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011A -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011A
KR20040101011A KR1020040035877A KR20040035877A KR20040101011A KR 20040101011 A KR20040101011 A KR 20040101011A KR 1020040035877 A KR1020040035877 A KR 1020040035877A KR 20040035877 A KR20040035877 A KR 20040035877A KR 20040101011 A KR20040101011 A KR 2004010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proof information
proof
identificat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2865B1 (ko
Inventor
시바따요시끼
센스이구니오
야마모또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21C1/065Worm or screw mixers, e.g. with consecutive mix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21C1/141Tools having mixing or cutting element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ir 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Abstract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해당 제1 증명 정보를 해당 데이터를 재생하는 게임기에 발행하고, 해당 제2 증명 정보를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IC 카드에 발행하는 등록소를 구비하고 있다. 게임기는, 게임기에 상기 제1 증명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또한 IC 카드에 제2 증명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 등을 행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의 부정 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ILLEGAL DATA USE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저작권을 갖는 게임이나 음악 등의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의 보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게임 소프트나 음악 등의 디지털 데이터는, CD-ROM(Read Only Memory)이나 DVD(Digital Video Disc), 또는 그 밖의 매체에 기록되어, 암호화나 복사 프로텍트 등의 방법에 의해 부정 사용의 방지가 행해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110137호 공보(2001년 4월 20일 공개)는, 부정 복사 처리를 실시한 디스크 및 디스크 플레이어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서의 디지털 데이터의 부정 사용 방지의 방법에서는, 일단 암호 해독이나 복사 프로텍트 제거를 위한 기술적 수단이 작성되면, 그 기술적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부정 사용이 행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의 부정 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의 판매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서의 게임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1에서의 IC 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IC 카드
3 : 게임기
4 : 기록 매체
5 : 판매점 단말기
9 : 등록소
본 발명의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해당 제1 증명 정보를 상기 재생 장치에 발행하고, 해당 제2 증명 정보를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하는 증명 정보 발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가, 상기 제1 증명 정보를 기억하는 제1 증명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제2 증명 정보가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증명 정보 발행 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가, 각각 데이터 재생 장치와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된다. 그리고, 인증 수단은,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가, 각각 데이터 재생 장치 또는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 이용자 식별 매체로서는, IC 카드, 휴대 전화 등, 이용자마다 공급되어 이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는, 증명 정보 발행 수단에 의해 데이터에 대응하여 발행되는 것이다. 즉, 인증 수단은, 데이터 재생 장치 및 이용자 식별 매체가,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명 정보를 갖는 정규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재생 장치는, 인증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재생하므로, 이용자 식별 매체가 정규의 것인 경우에 데이터를 재생하는 한편, 이용자 식별 매체가 제2 증명 정보를 갖지 않는 부정의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데이터를 재생하지 않도록 구성 가능하다. 또, 여기서는 "데이터의 재생"이라는 문언을, 음악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재생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에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이용자 식별 매체가 정규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있어서, 정규의 루트로 제2 증명 정보가 기억된 이용자 식별 매체를 그 때마다 제시할 필요가 있어, 부정하게 취득된 암호 해독이나 복사 프로텍트 제거를 위한 기술적 수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의 부정 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의 기재 내용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1. 시스템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의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1)은, IC 카드(이용자 식별 매체 : 2)와, 게임기(데이터 재생 장치 : 3)와, 기록 매체(4)와, 판매점 단말기(증명 정보 발행 수단, 증명 정보 기입 장치 : 5)와, 등록소(증명 정보 발행 수단 : 9)로 구성된다.
IC 카드(2)는, 게임기(3)에 의해 판독됨과 함께, 기록 매체(4)에 기록된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사용 권리 정보를 기록하는 매체이다. 또, 사용 권리 정보란, 기록 매체(4)에 암호화되어 기록된 디지털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해 필요한 복호 키 등의 복호화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는 "디지털 콘텐츠"라는 문언은, 기록 매체(4)에 기록된 게임 소프트 등의 프로그램, 및 영화, 음악 등의 디지털 데이터의 양방을 포함하는 의미에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IC 카드(2)는 판매점 단말기(5)에 의해 발행된다. 이 판매점단말기(5)는, 기록 매체(4)의 판매점에 설치됨과 함께, IC 카드(2)에 기록해야 할 사용 권리 정보나 IC 카드 자신의 ID 정보(데이터 식별 정보)를,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와의 사이에서 교환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 판매점 단말기(5)는 상술한 사용 권리 정보 등을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사용 권리 정보 등을 공개 키 암호에 의한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방식을 이용하여 IC 카드(2)에 기록한다.
