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915A - Power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Power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915A
KR20040097915A KR1020040032957A KR20040032957A KR20040097915A KR 20040097915 A KR20040097915 A KR 20040097915A KR 1020040032957 A KR1020040032957 A KR 1020040032957A KR 20040032957 A KR20040032957 A KR 20040032957A KR 20040097915 A KR20040097915 A KR 20040097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supply
abnormality
power
swi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25651B1 (en
Inventor
고바야시도시카즈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7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6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power control technique is provided to realize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status of a vehicle when a starting device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CONSTITUTION: In turning off a first and a second ignition switches(S110), A first CPU(Central Processing Unit) checks an error of an electronic control brake system(S120). In checking the errors through the first CPU or a second CPU(Y of S120), the first and the second CPUs turn off a first and a second main relays respectively(S300). In turning off a passenger detection switch(Y of S400) when the first and the second CPUs decides the electronic control brake system is normal(N of S120), the first and the second main relays are turned on for a certain time as a self maintaining process at a normality. The continuous time to turn on the first and the second main relays is changed according to a voltage of a battery for a vehicle.

Description

전원제어장치{POWER CONTROL DEVICE}Power control device {POWE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일정기간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mounted on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차량의 거동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조타장치나 제동장치, 변속장치가 있다. 이들 장치가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전자제어장치인 경우, 일반적으로 차량 기동수단인 이그니션스위치를 통하여 차량용 전원과 접속되어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이그니션스위치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면 그들 전자제어장치에 대한 전력공급도 오프가 된다. 그런데 이그니션스위치가 오프가 되어도 그들 전자제어장치에 대하여 일정기간 전력을 공급하는 자기유지기능에 관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A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re is a steering device, a braking device, and a transmission. In the case where these devices are electrically controlled electronically controlled devices, they are generally connected to a vehicle power source via an ignition switch, which is a vehicle starting means, to supply power. Therefore,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from on to off, the power supply to those electronic controllers is also turned off. By the way, the technique regarding the self-holding function which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se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a fixed period even if an ignition switch turns off is known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Patent Document 1]

일본국 실개평5-32374호 공보(전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5-32374 (Specialized)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전자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차량용 전원의 소비전력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a switch is provided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vehicle power source.

그러나, 상기 문헌에서 나타내고 있는 기술에서는 전력의 공급 또는 차단의 2가지의 간단한 제어밖에 실현되어 있지 않아, 차량의 상태에 따라 세밀한 제어를 도모할 수 없었다.However, in the technique shown in the above document, only two simple controls of supplying or interrupting electric power are realized, and detailed control cannot be achiev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차량의 상태에 따른 전력공급을 실현하는 전원제어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situation,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control technique for realizing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state of a vehicle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제어장치로서 기능하는 제어장치 및 메인 릴레이와, 차량용 배터리, 엑츄에이터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device and a main relay, a vehicle battery, and an actuator that function as a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원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의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to which a vehicl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원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의 전기회로도,3 is an electric circuit diagram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to which a vehicl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원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조작되었을 때의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의 제어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4 is a flowchart showing control routin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when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are operated from on to off in the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원장치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제어루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rol routine shown in Fig. 4 in the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전원장치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제어루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6 is a flowchar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rol routine shown in FIG. 5 in the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7은 이상 발생부분과 이상레벨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상 레벨 대응표를 나타내는 도,7 is a diagram showing an abnormality level correspondence table indicating correspondence between abnormality occurrence portions and abnormality levels;

도 8은 이상이 발생한 시스템과 이상레벨의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correspondence between a system in which an abnormality occurs and an abnormality level.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40 : 우전륜용 휠 실린더 압력센서 42 : 좌전륜용 휠 실린더 압력센서40: wheel cylinder pressure sensor for right wheel 42: wheel cylinder pressure sensor for left wheel

44 : 우후륜용 휠 실린더 압력센서 46 : 좌후륜용 휠 실린더 압력센서44: wheel cylinder pressure sensor for the right rear wheel 46: wheel cylinder pressure sensor for the left rear wheel

62 : 제 1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 64 : 제 2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62: first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 64: second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

72 : 하이드로부스터부착 마스터 실린더72: master cylinder with hydro booster

78 : 펌프모터 84 : 제 1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78: pump motor 84: the first accumulator pressure sensor

86 : 제 2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 90 : 제 1 마스터 차단밸브86: second accumulator pressure sensor 90: the first master shut-off valve

94 : 제 2 마스터 차단밸브 104 : 제 1 연통밸브94: second master shutoff valve 104: first communication valve

106 : 제 2 연통밸브 108 : 브레이크스위치106: second communication valve 108: brake switch

112 : 제 1 스트로크센서 114 : 제 2 스트로크센서112: first stroke sensor 114: second stroke sensor

150 : 우전륜용 증압밸브 152 : 좌전륜용 증압밸브150: right front wheel booster valve 152: left front wheel booster

154 : 우후륜용 증압밸브 156 : 좌후륜용 증압밸브154: booster valve for the right rear wheel 156: booster valve for the left rear wheel

160 : 우전륜용 감압밸브 162 : 좌전륜용 감압밸브160: pressure reducing valve for the right front wheel 162: pressure reducing valve for the left front wheel

164 : 우후륜용 감압밸브 166 : 좌후륜용 감압밸브164: pressure reducing valve for the right rear wheel 166: pressure reducing valve for the left rear wheel

230 : 차량용 배터리 240 : 제 1 메인 릴레이230: vehicle battery 240: the first main relay

242 : 제 2 메인 릴레이 270 : 제 1 이그니션스위치242: second main relay 270: first ignition switch

272 : 제 2 이그니션스위치 290 : 제 1 CPU272: second ignition switch 290: first CPU

292 : 제 2 CPU 296 : 제어장치292: second CPU 296: control device

310 : 엑츄에이터 320 : 이그니션스위치310: Actuator 320: Ignition switch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어느 형태는, 차량의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용 전원과, 그 차량용 전원과 차량의 시스템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의 시동시에 전환조작되는 차량 기동수단을 구비하고, 그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차량의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제어장치를 전제로 한다. 여기서 차량용 전원이란, 차량에 탑재되는 충전 가능한 납축전지나 니켈수소전지, 또한 연료전지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전력공급 가능한 장치이면 좋다. 차량 기동수단은, 예를 들면 내연기관을 구동력원으로 하는 차량이면 이그니션스위치이고, 연료전지차나 전기자동차 등의 차량에서는 차량 기동에 관련지어진 스위치이다. 차량의 시스템은 단일로 구성되어도 좋고, 복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도 좋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om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vehicle power suppl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system of a vehicle, and vehicle star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power source and the system of the vehicle and switched to operat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It is assumed that a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system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Here, the vehicle power source includes a rechargeable lead acid battery,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a fuel cell, and the like, which are mounted in a vehicle.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for example, an ignition switch if the vehicle use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a driving force source, and a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starting in a vehicle such as a fuel cell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The system of the vehicle may be composed of a single unit or a plurality of systems.

이 전원제어장치는, 상기한 전제하에, 차량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수단과, 이상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전환되었을 때에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소정기간에 걸쳐 공급되어야 할 전력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진다. 전력량의 제어로서 예를 들면 공급하는 전력량의 변경이나, 전력공급정지가 있다. 소정기간은 시간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기까지의 기간 등이어도 좋다. 소정의 조건은 예를 들면 탑승원이 없어진 것을 검출하는 것이다.Th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is supplied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and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vehicle under the above-described premise. It ha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to be made. As control of the amount of power, for example, there is a change in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or a power supply stop. The predetermined period is not limited to time, and may be a period until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for example to detect that the occupant is missing.

이 구성에 의하여 차량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차량 기동수단의 온으로부터 오프로의 조작에 의거하여 차량용 전원의 전력공급정지나 전력공급량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상이 발생한 시스템의 이용(利用)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이상정도의 진행이나, 다른 관련되는 시스템으로의 이상의 파급을 억제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stop of power supply of the vehicle power supply and the reduction of the power supply amount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starting means from on to off. As a result, by preventing the use of the system in which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gress of the abnormality of the vehicle and the abnormal spread to other related systems.

제어수단은 이상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소정기간에 걸쳐 공급되어야 할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여 차량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차량 기동수단의 온으로부터 오프로의 조작에 따라 차량용 전원의 전력공급을 정지할 수 있기때문에, 이상이 발생한 시스템의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trol means may stop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With this arrangemen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vehicle, the power supply of the vehicle power supply can be stopp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from on to off of the vehicle starting means, so that the use of the system in which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can be prevented.

이상 검출수단은, 차량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에, 이상의 종류를 취득하고, 제어수단은 취득된 이상의 종류에 따라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전력공급하는 기간, 즉 상기한 소정기간에 상당하는 기간을 변경하여도 좋다. 여기서 전력공급하는 기간은, 전력공급의 정지에 상당하는 「제로」의 기간이어도 좋다. 이에 의하여 이상의 종류에 따라 차량용 전원의 전력공급기간을 최적의 기간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이 발생한 시스템에 있어서 이상의 정도 진행의 억제 등을 할 수 있다.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acquires the kind of abnormality when the vehicle abnormality is detected, and the control means supplies power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in accordance with the acquired abnormality, that is, Th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period may be changed. The period of power supply here may be a "zero" period corresponding to the stop of power supply. As a result, the power supply period of the vehicle power source can be changed to the optimum peri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ype, and therefore, the progress of the abnormality can be suppressed in the system in which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이상검출수단은, 차량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이상의 종류를 취득하고, 제어수단은 취득된 이상의 종류에 따라 차량용 전원의 전력공급량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켜도 좋다. 제어수단은 전력공급량의 변화를,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에 비례하여 감소시켜도 좋고, 전력공급량을 감소시킬 때에 전력공급량의 변화율을 경과시간에 따라 변경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수단은 전력공급량의 감소를 개시하고 나서 소정기간, 전력공급량을 완만하게 감소시키고, 그 후의 소정기간 크게 감소시켜 전력공급량이 제로에 도달하기 직전의 소정의 값이 되면, 또 완만하게 감소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여 이상의 종류에 따라 차량용 전원의 전력공급량을 가장 적합한 형(形)으로 시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상이 발생한 시스템의 이상의 정도 진행의 억제 등을 할 수 있다.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may acquire the kind of abnormality when the abnormality of the vehicle is detected, and the control means may change the power supply amount of the vehicle power supply over time according to the acquired abnormality. The control means may reduce the change in the power supply amount in proportion to the elapsed time since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or may change the rate of change of the power supply amount in accordance with the elapsed time when the power supply amount is decreased. For example, the control means gradually decreases the power supply amou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after starting the reduction of the power supply amount, and greatly decreases the power supply amount thereaft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n gradually decreases when the power supply amount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just before reaching zero. Decreas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ower supply amount of the vehicle power supply can be changed in time to the most suitable typ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ype, so that the progress of the abnormality of the system in which the abnormality occurs can be suppressed.

이상검출수단은, 차량의 시스템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그들 복수의 시스템각각에 관하여 이상을 검출하고, 제어수단은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이상이 검출된 시스템에 대한 전력공급을 정지하여도 좋다.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detects an abnormality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ystems when the system of the vehicle is constituted, and the control means supplies power to the system in which the abnormality is detected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May be stopped.

이 구성에 의하여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정지해야 할 시스템을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공급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적절한 전력공급이 가능해진다. 즉, 필요 최저한의 시스템은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경감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suitably set a system to stop the power supply from the vehicle power source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thereby enabling proper power supply to a system requiring power supply. That is, the minimum system required can be secured, so that in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reduced.

