의 단말 장치에 할당한 타임 슬롯의 잔여 기간을 도출하고, 도출한 타임 슬롯의 잔여 기간과 변조 방식의 변경 처리에 요하는 기간을 비교하고나서 변조 방식을 변경하기 때문에, 변조 방식의 변경에 의해서,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향상하지 않는 경우에는, 변조 방식을 변경하지 않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했다. 이 실시예는 예시이고, 이들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공정의 조합에 여러가지의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100)은, 간이형 휴대 전화 시스템을 대상으로 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TDMA 방식을 채용한 셀룰러형의 휴대 전화 시스템 등이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여러가지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게 된다. 즉, 단말 장치에 대하여 할당한 채널에 시간적 제한이 있으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변복조부(32)나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전송 속도의 적응적인 변경 처리로서, BPSK나 16 QAM 등의 서로 다른 변조 방식을 처리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오류 정정의 부호화율을 처리 대상으로 해도 되고, 또한 변조 방식과 오류 정정의 부호화율을 조합한 것을 처리 대상으로 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전송 속도를 보다 상세하게 설정 가능하게 된다. 즉, 복수 종류의 전송 속도가 실현되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품질 도출부(36)나 변조 방식 제어부(34)에 의해서 상하 회선의 변조 방식은, 독립되어 제어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품질 도출부(36)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향 회선의 전송로 품질을 측정하고, 변조 방식 제어부(34)는, 측정한 전송로 품질로부터 상하 회선 공통의 변조 방식을 결정해도 되고, 혹은 품질 도출부(36)에 의해 측정한 하나의 전송로 품질로부터, 변조 방식 제어부(34)가 상하 회선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값으로부터 상하 회선의 변조 방식을 각각 결정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변조 방식의 결정에 필요한 처리를 경감할 수 있다. 즉, 실제의 전송로 품질에 기초하여 변조 방식이 결정되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잔여 기간 계산부(58)는, 예정 타이밍과 채널 할당 기간으로부터, 잔여 기간을 계산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카운터(56)에 의한 카운트 대신에 채널 할당 기간을 소정의 값으로부터 감산하도록 제어하여, 해당 감산한 채널 할당 기간의 값이 그대로 잔여 기간을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처리를 보다 간략하게 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잔여 기간을 확인할 수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 효율을 고려하여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 전송 속도 변경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지국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단말 장치와 가변의 전송 속도로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기간에 걸쳐서 채널을 할당하는 채널 할당부와,
    상기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에,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 속도를 변경하여야 할 타이밍을 계획하는 변경 계획부와,
    상기 채널이 할당된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변경 계획부에 의해서 전송 속도의 변경이 계획되는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 속도의 변경의 실행 가부를 결정하는 변경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을 도출하는 전송로 품질 도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 결정부는, 상기 채널이 할당된 기간의 길이와 상기 전송 속도의 변경이 계획되는 타이밍으로부터, 전송 속도를 변경한 경우의 채널의 잔여 기간을 도출하고, 또한 상기 도출한 채널의 잔여 기간에 따라, 상기 도출한 전송로 품질에 기초한 전송 속도로의 변경의 실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 품질 도출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로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기초로 전송로 품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 품질 도출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로 품질로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전송로 품질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5. 단말 장치에 대하여 채널을 할당한 기간 내에, 전송 속도의 변경을 계획하는 단계와,
    상기 계획의 실행 가부를 해당 계획의 실행에 수반하는 전송 효율의 저하분을 가미하여 정해진 기준에 의해 연산 처리에 의해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속도 변경 방법.
  6.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기간에 걸쳐서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에,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 속도를 변경하여야 할 타이밍을 계획하는 단계와,
    계획된 타이밍에서 상기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가 여부를 상기 채널이 할당된기간 중의 상기 계획된 타이밍을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속도 변경 방법.
