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634A -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634A
KR20040100634A KR1020030033052A KR20030033052A KR20040100634A KR 20040100634 A KR20040100634 A KR 20040100634A KR 1020030033052 A KR1020030033052 A KR 1020030033052A KR 20030033052 A KR20030033052 A KR 20030033052A KR 20040100634 A KR20040100634 A KR 20040100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cquired
screen
layer
brightnes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2117B1 (ko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3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11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영상을 보다 깨끗하고 화사하게 표현할 수 있는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영상 변환 방법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과 상기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스크린 머지(screen merge)한다. 이때, 레이어 영상은 스크린 머지 전에 콘트라스트 향상(contrast enhance), 채도 향상(saturation enhance) 또는 스무딩(smooth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타 사진 효과를 이용하여 인물을 배경에 비해 부각시킬 수도 있다.

Description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verting an image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득된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여 보다 깨끗한 화질 및 화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고화질의 영상을 지원하고 다양한 영상 편집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요즈음에는 카메라를 이동성이 뛰어난 휴대폰 또는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부착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문 디지털 카메라는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하고, 취득된 영상을 주로 PC에서 다시 변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깨끗한 화질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휴대폰 등에 부착된 카메라로 취득한 영상의 경우에는 카메라 렌즈의 특성상 고화질의 영상을 취득하기가 쉽지 않고, 아직까지 영상의 취득 가능한 해상도가 그리 크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폰의 경우에는 영상에 대한 노이즈가 심하고, 노출과 백색 보정이 원활하게 이루질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조명에 비해 어둡고, 붉거나 푸른 빛 등의 원하지 않는 색이 영상에 포함되기가 쉽다.
따라서,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이 제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화질 문제를 해결해야만 하지만, 현실적으로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비용 문제로 인해 접근이 어렵고, 소프트웨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으로 취득한 대부분의 영상에서는 인물이 중심이 되고 배경은 단지 보조 역할만을 담당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은 주로 사람들을 위주로 영상을 취득하기 때문에, 사람이 주가 되고 배경이 종이 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에 있어서 영상 화질은 인물을 얼마나 깨끗하고 화사하게 표현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의 휴대폰에는 기본적인 리소스(resource)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매우 많은 연산을 필요로 하는 영상 변환 등에 대한 알고리즘을 수행하기가 어렵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카메라 기능이 중요한 경우에는 이러한 영상 변환을 위한 알고리즘을 칩셋(chip set)으로 설계하여 내장하기도 하지만,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에서는 카메라가 주된 기능이 아닌 관계로 영상 변환을 위한 알고리즘을 위해 칩셋 등을 내장하여 비용을 발생시킬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취득된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여 보다 깨끗한 화질 및 화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머지된 영상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머지뿐만 아니라 콘트라스트 향상 및 채도 향상 과정을 더 수행한 경우에 영상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에 적용되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도 향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머지 외에 콘트라스트 향상, 채도 향상 및 스무딩 기법을 모두 이용한 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 방법을 설명하는순서도.
도 10은 도 9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1, 42 : 카메라 13, 43 : 프레임 버퍼
15, 44 : 레이어 프레임 버퍼 17, 46 : 스크린 머지 엔진
45 : 얼굴 추출 엔진 47 : 합성 엔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변환 방법은,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취득된 영상 및 상기 레이어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 머지하는 단계는, 최대 밝기 값과 상기 취득된 영상의 밝기 값의 차이값 및 상기 최대 밝기 값과 상기 레이어 영상의 밝기 값의 차이값을 곱하는 단계; 상기 곱하여진 밝기 값을 상기 최대 값으로 나누어 정규화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밝기 값과 상기 정규화된 밝기 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변환 방법에 따르면, 상기 레이어 영상에 대해 콘트라스트 향상, 채도 향상 또는 스무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변환 방법은, 취득된 영상 및 상기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과 상기 취득된 영상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합성시, 상기 합성시,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영역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된 영역은 상기 취득된 영상의 얼굴 영역 또는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의 얼굴 영역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변환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제1 저장수단; 상기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저장하는 제2 저장수단; 및 상기 취득된 영상 및 상기 레이어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변환 장치에 따르면, 상기 레이어 영상을 콘트라스트를 향상하기 위한 수단, 상기 레이어 영상을 채도를 향상하기 위한 수단 또는 상기 레이어 영상을 스무딩하기 위한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변환 장치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 및 상기 취득된 영상을 합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 수단은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 또는 상기 취득된 영상 중 하나로부터 추출된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얼굴 영역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이동 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또는 개인용 컴퓨터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영상은 보다 화사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변환되어야 한다.