이상검출수단은, 차량의 시스템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그들 복수의 시스템각각에 관하여 시스템 구성요소의 이상을 검출하고, 제어수단은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이상이 검출된 구성요소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여도 좋다.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system component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ystems when the system of the vehicle is constituted, and the control means detects the abnormality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The power supply to the elements may be controlled.

이상검출수단은, 또한 차량용 전원의 전력공급능력을 검출하여도 좋고, 제어수단은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차량용 전원이 공급하는 전력공급량에 검출한 전력공급능력을 반영시켜도 좋다. 여기서 검출하는 전력공급능력은, 차량용 전원이 충전 가능한 배터리인 경우이면 배터리용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의 전압값이어도 좋고, 차량용 전원이 연료전지의 경우이면 예를 들면 연료의 잔량이어도 좋다.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may further detect the power supply capability of the vehicle power supply, and the control means may reflect the detected power supply capability in the power supply amount supplied by the vehicle power supply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 The power supply capability detected here may be a battery capacity, more specifically, a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if the vehicle power source is a chargeable battery, or a residual amount of fuel, for example, if the vehicle power source is a fuel cell.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차량의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용 전원과, 그 차량용 전원과 차량의 시스템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의 시동시에 전환조작되는 차량 기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차량의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제어장치를 전제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power suppl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system of a vehicle, and vehicle star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power source and the system of the vehicle and switched to operat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It presupposes the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which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system of a vehicle when it switches from ON to OFF.

이러한 전제하에 이 전원제어장치는 차량용 전원의 전력공급능력을 취득하고, 취득한 전력공급능력에 따라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차량의 시스템에 대하여 계속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가진다.Under this premise, th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cquires the power supply capability of the vehicle power supply and continuously supplies power to the vehicle system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in accordance with the acquired power supply capability. It ha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supply.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이그니션스위치가 오프가 되었을 때에 일정기간 전력을 공급하는 자기유지기능이, 차량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또 차량용 배터리의 전압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기간을제어한다. 여기서 말하는 「차량의 이상」이란, 이그니션스위치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 자기유지기능에 의해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엑츄에이터에 관한 이상이다. 엑츄에이터로서 예를 들면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이나, 전자제어 파워스티어링시스템, 전자제어 주차브레이크시스템 등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자기유지기능은, 차량의 이상으로서 엑츄에이터의 이상에 관계없이 전력이 공급되는 전장시스템 전반의 이상에 적용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self-holding function of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ignition switch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depends on whether the vehicle has an abnormality and the voltage of the vehicle battery. Control the period of supply. The term " vehicle abnormality " used herein refers to an abnormality relating to an actuator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a vehicle battery by a self-holding function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from on to off. Examples of the actuator include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ower steering system,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arking brake system,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elf-holding function shown in this embodiment is applicable to the abnormality of the general electrical system to which electric power is supplied regardless of the abnormality of an actuator as an abnormality of a vehicle.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전원제어장치로서 기능하는 제어장치(350) 및 메인 릴레이(340), 차량용 배터리(330), 엑츄에이터(310), 이그니션스위치(320)의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device 350 and a main relay 340, a vehicle battery 330, an actuator 310, and an ignition switch 320 that function as a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차량용 배터리(330)로부터 연장되는 배선은 제 1 분기점(N1)에서 이그니션스위치(320)가 설치된 제 1 전원선(372)과 메인 릴레이(340)가 설치된 제 2 전원선 (374)의 2계통으로 분기하여 제어장치(350)에 접속된다. 제어장치(350)에 접속한 제 1 전원선(372)과 제 2 전원선(374)은 각각 제 1 및 제 2 다이오드(362, 364)를 거쳐 제 3 분기점(N3)에서 합류한다. 제 1 및 제 2 다이오드(362, 364)는, 본 도면에 있어서 전류가 위로부터 밑을 향하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기능한다. 제어장치(350)에 공급된 전력은 그 내부의 전원회로(352)에 의해 원하는 전압으로 조정되어 연산장치 (이하, 단지「CPU」라 약칭함)(354)에 공급된다.The wires extending from the vehicle battery 330 are connected to two lines of the first power line 372 provided with the ignition switch 320 and the second power line 374 provided with the main relay 340 at the first branch point N1. Branched to the control device 350. The first power supply line 372 and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374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350 join at the third branch point N3 via the first and second diodes 362 and 364,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diodes 362 and 364 function to flow in the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is figure. The power supplied to the control device 350 is adjusted to a desired voltage by the power supply circuit 352 therein and supplied to the computing device hereinafter (hereinafter simply abbreviated as "CPU") 354.

메인 릴레이(340)는 이그니션스위치(320)와 연동하여, CPU(354)의 제어에 의해 온 오프가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CPU(354)는 트랜지스터(356)의 게이트전극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메인 릴레이(340)가 구비하는 코일에 통전함으로써 CPU (354)에 접속되는 메인 릴레이(340)를 온 또는 오프로 하여, 엑츄에이터(31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정지하기도 한다.The main relay 340 is interlocked with the ignition switch 320 and switched on and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354. Specifically, the CPU 354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transistor 356 and energizes a coil included in the main relay 340 to turn on or off the main relay 340 connected to the CPU 354. In addition, the actuator 310 may be powered or stopped.

제 2 전원선(374)상의 메인 릴레이(340)와 제 2 다이오드(364)의 사이에 설치된 제 2 분기점(N2)으로부터 분기한 끝에는 엑츄에이터(310)가 접속된다. 즉 엑츄에이터(310)에는 메인 릴레이(340)를 통하여 차량용 배터리(330)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엑츄에이터(310)는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이나, 전자제어 파워스티어링시스템, 전자제어 주차브레이크시스템 등이다. 엑츄에이터(310)에는 그 상태를 검출하는 엑츄에이터 센서(366)가 설치되어 있고, 검출결과는 CPU(354)에 통지된다. CPU(354)는 엑츄에이터 센서(366)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엑츄에이터(310)에 대한 마력공급을 제어한다. 차량용 배터리(330)에는 그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센서(368)가 설치되어 있고, 검출결과는 CPU(354)에 통지되어 전력공급량에 반영된다.An actuator 310 is connected to the end branched from the second branch point N2 provided between the main relay 340 on the second power line 374 and the second diode 364. That is, the actuator 310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vehicle battery 330 through the main relay 340. The actuator 310 is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ower steering system,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arking brake system, or the like. The actuator 310 is provided with an actuator sensor 366 for detecting the state, and the detection result is notified to the CPU 354. The CPU 354 controls the horsepower supply to the actuator 310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ctuator sensor 366. The vehicle battery 330 is provided with a voltage sensor 368 for detecting the voltage, and the detection result is notified to the CPU 354 and reflected in the power supply amount.

제어장치(350)는 이그니션스위치(320)가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 엑츄에이터 (310)가 일정기간 작동하도록 메인 릴레이(340)에 의하여 자기유지기능을 실현한다. 또 제어장치(350)는 자기유지기능이 작용할 때, 전압센서(368)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자기유지기능이 작용하는 기간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장치(350)는 엑츄에이터 (310)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자기유지기능을 무효로 하고, 이그니션스위치 (320)가 오프가 되었을 때에 즉시 엑츄에이터(310)에 대한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엑츄에이터(310)가 복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장치(350)는 시스템마다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여, 이상의 종류, 즉 어느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에 따라 자기유지기능의 기간을 제어하여, 즉시 전력공급을 정지하거나, 시스템별로 전력을 공급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When the ignition switch 320 is switched off, the control device 350 realizes a self-holding function by the main relay 340 so that the actuator 310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350 controls the period during which the self-holding function work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voltage sensor 368 when the self-holding function works. 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actuator 310, the control device 350 invalidates the self-holding function, and immediately stops supplying power to the actuator 310 when the ignition switch 320 is turned off. In addition, when the actuator 3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ystems, the control device 35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for each system, and controls the period of the self-maintenance fun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abnormality, that is, in which system an abnormality occurs. The decision whether to stop the power supply immediately or to supply power by system.

이하, 엑츄에이터(310)로서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전원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은, 우전륜(20) 및 좌전륜 (22)의 각각에 대응하는 우전륜용 및 좌전륜용 휠 실린더(30, 32)와, 우후륜(24) 및 좌후륜(26)의 각각에 대응하는 우후륜용 및 좌후륜용 휠 실린더(34, 36)를 구비한다. 본 도면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우전륜(20), 좌전륜(22), 우후륜(24) 및 좌후륜(26)을 각각 「FR」, 「F1」, 「RR」 및 「R1」이라 표기하고 있다.Hereinafter, the actuator 310 is described in detail by taking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as an example. 2 shows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to which the vehicl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pplied.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includes the wheel cylinders 30 and 32 for the right and left front whee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ight front wheel 20 and the left front wheel 22, and the right rear wheel 24 and the left rear wheel 26. Corresponding wheel cylinders 34 and 36 for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drawing, the right front wheel 20, the left front wheel 22, the right rear wheel 24, and the left rear wheel 26 are referred to as "FR", "F1", "RR", and "R1", respectively. It is written.

하이드로 부스터부착 마스터실린더(72)는 후술하는 높은 액압원(74)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브레이크 플루이드(fluid)를 브레이크페달(110)의 답력(踏力)을 돕는 액압으로서 마스터실린더(60)의 가압실에 공급하는 하이드로 부스터(70)와, 브레이크페달 (110)의 밟음조작에 대응하는 액압을 제 1 및 제 2 액통로(66, 68')에 토출하는 마스터 실린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이드로 부스터(70)는, 액압 배력(倍力)장치로서 기능한다. 마스터 실린더(60)는, 2개의 가압실을 가지고, 이들 2개의 가압실에는 각각 브레이크페달(110)의 조작에 따른 액압이 발생한다. 한쪽의 가압실은 제 1 액통로(66)를 거쳐 우전륜용 및 좌전륜용 휠 실린더(30, 32)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가압실은 제 2 액통로(68)를 거쳐 우후륜용 및 좌후륜용 휠 실린더(34, 36)에 접속된다.The master cylinder with hydro booster 72 is a pressurized chamber of the master cylinder 60 as a hydraulic pressure to assist the brake pedal 110 with high pressure brake fluid supplied from a high hydraulic pressure source 74 to be described later. And a master cylinder 60 for discharging the hydraulic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stepping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110 to the first and second liquid passages 66 and 68 '. Here, the hydro booster 70 functions as a hydraulic booster. The master cylinder 60 has two pressurizing chambers, and the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110 is generated in these two pressurizing chambers, respectively. One pressurizing chamber is connected to the right front wheel and left front wheel wheel cylinders 30 and 32 via the first liquid passage 66, and the other pressurizing chamber is connected to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via the second liquid passage 68. It is connected to the wheel cylinders 34 and 36 for rear wheels.

제 1 액통로(66)는 도중으로부터 분기하여 한쪽의 분기끝은 우전륜용 휠 실린더(30)에 접속하고, 또 한쪽의 분기끝은 제 1 연통밸브(104)를 구비하는 제 1 연결통로(100)를 거쳐 좌전륜용 휠 실린더(32)에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액통로(68)는 도중에서 분기하여 한쪽의 분기끝은 우후륜용 휠 실린더(34)에 접속하고, 또 한쪽의 분기끝은 제 2 연통밸브(106)를 구비하는 제 2 연결통로(102)를 거쳐 좌후륜용 휠 실린더(36)에 접속한다.The first liquid passage 66 branches from the middle, and one branch end is connected to the wheel cylinder 30 for the right wheel, and the other branch end has a first connection passage (1) having a first communication valve 104 ( It connects to the wheel cylinder 32 for a left front wheel via 100. Similarly, the second liquid passage 68 branches in the middle so that one branch end is connected to the wheel cylinder 34 for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other branch end has a second connection passage having a second communication valve 106. It connects to the wheel cylinder 36 for left rear wheels via 102.

