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246A -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 - Google Patents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246A
KR20040099246A KR1020040091150A KR20040091150A KR20040099246A KR 20040099246 A KR20040099246 A KR 20040099246A KR 1020040091150 A KR1020040091150 A KR 1020040091150A KR 20040091150 A KR20040091150 A KR 20040091150A KR 20040099246 A KR20040099246 A KR 20040099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lding
fold line
shoulde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정민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40091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9246A/ko
Publication of KR20040099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246A/ko
Priority to PCT/US2005/037862 priority patent/WO2006052417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81Bottles of non-circular cross-section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
(2)발명의 목적
종래의 선행으로는 미국특허 5,174,458호 등이 있었으며,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의 접힘구조를 개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3)발명의 구성
본 발명의 용기는 구부와 견부 그리고 몸체부와 저부로 구성되고,상기한 견부와 몸체부의 측방은 압착이 가능하도록 접힘선이 형성되며,상기한 저부는 돔형으로 구성되데,상기 각 접힘선에 의해 견부,몸체부,저부가 압축(착)된 후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압축유지부가 각각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압축유지부는 폐기처분시 인위적으로 형상을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4)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압축유지부가 형성된 바,사용시 용기가 접히는 것이 방지되고,폐기처분시는 압축유지부를 터치하여 용기를 용이하게 접어서 처분할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omitted}
본 발명은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에 관한 것이고,종래의 선행으로는,일반적인 접철식 용기로서,미국특허5,511,686호,미국특허5,080,260호,일본실개평6-6214호,PCT WO98/31592호,일본특개2002-80021호,일본특개2002-160719호,일본실개평5-46717호,일본특개평8-324533호,일본특개평8-324534호,미국특허6,170,712호,미국특허3,559,847호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의 것으로서,일본특허출원2002-539215호가 있고,또한 본 발명이 개선하고자 하는 것의 상대적인 것으로는 미국특허5,174,458호가 있다.
상기한 선행중 미국특허5,511,686호는, 저부를 압착하기 난이한 구조를 갖고 있고,미국특허5,080,260호는 용기가 펼쳐지면서 압착이 되는 기술인 바,압착후 복원력이 발생될 염려가 있다.
그리고 일본실개평6-6214호는 저부가 「Z」형으로 되고,사용시는 「Z」형부가 압축되도록 구성되었으나,성형시 저부는 비교적 두껍게 구성된 바,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힘들뿐만 아니라,혹 압축된다 하여도 복원되고 마는 폐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PCT WO98/31592호는 접힘선이 아코디언 형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시 부피를 감소하는 것이 한계가 있고,사용시 접힘부가 접혀 용기의 내용물이 넘쳐 흐를 염려가 상존하고 있으며,일본특개2002-80021호는,미국특허5,080,260호와 취지가 같으나,접히는 것이 약간 상이한 것에 불과함은 물론,체적의 감소 효과가 적고,사용시 접힘선이 접철될 염려가 있다.
그리고 일본특개2002-160719호는 저부의 접힘성이 불량하고,일본실개평5-46717호는 용기가 펼쳐지면서 압착이 되는 기술인 바,압착면이 평평치 않고 불규칙하여 압착후 복원성이 발생하고,사용시 용기가 쉬 수축되어 내용물이 넘칠 염려가 있게 된다.
또한 일본특개평8-324533호는 저부의 접힘성이 불량하고,압착후 복원성이 생기며, 일본특개평8-324534호 또한 일본특개평8-324533호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고,그리고 미국특허6,170,712호는, PCT WO98/31592호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미국특허3,559,847호는 일반적인 리필용 용기로는 적합하나 유통용 용기로는 부적합한 폐단이 있다.
한편,본 발명인의 것으로서,일본특허출원2002-539215호가 있으나,이는 스파우트 파우치용기를 대체한 것으로서,음용시 용기가 수축이 되면서 용기내의 내용물이 흡출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인 바,기존의 압축 용기와는 권리의 한계가 기본적으로 상이하다.