  7.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기간에 걸쳐서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에,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전송 속도를 변경하여야 할 타이밍을 계획하는 단계와,
    계획된 타이밍에서 상기 전송 속도를 변경하는가 여부를 상기 채널이 할당된 기간 중의 상기 계획된 타이밍을 기초로 판단하는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20040036263A 2003-05-23 2004-05-21 전송 속도 변경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지국 장치 KR101044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6053A JP3796233B2 (ja) 2003-05-23 2003-05-23 伝送速度変更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基地局装置
JPJP-P-2003-00146053 2003-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054A true KR20040101054A (ko) 2004-12-02
KR101044852B1 KR101044852B1 (ko) 2011-06-28

Family

ID=3309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6263A KR101044852B1 (ko) 2003-05-23 2004-05-21 전송 속도 변경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지국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10531B2 (ko)
EP (1) EP1480481B1 (ko)
JP (1) JP3796233B2 (ko)
KR (1) KR101044852B1 (ko)
CN (1) CN1574988A (ko)
DE (1) DE602004003421D1 (ko)
TW (1) TWI2711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2419B4 (de) * 2001-05-09 2007-11-08 Siemens Ag Verfahren zur dynammischen Kanalzuordnung
KR20060006725A (ko) * 2004-07-16 200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채널을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자율전송을 위한 파라미터 결정 방법 및 장치
JP4559205B2 (ja) * 2004-12-13 2010-10-06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システム
JP4699482B2 (ja) * 2005-02-02 2011-06-08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ポジティブ型ドライフィルムフォトレジストの製造方法
WO2006083139A1 (en) * 2005-02-07 2006-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rate of control response frame for acknowledging data receipt in wireless lan
KR100677568B1 (ko) * 2005-02-07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 상의 데이터 수신에 대한 제어 응답 프레임의 전송속도 결정 방법
JP4521308B2 (ja) * 2005-03-29 2010-08-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JP4510681B2 (ja) * 2005-04-01 2010-07-2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基地装置、通信方式選択方法および通信方式選択プログラム
EP3582542B1 (en) 2005-04-26 2021-05-26 Conversant Wireless Licensing S.A.R.L. Fixed hs-dsch or e-dch allocation for voip (or hs-dsch without hs-scch/e-dch without e-dpcch)
US7783267B1 (en) * 2005-06-23 2010-08-24 Magnolia Broadband Inc. Modifying a signal in response to quality indicator availability
US20070009064A1 (en) * 2005-07-07 2007-01-11 Zhijun Cai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transmission of multiple data streams
JP2007067584A (ja) * 2005-08-29 2007-03-15 Kyocera Corp タイムスロット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369246B2 (en) * 2005-12-30 2016-06-14 Vtech Telecommunications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enhancing WiFi real-time communications
JP2007184771A (ja) * 2006-01-06 2007-07-19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
EP2186242B1 (en) 2007-09-10 2017-07-05 Nokia Technologies Oy Changing hardware settings based on data preamble
DE102007053828B4 (de) * 2007-11-12 2009-06-18 Infineon Technologies Ag Übertragung kodierter Daten
US8203998B2 (en) * 2008-03-28 2012-06-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cancell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211974B2 (ja) * 2008-09-18 2013-06-1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2648608B (zh) 2009-11-27 2016-08-24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无线通信装置及无线通信方法
WO2011104417A1 (en) * 2010-02-25 2011-09-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modifying a semi-persistent scheduling allocation
WO2013081577A1 (en) * 2011-11-28 2013-06-06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Scheduling for enhancing communication performance
CN102821076B (zh) * 2012-06-29 2014-12-24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音频通信调制方式自适应的方法、系统、装置、电子签名工具
JP6372740B2 (ja) * 2014-05-09 2018-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機器、伝送レート制御方法、及び伝送レート制御プログラム
US9713018B2 (en) * 2014-10-24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LTE cell search and bluetooth eSCO coexistence using shared antenna
CN106487733B (zh) * 2015-08-31 2019-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发送端、接收端及系统
US10090818B1 (en) * 2017-09-18 2018-10-02 Silicon Laboratories Inc. Adaptive signal compressor for AM radio
CA3119990A1 (en) 2018-11-14 2020-05-22 Skywave Networks Llc Gear shifting in a skywav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756A (ja) 1995-03-30 1996-10-18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US6167031A (en) * 1997-08-29 2000-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selecting a combination of modulation and channel coding schemes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6389066B1 (en) * 1997-09-21 2002-05-14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modification of modulated and coded schem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95719B1 (en) * 2000-06-20 2006-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acket selection in uncoordinated radio systems
JP3530118B2 (ja) * 2000-08-29 2004-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7477702B2 (en) * 2000-11-30 2009-01-1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ing a switching threshold for a transmitter utilizing adaptive modulation techniques
JP2002290362A (ja) 2001-03-26 2002-10-04 Ntt Docomo Inc 適応変調方法、無線制御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2290246A (ja) 2001-03-28 2002-10-0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送受信機
JP3668437B2 (ja) * 2001-05-24 2005-07-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33869A1 (en) 2004-11-25
DE602004003421D1 (de) 2007-01-11
CN1574988A (zh) 2005-02-02
EP1480481B1 (en) 2006-11-29
TW200503562A (en) 2005-01-16
TWI271108B (en) 2007-01-11
JP2004350107A (ja) 2004-12-09
JP3796233B2 (ja) 2006-07-12
EP1480481A1 (en) 2004-11-24
US7310531B2 (en) 2007-12-18
KR101044852B1 (ko) 201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852B1 (ko) 전송 속도 변경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지국 장치
US989391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JP4629196B2 (ja) 中間割り当て法
US916131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nd/or using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US7292863B2 (en) Admiss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2916724B (zh) 用户装置、发送方法以及通信系统
EP1856831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rate adaptation
US2007014913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utilizing a plurality of dictionaries
KR100772746B1 (ko) 통신 단말 및 기지국 선택 방법
EP2945451A1 (en) Interference redu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by scheduling and link adaptation
US20080002626A1 (en) Communication device
EP2005629B1 (en) Channel quality signaling
WO2006049009A1 (ja) 回線品質報告方法、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端末
JP3902560B2 (ja) チャネル割当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5375832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KR101121312B1 (ko) 전송 속도 결정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기지국 장치, 단말장치, 통신 시스템
JP2004135180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20080080032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형식을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20386282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JP2005102073A (ja) 伝送レート変更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基地局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4340126B2 (ja) 基地局装置選択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端末装置
KR100661435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방식에서의 부반송파 동적할당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