제 1 액통로(66)에는 제 1 마스터 차단밸브(9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 1 마스터 차단밸브(90)의 개폐에 의하여 우전륜용 및 좌전륜용 휠 실린더(30, 32)와, 마스터 실린더(60)가 연통되거나, 차단되기도 한다. 또한 제 1 마스터 차단밸브(90)는 후술하는 제어장치(296)에 의하여 제어되고, 구동신호를 받은 경우에 통로를 차단하는 항상 개방인 전자개폐밸브이다. 제 2 액통로(6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 2 마스터 차단밸브(94)가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liquid passage 66 is provided with a first master shut-off valve 90, and b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master shut-off valve 90, the wheel cylinders 30 and 32 for the right front wheel and the left front wheel, The master cylinder 60 may be in communication or may be blocked. In addition, the first master shut-off valve 90 is an electronic open / close valve that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296 described later and which always closes a passage when receiving a drive signal. Similarly, the second master shutoff valve 94 is provided for the second liquid passage 68.

리저버탱크(76)는 마스터 실린더(60)의 상부에 설치되고, 브레이크 플루이드가 저류된다. 또한 리저버탱크(76)와, 마스터 실린더(60)의 2개의 가압실은 브레이크페달(110)의 밟음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 연통상태가 된다.The reservoir tank 76 is installed above the master cylinder 60, and the brake fluid is stored. In addition, the reservoir tank 76 and the two pressure chambers of the master cylinder 60 are in a communication state when the stepping of the brake pedal 110 is released.

높은 액압원(74)은 펌프(80), 어큐뮬레이터(82), 펌프모터(78)를 포함한다. 리저버탱크(76)의 브레이크플루이드는, 펌프(80)에 의하여 가압되어 어큐뮬레이터 (82)에 축적된다. 펌프(80)는, 펌프모터(78)에 의하여 구동되고, 펌프모터(78)는, 후술하는 제어장치(296)에 의하여 제어된다. 높은 액압원(74)은, 제 3 액통로(96)를 거쳐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30, 32, 34, 36)에 접속된다. 또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30, 32, 34, 36)는 제 4 액통로(98)를 거쳐 리저버탱크(76)에 접속된다.The high hydraulic pressure source 74 includes a pump 80, an accumulator 82, and a pump motor 78. The brake fluid of the reservoir tank 76 is pressurized by the pump 80 and accumulated in the accumulator 82. The pump 80 is driven by the pump motor 78, and the pump motor 7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96 described later. The high hydraulic pressure source 74 is connected to the wheel cylinders 30, 32, 34, 36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front lef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via the third liquid passage 96. The wheel cylinders 30, 32, 34 and 36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are connected to the reservoir tank 76 via the fourth fluid passage 98.

제 3 액통로(96)에는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증압밸브(150, 152, 154, 156)가 설치되고, 제 4 액통로(98)에는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감압밸브(160, 162, 164, 166)가 설치된다.The third liquid passage 96 is provided with right front wheels, left front wheels, right rear wheels, and left rear wheel booster valves 150, 152, 154, and 156, and the fourth liquid passage 98 includes right front wheels, The left front wheel, right rear wheel, and left rear wheel pressure reducing valves 160, 162, 164, and 166 are provided.

우전륜용 증압밸브(150)와 우전륜용 감압밸브(160)는, 우전륜용 휠 실린더 (30)에 대응하고 있고, 아울러 우전륜용 리니어밸브군(50)이라 한다. 마찬가지로 좌전륜용 증압밸브(152)와 좌전륜용 감압밸브(162)는, 좌전륜용 휠 실린더(32)에 대응하고 있고, 아울러 좌전륜용 리니어밸브군(52)이라 하며, 우후륜용 증압밸브(154)와 우후륜용 감압밸브(164)는 우후륜용 휠 실린더(34)에 대응하고 있으며, 아울러 우후륜용 리니어밸브군(54)이라고 하고, 좌후륜용 증압밸브(156)와 우후륜용 감압밸브 (166)는 좌후륜용 휠 실린더(36)에 대응하고 있고, 아울러 좌후륜용 리니어밸브군 (56)이라 한다.The right front wheel booster valve 150 and the right front wheel pressure reducing valve 160 correspond to the right wheel wheel cylinder 30 and are also referred to as the right front wheel linear valve group 50. Similarly, the left front wheel booster valve 152 and the left front wheel booster valve 162 correspond to the left front wheel wheel cylinder 32, and are also referred to as the left front wheel linear valve group 52. The valve 154 and the right rear pressure reducing valve 164 correspond to the right rear wheel cylinder 34, and are also referred to as the right rear wheel linear valve group 54, and the left rear wheel booster valve 156 and the right rear wheel are provided. The rear pressure reducing valve 166 corresponds to the left rear wheel wheel cylinder 36 and is also referred to as the left rear wheel linear valve group 56.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리니어밸브군(50, 52, 54, 56)은 모두 항상 폐쇄인 전자개폐밸브이고, 후술하는 제어장치(296)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받으면 그 구동신호에 따라 밸브 개방도를 전류에 비례하여 개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리니어밸브군(50, 52, 54, 56)을 제어 함으로써 높은 액압원(74)으로부터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30, 32, 34, 36)에의 액압을 독립으로, 또한 리니어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right front wheel, left front wheel, right rear wheel, and left rear wheel linear valve groups 50, 52, 54, and 56 are all electronically closed valves that are always closed, and when a drive signal is supplied from the control device 296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drive signal, the valve opening degree can be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in proportion to the current.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linear valve group 50, 52, 54, 56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from the high hydraulic pressure source 74,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wheel cylinders 30, 32, 34, 36 for the left and rear wheels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and linearly.

또한 상기한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증압밸브(150, 152, 154, 156),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감압밸브(160, 162, 164, 166),제 1 및 제 2 마스터 차단밸브(90, 94), 제 1 및 제 2 연통밸브(104, 106)의 각 변이 액압제어밸브로서 기능하고, 그들 액압제어밸브에 대한 공급전력의 제어는 후술하는 제어장치(296)에 의해 행하여진다.In addition,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the left rear wheel pressure booster valves (150, 152, 154, 156),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the left rear wheel pressure reducing valve (160, 162, 164, 166,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ster shut-off valves 90, 94, and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valves 104, 106 function as hydraulic control valves, and supply to those hydraulic control valves. Control of electric power is performed by the control apparatus 296 mentioned later.

제 3 액통로(96)상의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증압밸브(150, 152, 154, 156)의 상류측에,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4, 86)가 구비되고,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4, 86)는, 어큐뮬레이터(82)에 축적된 액압을 검출한다. 제 1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4)는 어큐뮬레이터(82) 근방에 설치되고, 제 2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6)는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증압밸브(150, 152, 154, 156)근방에 설치된다. 어큐뮬레이터(82)의 토출구 근방에는 릴리프밸브(88)가 배치되어 있고, 어큐뮬레이터(82)의 액압이 소정의 상한치보다 커지면 릴리프밸브(88)가 개방되어 브레이크플루이드가 리저버탱크(76)로 되돌아가고, 어큐뮬레이터(82)에는 항상 소정의 상한치 이하로 브레이크플루이드가 축압된다.The first and second accumulator pressure sensors 84, upstream of the right front wheel, left front wheel, right rear wheel, and left rear wheel booster valves 150, 152, 154 and 156 on the third liquid passage 96, 86 is provided, and the first and second accumulator pressure sensors 84 and 86 detect the hydraulic pressure accumulated in the accumulator 82. The first accumulator pressure sensor 84 is installed near the accumulator 82, and the second accumulator pressure sensor 86 is a right front wheel, a left front wheel, a right rear wheel, and a left rear wheel booster valve 150, 152, 154. 156). A relief valve 88 is disposed near the discharge port of the accumulator 82. Whe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accumulator 82 become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the relief valve 88 is opened so that the brake fluid returns to the reservoir tank 76. The accumulator 82 always accumulates the brake fluid below a predetermined upper limit value.

마스터 실린더(60)와 제 1 마스터 차단밸브(90)를 연결하는 제 1 액통로(66)로부터 분기한 위치에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장치(130)가 설치된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장치(130)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132)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 개폐밸브 (134)를 포함하고,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 개폐밸브(134)의 코일(136)에 통전함으로써 스트로크 시뮬레이터(132)가 마스터 실린더(60)에 연통되는 연통상태와 차단되는 차단상태로 전환된다.The stroke simulator apparatus 130 is provided in the position branched from the 1st liquid flow path 66 which connects the master cylinder 60 and the 1st master shutoff valve 90. The stroke simulator device 130 includes a stroke simulator 132 and an on-off valve 134 for the stroke simulator, and the stroke simulator 132 causes the master cylinder ( 60 is switched to a blocked state and a blocked state.

스트로크 시뮬레이터(132)는, 여기서는 도시 생략하나 실린더 내에 피스톤을 구비하고, 피스톤은 소정방향으로 탄성 가세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here, the stroke simulator 132 includes a piston in the cylinder, and the piston is elastically bias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브레이크 페달(110) 근방에는 브레이크 페달(110)의 스트로크를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스트로크센서(112, 114)와, 브레이크페달(110)이 밟혀진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스위치(108)가 설치된다.In the vicinity of the brake pedal 110, the first and second stroke sensors 112 and 114 for measuring the stroke of the brake pedal 110 and the brake switch 108 for detecting that the brake pedal 110 is in a stepped-down state. Is installed.

또한 제 1 액통로(66)상의 마스터 실린더(60)와 제 1 마스터 차단밸브(90) 사이에는 마스터 실린더(60)의 액압을 검출하는 제 1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62)가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액통로(68)상의 마스터 실린더(60)와 제 2 마스터 차단밸브(94) 사이에는 마스터 실린더(60)의 액압을 검출하는 제 2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 (64)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first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 62 is installed between the master cylinder 60 on the first liquid passage 66 and the first master shutoff valve 90 to detect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master cylinder 60. Similarly, a second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 64 for detect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master cylinder 60 is provided between the master cylinder 60 on the second liquid passage 68 and the second master shutoff valve 94.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증압밸브(150, 152, 154, 156) 또는, 제 1 및 제 2 마스터 차단밸브(90, 94) 하류에 있어서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30, 32, 34, 36)근방의 액통로에는,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30, 32, 34, 36)의 액압을 각각 검출하는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 휠 실린더 압력센서(40, 42, 44, 46)가 설치된다.Right front wheel, left front wheel, right rear wheel, left rear wheel booster valve (150, 152, 154, 156) or right front wheel, left front wheel downstream of the first and second master shut-off valves (90, 94) Wheel cylinders (30, 32, 34, 36) for the right front wheel, left front wheel, right rear wheel, left rear wheel The right front wheel, left front wheel, right rear wheel, and left rear wheel cylinder pressure sensors 40, 42, 44, 46 are respectively provided for detect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36).

우전륜(20), 좌전륜(22), 우후륜(24), 좌후륜(26)에는 각각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차륜 속도센서(120, 122, 124, 126)가 설치되고,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차륜속도센서(120, 122, 124, 126)에 의해 취득된 회전속도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각 차륜의 슬립상태, 추정 차량속도 등은, 안티록제어, 트랙션 제어로서 사용된다.Wheel speed sensors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respectively detec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s on the right front wheel 20, the left front wheel 22, the right rear wheel 24, and the left rear wheel 26, respectively. (120, 122, 124, 126) are installed and calculated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s acquired by the wheel speed sensors (120, 122, 124, 126)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The slip state, estimated vehicle speed, and the like of each wheel to be used are used as antilock control and traction control.