게임기(3)는, 기록 매체(4)에 기록된 게임 소프트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기이다. 또한, 게임기(3)는 기록 매체(4)에 기록된 영화, 음악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이하의 기재에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을, 단순히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이라고 환언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게임기(3)는 IC 카드(2)에 기록된 사용 권리 정보를 판독하거나, IC 카드(2)에 기록된 다른 정보를 판독하거나 또는 기입하거나 하는 IC 카드 리더/라이터부(이하, 단순히 IC 카드 R/W부라고 함 : 7)를 구비하고 있다. 또, 게임기(3)와 IC 카드 R/W부(7)를 별개의 부재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게임기(3)는 등록소(9)와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된 게임기 메이커(8)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의 등록소(9)는 IC 카드(2)에 기록된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증명 정보를 게임기 메이커(8)에 발행한다. 이 제1 증명 정보는 게임기 메이커(8)에 의해, 게임기(3)의 내부 기억 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등록소(9)는 게임기 메이커(8)에 부여한 제1 증명 정보와 관련된 제2 증명 정보를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에도 발행한다.
또,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 게임기 메이커(8), 및 등록소(9)는 동일 주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판매점 단말기(5)와,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와, 게임기 메이커(8)와, 등록소(9)는 상호 통신 회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하여 게임 소프트를 판매하는 경우에는, 판매점 단말기(5)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 자신이 사용 권리 정보가 기록된 IC 카드(2)를 발행하여, 이 IC 카드(2)와 기록 매체(4)가 이용자에게 우송·택배되도록 해도 된다. 혹은, 편의점 등의 점포에서 이용자에게 IC 카드(2) 및 기록 매체(4)가 직접 전달되도록 해도 된다.
게임기(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소(9)로부터 제공되는 제1 증명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에게 삽입된 IC 카드(2)의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4)에 기록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 게임기(3)의 상세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기록 매체(4)는, 상술된 바와 같이 게임 소프트 등의 프로그램, 혹은 음악, 영화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으로, CD-ROM, DV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4)는, 기록 매체(4)에 기록된 디지털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ID 코드를 기록한 RF-ID(데이터 식별 매체 : 10)를 구비하고 있다. RF-ID(10)로서는, 비접촉 IC 칩 중, 최대 20㎝의 통신 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비접촉으로 판독 가능한 RF-ID(10)를 이용함으로써, 기록 매체(4)의 구입 시에 있어서, 기록 매체(4)의 포장을 개봉하지 않고, 판매점 단말기(5)에 의해 상기 ID 코드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RF-ID(10)는 기록 매체(4)에 직접 첨부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RF-ID(10)는 기록 매체(4)를 포장하고 있는 포장 상자에 첨부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의 형태의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1)에서, 게임기(3)는 IC 카드(2)의 사용 권리 정보를 판독함과 함께, 그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한지를, 게임기(3)가 기억하고 있는 제1 증명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게임기(3)는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하다고 판단한 경우, 기록 매체(4)에 기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 기록 매체의 판매점에서, IC 카드(2)에 사용 권리 정보가 기입되었을 때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용자가 구입을 희망하는 디지털 콘텐츠가 기록된 기록 매체를 계산대에 가지고 가면, 판매점 단말기(5)의 조작 담당자가, 이용자에게 IC 카드(2)의 제시를 요구한다. 또, 이용자가 IC 카드(2)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수속을 행하여 IC 카드(2)를 구입할 필요가 있지만, 이하에서는 이용자가 이미 IC 카드(2)를 구입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어서, 조작자는 기록 매체(4)의 RF-ID(10)에 기록된 ID 코드를 판매점 단말기(5)의 RF-ID 리더를 이용하여 판독한다. 이에 의해, 사용 권리 정보가 필요한 디지털 콘텐츠의 ID 코드가 판매점 단말기(5)에 입력된다.
이후에는, 판매점 단말기(5)에 인스톨된 사용 권리 정보 취득 프로그램의 화면 지시(도시 생략)에 따라, 조작자가 판매점 단말기(5)를 조작한다. 이에 의해,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 등의 사용 권리 정보의 관리자와, 판매점 단말기(5)와의 사이에서 상호 인증이 행하여져, 상기 ID 코드로부터 이용자가 사용 권리 정보를 공급해도 되는 사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상호 인증이 완료하면,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로부터 판매점 단말기(5)에 사용 권리 정보가 송신된다. 동시에,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는 등록소(9)에 의해 발행된 제2 증명 정보를 판매점 단말기에 송신한다. 판매점 단말기(5)는, 이와 같이 송신된 제2 증명 정보 및 사용 권리 정보를, IC 카드(2)에 기입한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IC 카드(2)에 사용 권리 정보가 기입된다.
