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809A - 고주파 변조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변조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809A
KR20040100809A KR1020030055526A KR20030055526A KR20040100809A KR 20040100809 A KR20040100809 A KR 20040100809A KR 1020030055526 A KR1020030055526 A KR 1020030055526A KR 20030055526 A KR20030055526 A KR 20030055526A KR 20040100809 A KR20040100809 A KR 20040100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ator
high frequency
channe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5222B1 (ko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10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파 방송을 2대의 TV로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고, 또한 위성 방송을 2대의 TV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고주파 변조기를 싱글 모듈로 구현한 고주파 변조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성방송 신호가 복조된 적어도 하나의 AV신호 및/또는 지상파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고주파 변조기에 있어서, 지상파 안테나(ANT)로부터의 RF신호(RFS)를 제1 및 제2 신호(RFS1,RFS2)로 분배하는 분배기(32); 상기 AV신호중 제1 AV신호(AV1)를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1)에 따라 제1 변조채널로 변조하는 제1 변조부(33); 상기 분배기(32)로부터의 제1 신호(RFS1)를 제1 스위칭 신호(SSW1)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치(34); 상기 AV신호중 제2 AV신호(AV2)를 제2 변조채널 선택신호(SCH2)에 따라 상기 제1 변조채널과 상이한 채널을 갖는 제2 변조채널로 변조하는 제2 변조부(35); 및 상기 분배기(32)로부터의 제2 신호(RFS2)를 제2 스위칭 신호(SSW2)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른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36)를 구비하며, 또한, 이러한 고주파 변조기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지 공간을 줄일 수 있고, 결선이 간단해 지므로, 적용제품의 간단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저렴화가 가능하며, 또한 입력신호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변조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장치{RADIO FREQUENCY MODULATOR AND BROADCASTING RECEI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주파 변조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상파 방송을 2대의 TV로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고, 또한 위성 방송을 2대의 TV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고주파 변조기를 싱글 모듈로 구현함으로서, 이를 이용하면 차지 공간을 줄일 수 있고, 결선이 간단해 지므로, 적용제품의 간단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저렴화가 가능하며, 또한 입력신호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고주파 변조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수신 장치인 셋탑박스(SET-TOP BOX)의 추세를 보면, 기존에는 1대의 셋탑박스에 1대의 TV를 연결하는 1:1 연결방식이 채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1대의 셋탑박스에 2대의 TV를 동시에 연결하여 각 TV로 각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셋탑박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중에 있으며, 이러한 실제 구현이, 최근 저장장치인 하드 디스크(HARD DISK)의 용량 및 신호 압축기술이 발전하면서 가능해지게 되었다.
셋탑박스에 대한 시청자들의 요구에 대해서 예를 들어, 시청자들이 원하는 하나의 방송을 수신하면서 다른 하나의 방송을 녹화할 수도 있고, 또는 녹화하는 채널을 다른 TV를 통하여 수신할 수도 있으며, 또는 녹화와 관계없이 두 개의 채널을 두 대의 TV로 동시에 시청 가능하도록 하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시청자들의 요구의 변화는 최근 다양화되는 방송채널의 증가와, 한 가정에 1대 이상의 TV 보유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한 가정의 구성원간에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이 서로 다르다는 것에 의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주파 변조기의 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고주파 변조기는 지상파 방송신호(SRF1)를 TV로 출력(loopthrough)시키거나, 또는 위성 방송신호를 TV로 출력시키는데, 즉, 지상파 안테나(ANT1)로부터 입력단자(RFin)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SRF1)를 제1 스위치(SW1)를 통한 