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115B1 -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115B1
KR100512115B1 KR10-2003-0033053A KR20030033053A KR100512115B1 KR 100512115 B1 KR100512115 B1 KR 100512115B1 KR 20030033053 A KR20030033053 A KR 20030033053A KR 100512115 B1 KR100512115 B1 KR 10051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pecial effect
brightness
previous block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635A (ko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115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영상에 특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생성하여, 이러한 레이어 영상을 대상으로 물체의 움직임 또는 배경의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특수 효과 계수를 반영하고, 이와 같이 특수 효과가 반영된 영상 및 취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스크린 머지를 수행한다.
따라서,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취득되는 즉시, 간단히 특수 효과가 반영된 영상을 얻을 수 있고, 특수 효과의 정도를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반영하여 보다 실제적인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메모리 및 리소스 크기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비용 없이 사용자 자신에 맞는 특수 효과가 반영된 영상을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verting an image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한된 리소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서 취득된 영상에 특수 효과를 줄 수 있는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카메라를 이동성이 뛰어난 휴대폰 또는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부착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부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취득하여 이를 메일로 보내거나 자신의 컴퓨터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현재는 VGA 크기의 30만 화소의 카메라가 휴대폰에 내장되지만, 곧 100만 화소 급의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폰이 출시될 예정이어서, 향후 휴대폰이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 시장의 일부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단말기 제조업체에서는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하는 대부분의 휴대폰 단말기들을 대상으로 보다 좋은 화질의 영상을 지원하기 위해 화질 개선에 주력하고 있으나, 화질 개선에는 그만큼의 하드웨어 비용이 발생하게 되므로 그 한계점이 비슷하게 되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차별화 기능을 지원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샤메일이라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취득한 영상을 스티커 사진과 같이 간단한 꾸미기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차별화에 성공한 바 있다. 즉, 샤메일의 경우, 취득된 영상을 서버에 올린 뒤 컴퓨터로 접속하여 꾸미기 기능을 수행한 후, 이를 다시 다른 휴대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일부 휴대폰에서 단말기 취득된 영상을 단말기 자체에서 바로 꾸미기 처리한 후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휴대폰의 경우에는 제한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많은 정보를 처리해야 하고, 배터리 소모량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단순한 꾸미기 기능만을 수행할 뿐, 보다 정교하고 세밀한 꾸미기 기능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제한된 리소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서 취득된 영상에 특수 효과를 줄 수 있는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변환 방법은,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레이어 영상에 특수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 및 상기 취득된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수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는,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을 이용하여 현재 픽셀의 밝기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레이어 영상에 포함된 모든 픽셀들에 대해 상기 b'-1)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수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는,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 및 특수 효과 계수를 이용하여 현재 픽셀의 밝기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레이어 영상에 포함되는 모든 픽셀들에 대해 상기 b''-1)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현재 픽셀의 밝기 값은 상기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과 상기 특수 효과 계수의 곱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변환 장치는, 취득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수단; 상기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저장하는 제2 저장수단; 상기 저장된 레이어 영상에 특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 및 상기 취득된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취득된 영상에 특수 효과를 부여하여 영상을 차별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발명은 특수한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은 메모리와 연산으로 처리 가능하게 되어, 휴대폰과 같이 제한된 리소스를 갖는 장치에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변환 장치(10)는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11)와, 상기 카메라(11)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13)와, 상기 프레임 버퍼(13)에 저장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레이어 프레임 버퍼(15)와, 상기 레이어 프레임 버퍼(15)에 저장된 레이어 영상을 대상으로 특수 효과를 부여하는 특수 효과 엔진(17)과, 상기 프레임 버퍼(13)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특수 효과 엔진(17)에 의해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는 스크린 머지 엔진(19)을 포함한다.
상기 특수 효과 엔진(17)은 상기 레이어 영상에 특수 효과를 부여하는 엔진으로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효과 엔진에서 특수 효과를 부여하는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어 영상에는 수많은 픽셀들이 포함되고, 픽셀들 각각에는 밝기 값이 정해져 있다.