[식 1]
Out(x,y)={MAX-[(MAX-In_1(x,y))*(MAX-In_2(x,y))]/MAX}
여기서, In_1(x,y)는 입력 영상 1의 x 및 y 좌표에서의 픽셀(pixel) 밝기 값이고, In_2(x,y)는 입력 영상 2의 x 및 y 좌표에서의 픽셀 밝기 값이고, MAX는 픽셀이 갖을 수 있는 최대 밝기 값이며, Out(x,y)는 변환된 영상 x 및 y 좌표에서의 픽셀 밝기 값이다.
두 개의 영상을 상기 식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변환하는 것을 스크린 머지(screen merge)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크린 머지 기법에 의해 영상을 변환하는 경우, 머지할 두 개의 영상이 동일한 경우 밝은 픽셀일수록 더욱 밝게 처리되지만, 어두운 필셀인 경우에는 원래의 밝기를 유지하고자 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상기 식 1에서는 YCbCr과 같이 밝기 성분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 밝기 성분(예컨대, Y)에 대해서만 수행되고, 나머지 성분(예컨대, 색 성분(Cb, Cr))에 대해서는 원 영상의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상기 식 1에 의해 스크린 머지를 수행한 경우에 영상이 변환된 모습은 도 1에 도시하였다. 즉, 도 1a는 스크린 머지를 수행하지 않은 원 영상을 나타내고, 도 1b는 스크린 머지를 수행했을 때의 영상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된 영상(도 1a)과 이와 동일한 영상을 이용하여 스크린 머지를 수행하게 되면, 스크린 머지된 영상(도 1b)이 상기 입력된 영상보다 상당히 화사한 느낌을 주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식 1은 하나의 입력 영상과 이와 동일한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여 영상을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동일한 영상을 곧바로 상기 입력 영상과 스크린 머지하지 않고, 상기 동일한 영상에 대해 콘트라스트 향상(contrast enhance) 및/또는 채도 향상(saturation enhance) 중 하나를 수행한 다음, 이를 상기 입력 영상과 스크린 머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동일한 영상에 대해 콘트라스트 향상(contrast enhance) 및/또는 채도 향상(saturation enhance) 중 하나를 수행한 다음, 이를 상기 입력 영상과 스크린 머지를 수행한 경우, 영상의 변환 모습은 도 2와 같이 나타난다. 여기서, 앞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동일한 영상은 레이어 영상으로 칭하기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 영상(도 2a)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콘트라스트 향상(contrast enhance) 및/또는 채도 향상(saturation enhance) 중 하나를 수행한 다음, 이를 상기 입력 영상과 스크린 머지를 수행하면, 스크린 머지된 영상(도 2b)은 이전보다 더욱 깨끗하면서 화사한 효과를 주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트라스트 향상을 수행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단한 변환식을 사용하여 콘트라스트를 높임으로써 복잡도(complexity)를 낮게 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도 향상은 대조 효과를 높임으로써 보다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밝기 값이 큰 것은 더욱 크게 그리고 밝기 값이 작은 것은 더욱 작게 변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채도 향상은 색감을 보다 진하고 선명하게 변환하는 방법으로써,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YCbCr 색 공간을 사용한 영상의 경우, CbCr 평면 상에서 128.128이 중심점이라고 했을 때 이러한 중심점에서 현재의 CbCr 위치와 같은 방향으로 보다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더 멀리 설정하여 줄 수 있다. 즉, CbCr 평면 사에서 중심점은 회색, 그리고 가장 자리 영역은 순색 계열이므로,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넓히게 되면 채도가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0에서 255 사이의 범위를 갖는 Cb 및 Cr 값을 하기 식 2에 의해 변환하였다. 즉, 중심점 이내의 거리에 있는 Cb 및 Cr에 대해서만 일정 비율(예컨대, 30%)로 거리를 넓혔다. 따라서, 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은 연산으로 채도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식 2]