후, 출력단자(RFout)를 통해 TV로 출력하고, 또는 위성방송의 베이스밴드 신호인 AV신호(A신호 및 V신호)를 TV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MOD)에서 출력되는 신호(SRF2)를 제2 스위치(SW2)를 통한후, 출력단자(RFout)를 통해 TV로 출력한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고주파 변조기를 이용하는 종래의 방송 수신장치인 셋탑박스(SET-TOP BOX)는 도 2에 보이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방송수신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방송수신장치는 키입력부(21)와, 이 키입력부(21)를 통해 입력된 키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와, 위성방송안테나(ANT2)의 저잡음 주파수변환기(LNB)로부터 입력되는 위성 방송신호에 대해 채널 동조(튜닝)하는 튜너(23)와, 상기 튜너(23)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의 AV신호를 제공하는 복조기(24)와, 상기 복조기(24)로부터 AV신호를 변조하거나, 또는 지상파 안테나(ANT1)로부터의 지상파 신호를 루프쓰루 하는 변조기(25)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송 수신장치는 1대의 고주파 변조기(RF MODULATOR)를 포함하여 1대의 TV에 대응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최근의 시청자들의 요구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1대의 셋탑박스(SET-TOP BOX)로 2대의 TV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두 대의 고주파 변조기(RF MODULATOR)를 필요로 하는데, 그 외에 기존에 셋탑박스를 보유하고 있는 시청자는 1대의 추가적인 셋탑박스를 더 구입하여야 하므로, 그 만큼 별도 구입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2대의 고주파 변조기(RF MODULATOR)를 사용하는 경우, 1대는 기존의 고주파 변조기를 사용하면 되지만 다른 1대의 고주파 변조기는 기존 고주파 변조기와 채널이 겹치는 문제로 인하여 VHF채널인 3/4채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2대의 고주파 변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의 RF 입력단과 2개의 RF 출력단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2개의 RF 출력단은 2대의 TV에 각각 연결되고, 2개의 RF 입력단은 지상파 안테나 또는 케이블 방송을 위한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지상파 방송을 2개의 RF 입력단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2웨이 분배기(WAY SPLITTER)가 별도로 필요하나 이러한 분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호손실(signal loss)이 발생되는 관계로 실제 적용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시청자들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2개의 고주파 변조기 및 이에 관련되는 기능을 내장시킬 수는 있지만, 이렇게 하는 경우에는 연결 배선이 복잡해지고, 2개의 고주파 변조기에 신호 분배를 위한 분배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분배기 자체에서 신호손실이 크므로 인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으며, 그리고, 셋탑박스의 크기가 증가하고, 가격이 상승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2개의 고주파 변조기를 내장시키는 경우는 현실성이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상파 방송을 2대의 TV로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고, 또한 위성 방송을 2대의 TV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고주파 변조기를 싱글 모듈로 구현한 고주파 변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지 공간을 줄일 수 있고, 결선이 간단해 지므로, 적용제품의 간단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저렴화가 가능하며, 또한 입력신호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고주파 변조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주파 변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방송수신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변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고주파 변조기의 각 변조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증폭기 32 : 분배기
33 : 제1 스위치 34 : 제2 스위치
35 : 제1 변조부 36 : 제2 변조부
50 : 방송수신장치 51 : 키입력부
52 : 전원부 53 : 제어부
54A,54B : 제1,제2 튜너 55A,55B : 제1,제2 복조기
56 : 고주파 변조기 57 : 저장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주파 변조기는
위성방송 신호가 복조된 적어도 하나의 AV신호 및/또는 지상파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고주파 변조기에 있어서,
위성방송 신호가 복조된 적어도 하나의 AV신호 및/또는 지상파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고주파 변조기에 있어서,
지상파 안테나(ANT)로부터의 RF신호(RFS)를 제1 및 제2 신호(RFS1,RFS2)로 분배하는 분배기;