다음에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에 있어서의 3종류의 브레이크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ree types of brake modes i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will be described.

제 1 브레이크 모드에서는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30, 32, 34, 36)가 높은 액압원(74)으로부터의 브레이크 플루이드에 의해 작동한다. 이 제 1 모드에서는 제 1 및 제 2 마스터 차단밸브(90, 94)의 폐쇄밸브제어에 의해, 제 1 및 제 2 액통로(66, 68)가 차단되기 때문에, 하이드로 부스터부착 마스터 실린더(72)로부터의 액압공급이 차단된다. 또 제 1 및 제 2 연통밸브(104, 106)는 폐쇄상태가 되어, 제 1 및 제 2 연결통로(100, 102)는 차단된다. 여기서 브레이크페달(110)이 밟히면 제 1 및 제 2 스트로크센서(112, 114), 제 1 및 제 2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62, 64)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제어장치(296)로 목표 제동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목표 제동력에 의거하여 높은 액압원(74) 및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증압밸브(150, 152, 154, 156)가 제어되고, 펌프(80)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액압은 제 3 액통로(96)를 거쳐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 (30, 32, 34, 36)에 공급된다. 그리고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30, 32, 34, 36)에 공급된 브레이크 플루이드는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감압밸브(160, 162, 164, 166) 및 제 4 액통로(98)를 거쳐 리저버 탱크(76)로 복귀된다.In the first brake mode, the wheel cylinders 30, 32, 34, 36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operate by the brake fluid from the high hydraulic pressure source 74. In this first mode, since the first and second liquid passages 66 and 68 are blocked by the closing valve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master shutoff valves 90 and 94, the master cylinder 72 with a hydro booster is provided. The hydraulic supply from is cut off.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valves 104 and 106 are clos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ssages 100 and 102 are blocked. Here, when the brake pedal 110 is stepped on, the target braking force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296 based on the detection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stroke sensors 112 and 114 and the first and second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s 62 and 64. On the basis of the calculated target braking force, the high hydraulic pressure source 74 and the right front wheel, left front wheel, right rear wheel, and left rear wheel booster valves 150, 152, 154, and 156 are controlled, and the pump (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80 is supplied to the right front wheel, left front wheel, right rear wheel, left rear wheel wheel cylinders 30, 32, 34, 36 via the third liquid passage 96. The brake fluid supplied to the right front wheel, left front wheel, right rear wheel, and left rear wheel cylinders (30, 32, 34, 36) is a pressure reducing valve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It returns to the reservoir tank 76 via 160, 162, 164, 166 and the 4th liquid flow path 98. As shown in FIG.

제 1 브레이크 모드에서는, 스트로크시뮬레이터용 개폐밸브(134)가 연통상태로 전환되고, 탄성체의 탄성력에 반(反)하여 브레이크 플루이드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132)의 액압실에 유입된다. 이 탄성체의 반력(反力)에 의해 브레이크조작감이 유사적으로 만들어내져 운전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코일(136)에의 통전제어에 의한 스트로크 시뮬레이터용 개폐밸브(134)의 제어는 제어장치(296)가 행한다.In the first brake mode, the stroke simulator open / close valve 134 is switched to a communication state, and the brake fluid flows into the hydraulic chamber of the stroke simulator 132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By the reaction force of this elastic body, a feeling of brake operation is similarly produced and it is avoided to give a driver a sense of discomfort. In addition, the control apparatus 296 performs control of the stroke simulator open / close valve 134 by energizing control to the coil 136.

제 2 브레이크 모드는, 높은 액압원(74), 또는 제 1 및 제 2 마스터 차단밸브 (90, 94),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리니어밸브군(50, 52, 54, 56),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CPU(290, 292), 각 센서 등에 이상이 생겨 제 1 브레이크 모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선택된다.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60)는 제 1 및 제 2 액통로(66, 68)를 거쳐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30, 32, 34, 36)에 액압을 공급한다. 이때, 어큐뮬레이터(82)에 축적된 높은 액압이 하이드로 부스터(70)에 공급되어, 브레이크페달 (110)의 밟음에 따른 답력을 돕는 힘이 마스터 실린더(60)의 가압실에 가해진다.The second brake mode includes the high hydraulic pressure source 74 or the first and second master shut-off valves 90 and 94,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linear valve group 50, 52. 54, 56,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to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 sensors, and the like, and are selected when the first brake mode cannot be used. The master cylinder 60 mechanically connected by stepping on the brake pedal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quid passages 66 and 68, and the wheel cylinders 30 and 32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To 34, 36). At this time, the high hydraulic pressure accumulated in the accumulator 82 is supplied to the hydro booster 70, and a force assisting the stepping force according to the stepping of the brake pedal 110 is applied to the pressure chamber of the master cylinder 60.

제 1 및 제 2 마스터 차단밸브(90, 94)는 개방밸브로 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액통로(66, 68)는 개방상태가 된다. 또 제 1 및 제 2 연통밸브(104, 106)도 개방밸브로 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연결통로(100, 102)는 개방상태가 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master shutoff valves 90 and 94 are open valves, the first and second liquid passages 66 and 68 are open.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valves 104 and 106 also become open valve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ssages 100 and 102 are in an open state.

항상 폐쇄인 전자개폐밸브인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리니어밸브군(50, 52, 54, 56)은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플루이드가 제 3 액통로(96)를 통하여 하이드로 부스터부착 마스터 실린더(72)측으로 흐르는 일은 없다. 제 2 브레이크 모드에서는 하이드로 부스터(70)의 가압에 의하여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30, 32, 34, 36)에 제 1 모드와 동일한 정도의 액압을 공급할 수 있다.Since the linear valve groups 50, 52, 54, and 56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which are always closed electromagnetic valves, are kept closed, the brake fluid is connected to the third fluid passage. It does not flow to the hydro booster master cylinder 72 side through 96. In the second brake mode, hydraulic pressure of the same level as that of the first mode may be supplied to the wheel cylinders 30, 32, 34, and 36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hydro booster 70. Can be.

제 3 브레이크 모드는, 차량용 배터리(230)의 이상 또는 신호선의 단선 등의 전기계통의 이상에 의하여 하이드로 부스터(70) 및 높은 액압원(74)을 가동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선택된다. 브레이크 페달(110)의 밟음에 따른 액압이 마스터 실린더 (60)로부터 제 1 및 제 2 액통로(66, 68)를 거쳐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30, 32, 34, 36)에 공급된다. 또한 각 전자개폐밸브의 제어는 제 2 브레이크 모드와 동일하다.The third brake mode is selected when the hydro booster 70 and the high hydraulic pressure source 74 cannot be operated due to an abnormality of the electric system such as the vehicle battery 230 or the disconnection of the signal line.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the stepping of the brake pedal 110 passes from the master cylinder 60 to the first and second liquid passages 66 and 68 for the right wheel, left front wheel, right rear wheel, and left rear wheel cylinder 30 , 32, 34, 36). In addition, the control of each solenoid valve is the same as that of a 2nd brake mode.

도 3은,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의 전기회로도를 나타낸다. 제어장치(296)는 ROM, RAM 및 입출력부로 구성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CPU(290, 292)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CPU(290)는 제 1 및 제 2 스트로크센서(112, 114), 제 1 및 제 2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62, 64),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 압력센서(40, 42, 44, 46), 제 1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4) 및, 여기서는 도시를 생략하는 상기 브레이크페달(110)의 밟음을 검출하는 브레이크스위치(108),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차륜 속도센서 (120, 122, 124, 126)와 접속된다. 이밖에 도시는 생략하나 가속도센서, 요레이트센서 등, 통상 제동제어, 안티록제어, 트랙션 제어, 차량 거동제어, 어큐뮬레이터제어 등을 행하기 위한 각종 검출기가 제어장치(296)에 접속되고, 각종 검출기의 검출치가 제 1 CPU(290)에 입력된다. 또 탑승원 검출 스위치(298)의출력이, 제 1 CPU(290)에 입력된다. 탑승원 검출 스위치(298)는 시트벨트의 장착에 연동한 스위치나, 운전석 옆의 도어의 손잡이에 연동한 스위치 등이다. 제 2 CPU(292)는 제 2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6)에 접속된다.3 shows an electric circuit diagram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The control device 296 is composed of a ROM, a RAM and an input / output unit, and is mainly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The first CPU 290 includes first and second stroke sensors 112 and 114, first and second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s 62 and 64, right front wheel, left front wheel, right rear wheel, left rear wheel Wheel cylinder pressure sensor 40, 42, 44, 46, first accumulator pressure sensor 84, brake switch 108 for detecting the stepping of the brake pedal 110, not shown her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And wheel speed sensors 120, 122, 124, and 126 for right front wheels, left front wheels, right rear wheels, and left rear wheels for detecting the " Although not shown, various detectors for performing normal braking control, antilock control, traction control, vehicle behavior control, accumulator control, etc.,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yaw rate sensor,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296, and various detectors are connected. Is detected and input to the first CPU 290. The output of the occupant detection switch 298 is input to the first CPU 290. The occupant detection switch 298 is a switch interlocked with the seat belt, or a switch interlocked with the handle of the door next to the driver's seat. The second CPU 292 is connected to the second accumulator pressure sensor 86.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CPU(290)는, 어큐뮬레이터(82)를 소정의 압력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펌프(80)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제 1 내지 제 4 액통로(66, 68, 96, 98)를 개폐하는 각 전자개폐밸브의 개방도 제어를 실행한다. 또 제 1 CPU(290)에는 제 1 및 제 2 스트로크센서(112, 114)로부터 페달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고, 제 1 및 제 2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62, 64)로부터 마스터 실린더 압력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장치(296)는 상기 4개의 센서의 검출치에 따라 브레이크 조작량을 검출한다. 통상 제동 중, 제어장치(296)는 제 1 및 제 2 스트로크센서 (112, 114) 및 제 1 및 제 2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62, 64)에 의해 검출된 운전자의 요구 제동력에 의거하여 목표 제동력을 연산한다. 여기서 각 센서가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은 서로의 센서를 보상하기 위한, 즉 안전성(fail safe)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스트로크센서(112, 114), 제 1 및 제 2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 (62, 64)의 일부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제어장치(296)는 브레이크 조작량을 검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PU 29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ump 80 for maintaining the accumulator 82 in a predetermined pressure range, or the first to fourth liquid passages 66, 68, 96, and 98. Control the opening degree of each solenoid valve that opens and closes). In addition, the first CPU 290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e pedal stroke from the first and second stroke sensors 112 and 114, and indicates the master cylinder pressure from the first and second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s 62 and 64. The signal is input. The control unit 296 detects the brake operation amount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values of the four sensors. During normal braking, the control device 296 uses the target braking force based on the required braking force of the driver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stroke sensors 112 and 114 and the first and second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s 62 and 64. Calculate In this case, the two sensors are provided to compensate for each other's sensors, that is, to improve fail safe. Therefore, ev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stroke sensors 112 and 114 and the first and second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s 62 and 64, the controller 296 can detect the brake operation amount.