[2. 판매점 단말기의 구성]
이어서, 판매점 단말기(5)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매점 단말기(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통신 수단 : 20)와, IC 카드 R/W부(21)와, 매체 정보 리더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20)는,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해, 증명 정보 취득부(23a)와, 사용 권리 정보 취득부(23b)와, ID 정보 송신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증명 정보 취득부(23a)는, 등록소(9)(도 1)에 의해 발행된 제2 증명 정보를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로부터 취득한다. 사용 권리 정보 취득부(23b)는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로부터 사용 권리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ID 정보 송신부(24)는 후술하는 매체 정보 리더부(22)에 설치된 ID 정보 리더부(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 수단 : 26)에 의해 판독되는 RF-ID(10) 내의 ID 코드를,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에 송신한다.
IC 카드 R/W부(21)는, IC 카드(2)에 기록된 각종 정보의 판독/기입을 행한다. 또한, IC 카드 R/W부(21)는 증명 정보 R/W부(기입 수단 : 25a)와, 사용 권리 정보 R/W부(25b)를 구비하고 있다.
증명 정보 R/W부(25a)는, 증명 정보 취득부(23a)가 취득한 제2 증명 정보를 IC 카드(2)에 기입한다. 또한, 사용 권리 정보 R/W부(25b)는 상술한 사용 권리 정보 취득부(23b)가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로부터 취득한 사용 권리 정보를, IC 카드(2)에 기입한다.
또한, 매체 정보 리더부(22)는, 기록 매체(4)에 첨부된 RF-ID(10)의 각종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ID 정보 리더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ID 정보 리더부(26)는 RF-ID(10)에 기록되는 ID 코드를 판독하고, 통신부(20)에서의 ID 정보 송신부(24)에 송신하는 것이다. 또, 이 ID 코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4)에 기록된 디지털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판매점 단말기(5)는 ID 정보 리더부(26)에 의해 RF-ID(10)로부터 ID 코드를 판독하고, 또한 판독한 ID 코드를 ID 정보 송신부(24)에 의해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에 송신한다. 한편,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는, ID 정보 송신부(24)로부터의 ID 코드를 수신하면, 그 ID 코드에 대응한 제2 증명 정보 및 사용 권리 정보를, 각각 증명 정보 취득부(23a) 및 사용 권리 정보 취득부(23b)에 송신한다. 그리고, 증명 정보 R/W부(25a)는, 증명 정보 취득부(23a)로부터 송신되는 제2 증명 정보를 IC 카드(2)에 기입한다. 동시에, 사용 권리 정보 R/W부(25b)는 사용 권리 정보 취득부(23b)로부터 송신되는 사용 권리 정보를 IC 카드(2)에 기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판매점 단말기(5)에 의한 제2 증명 정보 및 사용 권리 정보의 IC 카드(2)에의 기입 작업이 행해진다.
[3. 게임기의 구성]
이어서, 게임기(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게임기(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0)와, 프로그램 판독부(31)와, 통신 회선 I/F부(32)와, 조작 I/F부(33)를 구비하고 있다. 또, 게임기(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 카드 R/W부(7)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0)는, 게임기(3)에 의해 실현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작업을 통괄하여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30)는, 증명 정보 기억부(제1 증명 정보 기억 수단 : 34)와, 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인증 수단, 데이터 재생 가부 판단 수단 : 35)와, 암호 처리부(복호화 수단 : 36)와, 게임 실행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증명 정보 기억부(34)는, 게임기(3)의 제조 시에 게임기 메이커에 의해 부여되는 제1 증명 정보를 기억한다. 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는, IC 카드 R/W부(7)에 의해 IC 카드(2)로부터 판독된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수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암호 처리부(36)는, 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에 의해 IC 카드(2) 내의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 IC 카드(2)로부터 사용 권리 정보 내의 복호 키를 취득하여, 프로그램 판독부(31)에 판독되는 기록 매체(4) 내의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복호화한다.
게임 실행부(37)는, 암호 처리부(36)에 의해 복호화된 기록 매체(4)의 디지털 콘텐츠에 기초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게임 실행부(37)는,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 동작에 의해 얻어지는 음성 신호·영상 신호 등을 TV 모니터 등의 외부 출력 기기(38)에 출력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어부(30)는 IC 카드(2)에 기록된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한 것인지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4)에 기록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한다.