참고적으로, 미국특허5,310,068호가 있으나,내용물의 충진을 위한 물세척시 용기내에 잔수가 발생하는 폐단이 있고,또한 디자인성이 결여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의 상대적인 것으로는 미국특허5,174,458호가 있으나,이는 접철되는 쪽의 두개의 판넬이 일정 이상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브릿지를 형성한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미국특허5,174,458호는,그 브릿지가 클 경우 폐기처분시 브릿지가 접혀지지 않아 압축이 용이치 않는 폐단이 있고,상기한 브릿지가 작을 경우,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할수 없는 폐단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수 많은 관계인이,상품성과 디자인성 사용의 용이성,안정성,저렴한 생산가격등을 고려하여 연구개발하였으나,그 실효성은 의문이고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것에 착안하여, 첫째 적측성을 고려하여 측방향의 접힘 압축성을 희망하고,둘째 안정성을 고려하여 사용시 접힘선이 일반적인 힘으로는 압축이 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셋째 저부는 평평하여 진열성이 양호하고,사용시 넘어지지 않도록 저부의 형태를 배려하며,그리고 그 저부는 의식적인 힘에 의해 접힘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극복하고자 한다.
넷째, 본 발명은 기존 용기의 형태를 수용하면서도 압축이 용이토록 하여 디자인의 다양성을 수용하며,또한 기존의 생산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한 산업상 이용성을 극대화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된 저부의 접힘선은 일정 깊이로 홈을 두어 사용시 쉬 접어져 폐기처분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 는 저부를 보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3 은 저부가 압축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4 는 저부접힘선 등이 접힘이 용이하게 된 것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5,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적용예로서,도 5 는 사시도이고,
도 6 은 사용(접힘)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00 : 몸체부
101,102 : 몸체접힘선 103 : 경사몸체접힘선
104 : 저부측방접힘선 105 : 형상유지부
106 : 접힘유도선 200 : 견부
201 ,202 : 견부접힘선 203 : 보조견부접힘선
300 : 구부 400 : 저부
401,402 : 저부접힘선 403 : 경사저부접힘선
404 : 보조저부접힘선 410 : 압축유지부
420 : 접힘유도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의 형태는 원형이나 타원형보다는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힘선에 의해 압축이 가능한 본 발명의 용기는,음각이나 양각의 형태로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나 기타 표현이 가능하며,바람직하게는 용기가 견고하도록 상기한 표현상의 문양 등이 보강성을 고려하는 것이 좋은 예이며,이는 중량을 줄이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마주보는 형태로 접히는 용기는, 적절한 부위에 다양한 크기의 접힘선이 형성되데,상기한 접힘선은 용기의 정면이나 배면을 압착할시 중심의 접힘선이 각각 동시에 안쪽으로 밀려들면서 압축이 가능하도록 일정 각도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저부는 돔형 또는 접힘이 양호한 형상을 하되,압축이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접힘선이 적절하게 표현되고 있는 것이며,또한 일반적인 힘에는 압축이 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도록 형상유지부를 둘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저부에 형성된 접힘선은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접힘이 용이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다이렉 브로우 또는 인젝션 브로우 성형 방식으로 제작되는 합성수지 용기(1)는 몸체부(100)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는 견부(200)와 구부(300)가 형성되고,하방으로는 저부(40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측방부에는 중앙의 몸체접힘선(101)을 경계로 하여 양측의 모서리부에 몸체접힘선(102)을 형성하되,상기한 양측의 몸체접힘선(102) 보다는 비교적 중앙에 형성된 몸체접힘선(101)이 더 안쪽 방향으로 형성되 양측의 몸체접힘선(102)에 힘을 가하게 되면 중앙의 몸체접힘선(101)이 내측으로 접힐수 있으면 만족한 것이다.