차량용 배터리(230)는, 차량에 구비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이고,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의 각 구성부품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전력을 공급한다. 차량용 배터리(230)와 제어장치(296)는,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와,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를 거쳐 접속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를 총칭하여 간단하게 「이그니션스위치」라고도 한다.The vehicle battery 230 is a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 the vehicle, and supplies electric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as needed. The vehicle battery 230 and the control device 296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via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simply as "ignition switches".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는, 운전자에게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프이고, 엔진 등의 차량 시스템을 시동시키기 위하여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면 온으로 전환된다. 전류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는,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프이고,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가 온이 된 경우, 대응하는 CPU에 제어되어 온으로 전환된다.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are off when they are not operated by the driver, and are switched on when they are operated by the driver to start a vehicle system such as an engine.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that switch the current on and off are off when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are not oper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s are turned off. When the switches 270 and 272 are turned on, they are controlled by the corresponding CPU and turned on.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와,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를 거친 전원선이 모두 4개 설치된다. 여기서는 제 1 및 제 2 전원선(210, 212)으로 전력 공급되는 제 1 계통(200), 제 3 및 제 4 전원선(220, 222)으로 전력 공급되는 제 2 계통(202)의 2계통이 전원선으로서 설치된다. 제 1 계통(200)은, 제 1 구성부품(180)으로서의 제 1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4), 제 1 및 제 2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62, 64), 제 1 및 제 2 스트로크센서(112, 114),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 압력센서(40, 42, 44, 46)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제 2 계통(202)은 제 2 구성부품(190)으로서의 제 2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6)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한다.Four power lines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are provided. Here, two systems of the first system 200, which are powered by the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210 and 212, and the second system 202, which are powered by the third and fourth power lines 220 and 222, It is provided as a power supply line. The first system 200 includes a first accumulator pressure sensor 84 as a first component 180, first and second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s 62 and 64, first and second stroke sensors 112, 114)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wheel cylinder pressure sensors 40, 42, 44 and 46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The second system 202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accumulator pressure sensor 86 as the second component 190.

제 1 계통(200)에는 제 1 CPU(290), 우전륜용 및 좌후륜용 리니어밸브군(50, 56), 제 1 마스터 차단밸브(90), 제 1 연통밸브(104)가 접속된다. 제 2 계통(202)에는 제 2 CPU(292), 좌전륜용 및 우후륜용 리니어밸브군(52, 54), 제 2 마스터 차단밸브(94), 제 2 연통밸브(106)가 접속된다. 또한 제 1 마스터 차단밸브(90), 우전륜용및 좌후륜용 리니어밸브군(50, 56), 제 1 연통밸브(104)를 합쳐서, 제 1 액압제어밸브군(182)이라고도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마스터 차단밸브(94), 좌전륜용 및 우후륜용 리니어밸브군(52, 54), 제 2 연통밸브(106)를 합쳐서, 제 2 액압제어 밸브군 (184)이라고도 한다.The first CPU 200 is connected with a first CPU 290, right and left rear linear valve groups 50 and 56, a first master shutoff valve 90, and a first communication valve 104. The second CPU 292 is connected with a second CPU 292, a linear valve group 52, 54 for the left and rear wheels, a second master shut-off valve 94, and a second communication valve 106. The first master shutoff valve 90, the right front wheel and left rear wheel linear valve groups 50 and 56, and the first communication valve 104 are also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first hydraulic control valve group 182. Similarly, the second master shut-off valve 94, the left front wheel and right rear wheel linear valve groups 52, 54,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valve 106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econd hydraulic control valve group 184.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의 배선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계통(200)은 제 1 이그니션스위치(270)를 거친 제 1 전원선(210)과, 제 1 메인 릴레이(240)를 거친 제 2 전원선(212)에 의해 제어장치(296)에 접속된다. 제 1 전원선 (210)은 제 1 분기점(A), 제 1 다이오드(250)를 거쳐 제 2 분기점(B)에 접속된다. 제 2 분기점(B)으로부터 분기한 배선은, 제 1 강압회로(280) 및 제 2 강압회로(284)에 접속되고, 그들 강압회로에 전력이 공급된다. 도시는 생략하나 제 1 분기점(A)으로부터 분기한 배선은 모터 릴레이에 접속된다. 모터 릴레이는 높은 액압원(74)의 펌프 모터 (78)와 접속되어, 펌프 모터(78)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 1 강압회로(280)로부터, 제 1 구성부품(180)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 1 다이오드(250)는 본 도면에서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향하는 전류를 통과시키고,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향하는 전류를 차단한다. 후술하는 제 2, 제 3, 제 4 다이오드(252, 260, 262)도 마찬가지로 본 도면에서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향하는 전류를 통과시킨다.The wiring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ystem 200 is controlled by the first power line 210 via the first ignition switch 270 and the second power line 212 via the first main relay 240. 296). The first power supply line 2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oint B via the first branch point A and the first diode 250. The wiring branched from the second branch point B is connected to the first step-down circuit 280 and the second step-down circuit 284, and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step-down circuits. Although not shown, the wiring branched from the first branch point A is connected to the motor relay. The motor relay is connected to the pump motor 78 of the high hydraulic pressure source 74 to supply power to the pump motor 78. Pow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step-down circuit 280 to the first component 180. In this drawing, the first diode 250 passes a current from left to right and blocks a current from right to left. Similarly, the second, third, and fourth diodes 252, 260, and 262 described later also pass current from left to right in this drawing.

제 2 전원선(212)은 제 1 메인 릴레이(240), 제 3 분기점(C), 제 2 다이오드 (252)를 거쳐 제 2 분기점(B)에 접속된다. 제 3 분기점(C)으로부터 분기한 배선은, 제 1 액압제어 밸브군(182)에 접속된다.The second power line 212 is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point B through the first main relay 240, the third branch point C, and the second diode 252. The wiring branched from the third branch point C is connected to the first hydraulic control valve group 182.

제 2 계통(202)은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2)를 거친 제 3 전원선(220)과, 제 2 메인 릴레이(242)를 거친 제 4 전원선(222)에 의해 제어장치(296)에 접속된다. 제 3 전원선(220)은 제 4 분기점(1), 제 5 분기점(M), 제 4 다이오드(262)를 거쳐 제 7 분기점(P)에 접속된다. 제 3 전원선(220)은 다시 제 7 분기점(P)으로부터 제 4 강압회로(286)에 접속되고, 이 제 4 강압회로(286)를 거쳐 제 2 CPU(292)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 4 분기점(1)으로부터 분기한 배선은 모터 릴레이를 거쳐 펌프 모터(78)에 접속된다. 이 모터 릴레이는, 제 1 계통(200) 및 제 2 계통(202)의 양쪽으로부터 배선되고, 한쪽의 계통에 이상이 생겼다 하여도 펌프 모터(78)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 5 분기점(M)으로부터 분기한 배선은, 제 3 강압회로(282)에 접속되고, 제 3 강압회로(282)로부터 제 2 구성부품(190)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 4 전원선(222)은 제 2 메인 릴레이(242), 제 6 분기점(N), 제 3 다이오드(260)를 거쳐 제 7 분기점(P)에 접속된다. 제 6 분기점(N)으로부터 분기한 배선은, 제 2 액압제어 밸브군(184)에 접속된다.The second system 20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296 by a third power supply line 220 via the second ignition switch 272 and a fourth power supply line 222 via the second main relay 242. do. The third power supply line 220 is connected to the seventh branch point P via the fourth branch point 1, the fifth branch point M, and the fourth diode 262. The third power supply line 220 is again connected to the fourth step-down circuit 286 from the seventh branch point P,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CPU 292 via the fourth step-down circuit 286. The wiring branched from the fourth branch point 1 is connected to the pump motor 78 via a motor relay. This motor relay is wired from both the 1st system 200 and the 2nd system 202, and can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pump motor 78 even if an abnormality arises in one system. The wiring branched from the fifth branch point M is connected to the third step-down circuit 282, and electric power is supplied from the third step-down circuit 282 to the second component 190. The fourth power line 222 is connected to the seventh branch point P via the second main relay 242, the sixth branch point N, and the third diode 260. The wiring branched from the sixth branch point N is connected to the second hydraulic control valve group 184.

제 1 내지 제 4 강압회로(280, 284, 282, 286)는, 차량용 배터리(230)의 전압을 그것들에 접속되는 각 구성부품에 있어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변환한다.The first to fourth step-down circuits 280, 284, 282, and 286 convert the voltage of the vehicle battery 230 into a voltage required for each component connected thereto.

여기서 제 1 계통(200)의 제 2 전원선(212) 또는 제 2 계통(202)의 제 4 전원선(222) 중 어느 한쪽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브레이크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 2 전원선(212)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 2 전원선(212)에 의해 전력공급되는 제 1 마스터 차단밸브(90), 우전륜용, 좌후륜용 리니어밸브군(50, 56), 제 1 연통밸브(104)는 가동 불가능하게 된다.Her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brake mod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either of the second power line 212 of the first system 200 or the fourth power line 222 of the second system 202. For exampl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second power line 212, the first master shut-off valve 90, the right front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linear valve group 50, which are powered by the second power line 212, are provided. 56, the first communication valve 104 becomes inoperable.

이 경우를 도 2로 되돌아가 설명하면 높은 액압원(74)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압은, 제 3 액통로(96)를 통하여 가동 가능한 좌전륜용 및 우후륜용 증압밸브(152, 154)를 거쳐 좌전륜용, 우후륜용 휠 실린더(32, 34)에 공급된다. 제 2 연통밸브 (106)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액압은 제 2 연결통로(102)를 통하여 좌후륜용 휠 실린더(36)에도 공급된다. 한편, 항상 개방인 전자 개폐밸브인 제 1 마스터 차단밸브(90)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하이드로 부스터부착 마스터 실린더(72)에서 발생한 액압은, 제 1 액통로(66)를 통하여 제 1 마스터 차단밸브(90)를 거쳐 우전륜용 휠 실린더(30)에 공급된다. 또한 제 1 연결통로(100)에 유입한 액압은 제 1 연통밸브(104)에 의해 차단된다.2,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high hydraulic pressure source 74 passes through the left front wheel and right rear pressure booster valves 152 and 154 that are movable through the third liquid passage 96. It is supplied to the wheel cylinders 32 and 34 for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Since the second communication valve 106 is kept open, the hydraulic pressure is also supplied to the wheel cylinder 36 for the left and rear wheels via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02.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master shut-off valve 90, which is an electromagnetic solenoid valve that is always open, is kept in an open state,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in the master cylinder 72 with hydro booster is controlled by the first liquid passage 66. It is supplied to the wheel cylinder 30 for a right wheel via the master shutoff valve 90. In addition, the hydraulic pressure flowing into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00 is block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valve (104).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가령 제 2 전원선(212) 또는 제 4전원선(222) 중 어느 한쪽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3륜에 대하여 높은 액압원(74)으로부터 액압이 공급되고, 나머지 1륜에 대해서도 하이드로 부스터(70)에 의하여 답력에 도움이 된 높은 액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고압에 의한 제동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eith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line 212 or the fourth power supply line 222,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from the high hydraulic pressure source 74 to the three wheels. In addition, since the high hydraulic pressure assisted by the hydro booster 70 is supplied to the remaining one wheel, braking by high pressure becomes possible.

도 3으로 되돌아가, 제 1 구성부품(180) 및 제 2 구성부품(19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구성부품(180)은, 제 1 브레이크 모드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부품이다. 제 2 구성부품(190)인 제 2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6)는, 제 1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4)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안전성을 위한 구성부품으로,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가동되고 있으면, 어큐뮬레이터(82)의 액압을 검출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the first component 180 and the second component 190 will be described. The first component 180 is a component necessary for operating the first brake mode. The second accumulator pressure sensor 86, which is the second component 190, is a component for safety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accumulator pressure sensor 84. If at least one of the two accumulators is operated, the accumulator 82 The hydraulic pressure of can be detected.