상기 AV신호중 제1 AV신호(AV1)를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1)에 따라 제1 변조채널로 변조하는 제1 변조부;
상기 분배기로부터의 제1 신호(RFS1)를 제1 스위칭 신호(SSW1)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치;
상기 AV신호중 제2 AV신호(AV2)를 제2 변조채널 선택신호(SCH2)에 따라 상기 제1 변조채널과 상이한 채널을 갖는 제2 변조채널로 변조하는 제2 변조부; 및
상기 분배기로부터의 제2 신호(RFS2)를 제2 스위칭 신호(SSW2)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른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는
지상파 신호 및/또는 위성방송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방송선택, 방송 채널 선택, 변조 채널 선택을 포함하여 방송 수신에 관련된 조작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51)의 키입력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위성 방송신호에 대해 채널을 동조하는 제1 튜너(54A);
상기 제1 튜너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하는 제1 복조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위성 방송신호에 대해 채널을 동조하는 제2 튜너(54B);
상기 제1 튜너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하는 제2 복조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복조기를 통해 입력된 각 위성방송 신호를 RF 신호로 각각 변조하며, 지상파 안테나(ANT1)를 통해 입력된 지상파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하나의 TV로 출력하고, 상기 변조된 위성방송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다른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고주파 변조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방송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2대의 고주파 변조기를 필요로 하는 셋탑박스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2대의 고주파 변조기를 하나의 샤시(CHASSIS)에 포함시켜 하나의 싱글 모듈로 구현하여 본 발명의 고주파 변조기는 하나의 RF 입력단과 2개의 RF 출력단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변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변조기는 위성방송 신호가 복조된 AV신호 및/또는 지상파 신호를 TV로 출력하는 고주파 변조기로서, 이는 지상파 안테나(ANT)에 연결하기 위한 RF 입력단(RFin)과, 상기 RF 입력단(RFin)을 통해 입력되는 RF신호(RFS)를 증폭하는 증폭기(31)와, 상기 증폭기(31)로부터의 신호를 제1 및 제2 신호(RFS1,RFS2)로 분배하는 분배기(32)와, 상기 AV신호중 제1 AV신호(AV1)를, 입력되는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1)에 따른 채널로 변조하는 제1변조부(33)와, 하나의 TV(TV1)에 연결하기 위한 제1 RF 출력단(RFout1)과, 상기 분배기(32)에 의해 분배된 제1 신호(RFS1)를 제1 스위칭 신호(SSW1)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RF 출력단(RFout1)으로 제공하는 제1 스위치(34)와, 상기 AV신호중 제2 AV신호(AV2)를, 입력되는 제2 변조채널 선택신호(SCH2)에 따른 채널로 변조하는 제2 변조부(35)와, 다른 하나의 TV(TV2)에 연결하기 위한 제2 RF 출력단(RFout2)과, 상기 분배기(32)에 의해 분배된 제2 신호(RFS2)를 제2 스위칭 신호(SSW2)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RF 출력단(RFout1)으로 제공하는 제2 스위치(36)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주파 변조기는 2대의 TV에 대응하기 위하여 내부에 2개의 변조부를 포함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2대의 변조부중에서 기존에 채용하던 NTSC VHF 3/4 채널 변조부와 NTSC UHF 14-69 채널 변조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주파 변조기는 상기 제2 RF 출력단(RFout2)을 통해 입력되는 IR신호를 처리하는 IR 신호처리부(37)을 더 포함하고, 상기 IR 신호 처리부(37)는 상기 상기 제2 RF 출력단(RFout2)을 통해 입력되는 IR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IR대역통과필터부(37A)와, 상기 IR대역통과필터부(37A)로부터의 IR신호(SIR)를 증폭하는 증폭부(37B)를 포함한다.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고주파 변조기의 각 변조부의 구성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변조부(33)는 입력되는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1)에 따라 VHF채널에 해당하는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기(33A)와, 입력되는 AV신호(AV1)로 상기 발진기(33A)의 발진 주파수를 변조하는 변조기(33B)와, 입력되는 제1 경로 선택신호(SPH1)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 신호(SSW1)를 제공하는 스위치 조절부(33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변조부(33)의 VHF채널은 VHF 3채널과 4채널중 어느 하나의 채널에 해당된다.