또한 상방의 견부(200)에도 구부(300)의 경계선 까지 연장된 견부접힘선(201)을 중앙에 형성하고,상기 견부접힘선(201)을 경계로 하여 양측으로도 접힘의 기준이 되는 견부접힘선(202)을 형성하며,바람직하게는, 구부(300)에 모아지는 형태의 보조견부접힘선(20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저부(400)는 중앙부가 함몰된 형의 돔을 형성하고,상기한 돔부에는 중앙으로 저부접힘선(401)을 형성하고,양측으로도 저부접힘선(402)을 형성하되,상기한 저부접힘선(402)는 외곽이 연결된 상태를 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저부접힘선(401)을 중심으로 하여는 양측의 단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경사저부접힘선(403)이 형성되고,그 경사저부접힘선(403)의 양측으로도 저부접힘선(402)의 모서리부로 연결된 보조저부접힘선(404)이 형성되는 것이며,상기한 경사저부접힘선(403)은 몸체접힘선(101)과 연장선상에 있는 일정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경사몸체접힘선(103)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경사몸체접힘선(103)이 시작되는 부위에서는 양측으로 벌어져 모서리부에 연결된 형의 저부측방접힘선(104)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의 몸체접힘선(101)이 자연적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형의 형상유지부(105)를 형성하되,상기한 형상유지부(105)는 용기(1)를 쥐는 과정에는 파괴되지 않고,사용후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일정 가압할시 상기한 형상유지부(105)가 형상이 파괴될수 있으면 만족하나,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형상유지부(105)를 안쪽으로 밀어 형상을 파괴한후 용기(1)를 압착시킬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형상유지부(105)는 몸체부(100)는 물론, 견부(200) 또는 저부(400)에도 응용 가능하고,그 형태와 형상은 다양할수 있다.
또한 상기한 형상유지부(105)는 용기(1)를 압착시키고자 할때,상기한 형상유지부(105)를 가압하면 뒤로 물러나면서 몸체부(100)의 측방이 용이하게 접히도록 하는 것이며,바람직하게는 향상유지부(105)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접힘유도선(106)을 형태에 맞게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저부(400)에는 압축유지부(410)를 두어 용기(1)를 압축한후 용기(1)가 복원되려는 것을 예방할수 있는 것이며, 이유가 상기한 바,상기한 압축유지부(410)는 요철방식 등 다양한 결합방식을 체택할 수 있고,상기한 압축유지부(410)는 몸체부(100)의 측방 또는 견부(200)의 측방에도 형성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저부(400)의 접힘구조는 적어도 2가지 방식이 바람직하게 적용될수 있는데,그 일예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저부접힘선(404) 보다도 중앙의 경사저부접힘선(403)이 더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으면,양측의 경사저부접힘선(403)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게 되고,상기한 보조저부접힘선(404) 보다도 중앙의 경사저부접힘선(403)이 더 함몰된 형상을 하고 있으면,양측의 경사저부접힘선(403)이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접혀 압축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경사저부접힘선(403)이 돌출되면 경사몸체접힘선(103)은 함몰된 형상을 하고,상기 경사저부접힘선(403)이 함몰되면 경사몸체접힘선(103)은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과 같은 상태에서,용기(1) 내부에 내용물을 넣고,구부(300)에 뚜껑을 체결한 상태로 유통되는 것이며,사용시는 구부(300)에 체결된 두껑을 벗기고 몸체부(100)를 손으로 움켜 쥐고 용기(1)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구부(300)를 통해 용기(1)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나,상기한 과정에 손으로 용기(1)의 몸체부(100)를 움켜 쥐더라도 용기(1)가 접히지 않는 것은 용기(1)를 쥐는 것 만으로는 변화가 없는 형상유지부(105)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용기(1) 내의 내용물을 전량 배출시키고,상기한 용기(1)를 폐기처분하고자 할때는 형상유지부(105)를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괴시킨후 몸체부(100)를 중심으로 압압하게 되면,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용기(1)가 압축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과정에, 경사몸체접힘선(103)이나 경사저부접힘선(403)의 함몰 또는 돌출되는 정도에 따라 저부(400)의 접힘 구조가 상이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용기(1)는 압축된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도 2에서 보인 