이러한 경우, x, y 좌표 상에서 수많은 픽셀들 중의 한 픽셀, 즉 현재 픽셀(21)의 밝기 값은 현재 위치(x,y)로부터 Δx, Δy만큼 떨어진 이전 블록 영역(23)의 평균값으로부터 산출된다. 여기서, 상기 이전 블록 영역(23)의 평균값(mean)은 상기 이전 블록 영역 내에 포함된 픽셀들의 밝기값의 합을 상기 이전 블록 영역 내에 포함된 픽셀들의 개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이전 블록 영역(23)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사각형의 면적에 따라 상기 특수 효과가 다르게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전 블록 영역(23)에 포함된 모든 픽셀 밝기값들은 이미 갱신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특수 효과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인 a가 상기 이전 블록 영역(23)의 평균값에 곱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는 특수 효과를 얼마나 반영하는가를 결정하는 변수로서, 가령, a가 1인 경우에는 특수 효과가 반영되지 않게 되고, a가 1보다 크게 되면 그만큼 특수 효과가 더 반영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떠한 영상에 햇살 효과를 부여하는 경우에, a를 1로 설정하는 것보다는 a를 3으로 설정하는 것이 더 많은 양의 햇살이 부여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재 픽셀(21)의 밝기값이 정해지면, 이에 인접하는 다음 픽셀의 밝기값을 산출하게 된다. 즉, 다음 픽셀의 밝기값은 상기 현재 픽셀을 포함하는 이전 블록 영역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레이어 영상에 포함되는 모든 픽셀들에 특수 효과가 부여되게 된다.
이와 같은 특수 효과 부여 과정에 대한 알고리즘은 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식 1]
for(i=0;i<nHeight;i++)
{
for(j=0;j<nWidth;j++)
{
tmp = 0;
for(y=i-tmp,p=0;y<i+term;y++,p++)
{
for(x=j-term,q=0;x<j+term;x++,q++)
{
tmp+ = pln[y*nWidth+x];
}
}
pln[y*nWidth+x] = tmp/block_size*a;
}
}
여기서, pln은 입력 영상, block_size는 이전 블록 영역에 포함된 필셀들의 개수, tmp는 이전 블록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의 밝기값의 합, term은 이전 블록 영역의 한 면의 길이, nWidth은 입력 영상의 가로 길이, nHeight는 입력 영상의 세로 길이, a는 특수 효과 계수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각 픽셀들의 밝기 성분이 변형될 경우, 배경에 밝은 영역이 있을 경에는 더욱 밝은 햇살 효과가 나타나고, 어두운 배경일 경우에는 햇살 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한편, 항상 일정하게 유사한 정도의 햇살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하기 식 2에서와 같이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에 따라 특수 효과 계수(a)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식 2]
if(tmp>th)
pln[y*nWidth+x] = tmp/block_size * a;
else
pln[y*nWidth+x] = tmp/block_size * b;
//(b>a)
여기서, a와 b는 모두 특수 효과 계수를 나타내고, b가 a보다 더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식 2와 같이, 이전 블록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의 밝기값의 합(tmp)이 임계치(th) 이상이면 밝기가 매우 밝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특수 효과 계수 a가 평균값(tmp/block_size)에 곱하여지게 된다.
반대로, 이전 블록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의 밝기값의 합이 임계치 이하이면 밝기가 매우 어둡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a보다 큰 b가 평균값에 곱하여지게 된다.
즉, 밝기값이 높은 경우에는 낮은 계수(a)를 사용하고, 반대로 밝기값이 낮은 경우에는 높은 계수(b)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수 효과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항상 일정하게 유사한 정도의 햇살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린 머지 엔진(19)은 이상에서와 같이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과 상기 프레임 버퍼(13)에 저장된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여 특수 효과가 적용된 새로운 영상을 만들게 된다.
상기 스크린 머지는 하기 식 3과 같은 과정으로 처리된다.
[식 3]
Out_frame[i*176+j] = {MAX-[(MAX-frame[i*176+j])*(MAX-In_frame[i*176+j])/MAX}
여기서, frame[i*176+j]는 프레임 버퍼(13)에 저장된 영상에서의 픽셀(pixel) 밝기값이고, In_frame[i*176+j]는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에서의 픽셀 밝기값이고, MAX는 픽셀이 갖을 수 있는 최대 밝기값이며, Out_frame[i*176+j]는 변환된 영상에서의 픽셀 밝기값이다.