통신 회선 I/F부(32)는, 외부 통신 회선과 제어부(30)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 통신 회선 I/F부(32)에 의해 외부와 통신 가능하므로, 게임기(3)는, 네트워크 대전형의 게임이나, 증명 정보 기억부(34)에 기억된 제1 증명 정보의 업데이트 등을 행할 수 있다. 또, 조작 I/F부(33)는, 이용자가 게임기(3)를 조작하기 위해 이용하는 조작기(39)와, 게임기(3)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IC 카드 R/W부(7)는, IC 카드(2) 내의 제2 증명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증명 정보 리더부(7a)와, IC 카드(2) 내의 사용 권리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사용 권리 정보 리더부(7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사용 권리 정보 리더부(7b)에 판독된 사용 권리 정보는, 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에 의해 그 진위가 확인된다. 이하, 이 사용 권리 정보에 관한 진위의 확인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 권리 정보에 관한 진위의 확인은,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에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는, 증명 정보 리더부(7a)에 의해 판독되는 IC 카드(2) 내의 제2 증명 정보와, 증명 정보 기억부(34)에 기억된 제1 증명 정보가 관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는, 등록소(9)(도 1)에 의해, 관련지어진 상태에서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 및 게임기 메이커(8)에 발행된다. 그리고, 게임 소프트웨어 메이커(6)는, 판매점 단말기(5)(도 1)를 통하여 IC 카드(2)에 인증 정보를 기입한다. 한편, 게임기 메이커(8)는, 게임기의 제조 시에 증명 정보 기억부(34)에 제1 증명 정보를 저장한다. 즉, 정규의 판매점 단말기(5)에 의해 제2 증명 정보나 사용 권리 정보가 기입된 IC 카드(2)를 이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경우, IC 카드(2) 내의 제2 증명 정보와, 게임기(3)의 증명 정보 기억부(34)에 기억된 제1 증명 정보와는 관련지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는, 이들의 증명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IC 카드(2) 내의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는, 이들의 증명 정보가 관련지어졌다고 판단한 경우에, IC 카드(2) 내의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하다고 판단한다.
또, 암호 처리부(36)는, 상술한 수순에 의해 IC 카드(2) 내의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하다고 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가 판단한 경우에, IC 카드(2)로부터 복호 키를 취득하여 기록 매체(4) 내의 디지털 콘텐츠를 복호화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게임기(3)는, IC 카드(2) 내의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한 경우에, 기록매체(4) 내의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IC 카드(2) 내의 사용 권리 정보가 적정하다고 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에 의해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암호 처리부(36)는 IC 카드(2)로부터 복호 키를 취득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게임기(3)는 IC 카드(2)가 부정한 경우에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4. IC 카드의 구성]
이어서, IC 카드(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IC 카드(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억부(40)와 제어부(41)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40)는, 제2 증명 정보(43)를 기억하는 한편, 복수의 게임마다 사용 권리 정보(44) 및 게임 개별 정보(45)를 기억한다.
제2 증명 정보(4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 권리 정보의 진위 확인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제2 증명 정보(43)는 PKI 방식에 의해 등록소(9)로부터 발행되는 정보이면, 공개 키, 비밀 키, 전자 증명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 권리 정보(44)는, 게임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복호 키나, 게임의 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사용 권리 정보(44)로서, 이용자가 기록 매체(4)의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한 횟수를 나타내는 횟수 제한 정보를 추가해도 된다. 이 사용 횟수 정보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이용자가 있는 콘텐츠를 10회 재생하면 별도의 콘텐츠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횟수와 관련한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게임 개별 정보(45)는, 게임 소프트에 의해 플레이되는 게임의 진행상황이나, 게임에서의 주인공의 스테이터스, 또는 획득한 득점 등의 게임의 플레이를 계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제어부(41)는, 외부 기기에 의한 기억부(40)에 기억된 각종 정보의 판독/기입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1)는 사용 권리 대조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 권리 대조부(42)는, 증명 정보 리더부(7a) 및 사용 권리 정보 리더부(7b)(도 3 참조)에 의해 IC 카드(2)가 판독될 때, IC 카드(2) 내에서 제2 증명 정보 및 사용 권리 정보의 판독을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IC 카드(2)는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을 행할 때에 이용되는 제2 증명 정보 및 사용 권리 정보를 기억한다.