압축유지부(410)를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그 형태와 적용부는 용기(1)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될 수 있고,적용부위 또한 저부(400)는 물론, 몸체부(100)나 견부(200)의 측방부에 적절하게 응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접힘의 구조는 함몰되거나 돌출된 형으로 접힘이 용이한 접힘선이 응용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5 또는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저부의 접힘부구조는 다양할수 있는 것을 보인 것인데,도시된 데로, 저부(400)가 접힘유도선(420)의 유도에 의해 상방으로 접히고 있는 것을 도 6에서 보이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용기를 압축하여 처분할수 있는 바,폐기비용이 절감되고,순간적이나마 환경오염을 덜 유발시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형상유지부가 있기 때문에 사용시 용기를 쥐더라도 용기가 수축되지 않고 매우 안정되게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용기는, 일정 체적을 갖는 몸체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는 견부와 구부가 형성되고, 하방으로는 저부가 형성되며,상기 용기를 폐기처분하고자 몸체부를 측방으로 가압하였을시는 용기가 포개지듯 압축이 가능하도록 각양의 접힘선이 구성된 기술에 있어서,
    상기 견부 또는 몸체부를 손으로 잡을시 견부 또는 몸체부가 접힘선에 의해 수축이 되지 않도록 접힘선의 수축을 방지하는 형상유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
KR1020040091150A 2004-11-06 2004-11-06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 KR20040099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150A KR20040099246A (ko) 2004-11-06 2004-11-06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
PCT/US2005/037862 WO2006052417A1 (en) 2004-11-06 2005-10-20 Folding structure of collapsible blow molded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150A KR20040099246A (ko) 2004-11-06 2004-11-06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246A true KR20040099246A (ko) 2004-11-26

Family

ID=3633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150A KR20040099246A (ko) 2004-11-06 2004-11-06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099246A (ko)
WO (1) WO20060524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458A (en) * 1992-05-12 1992-12-29 Colgate-Palmolive Company Collapsible container
US6170712B1 (en) * 1997-05-23 2001-01-09 George Kasboske Container for holding and dispensing non-rigid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52417A1 (en)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20217B2 (en) Fixed quantity discharge squeeze container
WO2005081856A3 (en) Container and sorbent combination
JP4998768B2 (ja) 合成樹脂製角型壜体
KR20040099246A (ko)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
KR20040097072A (ko)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
KR20040099247A (ko)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접힘부 구조
JPH10316140A (ja) 合成樹脂製容器
KR20040097095A (ko) 압축이 용이한 브로우 성형 용기의 구조
JP2004292039A (ja) 合成樹脂製ボトル型容器
JP3816285B2 (ja) 可撓性ボトル容器
JP2004359259A (ja) 容器の把手
CN210841859U (zh) 一种可折叠的按压式隐形眼镜盒
JP3858168B2 (ja) 合成樹脂製壜体
CN216071252U (zh) 一种护肤品包装瓶
JP2003237758A (ja) 合成樹脂製容器
JP3072396U (ja) 包装容器
JP2005271943A (ja) 簡易袋容器
JP3053884U (ja) ボトル型樹脂容器
KR200365997Y1 (ko) 벨로우즈수단을 갖는 액체용기
JP2003034321A (ja) 合成樹脂製容器
KR200225681Y1 (ko) 절첩식 음료수 페트병
KR200319234Y1 (ko) 내용물 배출이 용이한 파우치 구조
CN207329071U (zh) 一种便携式生活用品装置盒
KR200288299Y1 (ko) 포장재 겸용 상하 접이식 원형 일회용 컵
JP4246017B2 (ja) 薄肉ブロー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