IF(((Cb-127)<=84.AND.(Cb-172)>-84).AND.((Cr-127)<=84.AND.(Cr-127)>-84)))
{
IF((Cb-127)>=0)
Cb_new = (Cb-127)*13/10 + 127
ELSE
Cb_new = (Cb-127)*13/10 + 127
IF((Cr-127)>=0)
Cr_new = (Cr-127)*13/10 + 127
ELSE
Cr_new = (Cr-127)*13/10 + 127
}
한편, 상기 영상 변환 방법은 콘트라스트 향상(contrast enhance) 및/또는 채도 향상(saturation enhance) 외에 스무딩(smoothing) 기법을 추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도면은 도 5에 도시되었다. 즉, 도 5a는 원영상이고, 도 5b는 스크린 머지 외에 콘트라스트 향상, 채도 향상 및 스무딩 기법을 모두 이용한 영상을 나타낸다. 여기서, 스무딩 기법은 평균 필터(mean filte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무딩은 결점(blur) 효과하고도 하며, 현재 픽셀을 중심으로 주변 픽셀 값을 고려하여 새로운 픽셀 값으로 변경하여 준다.
예를 들어, 현재 픽셀을 중심으로 주변 픽셀인 9 개의 픽셀의 평균값을 현재 중심 픽셀 값으로 설정하면, 전체적으로 흐린 느낌을 주게 된다. 이를 이미지 처리에서는 평균 필터(mean filter) 효과라고도 한다.
이때, 콘트라스트 향상(contrast enhance) 및/또는 채도 향상(saturation enhance) 외에 스무딩(smoothing) 기법은 필요에 따라 이들 중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3개 모두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변환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변환 장치(10)는 카메라(11)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13)와, 상기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저장하는 레이어 프레임 버퍼(15)와, 상기 취득된 영상 및 상기 레이어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기 위한 스크린 머지 엔진(17)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변환 장치(10)는 상기 레이어 영상을 콘트라스트 향상, 채도 향상 또는 스무딩을 각각 수행하기 위한 수단(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단(20)은 콘트라스트 영상을 수행하는 콘트라스트 향상 엔진(23), 채도 향상을 수행하는 채도 향상 엔진(25) 및 스무딩을 수행하는 스무딩 엔진(27)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 엔진들(23, 25, 27)은 모두 상기 영상 변환 장치(1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각 엔진들(23, 25, 27) 중 하나만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 버퍼(13)는 상기 카메라(11)로부터 취득된 영상이 저장되는 공간이고, 상기 레이어 프레임 버퍼(15)는 상기 취득된 영상이 동일하게 복사되어 복사된 레이어 영상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상기 스크린 머지 엔진(17)은 상기 프레임 버퍼(13)에 저장된 상기 취득된 영상과 상기 레이어 프레임 버퍼(15)에 저장된 상기 레이어 영상을 이용하여 스크린 머지를 수행하는 엔진이다.
상기 스크린 머지 엔진(17)은 상기 식 1과 같은 연산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밝기 값이 밝을수록 영상을 더욱 밝게 처리하고, 밝기 값이 어두울수록 현재 밝기 값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수단(20)에 포함된 콘트라스트 향상 엔진(23), 채도 향상 엔진(25) 및 스무딩 엔진(27)은 필요한 경우 상기 레이어 프레임 버퍼(15)에 저장된 레이어 영상을 대상으로 각각 콘트라스트 향상, 채도 향상 또는 스무딩을 수행한 다음, 다시 상기 레이어 프레임 버퍼(15)에 저장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스크린 머지는 콘트라스트 향상 엔진(23), 채도 향상 엔진(25) 또는 스무딩 엔진(27) 중 적어도 2 개 이상에서 처리된 레이어 영상 그리고 상기 취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11)로부터 취득된 영상은 보다 깨끗하면서 화사한 효과를 갖는 영상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영상 변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카메라(11)로부터 영상을 취득한 다음(S 31), 취득된 영상을 복사하여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생성한다(S 32). 이때, 상기 취득된 영상과 상기 레이어 영상은 각각 프레임 버퍼(13) 및 레이어 프레임 버퍼(15)에 저장된다.
