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543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크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크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543A
KR20040100543A KR1020030032944A KR20030032944A KR20040100543A KR 20040100543 A KR20040100543 A KR 20040100543A KR 1020030032944 A KR1020030032944 A KR 1020030032944A KR 20030032944 A KR20030032944 A KR 20030032944A KR 20040100543 A KR20040100543 A KR 20040100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ignal
received
fingers
sear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8717B1 (ko
Inventor
강명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2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717B1/ko
Priority to US10/849,844 priority patent/US7596172B2/en
Publication of KR2004010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04B1/7117Selection, re-selection, allocation or re-allocation of paths to fingers, e.g. timing offset control of allocated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이 송신한 다중 경로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레이크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의 레이크 수신기는 하나의 신호가 다중 경로들을 통해 수신될 시, 수신되는 신호를 독립적으로 복조하는 다수의 핑거들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레이크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신호들의 세기를 검사하여, 수신 신호가 소정 크기 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유효 경로들을 검출하고, 상기 유효 경로들 정보를 출력하는 탐색기와, 상기 탐색기로부터 출력된 유효 경로들 정보에 따라, 상기 유효 경로에 상응하는 핑거들을 선택/인에이블시켜 상기 인에이블된 핑거들에 해당 경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탐색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유효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새로운 유효 경로에 상응하는 핑거들을 선택/인에이블 시킴과 동시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크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RAKE RECEI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레이크 수신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는 무선 환경에서 통신을 수행하므로 유선 통신보다 통신 품질이 저하되기 쉽다. 이러한 무선 환경에서 전자파를 이용한 통신을 할 때 전송품질에 영향을 주는 현상 중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이다.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은 서로 다른 경로로 수신기에 도착한 신호의 위상차이 즉, 시간 지연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페이딩은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켜 전송 에러를 집중적으로 발생시키며, 시간 지연은 신호간 간섭을 발생시킨다.
대역 확산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CDMA 통신 방식은 레이크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신호의 다중 경로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레이크 수신기는 서로 시간차가 있는 두 신호를 분리하여 복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수신기로서, 시간차를 가지거나 다른 신호를 수신하면 독립된 신호로 인식하여 시간 다이버시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이크 수신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환경으로 인하여 신호의 전달 경로가 둘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M개의 수신 경로들(100)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 Digital Converter, 이하 ADC라 기재함,110)에서 기저 대역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ADC(110)에서 변환된 각 경로의 신호들은 각각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로 레이크 수신기의 신호 탐색기(120)와 신호 제어기(130)로 입력된다. 신호 탐색기(Searcher)(120)는 각 경로들에 따라 수신된 신호들의 세기(Intensity)를 검사하여 소정 크기 이상이 되는 세기를 가진 신호들이 수신되는 유휴 경로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신호 제어기(130)와 핑거(140)에 각각 알려준다. 한편, 신호 제어기(130)는 신호 탐색기(120)로부터 하나 이상의 유효 경로 정보 및 각 유효 경로를 할당받을 핑거들의 정보를 수신받아, ADC(110)에서 나온 M개의 수신 경로들(100)중에서 유효 경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 및 상기 수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도록 인에이블 명령 신호를 핑거(140)에 전송한다. 핑거(140)에서는 각각의 유효 경로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의 원 신호를 추정하여 결합기(150)로 보내고, 결합기(150)는 전송받은 원신호들을 결합하여 여러개의 수신 경로들로부터 수신된 원 신호를 추정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핑거의 상세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기(141)는 신호 제어기(130)의 명령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PN 위치 계산기(142) 및 PN 시퀀스 생성기(143)에 전송하고, 상기 신호 제어기(13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의 시간 지연을 알아낸다. PN 시퀀스 생성기(143)은 상기 타이밍 제어기(141)로부터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탐색기(120)와 동시에 초기화된다. 그리고, 상기 초기화된 PN 시퀀스 생성기(143)들은 상기 신호 탐색기에 의해 지정된 복조 경로의 할당된 PN 시퀀스의 위치로 스루윙을 통해 시퀀스 이동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기에서 알아낸 시간 지연 정보를 이용하여 역확산 신호들을 확산되기 이전의 신호들로 되돌린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신호 탐색기(120)와 핑거(140)가 200단계에서 인에이블되면, 상기 신호 탐색기(120)와 핑거(140)의 PN 시퀀스 생성기(143)는 210 단계에서 동시에 초기화된다. 상기 PN 시퀀스 생성은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현되는데, 상기 초기화는 신호 탐색기(120)와 각 핑거(140)내의 PN 시퀀스 생성기(143)들이 약속된 시간에 초기 PN 시퀀스 상태로 쉬프트 레지스터를 초기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의 PN 위치를 '0'으로 한다. 예를 들면, 3GPP2의 경우 14개의 '0' 시퀀스 후 '1'이 나타나는 위치를 말한다.