또는, 상기 제1 변조부(33)는 입력되는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1)에 따라 UHF채널에 해당하는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기(33A)와, 입력되는 AV신호(AV1)로 상기 발진기(33A)의 발진 주파수를 변조하는 변조기(33B)와, 입력되는 제1 경로 선택신호(SPH1)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 신호(SSW1)를 제공하는 스위치 조절부(33C)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변조부(33)의 UHF 채널은 UHF 14채널 내지 69채널중 어느 하나의 채널에 해당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변조부(35)는 입력되는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2)에 따라 UHF채널에 해당하는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기(35A)와, 입력되는 AV신호(AV2)로 상기 발진기(35A)의 발진 주파수를 변조하는 변조기(35B)와, 입력되는 제2 경로 선택신호(SPH2)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 신호(SSW2)를 제공하는스위치 조절부(35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변조부(35)의 UHF 채널은 UHF 14채널 내지 69채널중 어느 하나의 채널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변조부(33)의 변조채널과 상기 제2 변조부(35)의 변조채널은 VHF채널과 UHF채널로 설정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변조부(33) 및 상기 제2 변조부(35)의 변조채널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의 UHF채널로 설정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2개의 변조채널을 UHF채널내에서 설정되는 경우에는 주파수의 상호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 가능한 주파수의 차가 크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변조부(33)에 변조채널을 UHF채널로 설정할 수 있지만, 기존의 변조부가 VHF채널을 사용하는 것을 감안하여, 구조 및 기능의 큰 변화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VHF채널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2 변조부(33)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의 제1 변조부(33)의 변조채널과 제2 변조부(35)의 변조채널을 도시에 VHF채널로 설정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변조채널의 주파수 상호간의 악영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변조부(33)의 변조채널과 상기 제2 변조부(35)의 변조채널은 VHF채널 및 UHF채널, 또는 UHF채널중 가능한 주파수차가 크도록 설정하는이유는 변조 채널이 VHF채널로 서로 인접하는 경우에는 서로 악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고주파 변조기를 이용하여 구성된 방송수신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지상파 신호 및/또는 위성방송 신호를 TV로 출력하는 방송수신장치로서, 이는 외부에서 방송선택, 방송 채널 선택, 변조 채널 선택을 포함하여 방송 수신에 관련된 조작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51)와, 내부에 필요한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52)와, 상기 키입력부(51)의 키입력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3)와,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위성 방송신호에 대해 채널을 동조하는 제1 튜너(54A)와, 상기 제1 튜너(54A)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하는 제1 복조기(55A)와,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위성 방송신호에 대해 채널을 동조하는 제2 튜너(54B)와, 상기 제1 튜너(54B)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하는 제2 복조기(55B)와,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복조기(55A,55B)를 통해 입력된 각 위성방송 신호를 VHF 채널 및 UHF 채널의 RF 신호로 각각 변조하며, 지상파 안테나(ANT1)를 통해 입력된 지상파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하나의 TV로 출력하고, 상기 변조된 위성방송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다른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고주파 변조기(56)와,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방송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57)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청자들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 일명 셋탑박스는 방송신호를 저장 및 재생을 위한 상기 저장부와 2개의 튜너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저장부는 방송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미도시)와,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하드 디스크에 녹화하기 위한 신호처리 및 상기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방송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SSW1,SSW2)는 본 발명의 제어부(53)에서 직접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53)의 제공되는 제1 경로 선택신호(SPH1) 및 제2 경로 선택신호(SPH2)를 이용하여 각 변조부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위치를 온/오프할 수 있는 하이(H)/로우(L)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구성상 간단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50)의 키입력부(51)를통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방송선택, 방송 채널 선택, 변조 채널 선택을 포함하여 방송 수신에 관련된 조작키를 제어부(53)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3)는 상기 키입력부(51)의 키입력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예를 들어, 각 튜너의 방송 채널 선택동작, 그리고 각 고주파 변조기의 변조 채널 선택동작을 제어한다.
물론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의 전원부(52)에서는 내부에 필요한 동작전압, 예를 들어, 제어부, 각 튜너 및 복조기, 고주파 변조기 및 저장부에 필요한 전압을 각각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수신장치(50)의 제1 튜너(54A)는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위성 방송신호에 대해 채널을 동조하여 IF신호를 제1 복조기(55A)로 제공하면, 상기 제1 복조기(55A)에서는 상기 제1 튜너(54A)로부터의 IF 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의 AV신호(비디오(V)신호 및 오디오(A)신호)(AV1)를 고주파 변조기(56)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송수신장치(50)의 제2 튜너(54B)는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위성 방송신호에 대해 채널을 동조하여 IF 신호를 제2 복조기(55B)로 제공하면, 상기 제2 복조기(55B)에서는 상기 제1 튜너(54B)로부터의 IF 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의 AV신호(AV2)를 상기 고주파 변조기(56)로 제공한다.
그 다음, 상기 고주파 변조기(56)는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복조기(55A,55B)를 통해 입력된 베이스밴드의 각 위성방송 신호를 VHF 채널(또는 UHF 채널) 및 UHF 채널의 RF 신호로 각각 변조한다. 그리고, 상기 고주파 변조기(56)는 지상파 안테나(ANT1)를 통해 입력된 지상파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하나의 TV(TV1)로 출력하고, 상기 변조된 위성방송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다른 하나의 TV(TV2)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저장부(57)의 신호처리부는 저장할 방송신호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 및 압축하여 내부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고, 또는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방송신호에 대한 압축을 풀고, 재생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주파 변조기(56)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지상파 안테나(ANT)에 연결된 RF 입력단(RFin)을 통해 입력되는 RF신호(RFS)는 증폭기(31)에서 다음 단의 신호 손실을 보상할 수 있는 이득으로 증폭된 후 분배기(32)로 제공되고, 상기 분배기(32)에서는 상기 증폭기(31)로부터의 신호를 제1 스위치(34) 및 제2 스위치(36)로 각각 분배한다.