또, 상술한 IC 카드(2), 게임기(3), 및 판매점 단말기(5)의 각 블록은, 하드웨어 로직에 의해 구성해도 되고, 다음과 같이 CPU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즉, IC 카드(2), 게임기(3), 및 판매점 단말기(5)는,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read only memory),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상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기록 매체)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실행 형식 프로그램, 중간 코드 프로그램, 소스 프로그램)를 컴퓨터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한 기록 매체를, 상기 IC 카드(2), 게임기(3), 또는 판매점 단말기(5)에 공급하고, 그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도, 달성 가능하다. 이 경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게 되어,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계,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ROM/MO/MD/DVD/CD-R 등의 광 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계, IC 카드(메모리 카드를 포함함)/광 카드 등의 카드계, 혹은 마스크 ROM/EPROM/EEPROM/플래시 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혹은 장치를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급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기능은, 컴퓨터가 판독한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 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함으로써도 실현된다.
또, 본 발명의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의 구입 시에 IC 카드 내에 해당 디지털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한 복호화 권리 등에 관한 사용 권리 정보를 저장시키고, 해당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장치는 해당 사용 권리 정보와 해당 디지털 데이터의 식별 코드를 식별하는 것에 의해 해당 디지털 데이터를 실행 또는 재생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콘텐츠나 콘텐츠의 기록 보조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공개 키 암호 방식 등에 의한 암호화를 행하고, 콘텐츠별로 IC 카드에 탑재된 사용 권리 정보로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해도 된다.
또한, 사용 권리 정보의 취득은, 해당 디지털 데이터의 구입 시에, 판매점의 단말기로부터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의 권리 정보의 관리자로부터 공개 키 암호 방식을 사용한 상호 인증을 행한 후, 콘텐츠의 비밀 키를 IC 카드에 다운로드하여 행해져도 된다.
또한, 사용 권리 정보에는, 사용 횟수 제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에 할당된 ID 코드를 기억한 RF-ID 등의 기록 매체는, 디지털 데이터가 기입된 기록 매체 자체라도 되고, 혹은 포장되어 있는 케이스나 상자 등에 미리 붙여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게임기인 재생 장치를, 전원 투입 후에 최초로 IC 카드의 사용 권리 정보를 확인한다. 이에 의해, CD-ROM이나 DVD 등의 디지털 데이터가 포함된 매체를 부정하게 복사해도, 매체 자체에는 사용 권리 정보를 갖지 않기 때문에, IC 카드를 재생 장치에 삽입하지 않는 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사용 권리 정보는, IC 카드와 사용 권리 정보의 관리자와의 사이에서 PKI에 의한 비밀 키, 공개 키 암호 통신을 행하여 IC 카드 내에 발행 및 기입되므로, 사용 권리 정보의 복제나 개찬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의 구입 시에 있어서, CD-ROM 또는 DVD 등의 매체 자체, 혹은 포장되어 있는 케이스나 상자 등에는 미리 ID 코드를 기억한 RF-ID 등을 붙이는 것에 의해, 포장을 개봉하지 않고 판매점의 단말기로부터 ID 코드를 비접촉으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 권리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필요한 디지털 데이터의 ID 코드의 입력 조작이 간단하게 되어, 효율적으로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재생 장치와 IC 카드와의 사이에서도 PKI에 의한 인증으로, 삽입된 IC 카드가 부정한 것이 아닌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 부정한 IC 카드에 의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을 보다 유효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IC 카드는,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의 사용 권리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1매의 IC 카드로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구입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할 때, 전자 증명서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IC 카드에는 기억 기능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게임인 경우에 현재의 스테이지 정보, 캐릭터의 포인트, 전력 정보 등을 IC 카드에 기억함으로써, 다음에 게임을 재개할 때, 전회의 게임 종료 시의 상태에서 게임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 권리 정보에 사용 횟수 제한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2회만 재생 가능하도록 시청 횟수가 제한된 음악 데이터를 저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해당 제1 증명 정보를 해당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게임기(3))에 발행하고, 해당 제2 증명 정보를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매체(IC 카드(2))에 발행하는 증명 정보 발행부(판매점 단말기(5) 또는 등록소(9))와,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에 상기 제1 증명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증명 정보가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가, 상기 인증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증명 정보 발행부에 의해,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가, 각각 데이터 재생 장치와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된다. 그리고, 인증부는,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가, 각각 데이터 재생 장치 또는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들의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는, 증명 정보 발행부에 의해 데이터에 대응하여 발행되는 것이다. 