신호 탐색기(120)는 220 단계에서 최고 에너지를 사용하여 유효 경로의 PN 위치를 탐색한다. 상기 신호 탐색기(120)는 230 단계에서 다수의 핑거들(140) 중 선택된 핑거들에 220 단계에서 획득된 유효 경로의 PN 위치를 할당하고, 그 외의 핑거들은 해제한다.
그런데, 이동 단말과 같은 소형 기기들에서 전력 소비 감소는 필수적이므로, 시간에 따른 환경 변화에 따라 심볼 복조 중 230 단계에서와 같이 해제되어 일시적으로 사용치 않는 핑거들에 대한 전력 공급 차단 또는 인가되는 시스템 클럭을 완전히 게이트 오프하여야 한다.
240 단계 ~ 280 단계는 신호 제어기(130)에서 유휴 핑거들을 게이트 오프하기 위해 수행하는 과정이다. 신호 제어기(130)는 240 단계에서 핑거의 넘버인 f를 1로 셋팅한다. 신호 제어기(130)는 250 단계에서 핑거 넘버f가 하드웨어에 존재하는 핑거의 넘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250 단계의 판단 결과, 핑거 넘버 f가 하드웨어에 존재하는 핑거의 넘버일 경우, 신호 제어기(130)는 260 단계에서 핑거 f가 상기 230 단계에서 유효 경로의 PN 위치로 할당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26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핑거 f가 유효 경로의 PN 위치로 할당되지 않았다면, 신호 제어기(130)는 270 단계에서 상기 PN 시퀀스 생성기(143)를 제외한 핑거 f의 펑크션들을 디스에이블시킨다. 상기 260 단계의 판단 결과, 핑거 f가 유효 경로의 PN 위치로 할당되었을 경우에는 핑거의 펑크션들이 인에이블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신호 제어기는 280 단계에서 핑거 넘버f를 1 증가시키고, 상기 250 단계로 궤환된다. 상기 250 단계에서 280 단계를 핑거에 존재하는 핑거수만큼 수행하면, 상기 250 단계의 판단 결과 핑거 넘버 f가 하드웨어에 존재하지 핑거 넘버를 초과하므로 220의 단계로 궤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할당된 PN 위치에서 핑거(140)는 내부의 타임 추적기를 사용하여 한 칩(chip)내의 더욱 세밀한 타이밍을 얻게 되고 지정된 경로가 시간에 따라 움직일 경우, 이를 추적한다. PN 시퀀스는 일정한 레이트로 업데이트되는데, 신호 탐색기(120)의 동작 결과에 의한 할당된 위치로의 슬루잉(slewing)명령에 의해쉬프트 레지스터의 업데이트 레이트(update-rate)를 조절하여 시퀀스의 위상을 조절하게 되는데, 도 4에는 각 핑거에서의 업데이트 레이트 조절에 따른 시퀀스의 위상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핑거 1, 핑거 2, 핑거 3 및 핑거 4는 상기 210단계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t0에 PN 위치가 '0'으로 초기화된 핑거들이다. 만일 슬루잉 명령이나 타이밍 제어기(141)의 결과에 의한 PN 위치 이동이 없을 경우에는 일정 레이트로 PN 시퀀스는 업데이트되고, 이 때 PN 위치의 변화는 없다. 즉, 핑거 2을 살펴보면, PN 시퀀스 0, 1, 2가 일정 레이트로 업데이트되고 있고, 그에 따른 PN 위치는 0으로 고정되어 변화가 없다. 그러나, PN 시퀀스 업데이트 레이트가 조정되어 t1에서 PN 시퀀스 3이 PN 시퀀스 4로 업데이트되지 않으면, PN 위치가 1로 수정되고 처음 타임 추적기에 의해 측정된 시각 오차만큼 옮겨간다. 이 때 t2에서 PN 시퀀스가 4로 업데이트될 때까지 PN 위치는 1/2 칩 단위로 옮겨간다.