그 다음, 상기 고주파 변조기(56)의 제1 변조부(33)는 상기 AV신호중 제1 AV신호(AV1)를, 입력되는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1)에 따라 VHF채널로 변조하는데,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변조부(33)는 발진기(33A), 변조기(33B) 및 스위치 조절부(33C)를 포함하는데, 상기 발진기(33A)는 입력되는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1)에 따라 VHF채널의 3채널 또는 4채널에 해당하는 발진주파수를 생성하여 변조기(33B)로 출력하면, 상기 변조기(33B)는 입력되는 AV신호(AV1)로 상기 발진기(33A)의 발진 주파수를 변조하여 이 변조된 신호(RFAV1)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조절부(33C)는 입력되는 제1 경로 선택신호(SPH1)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칭 신호(SSW1)를 상기 제1 스위치(34)로 출력하여 상기 제1 스위치(34)의 온/오프를 조절한다.
상기 고주파 변조기(56)는 상기 제1 변조부(33)의 변조기(33B)에 의해 변조된 RF 신호(RFAV1)를 하나의 TV(TV1)에 연결된 제1 RF 출력단(RFout1)을 통해 하나의 TV(TV1)로 출력한다. 또는 상기 제1 스위치(34)는 상기 분배기(32)에 의해 분배된 제1 신호(RFS1)를 상기 제1 변조부(33)에 의한 제1 스위칭 신호(SSW1)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RF 출력단(RFout1)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34)가 온될 경우에는 상기 고주파 변조기(56)의 제1 변조부(33)가 동작하지 않도록 되고, 반면에 상기 제1 스위치(34)가 오프될 경우에 상기 고주파 변조기(56)의 제1 변조부(33)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1 RF 출력단(RFout1)을 통해 하나의 TV(TV1)로 출력되는 신호는 제1 스위치(34)를 통한 지상파 신호이거나, 상기 고주파 변조기(56)로부터의 위성 방송신호이다.
또한, 상기 고주파 변조기(56)의 제2 변조부(35)는 상기 AV신호중 제2 AV신호(AV2)를, 입력되는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2)에 따라 UHF채널로 변조하는데,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변조부(35)는 발진기(35A), 변조기(35B) 및 스위치 조절부(35C)를 포함하는데, 상기 발진기(35A)는 입력되는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2)에 따라 UHF채널의 14채널 내지 69채널중의 어느 하나의 채널에 해당하는 발진주파수를 생성하여 변조기(35B)로 출력하면, 상기 변조기(35B)는 입력되는 AV신호(AV2)로 상기 발진기(35A)의 발진 주파수를 변조하여 이 변조된 신호(RFAV2)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조절부(35C)는 입력되는 제2 경로 선택신호(SPH2)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 신호(SSW2)를 상기 제2 스위치(36)로 출력하여 상기 제2 스위치(36)의 온/오프를 조절한다.
상기 고주파 변조기(56)는 변조기(35B)에 의해 변조된 RF 신호(RFAV2)를 다른 하나의 TV(TV2)에 연결된 제2 RF 출력단(RFout2)을 통해 다른 하나의 TV(TV2)로 출력한다. 또는 상기 제2 스위치(36)는 상기 분배기(32)에 의해 분배된 제2 신호(RFS2)를 상기 제2 변조부(35)에 의한 제2 스위칭 신호(SSW2)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RF 출력단(RFout1)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스위치(36)가 온될 경우에는 상기 고주파 변조기(56)의 제2 변조부(35)가 동작하지 않도록 되고, 반면에 상기 제2 스위치(36)가 오프될 경우에 상기 고주파 변조기(56)의 제2 변조부(35)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2 RF 출력단(RFout2)을 통해 다른 하나의 TV(TV2)로 출력되는 신호는 제2 스위치(36)를 통한 지상파 신호이거나, 상기 고주파 변조기(56)로부터의 위성 방송신호이다.