즉, 인증부는, 데이터 재생 장치 및 이용자 식별 매체가,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명 정보를 갖는 정규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재생 장치는, 인증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재생하므로, 이용자 식별 매체가 정규의 것인 경우에 데이터를 재생하는 한편, 이용자 식별 매체가 제2 증명 정보를 갖지 않는 부정의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데이터를 재생하지 않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이용자 식별 매체가 정규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있어서, 정규의 루트로 제2 증명 정보가 기억된 이용자 식별 매체를 그 때마다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부정하게 취득된 암호 해독이나 복사 프로텍트 제거를 위한 기술적 수단을 이용해서는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데이터의 부정 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서, 상기 데이터가, 암호화된 데이터인 한편,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가,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정보를 기억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가, 상기 인증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복호화 정보를 취득하는 복호화부(암호 처리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복호화 정보가,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억되어 있다. 즉, 복호화 정보는, 재생해야 할 데이터를 저장한 기록 매체 등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용자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에 있어서, 이용자 식별 매체를 제시하여, 데이터 재생 장치의 복호화 수단이 복호화 정보를 이용자 식별 매체로부터 취득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따르면, 데이터의 부정 사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서, 상기 증명 정보 발행 수단이, 상기 복호화 정보를 공개 키 암호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공개 키 암호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시큐러티가 높아진 방식에 있어서 복호화 정보가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된다. 따라서, 암호화된 데이터의 복호 시에, 시큐러티 보호된 복호화 정보가 이용되게 되므로, 데이터의 부정 사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증명 정보 발행부가,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공개 키 암호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공개 키 암호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시큐러티가 높아진 방식으로 제2 증명 정보가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된다. 따라서, 부정 루트로 제2 증명 정보가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시큐러티가 높아진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서, 상기 증명 정보 발행부가, 상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횟수에 관한 재생 횟수 제한 정보를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데이터 재생 장치는,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되는 재생 횟수 제한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의 재생 횟수에 제한을 설정할 수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시청용의 음악 데이터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때에 있어서, 저가격으로 이용자에게 해당 음악 데이터를 제공하는 한편, 예를 들면 3회만 해당 데이터를 이용자가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구입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시청 후에 실제로 구입할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한 데이터의 제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서, 상기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를 기억한 데이터 식별 매체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부(ID 정보 리더부(26))를 구비하며, 상기 증명 정보 발행부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부에 의한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의 판독 결과에 따라,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발행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재생해야 할 데이터를 저장한 기록 매체나 기록 매체의 포장에 데이터 식별 매체(RF-ID(10))를 설치하고, 그 데이터 식별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 식별 정보를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부에 의해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증명 정보 발행부는,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부에서의 판독 결과에 따라 제2 증명 정보를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데이터의 기록 매체 등에 데이터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2 증명 정보를 발행하지 않도록, 보다 시큐러티가 높아진 방식으로 제2 증명 정보를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시큐러티가 더 높아진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은, 상기 구성에서, 상기 데이터 식별 매체가 RF-ID이다. RF-ID에 기억된 정보는, 비접촉으로 판독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구성에 따르면, 데이터 식별 매체인 RF-ID를 데이터를 저장한 기록 매체 또는 그 포장에 첨부하는 것에 의해, 포장을 개봉하지 않고, 데이터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게 데이터 식별 정보가 판독되므로, 시큐러티가 높아진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을 보다 간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데이터 재생 장치는, 재생해야 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증명 정보 발행부에 의해 발행되는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상기 제1 증명 정보를 기억하는 제1 증명 정보 기억부와,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매체에 상기 제2 증명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와, 상기 인증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재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재생 가부 판단부(사용 권리 정보 판단부(3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용자 식별 매체는,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증명 정보 발행부에 의해 발행되는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기억하는 한편, 상기 제2 증명 정보는,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제1 증명 정보가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에 의해 판독된다.