반면, 도 4의 핑거 4'는 230 단계에서 PN 위치가 할당되지 않은 핑거로써, 270 단계에서 PN 시퀀스 생성기(143)를 포함한 모든 기능들이 디스에이블 되어있다. 즉, 핑거 4'는 신호 탐색기(120)와 함께 t0에서 초기화되지 않아 PN 시퀀스를 생성하지 않았다. 그러나, 핑거에 할당될 유효 경로가 늘어, 상기 핑거 4'에 PN 위치가 할당되는 t3에서 핑거 4'은 PN 위치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각 핑거의 전력 공급 차단 또는 인가되는 시스템 클럭을 완전히 게이트 오프하고 탐색기에 의해 새로운 경로를 할당받는 시점에서 심볼 복조에 에러가 발생하므로 수신기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언제라도 사용가능성이 있는 각 핑거는 PN 시퀀스 생성기(143)와 제어부는 항상 전력 공급 및 인에이블 상태로 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감소를 위한 레이크 수신기 및 그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핑거를 온/오프시키는 레이크 수신기 및 그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핑거에 전력을 인가할 경우 인에이블 정보를 제공하는 레이크 수신기 및 그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신호가 다중 경로들을 통해 수신될 시, 수신되는 신호를 독립적으로 복조하는 다수의 핑거들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레이크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신호들의 세기를 검사하여, 수신 신호가 소정 크기 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유효 경로들을 검출하고, 상기 유효 경로들 정보를 출력하는 탐색기와, 상기 탐색기로부터 출력된 유효 경로들 정보에 따라, 상기 유효 경로에 상응하는 핑거들을 선택/인에이블시켜 상기 인에이블된 핑거들에 해당 경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탐색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유효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새로운 유효 경로에 상응하는 핑거들을 선택/인에이블 시킴과 동시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신호가 다중 경로들을 통해 수신될 시, 수신되는 신호를 독립적으로 복조하는 핑거들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레이크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신호들의 세기를 검사하여, 수신 신호가 소정 크기 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유효 경로들을 검출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유효 경로들에 상응하는 핑거들을 선택/인에이블시켜 상기 인에이블된 핑거들에 해당 경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전송하는 제 2 과정과,하나 이상의 새로운 유효 경로가 검출되면, 새로운 유효 경로에 상응하는 핑거들을 선택/인에이블시킴과 동시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핑거의 상세 내부 구성 블록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각 핑거에서의 PN 시퀀스 및 PN 위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상세 내부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핑거들에서의 PN 시퀀스 및 PN 위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 동작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M개의 수신 경로들(300)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ADC(310)에서 기저 대역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ADC(310)에서 변환된 각 경로의 신호들은 각각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로 레이크 수신기의 신호 탐색기(120)와 제어기(330)로 입력된다. 신호 탐색기(320)는 각 경로들에 따라 수신된 신호들의 세기(Intensity)를 검사하여 소정 크기 이상이 되는 세기를 가진 신호들이 수신되는 유휴 경로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제어기(330)와 핑거(340)에 각각 알려준다.