한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송수신장치(셋탑박스)가 하나의 TV(TV1)와 함께 1층 거실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TV(TV2)가 2층 침실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다른 하나의 TV(TV2)로부터의 IR신호를 1층 거실에 있는 방송수신장치가 처리하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주파 변조기의 IR 신호처리부(37)는 상기 제2 RF 출력단(RFout2)을 통해 입력되는 IR신호를 처리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IR 신호처리부(37)의 IR대역통과필터부(37A)는 상기 제2 RF 출력단(RFout2)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중 대략 7.2MHz 정도의 IR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고, 이후, 상기 IR 신호처리부(37)의 증폭부(37B)는 상기 IR대역통과필터부(37A)로부터의 IR신호(SIR)를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53)로 제공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IR신호(SIR)에 따라 정해진 동작, 예를 들어, 볼륨업/다운, 채널선택 등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1대의 방송신호장치에 2대의 TV(TV1,TV2)가 연결될 수 있는데, TV1 및 TV2 각각에서는 지상파 방송 및 위성방송(위성방송 및 지상파 방송)을 시청할 수 있고, 또는 지상파 방송을 각각 시청할 수 있으며, 또는 위성방송을 각각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을 2대의 TV로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고, 또한 위성 방송을 2대의 TV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고주파 변조기를 싱글 모듈로 구현함으로서, 이를 이용하면 차지 공간을 줄일 수 있고, 결선이 간단해 지므로, 적용제품의 간단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저렴화가 가능하며, 또한 입력신호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9)

  1. 위성방송 신호가 복조된 적어도 하나의 AV신호 및/또는 지상파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고주파 변조기에 있어서,
    지상파 안테나(ANT)로부터의 RF신호(RFS)를 제1 및 제2 신호(RFS1,RFS2)로 분배하는 분배기(32);
    상기 AV신호중 제1 AV신호(AV1)를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1)에 따라 제1 변조채널로 변조하는 제1 변조부(33);
    상기 분배기(32)로부터의 제1 신호(RFS1)를 제1 스위칭 신호(SSW1)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치(34);
    상기 AV신호중 제2 AV신호(AV2)를 제2 변조채널 선택신호(SCH2)에 따라 상기 제1 변조채널과 상이한 채널을 갖는 제2 변조채널로 변조하는 제2 변조부(35); 및
    상기 분배기(32)로부터의 제2 신호(RFS2)를 제2 스위칭 신호(SSW2)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른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36)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변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부(33)는
    상기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1)에 따라 VHF채널에 해당하는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기(33A); 및
    상기 제1 AV신호(AV1)로 상기 발진기(33A)의 발진 주파수를 변조하는 변조기(33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변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조부(35)는
    상기 제2 변조채널 선택신호(SCH2)에 따라 UHF채널에 해당하는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기(35A); 및
    상기 제2 AV신호(AV2)로 상기 발진기(35A)의 발진 주파수를 변조하는 변조기(35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변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변조기는
    임의의 TV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제어용 IR신호를 처리하는 IR 신호처리부(37)를 더 포함하고,
    상기 IR 신호 처리부(37)는
    상기 TV로부터 입력되는 IR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IR대역통과필터부(37A); 및
    상기 IR대역통과필터부(37A)로부터의 IR신호(SIR)를 증폭하는 증폭부(37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변조기.