상기 레이어 영상을 대상으로 콘트라스트 향상, 채도 향상 및 스무딩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S 33, S 34, S 35). 이때, 상기 S 33, S 34 및 S 35는 순서가 변경되어도 상관없고, 또 필요에 따라 3개의 과정이 모두 수행되지 않아도 된다. 즉, 콘트라스트 향상만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콘트라스트 향상 및 스무딩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스무딩만 수행될 수도 있고 아니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3개의 과정이 모두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S 33 내지 S 35를 모두 수행하게 되면, 이와 같이 수행된 영상과 상기 프레임 버퍼(13)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취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스크린 머지를 수행한다(S 36).
한편, 상기 33 내지 S 35 과정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 버퍼(13)에 저장된 상기 취득된 영상과 상기 레이어 프레임 버퍼(15)에 저장된 상기 레이어 영상을 이용하여 바로 스크린 머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영상 변환 방법에 의해 보다 영상 전체를 보다 깨끗하면서 화사하게 표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영상 전체를 화사하게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때로는 배경은 그대로 두고 얼굴만 깨끗하고 화사하게 표현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영상 변환 장치 및 이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변환 장치(40)는 카메라(42), 프레임 버퍼(43), 레이어 프레임 버퍼(44), 얼굴 추출 엔진(45), 스크린 머지 엔진(46), 수단(50) 및 합성 엔진(47)을 포함한다. 여기서, 카메라(42), 프레임 버퍼(43), 레이어 프레임 버퍼(44), 스크린 머지 엔진(46) 및 수단(50)은 앞서 설명한 도 6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수단(50)은 콘트라스트 향상 엔진(51), 채도 향상 엔진(53) 또는 스무딩 엔진(5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얼굴 추출 엔진(45)은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영상으로 어떤 것, 즉 상기 취득된 영상 또는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구비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영상으로 상기 취득된 영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얼굴 추출 엔진(45)은 상기 프레임 버퍼(43)와 연결되게 된다.
반대로,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영상으로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얼굴 추출 엔진(45)은 상기 스크린 머지 엔진(46)과 연결된다.
즉,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어떤 사람은 얼굴에 원 영상인 상기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영역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 어떤 사람은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영역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영상으로 상기 취득된 영상 또는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설명하면, 상기 합성 엔진(47)은 상기 얼굴 추출 엔진(45)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영역과 상기 스크린 머지 엔진(46)으로부터 스크린 머지된 영상을 합성한다. 이때, 상기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영상으로 상기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영역이 사용되고, 배경으로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머지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추출한 경우에는 상기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영상으로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영역이 사용되고, 배경으로 상기 취득된 영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카메라(42)로부터 영상을 취득한 후(S 51),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추출한다(S 52). 이때, 상기 취득된 영상은 프레임 버퍼(43)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취득된 영상을 복사하여 이와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생성한다(S 53). 그리고, 생성된 레이어 영상은 레이어 프레임 버퍼(44)에 저장된다.
상기 프레임 버퍼(43)에 저장된 취득된 영상 및 상기 레이어 프레임 버퍼(44)에 저장된 레이어 영상을 이용하여 스크린 머지를 수행한다(S 53).
그리고,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S53 다음에 필요에 따라 콘트라스트 향상, 채도 향상 또는 스무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과정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 머지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S 52에서 추출된 얼굴 영역과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을 합성하여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영상을 얻게 된다(S 55).
이상의 과정에서는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영상이 상기 취득된 영상인 경우에 한정된다.
이와는 달리 만일 스타 사진 효과가 스크린 머지된 영상에 주어진다면, S 52는 상기 S 54 다음에 수행되어야 한다.