이그니션스위치 오프 후의 소정기간은 브레이크페달(110)을 밟으면 제 1 메인 릴레이(240)를 거친 제 2 전원선(212)으로부터 제 1 구성부품(180)에 전력이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각 전자 개폐밸브 및 제 1 및 제 2 CPU(290, 292)에는 제 1 및 제 2이그니션스위치(270, 272)가 오프일 때에도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를 거쳐 소정기간 전력이 공급된다. 제 1 구성부품(180)에는 제 1 브레이크 모드인 액압 제동제어에 필요한 센서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이그니션스위치(270)가 오프이어도 온의 상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브레이크 모드에 의해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30, 32, 34, 36)에 액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브레이크페달(110)의 밟음량과 제동력의 관계가, 이그니션스위치가 온일 때와 크게 다르지 않게 되어 운전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determined period after the ignition switch-off, when the brake pedal 110 is pressed,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component 180 from the second power line 212 passing through the first main relay 240. Similarly, each of the solenoid valves and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are off. Power is supplied. Since the first component 180 is equipped with a sensor necessary for hydraulic brake control, which is the first brake mode, the first brake mode is used for the right wheel by the first brake mode similarly to the on state even when the first ignition switch 270 is turned off. Hydraulic pressure can be supplied to the wheel cylinders 30, 32, 34, 36 for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epping amount of the brake pedal 110 and the braking forc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when the ignition switch is on,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feeling uncomfortable.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구성부품(190)으로서 제 2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6)를 1개 선택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 휠 실린더 압력센서, 전자 개폐밸브, CPU, 펌프 등을 소비전력, 기능, 제동요구를 고려하여 상기한 제 2 구성부품(190)으로 하여도 좋다.In the embodiment, one second accumulator pressure sensor 86 is selected as the second component 19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 the wheel cylinder pressure sensor, the solenoid valve, the CPU, The pump or the like may be the second component 190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power consumption, function, and braking requirements.

도 4는,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조작되었을 때의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의 제어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내는 처리에서는,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가 즉시 오프가 되고,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자기유지기능에 의해 소정기간만큼 차량용 배터리 (23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이 작동가능한 상태에 놓여진다. 소정기간은,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조작되었을 때의 차량용 배터리(230)의 전압에 따라 3종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조작되었을 때에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가 온의 상태에 놓여지는 기간을, 이하, 「자기유지기간(Ts)」이라고도 한다.4 is a flowchart showing control routin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when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are operated from on to off. In the processing shown in this flowchar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are turned off immediately, and when the abnormality does not occur, the self hold is performed. By the function, electric power is supplied from the vehicle battery 23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put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in an operable state. In the predetermined period, one of three type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vehicle battery 230 when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are operated from on to off. In addition, the period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are placed in an on state when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are operated from on to off is described below. Ts) ”.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가 온으로부터 오프가 되면(S110),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20). 구체적으로는 제 1 CPU(290)는 제 1 계통(200)에 있어서의 제 1 구성부품(180), 제 1 액압제어밸브군(182), 차량용 배터리(230) 및 펌프 모터 (78)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 2 CPU(292)는 제 2 계통 (202)에 있어서의 제 2 구성부품(190), 제 2 액압제어밸브군(184)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각각에 있어서의 판정결과를 서로 통지하여 어느 하나의 CPU에서 이상 발생하고 있다는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S120의 Y),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각각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 (240, 242)를 2계통 모두 즉시 오프로 한다(S300).When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turn off from on (S110),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S120). Specifically, the first CPU 290 is abnormal to the first component 180, the first hydraulic control valve group 182, the vehicle battery 230, and the pump motor 78 in the first system 2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is has occurred. The second CPU 292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second component part 190 and the second hydraulic control valve group 184 in the second system 202.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notify each other of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determine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any one CPU (Y in S120). 292 immediately turns off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respectively (S300).

제 1 및 제 2 CPU(290, 292) 모두 정상이라는 판정을 한 경우(S120의 N), 제 1 CPU(290)는 탑승원 검출 스위치(298)가 오프로 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400). 탑승원 검출 스위치(298)가 온인 경우(S400의 N), 차량제동을 위해 브레이크페달(110)이 밟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각각 제 1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를 온의 상태로 유지하고, S400의 처리로서 탑승원 검출 스위치(298)가 오프로 되어 있는 지의 판정처리를 계속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both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are normal (N in S120), the first CPU 290 determines whether the occupant detection switch 298 is turned off (S400). . When the occupant detection switch 298 is on (N in S400), since the brake pedal 110 may be stepped on for braking the vehicle,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are respectively configur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s. The relays 240 and 242 are kept in the on state, and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as to whether the occupant detection switch 298 is turned off as the processing of S400 is continued.

탑승원 검출 스위치(298)가 오프라고 판정되면(S400의 Y), 정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로서 소정기간만큼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의 온이 계속된다 (S500). 이 정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에서는 차량용 배터리(230)의 전압(Vb)에 따라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의 온이 계속되는 기간이 변경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detection switch 298 is off (Y in S400), the on and off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continue for a predetermined period as a normal self-maintenance process (S500). In this normal self-maintenance process, the period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are turned 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oltage Vb of the vehicle battery 230.

S500의 처리로서, 먼저 제 1 CPU(290)는 전압(Vb)이 12V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10). 전압(Vb)이 12V를 초과하는 경우(S510의 Y), 제 1 CPU(290)는 자기유지기간(Ts)을 300초로 설정하고, 제 1 CPU(290)가 구비하는 타이머를 스타트시켜 자기유지기간(Ts)이 300초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12). 자기유지기간(Ts)이 300초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S512의 N), 제 1 CPU(290)는 타이머를 증분하고(S514), 자기유지기간(Ts)이 300초를 초과하기까지, S512와 S514의 처리가 계속해서 반복된다. 자기유지기간(Ts)이 300초를 초과하면(S512의 Y), 제 1 CPU(290)는 그 것을 제 2 CPU(292)에 통지하고,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각각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를 오프로 한다(S300).As the processing of S500, firstly, the first CPU 29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oltage Vb exceeds 12V (S510). When the voltage Vb exceeds 12 V (Y in S510), the first CPU 290 sets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to 300 seconds, starts the timer provided by the first CPU 290, and maintains the self.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eriod Ts has exceeded 300 seconds (S512). If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does not exceed 300 seconds (N in S512), the first CPU 290 increments the timer (S514) and until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exceeds 300 seconds, S512. The processing of and S514 is continued repeatedly. If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exceeds 300 seconds (Y in S512), the first CPU 290 notifies the second CPU 292, and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are turned off (S300).

S510의 처리에서 전압(Vb)이 12V 이하인 경우(S510의 N), 제 1 CPU(290)는 다시 전압(Vb)이 11V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20). 전압(Vb)이 11V를 초과하는 경우(S520의 Y), 제 1 CPU(290)는 자기유지기간(Ts)을 120초로 설정하고, 제 1 CPU(290)가 구비하는 타이머를 스타트시켜 자기유지기간(Ts)이 120초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22). 자기유지기간(Ts)이 120초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S522의 N), 제 1 CPU(290)는 타이머를 증분하고(S524), 자기유지기간(Ts)이120초를 초과하기까지, S522와 S524의 처리가 계속해서 반복된다. 자기유지기간(Ts)이 120초를 초과하면(S522의 Y), 제 1 CPU(290)는 그것을 제 2 CPU(292)에 통지하고,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각각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를 오프로 한다(S300).When the voltage Vb is 12 V or less in the process of S510 (N in S510), the first CPU 290 again determines whether the voltage Vb exceeds 11V (S520). When the voltage Vb exceeds 11 V (Y in S520), the first CPU 290 sets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to 120 seconds, starts the timer included in the first CPU 290, and maintains i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eriod Ts exceeds 120 seconds (S522). If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does not exceed 120 seconds (N in S522), the first CPU 290 increments the timer (S524), until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exceeds 120 seconds, S522. The processing of and S524 is continued repeatedly. If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exceeds 120 seconds (Y in S522), the first CPU 290 notifies it to the second CPU 292, and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are each made of a first one.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are turned off (S300).

S520의 처리에서 전압(Vb)이 11V 이하인 경우(S520의 N), 제 1 CPU(290)는 다시 전압(Vb)이 10V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30). 전압(Vb)이 10V를 초과하는 경우(S530의 Y), 제 1 CPU(290)는 자기유지기간(Ts)을 60초로 설정하고, 제 1 CPU(290)가 구비하는 타이머를 스타트시켜 자기유지기간(Ts)이 60초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32). 자기유지기간(Ts)이 60초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S532의 N), 제 1 CPU(290)는 타이머를 증분하고(S534), 자기유지기간(Ts)이 60초를 초과하기까지, S532와 S534의 처리가 계속해서 반복된다. 자기유지기간(Ts)이 60초를 초과하거나(S532의 Y), S530의 처리에서 전압(Vb)이 10V 이하인 경우(530의 N), 제 1 CPU (290)는 그것을 제 2 CPU(292)에 통지하고,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각각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를 오프로 한다(S300).When the voltage Vb is 11 V or less in the process of S520 (N in S520), the first CPU 290 agai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oltage Vb exceeds 10V (S530). When the voltage Vb exceeds 10V (Y in S530), the first CPU 290 sets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to 60 seconds, starts the timer provided by the first CPU 290, and maintains i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eriod Ts exceeds 60 seconds (S532). If the self hold period Ts does not exceed 60 seconds (N in S532), the first CPU 290 increments the timer (S534), and until the self hold period Ts exceeds 60 seconds, S532. The processing of and S534 is repeated continuously. If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exceeds 60 seconds (Y in S532) or the voltage Vb is 10 V or less in the processing in S530 (N in 530), the first CPU 290 sends it to the second CPU 292.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turn of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respectively (S300).

또한 자기유지기간(Ts)이 설정된 후, 제 1 CPU(290)는 경과시간에 따라 공급하는 전력량을 변경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CPU(290)는 10초 경과할 때마다 제 1 강압회로(280)로부터 공급하는 전압을 0.2V씩 내리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경과시간에 따라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부품을 줄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소비전력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After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is set, the first CPU 290 may chang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For example, the first CPU 290 executes a process of lowering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first step-down circuit 280 by 0.2V every 10 seconds.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lapsed time,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may reduce components that supply power. In this wa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이상, 이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내는 처리에 의해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의 오프조작에 의거하여 차량용 배터리(230)의 전력공급정지나 전력공급량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상이 발생한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을 계속해서 이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이 발생한 시스템에 대한 전력공급량을 억제함으로써 그 이상 정도의 진행과,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부품에 대한 이상의 파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차량용 배터리(230)의 전압(Vb)에 따라 자기유지기능이 작용하는 기간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용 배터리(230)가 다음번 이후의 차량의 시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전압(Vb)으로까지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onic control brake system by the processing shown in this flowchart, the power supply is stopped or the electric power of the vehicle battery 230 is based on the off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Reduction of the supply amount can be realize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inuous use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in which an abnormality occurs. In addition, by suppress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system in which the abnormality occurs, the progress of the abnormality and the spread of the abnormality to the component in which the abnormality does not occur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period during which the self-holding function works depends on the voltage Vb of the vehicle battery 230, the vehicle battery 230 falls to the voltage Vb which causes a problem in the next starting of the vehicle. Can be suppressed.