상기 제어기(330)는 신호 제어부(341)와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42)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 제어부(341)는 신호 탐색기(320)로부터 받은 정보에 따라, ADC(310)에서 나온 M개의 수신 경로들(300)에서 수신된 신호 및 그에 상응하는 명령 신호를 핑거(340)에 전송한다. 또한 신호 탐색기(320)로부터의 새로운 유효 경로 및 PN 위치 탐색 결과 신호에 따라, 상기 기준 핑거를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기준 핑거 신호와 신호 탐색기(320)에 의해 새롭게 할당된 타겟 핑거의 정보를 상기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32)에 전송한다. 상기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32)는 신호 탐색기(320)의 초기화 이후에 새롭게 할당된 핑거를 상기 신호 제어부(33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시킬 경우, 이미 할당되어 있는 핑거들 중의 기준 핑거로 지정된 핑거의 시퀀스 타이밍 정보와 시퀀스 위치를 독취하여 상기 새롭게 할당된 핑거에 제공한다. 핑거(340)에서는 각각의 경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원 신호를 추정하여 결합기(350)로 보내고, 결합기(350)는 전송받은 원신호들을 결합하여 여러개의 수신 경로들로부터 수신된 원 신호를 추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32)의 상세 내부 구성 블록도를 포함한다. 상기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32)는 두 개의 먹스(333, 334)와, 다수의 AND 게이트(335) 및 OR 게이트(336)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6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회로 구성의 일례로써, 본 발명은 핑거 인에이블제어부(332)의 기능이 가능한 다양한 회로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함을 밝혀둔다. 도 6의 제 1 먹스(333)는 모든 핑거들의 타이밍 제어기(341)로부터 PN 시퀀스 넘버가 '0'이 되는 PN 롤 오버 포인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 제어부(331)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핑거 정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PN 롤 오버 포인트만을 출력한다. 상기 각 핑거들에 상응하는 AND 게이트(335)는 상기 제 1먹스(333)로부터 출력된 PN 롤 오버 포인트와 상기 신호 제어부(331)로터 출력되는 타겟 핑거 유무 정보를 논리곱한 값을 출력한다. 상기 OR 게이트(336)는 상기 AND 게이트(335)로부터 출력된 값과 초기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그 논리합의 값을 해당 핑거에 출력한다. 제 2 먹스(334)는 각 핑거들로부터 PN 위치를 입력받아, 기준 핑거에 해당하는 PN 위치만을 각 PN 위치 계산기(342)에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핑거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신호 탐색기(320)와 핑거(340)가 400단계에서 인에이블되면, 상기 신호 탐색기(320)와 핑거(340)의 PN 시퀀스 생성기(343)는 410 단계에서 동시에 초기화된다. 상기 PN 시퀀스 생성은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현되는데, 상기 초기화는 신호 탐색기(320)와 각 핑거(340)내의 PN 시퀀스 생성기(343)들이 약속된 시간에 초기 PN 시퀀스 상태로 쉬프트 레지스터를 초기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의 PN 위치를 '0'으로 한다. 예를 들면, 3GPP2의 경우 14개의 '0' 시퀀스 후 '1'이 나타나는 위치를 말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핑거들에서의 PN 시퀀스 및 PN 위치 변화를 도시한 도면으로, 핑거 1, 2, 3은 신호 탐색기(320)에 의해 초기화되어 PN 시퀀스가 초기화되는 PN 롤 오버 포인트(t0)에서 PN 위치 '0'이 할당되어 있다.
신호 탐색기(320)는 420 단계에서 최고 에너지를 사용하여 유효 경로의 PN 위치를 탐색한다. 상기 신호 탐색기(120)는 430 단계에서 다수의 핑거들(140) 중 선택된 핑거들에 420 단계에서 획득된 유효 경로의 PN 위치를 할당하고, 그 외의 핑거들은 디스에이블시킨다.
우선 신호 제어부(331)는 440 단계에서 핑거의 넘버인 f를 1로 셋팅한다. 신호 제어기(330)는 450 단계에서 핑거 넘버f가 하드웨어에 존재하는 핑거의 넘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450 단계의 판단 결과, 핑거 넘버 f가 하드웨어에 존재하는 핑거의 넘버일 경우, 신호 제어기(330)는 460 단계에서 핑거 f가 상기 430 단계에서 유효 경로의 PN 위치로 할당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460 단계에서 핑거 f가 유효 경로의 PN 위치로 할당된 핑거일 경우, 신호 제어기(330)는 470 단계에서 핑거 f가 신호 탐색기의 초기화시 할당된 핑거가 아닌 새롭게 할당된 핑거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470 단계의 판단 결과, 핑거 f가 새롭게 할당된 핑거일 경에는, 신호 제어부(331)는 480 단계에서 상기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32)에 기준 핑거 정보 및 타겟 핑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32)가 기준 핑거의 타이밍 및 PN 위치 복사 후 핑거 f를 인에이블 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480 단계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신호 제어부(331)는 해당 타겟 핑거에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32)로 타겟 핑거 및 기준 핑거 결정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타겟 핑거는 복수가 될 수도 있다.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32)의 제 1 먹스(333)는 모든 핑거들의 타이밍 제어기로부터 PN 롤 오버 포인트 신호를 입력받아, 기준 핑거의 PN 롤 오버 포인트만을 모든 핑거에 상응하는 AND 게이트(335)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신호 제어부(331)로부터 출력되는 타겟 핑거로 결정된 핑거에 상응하는 AND 게이트(335)에만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므로, 타겟 핑거의 타이밍 제어기로 PN 시퀀스 초기화 신호 및 위치 복사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32)의 제 2 먹스(334)는 각 핑거로부터 PN 위치를 입력받아, 기준 핑거에 해당하는 PN 위치만을 각 PN 위치 계산기에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PN 시퀀스 초기화 신호 및 위치 복사 제어 신호가 입력된 타겟 핑거의 타이밍 제어기(341)는 PN 위치 계산기(342)에 초기화 및 PN 포지션 복사 명령 신호를 출력하여 PN 위치 계산기(342)가 상기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32)로부터 출력되는 PN 포지션 정보를 입력받아 초기화된다.