상기 구성의 데이터 재생 장치는, 인증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용자 식별매체가 제2 증명 정보를 갖는 정규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 재생의 가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재생 가부 판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용자 식별 매체가 정규의 것인 경우에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재생 장치는, 이용자 식별 매체가 제2 증명 정보를 갖지 않는 부정의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데이터를 재생하지 않는 것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이용자 식별 매체는,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판독되는 제2 증명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데이터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때, 사용자는, 정규의 루트로 제2 증명 정보가 기억된 이용자 식별 매체를 그 때마다 제시할 필요가 있고, 부정하게 취득된 암호 해독이나 복사 프로텍트 제거를 위한 기술적 수단을 이용해서는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데이터의 부정 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재생 장치 및 이용자 식별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증명 정보 기입 장치는,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증명 정보 발행부에 의해 발행되는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수취하는 통신부(20)와, 상기 제1 증명 정보를 기억 가능한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함과 함께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매체에,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기입하는 기입부(증명 정보 R/W부(25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증명 정보 기입 장치에 따르면, 증명 정보 발행부에 의해 발행되는 제2 증명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 네트워크 경유로 수신하고, 또한 수신된 제2 증명 정보를 기입부에 의해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입할 수 있다. 즉, 1개의 증명 정보 발행부에 접속된 복수의 증명 정보 기입 장치로부터 제2 증명 정보를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이하게 제2 증명 정보를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증명 정보 기입 장치는, 상기 구성에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가 기억된 데이터 식별 매체로부터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부의 판독 결과에 따라, 상기 증명 정보 발행부에 상기 제2 증명 정보의 송신을 의뢰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재생해야 할 데이터를 저장한 기록 매체나 기록 매체의 포장에 데이터 식별 매체를 설치하고, 그 데이터 식별 매체에 기억된 데이터 식별 정보를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부에 의해 판독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부에서의 판독 결과에 따라 제2 증명 정보의 송신 요구를 증명 정보 발행부에 대하여 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데이터의 기록 매체 등에 데이터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2 증명 정보의 송신 요구를 하지 않도록, 보다 시큐러티가 높아진 방식으로 증명 정보 발행부에 제2 증명 정보를 송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방법은,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증명 정보 발행부에 의해, 해당 제1 증명정보를 해당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에 발행하고, 해당 제2 증명 정보를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에 상기 제1 증명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증명 정보가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인증부에 의해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3 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프로그램은, 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에서의 증명 정보 발행부 및 인증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이다. 상기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로드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부정 사용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구성의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로드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프로그램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히 하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 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의 부정 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데이터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상기 제1 증명 정보를 상기 재생 장치에 발행하고,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하는 증명 정보 발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는, 상기 제1 증명 정보를 기억하는 제1 증명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제2 증명 정보가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암호화된 데이터이고,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는,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는, 상기 인증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복호화 정보를 취득하는 복호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명 정보 발행 수단은, 상기 복호화 정보를 공개 키 암호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하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명 정보 발행 수단은,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공개 키 암호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하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명 정보 발행 수단은, 상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횟수에 관한 재생 횟수 제한 정보를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하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를 기억한 데이터 식별 매체와, 상기 데이터 식별 매체로부터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명 정보 발행 수단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한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의 판독 결과에 따라,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발행하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식별 매체는, RF-ID인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8. 재생해야 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증명 정보 발행 수단에 의해 발행되는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상기 제1 증명 정보를 기억하는 제1 증명 정보 기억 수단과,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매체에 상기 제2 증명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수단과,
    상기 인증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재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재생 가부 판단 수단
    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억된, 암호화된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정보를, 상기 인증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취득하는 복호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재생 장치.
  10.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증명 정보 발행 수단에 의해 발행되는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상기 제2 증명 정보를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1 증명 정보가 상기 제2 증명 정보와 관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한 판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이용자 식별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증명 정보는 공개 키를 포함하고 있는 이용자 식별 매체.
  12.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증명 정보 발행 수단에 의해 발행되는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수취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제1 증명 정보를 기억 가능한 데이터 재생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매체에,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기입하는 기입 수단
    을 포함하고 있는 증명 정보 기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가 기억된 데이터 식별 매체로부터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 판독 수단의 판독 결과에 따라, 상기 증명 정보 발행 수단에 상기 제2 증명 정보의 송신을 의뢰하는 증명 정보 기입 장치.
  14. 데이터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상기 제1 증명 정보를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에 발행하고,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에 상기 제1 증명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증명 정보가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방법.