상기 식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환된 영상(Out_frame[i*176+j])은 최대 밝기값과 상기 취득된 영상의 밝기값의 차이값 및 상기 최대 밝기값과 상기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의 밝기값의 차이값을 곱하고, 상기 곱하여진 밝기값을 상기 최대 값으로 나누어 정규화한 다음, 상기 최대 밝기값과 상기 정규화된 밝기값의 차이값을 구함으로써 얻어지게 된다. 상기 식 3에 의하면, 하나의 픽셀에 대한 스크린 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완전한 변환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식 3을 상기 프레임 버퍼(13)에 저장된 영상 및 상기 최대 효과가 부여된 영상의 모든 픽셀들에 대해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영상 변환 장치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환장치에서 영상을 특수효과가 제공된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케메라를 작동시켜 영상을 취득한다(S31). 그리고, 취득된 영상은 프레임 버퍼(13)에 저장된다.
이어서, 상기 프레임 버퍼(13)에 저장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생성하여 레이어 프레임 버퍼(15)에 저장한다(S 32).
상기 특수 효과 엔진(17)은 상기 레이어 프레임 버퍼(15)에 저장된 레이어 영상을 로딩하여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을 생성하여 다시 상기 레이어 프레임 버퍼(15)에 저장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특수 효과 엔진(17)은 상기 레이어 영상에 대해 현재 픽셀을 기준으로 Δx, ΔY만큼 떨어져서 일정한 면적을 갖는 이전 블록 영역으로부터 밝기 평균값을 산출한다(S 33).
그리고, 산출된 밝기 평균값에 특수 효과 계수(a)를 곱하여 상기 현재 픽셀의 밝기값을 산출한다(S34).
이와 같이 현재 픽셀의 밝기값의 산출은 상기 레이어 영상에 포함된 모든 픽셀에 대해 수행된다(S 35). 즉, 현재 픽셀의 밝기값이 산출되면, 다음 픽셀의 밝기값을 상기 S32 및 S 33의 과정에 의해 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음 픽셀의 밝기값은 앞서 산출된 현재 픽셀을 새로 이전 블록 영역에 포함시켜서 산출된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에 상기 특수 효과 계수를 곱하여 산출되게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특수 효과 계수는 예를 들어 햇살 효과를 반영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이러한 특수 효과 계수의 크기에 따라 햇살 효과가 다르게 반영되게 된다.
이와 같은 특수 효과의 크기는 상기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에 반비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이 큰 경우에는 특수 효과의 크기는 작게 설정되고, 반대로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이 작은 경우에는 특수 효과의 크기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수 효과 계수는 이전 블록 영역의 면적을 크기에 의해서도 다르게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전 블록 영역의 면적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밝기값이 매우 큰 경우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특수 효과 계수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반면에, 이전 블록 영역의 면적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밝기값이 작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특수 효과 계수가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33 내지 상기 S35 과정을 통해 하나의 레이어 영상에 대해 특수 효과가 적절히 부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이어 영상에 특수 효과가 부여되면, 상기 스크린 머지 엔진(19)에 의해 상기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 및 상기 프레임 버퍼(13)에 저장된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 36).
이와 같은 스크린 머지 과정은 이미 상기 식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에 간단히 특수 효과를 부여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수 효과 계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자신에 맞는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효과를 정지 영상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4a는 원 영상을 나타내고, 도 4b는 특수 효과가 부여된 정지 영상을 나타낸다.
특수 효과가 부여된 정지 영상에서는 원 영상에 나타나지 않는 햇살 효과가 부가적으로 나타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효과를 동영상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5a부터 도 5f는 각각 연속된 프레임에 특수 효과가 부여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영상에서도 앞서 설명한 정지 영상과 마찬가지로 특수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다만, 도 5a 내지 도 5f에서는 장면과 물체가 이동함에 따라 햇살이 실제에서와 같이 변화되어 나타나게 되어, 더욱 생동감 있는 영상이 얻어질 수 있다.
이오 같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특수 효과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먼저, 영상마다 그 영상에 부합되는 특수 효과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영상에 나타난 물체의 위치와 배경에 따라 특수 효과가 다르게 설정되게 된다.