상기 PN 생성기(343)는 핑거 인에이블 제어부(340)로부터 입력되는 초기화 명령에 따라 초기화된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t1에 신호 제어부(331)로부터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t1이후의 기준 핑거 1의 PN 롤 오버 포인트(t2)에 맞추어, PN 시퀀스가 '0'(b)으로 초기화되고, PN 위치는 핑거 1의 PN 위치인 '2'(c)로 세팅된다. 따라서, 타겟 핑거의 PN 시퀀스 생성기는 할당된 위치로 시퀀스 이동하면서PN 위치 계산기에서 변화량에 따른 위치 계산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는 타겟 핑거의 타이밍과 위치를 기준 핑거의 것을 그대로 복사하였으나, 목적에 따라 기준 핑거 대비 지정값만큼 이동된 위치로 타겟 핑거를 옮기고 지정값을 기준 핑거의 포지션에 더하거나 빼어서 위치를 초기화할 수도 있다.
상기 46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핑거 f가 유효 경로의 PN 위치로 할당되지 않았다면, 신호 제어기(331)는 470 단계에서 상기 PN 시퀀스 생성기(343)를 제외한 핑거 f의 기능들을 디스에이블시키고, 50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70단계의 판단 결과, 핑거 f가 유효 경로의 PN 위치로 새롭게 할당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50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00 단계에서 신호 제어기는 480 단계에서 핑거 넘버f를 1 증가시키고, 상기 450 단계로 궤환된다. 상기 450 단계에서 480 단계를 핑거에 존재하는 핑거수만큼 수행하면, 상기 450 단계의 판단 결과 핑거 넘버 f가 하드웨어에 존재하지 핑거 넘버를 초과하므로 420의 단계로 궤환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타겟 핑거들에 대해 소프트웨어는 PN 시퀀스의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이들에 대하 타이밍 제어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핑거를 사용하는 레이크 수신기에서 수신기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시간에 따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핑거들의 모든 하드웨어 전력 공급 또는 시스템 클럭을 차단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하나의 신호가 다중 경로들을 통해 수신될 시, 수신되는 신호를 독립적으로 복조하는 다수의 핑거들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레이크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신호들의 세기를 검사하여, 수신 신호가 소정 크기 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유효 경로들을 검출하고, 상기 유효 경로들 정보를 출력하는 탐색기와,
    상기 탐색기로부터 출력된 유효 경로들 정보에 따라, 상기 유효 경로에 상응하는 핑거들을 선택/인에이블시켜 상기 인에이블된 핑거들에 해당 경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탐색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유효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새로운 유효 경로에 상응하는 핑거들을 선택/인에이블 시킴과 동시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인에이블 되어 있는 핑거들 중 하나를 기준 핑거로 정하고, 상기 기준 핑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독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준 핑거의 시퀀스 넘버가 초기화되는 시점의 위치 정보를 독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준 핑거의 시퀀스 넘버가 초기화되는 시점에 상기 인에이블되는 핑거로 초기화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크 수신기.