  5. 지상파 신호 및/또는 위성방송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방송선택, 방송 채널 선택, 변조 채널 선택을 포함하여 방송 수신에 관련된 조작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51);
    상기 키입력부(51)의 키입력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3);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위성 방송신호에 대해 채널을 동조하는 제1 튜너(54A);
    상기 제1 튜너(54A)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하는 제1 복조기(55A);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위성 방송신호에 대해 채널을 동조하는 제2 튜너(54B);
    상기 제1 튜너(54B)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하는 제2 복조기(55B);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복조기(55A,55B)를 통해 입력된 각 위성방송 신호를 RF 신호로 각각 변조하며, 지상파 안테나(ANT1)를 통해 입력된 지상파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하나의 TV로 출력하고, 상기 변조된 위성방송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다른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고주파 변조기(56); 및
    상기 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방송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57)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변조기(56)는
    지상파 안테나(ANT)로부터의 RF신호(RFS)를 제1 및 제2 신호(RFS1,RFS2)로 분배하는 분배기(32);
    제1 AV신호(AV1)를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1)에 따라 제1 변조채널로 변조하는 제1 변조부(33);
    상기 분배기(32)로부터의 제1 신호(RFS1)를 제1 스위칭 신호(SSW1)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치(34);
    제2 AV신호(AV2)를 제2 변조채널 선택신호(SCH2)에 따라 상기 제1 변조채널과 상이한 채널을 갖는 제2 변조채널로 변조하는 제2 변조부(35); 및
    상기 분배기(32)로부터의 제2 신호(RFS2)를 제2 스위칭 신호(SSW2)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른 하나의 TV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치(3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부(33)는
    상기 제1 변조채널 선택신호(SCH1)에 따라 VHF채널에 해당하는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기(33A); 및
    상기 제1 AV신호(AV1)로 상기 발진기(33A)의 발진 주파수를 변조하는 변조기(33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조부(35)는
    상기 제2 변조채널 선택신호(SCH2)에 따라 UHF채널에 해당하는 발진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기(35A); 및
    상기 제2 AV신호(AV2)로 상기 발진기(35A)의 발진 주파수를 변조하는 변조기(35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변조기는
    임의의 TV로부터의 원격제어용 IR신호를 처리하는 IR 신호처리부(37)를 더 포함하고,
    상기 IR 신호 처리부(37)는
    상기 TV로부터의 IR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IR대역통과필터부(37A); 및
    상기 IR대역통과필터부(37A)로부터의 IR신호(SIR)를 증폭하는 증폭부(37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변조기.
KR10-2003-0055526A 2003-05-19 2003-08-11 고주파 변조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장치 KR100495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1493 2003-05-19
KR1020030031493 2003-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809A true KR20040100809A (ko) 2004-12-02
KR100495222B1 KR100495222B1 (ko) 2005-06-14

Family

ID=3737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526A KR100495222B1 (ko) 2003-05-19 2003-08-11 고주파 변조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2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7660A1 (en) * 2005-09-30 2007-04-05 Kaonmedia Co., Ltd. Multi-out broadcasting receiver system using single set-top box
KR100742334B1 (ko) * 2005-10-07 2007-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 분배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7660A1 (en) * 2005-09-30 2007-04-05 Kaonmedia Co., Ltd. Multi-out broadcasting receiver system using single set-top box
KR100770146B1 (ko) * 2005-09-30 2007-10-25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다중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KR100742334B1 (ko) * 2005-10-07 2007-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 분배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5222B1 (ko) 200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7243A (en) Television receiver for direct broadcast satellite signals
US6526576B1 (en) Program guide for DBS and cable TV
US7174140B2 (en) RF system integrated with RF switch and RF modulation
KR100495222B1 (ko) 고주파 변조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장치
JP3236255B2 (ja) マルチタップ高周波モジュレーター
JP2002057948A (ja) 無線通信装置
JPH0786979A (ja) Shf受信機
KR100691446B1 (ko) 복합 텔레비젼 방송 수신장치
JP3137819B2 (ja) テレビ信号処理装置及びテレビ信号処理システム
JP2004032231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KR100444227B1 (ko) 두 입력을 갖는 고주파 모듈레이터
KR100286814B1 (ko) 고주파 변조장치
KR0123218Y1 (ko) 케이블 텔레비젼에서의 동시 녹화 회로
KR20040105307A (ko) Uhf 고주파 변조기
JP3350800B2 (ja) 複合型電子チューナ
JP3097275B2 (ja) Catv用pcm音楽放送受信機に使用する1バンド電子チューナ
KR200159618Y1 (ko) 텔레비전의 a/v출력신호 모니터출력장치
KR200179568Y1 (ko) 복합 영상기록 시스템
KR100230260B1 (ko) 케이블 tv 예약 녹화 장치
JPH0738819A (ja) チューナのアンテナ入力装置
KR20040105306A (ko) 아날로그/디지털 텔레비젼 튜너
JP3097278B2 (ja) Catv用pcm音楽放送受信機に使用する2バンド電子チューナ
KR200304081Y1 (ko) 무선 에이브이 전송 장치
KR19980053607A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고주파 변조기 공용화장치
JP2002199390A (ja) 分配器付き衛星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