두 번째로, 동영상의 경우, 물체의 움직임이나 배경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특수 효과도 변화되므로, 실제와 거의 흡사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세 번째로,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특수 효과 계수(a)를 이용하여 특수 효과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도 6a 내지 도 6d에 잘 보여주고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효과 정도의 제어에 따라 변환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원 영상이고, 도 6b는 특수 효과 정도가 약간 반영된 영상이고, 도 6c는 도 6b보다 특수 효과 정도가 좀 더 반영된 영상이며, 도 6c는 특수 효과 정도가 많이 반영된 영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특수 효과 정도를 지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네 번째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특수 효과는 적은 메모리와 연산을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제한된 리소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적은 메모리와 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특수 효과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특수 효과를 지정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영상을 변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변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효과 엔진에서 특수 효과를 부여하는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변환장치에서 영상을 특수효과가 제공된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효과를 정지 영상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효과를 동영상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 효과 정도의 제어에 따라 변환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1 : 카메라 13 : 프레임 버퍼
15 : 레이어 프레임 버퍼 17 : 특수 효과 엔진
19 : 스크린 머지 엔진 21 : 픽셀
23 : 이전 블록 영역

Claims (13)

  1.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b)상기 생성된 레이어 영상에 특수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 및
    c)상기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 및 상기 취득된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변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을 이용하여 현재 픽셀의 밝기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b'-2)상기 생성된 레이어 영상에 포함된 모든 픽셀들에 대해 상기 b'-1)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변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셀의 밝기값은 상기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 및 특수 효과 계수를 이용하여 현재 픽셀의 밝기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b''-2)상기 생성된 레이어 영상에 포함되는 모든 픽셀들에 대해 상기 b''-1)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변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픽셀의 밝기값은 상기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과 상기 특수 효과 계수의 곱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에 반비례되도록 상기 특수 효과 계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블록 영역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사각형의 면적에 따라 상기 특수 효과가 다르게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8.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은 상기 이전 블록 영역에 포함되는 모든 픽셀 밝기값들을 평균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블록 영역에 포함된 모든 픽셀 밝기값들은 이미 갱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최대 밝기값과 상기 취득된 영상의 밝기값의 차이값 및 상기 최대 밝기값과 상기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의 밝기값의 차이값을 곱하는 단계;
    상기 곱하여진 밝기값을 상기 최대 값으로 나누어 정규화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밝기값과 상기 정규화된 밝기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변환 방법.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머지는 상기 취득된 영상 및 상기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의 모든 픽셀들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방법.
  12.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득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수단;
    상기 취득된 영상과 동일한 레이어 영상을 저장하는 제2 저장수단;
    상기 저장된 레이어 영상에 특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특수 효과가 부여된 영상 및 상기 취득된 영상을 스크린 머지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영상 변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레이어 영상에 포함되는 각 픽셀들은 이전 블록 영역의 밝기 평균값 및 특수 효과 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변환 장치.
KR10-2003-0033053A 2003-05-23 2003-05-23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KR100512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053A KR100512115B1 (ko) 2003-05-23 2003-05-23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053A KR100512115B1 (ko) 2003-05-23 2003-05-23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635A KR20040100635A (ko) 2004-12-02
KR100512115B1 true KR100512115B1 (ko) 2005-09-02

Family

ID=3737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053A KR100512115B1 (ko) 2003-05-23 2003-05-23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1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7921A (ja) * 1999-04-15 2000-11-02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KR20040091994A (ko) * 2003-04-23 2004-11-03 자우 주식회사 실시간 영상 합성방법
KR20040100634A (ko) * 2003-05-23 200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7921A (ja) * 1999-04-15 2000-11-02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KR20040091994A (ko) * 2003-04-23 2004-11-03 자우 주식회사 실시간 영상 합성방법
KR20040100634A (ko) * 2003-05-23 200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635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1418B2 (en)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ly represented visual instruction from a specialist to a user in need of said visual instruction, and a system therefor
JP4530277B2 (ja)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2449120B (zh) 高动态范围视频生成方法及装置
CN106981054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134189B (zh) 图像处理装置、摄像装置、图像处理方法及程序
CN109670445B (zh) 低视力助视智能眼镜系统
CN112950499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2339461A (zh) 图像增强方法和设备
US20080094481A1 (en) Intelligent Multiple Exposure
CN110619610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CN115761271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WO2006120840A1 (ja) 映像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端末、および画像変換装置
CN116668656B (zh) 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3570581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0512115B1 (ko) 영상 변환 방법 및 장치
CN110555799A (zh) 用于处理视频的方法和装置
KR101571331B1 (ko) 휘도 표시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CN107451972B (zh) 图像增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750986B1 (ko) 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0632533B1 (ko) 자동 얼굴 검출을 통한 애니메이션 효과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1069282A1 (en) Perceptually improved color display in image sequences on physical displays
CN113256785A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EP2945341A1 (en)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ly represented visual instruction from a specialist to a user in need of said visual instruction, and a system therefor
CN111026893A (zh) 智能终端、图像处理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668773B (zh) 增强视频画质的方法与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