  5. 하나의 신호가 다중 경로들을 통해 수신될 시, 수신되는 신호를 독립적으로 복조하는 핑거들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레이크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신호들의 세기를 검사하여, 수신 신호가 소정 크기 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유효 경로들을 검출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유효 경로들에 상응하는 핑거들을 선택/인에이블시켜 상기 인에이블된 핑거들에 해당 경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전송하는 제 2 과정과,
    하나 이상의 새로운 유효 경로가 검출되면, 새로운 유효 경로에 상응하는 핑거들을 선택/인에이블시킴과 동시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레이크 수신기의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인에이블 되어 있는 핑거들 중 하나를 기준 핑거로 정하고, 상기 기준 핑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독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레이크 수신기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기준 핑거의 시퀀스 넘버가 초기화되는 시점의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레이크 수신기의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기준 핑거의 시퀀스 넘버가 초기화되는 시점에 상기 인에이블되는 핑거로 초기화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레이크 수신기의 제어 방법.
KR1020030032944A 2003-05-23 2003-05-2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크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58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944A KR101058717B1 (ko) 2003-05-23 2003-05-2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크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849,844 US7596172B2 (en) 2003-05-23 2004-05-21 Rake recei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944A KR101058717B1 (ko) 2003-05-23 2003-05-2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크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543A true KR20040100543A (ko) 2004-12-02
KR101058717B1 KR101058717B1 (ko) 2011-08-22

Family

ID=3344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944A KR101058717B1 (ko) 2003-05-23 2003-05-2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크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96172B2 (ko)
KR (1) KR101058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880B1 (ko) * 2006-01-11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위장 경로 검출 방법 및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1636B1 (fr) * 2004-06-10 2006-09-22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de traitement des signaux au sein d'un recepteur "rake" a plusieurs doigts lors d'un changement de configuration des doigts, et recepteur "rake" correspondant
US8126098B2 (en) * 2006-09-12 2012-02-28 Marvell World Trade Ltd. Multi-rake receiv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9075B1 (en) 1998-01-26 2001-07-3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Finger assignment in a CDMA rake receiver
JPH11261440A (ja) 1998-03-11 1999-09-24 Oki Electric Ind Co Ltd 合成受信装置
JP3264259B2 (ja) 1998-12-10 2002-03-11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受信装置
DE10012875B4 (de) * 2000-03-16 2004-04-01 Infineon Technologies Ag Mobilfunkempfänger
JP2003023371A (ja) * 2001-07-06 2003-01-24 Nec Corp Cdma受信機、そ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194051B2 (en) * 2002-06-13 2007-03-20 Qualcomm Incorporated Finger merge protection for rake receiv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880B1 (ko) * 2006-01-11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위장 경로 검출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33977A1 (en) 2004-11-25
US7596172B2 (en) 2009-09-29
KR101058717B1 (ko) 201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4056B2 (en) Pilot strength measurement and multipath delay searcher for CDMA receiver
KR100315197B1 (ko) 확산스펙트럼수신기
JPH11168448A (ja) 拡散スペクトル通信のためのレーキ受信機およびフィンガ管理方法
JPH10341219A (ja) 直接拡散/符号分割多重方式干渉除去受信装置
JP3428637B2 (ja) Cdma受信機のマルチパス検出方法および回路
JP4307740B2 (ja) 時間追跡の方法と装置
KR100925859B1 (ko) 개량형 레이크 구조체
CN100539455C (zh) 无线通信系统中跟踪信号的方法和装置
US6212407B1 (en) Spread-spectrum transmitter and receiver providing suppressed interference between high-speed and low-speed communication users
US6463048B1 (en) Code generator for multiple rake finger and method of use
US7003022B2 (en) Matched filter and receiver for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704552B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 frequency controller
KR20000028664A (ko) 호 동안의 오정렬을 방지하는 다중 탐색 윈도우를 갖는확산 스펙트럼 수신기
KR10105871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이크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EP1350336A2 (en) Assigning clusters of demodulation elements in a spread spectrum system
KR100889712B1 (ko)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에서 클러스터된 복조 엘리먼트에 대한 시간-추적
KR100388873B1 (ko) 시분할 방식으로 동작 가능한 cdma 수신기 및 그의제어 방법
CA23357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accessing different chip sequences
JP2002118492A (ja) 逆拡散回路
EP1058398B1 (e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706038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受信装置
JP4326183B2 (ja) マルチユーザ受信機
JP2000332650A (ja) 無線通信端末装置
JP2001358614A (ja) Cdma信号受信装置及び電話機
JP200328337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