도 5는 도 4의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낸 제어루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낸 제어루틴과 다른 점은, S120의 처리에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 판정되었을 때(S120의 Y)에, 이후의 처리로서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를 즉시 오프로 하는 것은 아니고, 이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로서, 차량용 배터리(230)의 전압(Vb)에 따라 자기유지기간(Ts)을 설정할지, 즉시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를 오프로 할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가지는 것에 있다. 이하, 이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를 주로 설명한다. 또한 S500의 정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에 관해서는 도 4에 나타낸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rol routine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4. The difference from the control routine shown in Fig. 4 is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rocessing in S120 (Y in S120),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are immediately turned off as subsequent processing. As a self-holding process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the self-holding period Ts is set according to the voltage Vb of the vehicle battery 230, or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are turned off immediately. It's about having a process to decide whether or not to do so. In the following, the self-maintenance process will be mainly described. In addition, since the normal self maintenance process of S500 is the same as the process shown in FIG. 4,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S120의 처리에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S120의 Y), 이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로서, 소정기간만큼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의 온이계속된다(S200). 이 이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에서는 차량용 배터리(230)의 전압(Vb)에 따라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의 온이 계속되는 기간이 변경된다. 정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와 다른 점은, 자기유지기간(Ts)이 짧게 설정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기서는 절반으로 설정되는 것에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rocessing of S120 (Y in S120), the on-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s an abnormal self-holding process (S200). In the abnormal self-maintenance process, the period during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are turned 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oltage Vb of the vehicle battery 230. The difference from the normal self-maintenance process is that the self-maintenance period Ts is set shorter, more specifically, set to half here.

S200의 처리로서, 먼저 제 1 CPU(290)는 전압(Vb)이 12V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10). 전압(Vb)이 12V를 초과하는 경우(S210의 Y), 제 1 CPU(290)는 자기유지기간(Ts)을 150초로 설정하고, 제 1 CPU(290)가 구비하는 타이머를 스타트시켜 자기유지기간(Ts)이 150초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12). 자기유지기간(Ts)이 150초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S212의 N), 제 1 CPU(290)는 타이머를 증분하고(S214), 자기유지기간(Ts)이 150초를 초과하기까지, S212와 S214의 처리가 계속해서 반복된다. 자기유지기간(Ts)이 150초를 초과하면(S212의 Y), 제 1 CPU(290)는 그 것을 제 2 CPU(292)에 통지하고,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각각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를 오프로 한다(S300).As the process of S200, firstly, the first CPU 29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oltage Vb exceeds 12V (S210). When the voltage Vb exceeds 12 V (Y in S210), the first CPU 290 sets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to 150 seconds, starts the timer provided by the first CPU 290, and maintains i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eriod Ts exceeds 150 seconds (S212). If the self hold period Ts does not exceed 150 seconds (N in S212), the first CPU 290 increments the timer (S214), and until the self hold period Ts exceeds 150 seconds, S212. The processing of and S214 is continued repeatedly. If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exceeds 150 seconds (Y in S212), the first CPU 290 notifies the second CPU 292, and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are turned off (S300).

S210의 처리에서 전압(Vb)이 12V 이하인 경우(S210의 N), 제 1 CPU(290)는 다시 전압(Vb)이 11V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20). 전압(Vb)이 11V를 초과하는 경우(S220의 Y), 제 1 CPU(290)는 자기유지기간(Ts)을 60초로 설정하고, 제 1 CPU(290)가 구비하는 타이머를 스타트시켜 자기유지기간(Ts)이 60초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22). 자기유지기간(Ts)이 60초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S222의 N), 제 1 CPU(290)는 타이머를 증분하고(S224), 자기유지기간(Ts)이 60초를 초과하기까지, S222와 S224의 처리가 계속해서 반복된다.자기유지기간(Ts)이 60초를 초과하면(S222의 Y), 제 1 CPU(290)는 그것을 제 2 CPU(292)에 통지하고,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각각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를 오프로 한다(S300).When the voltage Vb is 12 V or less in the processing of S210 (N in S210), the first CPU 290 again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oltage Vb exceeds 11V (S220). When the voltage Vb exceeds 11 V (Y in S220), the first CPU 290 sets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to 60 seconds, starts the timer included in the first CPU 290, and maintains i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eriod Ts exceeds 60 seconds (S222). If the self hold period Ts does not exceed 60 seconds (N in S222), the first CPU 290 increments the timer (S224), and until the self hold period Ts exceeds 60 seconds, S222. And the process of S224 are repeated. If the self-holding period Ts exceeds 60 seconds (Y in S222), the first CPU 290 notifies it to the second CPU 292,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ones. The two CPUs 290 and 292 turn of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respectively (S300).

S220의 처리에서 전압(Vb)이 11V 이하인 경우(S220의 N), 제 1 CPU(290)는 다시 전압(Vb)이 10V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30). 전압(Vb)이 10V를 초과하는 경우(S230의 Y), 제 1 CPU(290)는 자기유지기간(Ts)을 30초로 설정하고, 제 1 CPU(290)가 구비하는 타이머를 스타트시켜 자기유지기간(Ts)이 30초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32). 자기유지기간(Ts)이 30초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S232의 N), 제 1 CPU(290)는 타이머를 증분하고(S234), 자기유지기간(Ts)이 30초를 초과하기까지, S232와 S234의 처리가 계속해서 반복된다. 자기유지기간(Ts)이 30초를 초과하거나(S232의 Y), S230의 처리에서 전압(Vb)이 10V 이하인 경우(S230의 N), 제 1 CPU (290)는 그것을 제 2 CPU(292)에 통지하고,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각각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를 오프로 한다(S300).When the voltage Vb is 11 V or less in the process of S220 (N in S220), the first CPU 290 again determines whether the voltage Vb exceeds 10V (S230). When the voltage Vb exceeds 10 V (Y in S230), the first CPU 290 sets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to 30 seconds, starts the timer provided by the first CPU 290, and maintains i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eriod Ts exceeds 30 seconds (S232). If the self hold period Ts does not exceed 30 seconds (N in S232), the first CPU 290 increments the timer (S234), until the self hold period Ts exceeds 30 seconds, S232. The processing of and S234 is repeated repeatedly. If the self-sustainment period Ts exceeds 30 seconds (Y in S232) or the voltage Vb is 10 V or less in the processing in S230 (N in S230), the first CPU 290 sends it to the second CPU 292.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turn of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respectively (S300).

또한 이 이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에 있어서도, 자기유지기간(Ts)의 설정후, 경과시간에 따라 전력공급량을 변경하여도 좋다. 이 경과시간에 따라 전력공급량을 변경하는 프로세스는 이상이 발생한 구성부품에 대해서만 적용되어도 좋다.Also in this abnormal self-holding process, after setting the self-holding period Ts, the amount of power supply may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elapsed tim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ower supply amount according to this elapsed time may be applied only to the component in which an abnormality has occurred.

이상, 이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내는 처리에 의하여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차량용 배터리(230)의 전압에 따라 자기유지기간(Ts)을 최적의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고, 차량의 제동능력을 확보하면서 이상이 발생한시스템에 대한 전력공급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by the processing shown in this flowchart, the self-holding period Ts can be set to an optimum period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vehicle battery 230, and the braking capability of the vehicle can be adjusted. It is possible to realize a reduction in power supply to a system in which an abnormality occurs while ensuring.

도 6은 도 5의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낸 제어루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나타낸 제어루틴과 다른 점은, S120의 처리에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S120의 Y), S150의 처리로서, 제 1 CPU(290)는 이상의 종류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상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CPU(290)는 이상이 발생한 부분에 따라 이상레벨을 1 내지 3의 3단계로 평가한다.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rol routine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5. The difference from the control routine shown in Fig. 5 is tha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process of S120 (Y in S120), as the process of S150, the first CPU 290 acquires the above kind and processes according to the acquired abnormality. Is in doing. Specifically, the first CPU 290 evaluates the abnormal level in three stages of 1 to 3 accor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도 7은 이상의 종류, 즉 이상의 발생부분에 따라 설정되는 이상레벨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상레벨 대응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 예시하는 이상발생부분은 일례이고, 다른 이상발생부분에도 이상레벨이 설정되어도 좋고, 또 설정되는 이상레벨도 이것에 한정한다는 것은 아니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abnormality level correspondence table indicating correspondence of abnormality levels set according to the kinds of abnormalities, i.e., abnormal occurrence parts. The abnormal occurrence part illustrated here is an example, The abnormal level may be set also in another abnormal part, and the abnormal level set is not limited to this.

이상레벨 1은 다른 이상과 비교하면 중한 정도의 이상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이 레벨에 해당하는 부분은 펌프 모터(78),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증압밸브(150, 152, 154, 156)의 4개의 증압밸브, 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감압밸브(160, 162, 164, 166)의 4개의 감압밸브이다. 이상레벨 1일 때,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가 오프가 되면 즉시 제 1 및 제 2 CPU (290, 292)는 각각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를 오프로 한다.The abnormality level 1 indicates that the abnormality is a moderate degree of abnormality compared to other abnormalities,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is level is a pump motor 78, a right front wheel, a left front wheel, a right rear wheel, a left rear wheel booster valve (150). , Four pressure reducing valves 152, 154 and 156, four pressure reducing valves for the right fron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pressure reducing valves 160, 162, 164 and 166. At the abnormal level 1, as soon as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are turned off,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turn of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respectively. Shall be.

이상레벨 2는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의 이상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이 이상레벨 2가 설정되는 것은 제어장치(296)의 구성부품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이다. 이상이 발생한 부분이 제 1 계통(200) 또는 제 2 계통(202) 중 어느 한쪽의 구성요소이면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계통에 해당하는 메인 릴레이를 즉시 오프로 하여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계통에 대한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전력이 공급되는 계통에 대하여 이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에 의한 전력공급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부분이 복수이고, 2계통각각에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이상레벨(1)로서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 (240, 242) 양쪽 모두 오프로 하여 2계통 모두 전력공급이 정지된다. 또한 제어장치 (296)의 이상의 검출은, 제어장치(296) 자신이 행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도시 생략한 차량을 통괄적으로 감시하는 다른 제어장치에 의해 이루어져도 좋다.The abnormal level 2 indicates that the abnormal level is relatively medium. The abnormal level 2 is se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ny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control device 296. If the part where the error occurs is a component of either the first system 200 or the second system 202,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292 immediately turn on the main relay corresponding to the system where the error occurs. Turn it off to stop the power supply to the faulty system.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control by the self-maintenance process is made to the system to be powered. In the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portions in which an abnormality occurs, and an abnormality occurs in each of the two systems, both systems are turned off by turning off both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as the abnormality level 1. The supply is stopped. In addition, the abnormality detection of the control apparatus 296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apparatus 296 itself, for example, by the other control apparatus which collectively monitors the vehicle not shown in figure.

이상레벨 3은 상대적으로 가벼운 정도의 이상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 이상시 자기유지기능이 작용한다. 이 이상레벨 3이 설정되는 것은 제 1 및 제 2 어큐뮬레이터 압력센서(84, 86), 제 1 및 제 2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62, 64),우전륜용, 좌전륜용, 우후륜용, 좌후륜용 휠 실린더 압력센서(40, 42, 44, 46) 등의 각종 압력센서나, 제 1 및 제 2 스트로크센서(112, 114)이다. 이 이상레벨 3일 때는 발생한 이상에 의한 전력공급정지는 행하지 않고, 이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에 의한 전력공급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 이상레벨 대응표는 제 1 CPU(290)가 구비하는 소정의 기억영역에 유지된다.The abnormal level 3 indicates that the abnormal level is relatively mild, and in this case, the self-maintenance function acts at the time of abnormality. The abnormal level 3 is set by the first and second accumulator pressure sensors 84 and 86, the first and second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s 62 and 64, the right wheel, the left front wheel, the right wheel, and the left. Various pressure sensors, such as the wheel cylinder pressure sensors 40, 42, 44, 46 for rear wheels, and the 1st and 2nd stroke sensors 112, 114 are mentioned. At the abnormal level 3, the power supply is not stopped due to the generated abnormality,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is performed by the self-holding process at the time of abnormality. This abnormal level correspondence table is held in a predetermined storage area included in the first CPU 290.