즉,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추출하고, 이와 같이 추출된 얼굴 영역과 상기 취득된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 52의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취득된 영상으로 입력하고(S61), 입력된 영상을 대상으로 각 픽셀 값이 살색 범위인지를 조사한다(S62).
그리고, 살색 범위 내에 포함된 픽셀들을 유사한 색끼리 그룹화한 다음(S 63), 살색 후보 영역을 추출한다(S64).
이어서, 상기 추출된 살색 후보 영역이 타원형인지를 타원 매칭을 통해 검증하고(S 65), 타원형인 경우 눈 및 입 패턴이 존재하는지를 조사한다(S 66).
마지막으로, 얼굴 영역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얼굴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S 67).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변환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또는 PDA)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는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여 보다 깨끗하고 화사한 효과를 갖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대상으로 스타 사진 효과를 갖는 인물을 합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에 맞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영상 변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연산 과정이 간단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뿐만 아니라 제한된 리소스를 갖는 휴대폰 등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어,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한층 향상시킴으로써 고객의 제품 구매 욕구를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취득된 영상 및 상기 레이어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변환 방법.
  2.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영상 및 상기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과 상기 취득된 영상을 합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변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시,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 영역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얼굴 영역은 상기 취득된 영상의 얼굴 영역 또는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의 얼굴 영역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머지하는 단계는,
    최대 밝기 값과 상기 취득된 영상의 밝기 값의 차이값과 상기 최대 밝기 값과 상기 레이어 영상의 밝기 값의 차이값을 곱하는 단계;
    상기 곱하여진 밝기 값을 상기 최대 값으로 나누어 정규화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밝기 값과 상기 정규화된 밝기 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변환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머지는 상기 취득된 영상 및 상기 레이어 영상의 모든 픽셀들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영상에 대해 콘트라스트 향상, 채도 향상 또는 스무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변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향상은 상기 레이어 영상에 대해 CbCr 평면 상에서 중심점으로부터 거리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영상은 상기 취득된 영상이 복사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10.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제1 저장수단;
    상기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저장하는 제2 저장수단; 및
    상기 취득된 영상 및 상기 레이어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영상 변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영상을 콘트라스트를 향상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영상 변환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영상을 채도를 향상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영상 변환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영상을 스무딩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영상 변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무딩 수단은 평균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 및 상기 취득된 영상을 합성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영상 변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단은 상기 스크린 머지된 영상 또는 상기 취득된 영상 중 하나로부터 추출된 스타 사진 효과가 주어진 얼굴 영역을 이용하여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장치.
KR10-2003-0033052A 2003-05-23 2003-05-23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0512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052A KR100512117B1 (ko) 2003-05-23 2003-05-23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052A KR100512117B1 (ko) 2003-05-23 2003-05-23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634A true KR20040100634A (ko) 2004-12-02
KR100512117B1 KR100512117B1 (ko) 2005-09-02

Family

ID=3737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052A KR100512117B1 (ko) 2003-05-23 2003-05-23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115B1 (ko) * 2003-05-23 200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115B1 (ko) * 2003-05-23 200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117B1 (ko) 200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27591B (zh) 图像染发处理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KR20200014842A (ko) 이미지 조명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CN100456804C (zh) 面部图像补偿设备和方法
JP2003134352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CN108885785A (zh) 用于时间噪声减少的运动自适应流处理
US20020018224A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image processing
CN111696039B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2004127064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記録装置
CN111899197B (zh) 一种图像增亮去噪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Kao High dynamic range imaging by fusing multiple raw images and tone reproduction
JP200431047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を行う携帯電話、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005248B1 (ko) 정보단말
CN113723385A (zh) 视频处理方法及装置、神经网络的训练方法及装置
JP2004240622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1462158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及智能设备、存储介质
CN112419218A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0512117B1 (ko)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1445613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WO2023273111A1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06114006A (ja) 階調変換装置、プログラム、電子カメラ、およびその方法
CN106887024B (zh) 照片的处理方法及处理系统
KR20020084321A (ko) 템플릿을 이용한 실시간 인물합성방법
CN111915528A (zh) 一种图像增亮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12634155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903428B1 (ko) 연관 이미지간 컬러 보정 시스템 및 보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