  15.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증명 정보 및 제2 증명 정보 중, 상기 제1 증명 정보를 상기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에 발행하고, 상기 제2 증명 정보를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매체에 발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에 상기 제1 증명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증명 정보가 상기 이용자 식별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40035877A 2003-05-22 2004-05-20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KR100552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5247 2003-05-22
JP2003145247A JP4204901B2 (ja) 2003-05-22 2003-05-22 データ不正使用防止システム、データ再生装置、利用者識別手段、証明情報書込装置、データ不正使用防止方法、データ不正使用防止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011A true KR20040101011A (ko) 2004-12-02
KR100552865B1 KR100552865B1 (ko) 2006-02-20

Family

ID=3309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877A KR100552865B1 (ko) 2003-05-22 2004-05-20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12601B2 (ko)
EP (1) EP1480103A3 (ko)
JP (1) JP4204901B2 (ko)
KR (1) KR100552865B1 (ko)
CN (1) CN1574013B (ko)
TW (1) TWI2366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157B1 (ko) * 2012-07-02 2014-10-01 주식회사 금영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8425B1 (en) * 2000-02-07 2007-06-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Protecting content from illicit reproduction by proof of existence of a complete data set via self-referencing sections
JP2005332526A (ja) * 2004-05-21 2005-12-02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CN1977230A (zh) * 2004-06-29 2007-06-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安全地链接承载相同计算机代码的不同版本的媒介
WO2006126969A1 (en) * 2005-05-24 2006-11-30 Encentuate Pte Ltd User authentication using personal objects
US7789300B2 (en) * 2006-02-21 2010-09-07 Fakhri Omar J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puter media in a secure environment
US20070244825A1 (en) * 2006-04-14 2007-10-18 Gilbert Semmer Item, accessory kit, and method for software based medical resource activation
US8327454B2 (en) 2006-11-14 2012-12-04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llowing multiple users to access preview content
US8079071B2 (en) 2006-11-14 2011-12-13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accessing content based on a session ticket
WO2008060467A2 (en) * 2006-11-14 2008-05-22 Sandisk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inding content to a seperate memory device
US8763110B2 (en) 2006-11-14 2014-06-24 Sandisk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for binding content to a separate memory device
CN103825738B (zh) * 2013-12-31 2018-12-25 北京华虹集成电路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登陆信息认证方法与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3358A1 (fr) * 1999-08-10 2001-02-22 Fujitsu Limited Carte memoire
AU6734200A (en) * 1999-08-30 2001-03-26 Fujitsu Limited Recording device
JP2001110137A (ja) 1999-10-13 2001-04-20 Opt Kk コピー防止処理が施されたディスクおよびディスクプレーヤ
AU1943801A (en) * 1999-12-03 2001-06-12 Mario Kova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electronic digital rights management,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content distribution
US7076468B2 (en) * 2000-04-28 2006-07-11 Hillegass James C Method and system for licensing digital works
JP2002073421A (ja) * 2000-08-31 2002-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ライセンス発行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ライセンス発行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6857067B2 (en) * 2000-09-01 2005-02-15 Martin S. Edelma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electronic data
US20030046568A1 (en) * 2001-09-06 2003-03-06 Riddick Christopher J. Media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and hardware decryption module used there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157B1 (ko) * 2012-07-02 2014-10-01 주식회사 금영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4013B (zh) 2010-05-26
EP1480103A3 (en) 2006-08-30
CN1574013A (zh) 2005-02-02
US20040250093A1 (en) 2004-12-09
JP4204901B2 (ja) 2009-01-07
TW200504763A (en) 2005-02-01
KR100552865B1 (ko) 2006-02-20
TWI236680B (en) 2005-07-21
JP2004350059A (ja) 2004-12-09
US7412601B2 (en) 2008-08-12
EP1480103A2 (en) 200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14845B (en) Data storage regenerator and data stor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roviding media
US6850914B1 (en) Revocatio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revocation informaton upda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0434634B1 (ko)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트를 처리하는 저작물 보호시스템
JP4986327B2 (ja) ポータブル音楽プレーヤ用のコピー・セキュリティ
JP4305593B2 (ja) データ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4857123B2 (ja) 不正機器検出装置、不正機器検出システム、不正機器検出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機器情報更新方法
US58355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ytographically protecting data
US7010809B2 (en) Reproduction device stopping reproduction of encrypted content data having encrypted region shorter than predetermined length
US20020184259A1 (en) Data reproducing/recording apparatus/ method and list updating method
US20050120232A1 (en) Data terminal managing ciphered content data and license acquired by software
JP5657639B2 (ja) 記録媒体装置に組み込まれるコントローラ、記録媒体装置、記録媒体装置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20136405A1 (en) Data recording device allowing obtaining of license administration information from license region
KR20010015037A (ko) 기억 매체 및 이 기억 매체를 사용한 콘텐츠 보호 방법
KR20010108397A (ko) 기억 디바이스의 인증 처리 시스템
JP2010267240A (ja) 記録装置
US20090024849A1 (en)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KR100552865B1 (ko) 데이터 부정 사용 방지 시스템
JP5484168B2 (ja) 電子コンテント処理システム、電子コンテント処理方法、電子コンテントのパッケージおよび利用許諾装置
JP201204457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60127026A (ko)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또 다른 디바이스로의 안전한 정보포팅
JP3846230B2 (ja) コンテンツ情報認証再生装置
JP5180362B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JP3184190B2 (ja) 電子化データ保護システム、使用許諾者側装置、使用者側装置、使用許諾情報生成処理方法および電子化データ復号処理方法
JP457680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テンツ記録媒体
JP4590333B2 (ja) 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