도 6으로 되돌아가, 도 5에 나타낸 처리와 다른 처리, 즉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의 S150의 처리를 주로 설명한다. S120의 처리에서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S120의 N),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S120의 Y), 제 1 CPU(290)는 이상의 종류를 취득한다(S152). 즉, 제 1 CPU(290)는 이상발생부분을 취득한다. 제 1 CPU(290)는 도 7에 나타낸 이상레벨 대응표를 기초로 취득한 이상발생부분의 이상레벨을 결정한다 (S154).Returning to FIG. 6, the processing different from the processing shown in FIG. 5, that is, the processing of S150 when an abnormality has occurred will be mainly described. If no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rocessing in S120 (N in S120), the description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e processing shown in FIGS. 4 and 5. When an abnormality has occurred (Y in S120), the first CPU 290 acquires the above kind (S152). In other words, the first CPU 290 acquires the abnormal occurrence portion. The first CPU 290 determines the abnormality level of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rtion acquired based on the abnormality level correspondence table shown in FIG. 7 (S154).

이상레벨 1이라고 결정된 경우(S154의 1), 상대적으로 중한 정도의 이상이라고 하여, 제 1 CPU(290)는 제 1 및 제 2 계통(200, 202)의 2계통 모두 전력공급을 정지한다라는 것을 결정하고, 제 1 및 제 2 CPU(290, 292)는 각각 제 1 및 제 2 메인 릴레이(240, 242)의 2계통을 즉시 오프로 한다(S30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 level 1 (1 in S154), a relatively moderate abnormality is determined, and the first CPU 290 determines that both systems of the first and second systems 200 and 202 stop the power supply. The first and second CPUs 290 and 292 immediately turn off two system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elays 240 and 242, respectively (S300).

이상레벨 2라고 결정된 경우(S154의 2),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의 이상이라고 하여 제 1 CPU(290)는 제 1 계통(200)과 제 2 계통(202) 중,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계통에 대한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그 때문에 제 1 메인 릴레이(240)와 제 2 메인 릴레이(242)의 어느 하나 중,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1계통에 해당하는 메인 릴레이가 오프가 된다(S156). 또한 전력이 공급되는 계통에 관해서는 이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가 실행된다(S200).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 level 2 (2 in S154), the first CPU 290 is regarded as a relatively medium abnormality for the system in which the abnormality occurs among the first system 200 and the second system 202. Stop the power supply. Therefore, any one of the first main relay 240 and the second main relay 242 turns off the main relay corresponding to one system in which an abnormality has occurred (S156). In addition, the self-maintenance process is executed in the case of an abnormal power supply system (S200).

이상레벨 3이라고 결정된 경우(S154의 3), 상대적으로 경미한 이상이라고 하여 전력공급정지는 행하여지지 않고, 이상시 자기유지 프로세스에 의한 전력공급제어가 이루어진다(S200). 이후의 처리는 도 5에 나타낸 처리와 동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 level is 3 (3 in S154), the power supply stop is not performed because of a relatively minor abnormality,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by the self-hold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abnormality (S200). The subsequent processing is the same as the processing shown in FIG.

이상, 이 플로우차트로 나타내는 처리에 의해,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제 1 및 제 2 이그니션스위치(270, 272)의 오프조작에 의거하여 이상이 발생한 부분에 따라, 즉 이상레벨에 따라 자기유지 프로세스에 의한 전력공급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by the processing indicated by this flowchart, the abnormality lev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abnormality occurs based on the off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gnition switches 270 and 272. In this way, power supply control by the self-holding process can be realized.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엑츄에이터로서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장치, 유압식 파워스티어링장치(아울러「전자제어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이라고도 함) 등의 차량의 거동을 제어하는 장치에 대하여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종류를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의 구성부품에 따라 설정하고, 이상이 발생한 부분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230)로부터의 전력공급량을 제어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한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시스템마다, 즉 엑츄에이터마다 이상레벨을 설정하여 두고, 이상이 발생한 시스템에 따라 이그니션스위치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공급하는 전력량을 제어하여도 좋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was illustrated as an actuator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It controls the behavior of vehicles, such as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a 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 (also called an "electronic control power steering system"). It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device. Moreover, although the above kind was set according to the component parts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the amount of power supply from the vehicle battery 230 wa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abnormality occurred, but this is not limitative. For example, the abnormal level may be set for each system, that is, for each actuator, and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from on to off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 in which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may be controlled.

도 8은, 이상이 발생한 시스템과 이상 레벨의 대응을 나타낸다. 전자제어 브레이크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이상레벨 1로서, 이그니션스위치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즉시 차량 전체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정지된다. 전자제어 파워스티어링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이상레벨 2로서, 이그니션스위치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전자제어 파워스티어링시스템에 대한 전력공급이 정지된다. 전자제어 주차브레이크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이그니션스위치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정상시와 마찬가지로 자기유지 프로세스를 행하여 소정기간 전력공급이 계속된다.8 shows correspondence between a system in which an abnormality has occurred and an abnormality level.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as the abnormality level 1,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from on to off, the supply of power to the entire vehicle is immediately stoppe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power steering system, as an abnormality level 2,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from on to off, power supply to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power steering system is stoppe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parking brake system, when the ignition switch is switched from on to off, the self-holding process is performed as in normal operation, and power supply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의 실시형태를 기초로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이고, 그들의 각 구성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가지의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바이다.In the above,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ased on some embodiment.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it i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combinations of the respective processing processes,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차량의 상태에 따른 전력공급을 행하는 전원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it is possible to realize power supply control for supplying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vehicle.

Claims (8)

차량의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용 전원과, 상기 차량용 전원과 상기 시스템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의 시동시에 전환조작되는 차량 기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시스템에 소정기간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A vehicle power sourc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system of the vehicle, and vehicle star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power source and the system and switched to operate at the star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In the power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for a predetermined period, 상기 차량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수단과,Abnormality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vehicle; 상기 이상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소정기간에 걸쳐 공급되어야 할 전력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vehicle power source over a predetermined period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상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소정기간에 걸쳐 공급되어야 할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The control means stops the supply of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Control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상 검출수단은, 상기 차량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에, 이상의 종류를 취득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취득된 이상의 종류에 따라 상기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전력공급하는 기간을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acquires a kind of abnormality when the abnormality of the vehicle is detected, and the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 power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in accordance with the acquired abnormality. A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supply perio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상 검출수단은, 상기 차량의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에, 이상의 종류를 취득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취득된 이상의 종류에 따라 상기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차량용 전원의 전력공급량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acquires a kind of abnormality when the abnormality of the vehicle is detected, and the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vehicle power supply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in accordance with the acquired abnormality. A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amount is changed over ti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상 검출수단은, 상기 차량의 시스템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그들 복수의 시스템 각각에 관하여 이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이상이 검출된 시스템에 대한 전력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detects an abnormality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ystems when the system of the vehicle is constituted, and the control means detects an abnormality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A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stop the power supply to th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상 검출수단은, 상기 차량의 시스템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그들 복수의 시스템 각각에 관하여 이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이상이 검출된 구성요소에 대한 전력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detects an abnormality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ystems when the system of the vehicle is constituted, and the control means detects an abnormality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A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component.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이상 검출수단은, 다시 상기 차량용 전원의 전력공급능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공급하는 전력공급량에 상기 전력공급능력을 반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again detects the power supply capability of the vehicle power supply, and the control means applies the power supply capability to the power supply amount supplied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Powe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flecting. 차량의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용 전원과, 상기 차량용 전원과 상기 차량의 시스템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의 시동시에 전환조작되는 차량 기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차량의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제어장치에 있어서,A vehicle power sourc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system of the vehicle, and vehicle star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power source and the system of the vehicle and switched over at the start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In th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of the vehicle, 상기 차량용 전원의 전력공급능력을 취득하고, 취득한 전력공급능력에 따라 상기 차량 기동수단이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시스템에 대하여 계속해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제어장치.Acquires a power supply capability of the vehicle power supply,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amount that continuously supplies power to the system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when the vehicle starting means is switched from on to off in accordance with the acquired power supply capability And a mean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KR10-2004-0032957A 2003-05-12 2004-05-11 Power control device KR1005256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3493A JP4155094B2 (en) 2003-05-12 2003-05-12 Power control device
JPJP-P-2003-00133493 2003-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915A true KR20040097915A (en) 2004-11-18
KR100525651B1 KR100525651B1 (en) 2005-11-02

Family

ID=3341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957A KR100525651B1 (en) 2003-05-12 2004-05-11 Power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55094B2 (en)
KR (1) KR100525651B1 (en)
CN (1) CN100383379C (en)
DE (1) DE102004021842B4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2364A (en) * 2005-10-21 2007-05-10 Toyota Motor Corp Car-mounted power supply system
CN101109349B (en) * 2007-08-07 2010-05-26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ECU delayed processing circuit of motorcycle
JP4983487B2 (en) * 2007-09-04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control device
TWI353513B (en) 2007-11-02 2011-12-01 Htc Corp Main computer for vehicle and power management met
JP2010052630A (en) * 2008-08-29 2010-03-11 Koito Mfg Co Ltd Dimming control system for vehicular lighting fixture
JP5404117B2 (en) * 2009-03-23 2014-01-29 三菱農機株式会社 Work vehicle
US9071083B2 (en) * 2010-06-08 2015-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per capacitor supplemented server power
JP6133090B2 (en) * 2013-03-21 2017-05-24 株式会社ケーヒン Engine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374U (en) * 1991-10-03 1993-04-27 株式会社東芝 Elevator sill
DE19710363A1 (en) * 1997-03-13 1998-09-24 Bosch Gmbh Robert Circuit arrangement for supplying a consumer with electrical energy
JP3799797B2 (en) * 1998-02-18 2006-07-19 株式会社デンソー Diagnostic equipment for vehicles
DE19828057A1 (en) * 1998-06-24 1999-12-30 Bosch Gmbh Robert Unit monitoring continuous voltage supply to SRAM in vehicle controller
JP3552597B2 (en) * 1999-07-06 2004-08-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centralized wiring device
JP3360676B2 (en) * 2000-05-23 2002-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vehicles
JP2002200948A (en) * 2000-12-28 2002-07-16 Denso Corp Vehicular power distribu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21842A1 (en) 2004-12-09
DE102004021842B4 (en) 2007-08-16
CN100383379C (en) 2008-04-23
KR100525651B1 (en) 2005-11-02
JP2004331010A (en) 2004-11-25
CN1550664A (en) 2004-12-01
JP4155094B2 (en)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8964B2 (en) Brake device for vehicle
JP4780190B2 (en) Brake control device
JP5516753B2 (en) Hydraulic brake system
US6957870B2 (en) Braking pressure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two brake operating states using power-operated and manually operated pressure sources, respectively
US8152244B2 (en) Brake control device
WO2010109525A1 (en) Brake controlling device
JP5056714B2 (en) Brake control device
JP5516752B2 (en) Hydraulic brake system
US20150120161A1 (en) Cylinder device and hydraulic brake system
JP2007089350A (en) Power supply device
US20070222284A1 (en) Brake control system
US8290674B2 (en) Brake control system and brake control method
US20080048491A1 (en) Brake Control System
KR100525651B1 (en) Power control device
JP2002178900A (en) Brake control device of vehicle
JPH1035466A (en) Brake fluid pressure controller
US7765043B2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03205838A (en) Hydraulic brake system
JP5652168B2 (en) Hydraulic brake system
JP3360676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vehicles
CN112606806A (en) Electric control type hydraulic braking system for trailer
JP3379445B2 (en) Hydraulic brake control device
JPH09175383A (en) Control device of motor-driven pump
JPH0531016Y2 (en)
JP5125523B2 (en) Hydro brak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