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726A -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726A
KR20040097726A KR1020030030118A KR20030030118A KR20040097726A KR 20040097726 A KR20040097726 A KR 20040097726A KR 1020030030118 A KR1020030030118 A KR 1020030030118A KR 20030030118 A KR20030030118 A KR 20030030118A KR 20040097726 A KR20040097726 A KR 20040097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d egg
injector
tube
straw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민기
Original Assignee
배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민기 filed Critical 배민기
Priority to KR102003003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7726A/ko
Publication of KR2004009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7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D19/027Devices for injecting semen into animals, e.g. syringes, guns, prob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가는 봉형상의 일단에 누름부(12)가 형성된 주입기(10); 일측에 손잡이부(22)가 형성된 안내/고정부재(20); 일측에 지지부(32)가 형성된 지지부재(30); 보관부(42)의 내부에 이식가능한 가축의 수정란이 수용되고, 상기 보관부(42)의 일측에는 면봉(41)이 설치되며, 상기 보관부(42)에 비하여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자체 탄성을 갖는 사출관(50)을 구비하여 상기 주입기(10)의 끝단에 결합되는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 일단에 결합부(6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걸림공(64)이 형성되는 보호용 튜브(6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늘고 길며 자체 탄성을 갖는 사출관(50)이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자궁체 내로 삽입된 사출관(50)이 안내/고정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자궁체의 내측에 위치한 자궁각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까지 삽입되므로, 수정란을 자궁각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되어 착상율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embryo transplantation apparatus for a livestock}
본 발명은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축의 수정란을 자궁각 선단부까지 정확하면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주입하여 이식시킬 수 있는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 같은 가축은 수태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미리 동결보관된 우량의 종자를 발정개시 후 적정시기에 융해시켜 수정시키는 인공수정의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수정의 방법으로는, 직장질주입법, 질경주입법 및 자궁겸자법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문제점을 고려한 주사기형 주입기를 이용한 인공수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는 분출공(1-1)이 양측으로 형성된 노즐(1)이 끝단에 결합된 보호용 튜브(2)와, 내부에 수정란이 수용되고 피스톤 기능을 갖는 면봉(3-1)이 내장된 수정란 튜브(3)와, 상기 수정란 튜브(3)의 끝단에 끼워지는 주입기(4)와, 상기 수정란 튜브(3)와 결합된 주입기(4)가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용 튜브(2)에 삽입 설치되는 안내부재(5)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공 수정란 이식장치는 상기 주입기(4)의 끝단에 수정란 튜브(3)가 끼워진 상태에서 주입기(4)를 안내부재(5) 내부로 삽입시키고, 이어서 주입기(4)가 결합된 안내부재(5)를 상기 보호용 튜브(2)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상기 보호용 튜브(2)를 대상 가축의 질(a)을 거쳐 자궁경관(b)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때, 시술자는 보호용 튜브(2)의 끝단에 설치된 노즐(1)이 자궁체(c)의 벽에 닿는 느낌을 받으면, 상기 주입기(4)를 밀어 주입기(4)의 끝단이 면봉(3-1)을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면봉(3-1)이 가압되면, 상기 면봉(3-1)은 수정란 튜브(3)에 수용된 수정란을 보존액과 함께 노즐(1) 측으로 밀어 수용되었던 수정란이 보존액과 함께 노즐(1)의 분출공(1-1)을 통하여 자궁체(c)의 입구측 벽 부근에 주입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으로 주입된 수정란은 자궁각 선단부(d)에 근접한 위치에 주입되지 못하여 원활한 착상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인공 수정란 이식장치의 경우에는 보호용 튜브(2)의 끝단이 자궁체(c)의 입구에서 멈출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수정란이 자궁각 선단부(d)에 근접하도록 이식시킬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인공 수정란 이식시에 착상율(수태율)이 20 - 30%에 머무르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수정란 이식장치의 경우에는 수정란이 보관되는 보존액이 모두 자궁체(c) 내부로 주입되어 수정란의 착상에 영향을 줄 수도 있었고, 자궁체(c) 내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정란을 자궁체의 내측에 위치한 자궁각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까지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수정란 이식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수정란 이식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정란 이식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a,4b,4c,4d는 도 2에 도시된 수정란 이식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수정란 이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6b,6c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수정란 이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입기 12 : 누름부
20 : 안내/고정부재 22 : 손잡이부
24 : 외측관 26 : 내측관
30 : 지지부재 32 : 지지부
40 :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 41 : 면봉
42 : 보관부 50 : 사출관
60 : 보호용 튜브 62 : 결합부
64 : 걸림공 70 : 주입량 조절부재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는 봉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에 누름부가 형성된 주입기; 상기 주입기보다 짧게 형성되며 일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외측관, 상기 외측관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주입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관으로 이루어진 안내/고정부재; 상기 안내/고정부재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관보다 짧게 형성되며, 일측에 지지부가 형성된 지지부재; 중공형으로 형성된 보관부의 내부에 수정란 보존액이 수용되고, 상기 보관부의 일측 내부에는 면봉이 설치되며, 상기 보관부에 비하여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자체 탄성을 갖는 사출관을 구비하여 상기 면봉이 설치된 측으로부터 상기 외측관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가 설치되고 상기 주입기가 설치된 안내/고정부재를 내장한 지지부재가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사출관만 통과되는 걸림공이 형성되는 보호용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는 상기 사출관이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에 일체로 형성된수정란 이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입기에는 수정란의 보관위치에 따라 주입기의 작동거리를 조절하여 보존액의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주입량 조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는 보호용 튜브와 지지부재에 의해 경직된 자궁경관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을 구비하여 가늘고 길게 연장 형성된 사출관이 안내/고정부재의 회전 및 길이방향 이동에 의해 자궁각 선단부까지 깊숙하게 삽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수정란이 자궁각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이식될 수 있음으로써, 착상율(수태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수정장치는 주입기(10)와, 안내/고정부재(20)와, 지지부재(30)와,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straw)(40) 및 사출관(50), 보호용 튜브(6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기(10)는 가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일단에 누름부(12)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안내/고정부재(20)는 주입기(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내측관(26)과, 상기 내측관(26)이 설치되는 외측관(24)과, 상기 외측관(24)의 일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2)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내측관(26)의 길이는 외측관(2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대략,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의 길이만큼 짧다. 이러한 안내/고정부재(20)는 상기 주입기(10)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과,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를 고정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안내/고정부재(20)가 삽입되어 회전되거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고정부재(20)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주입기(10)가 결합된 안내/고정부재(20)가 지지부재(30)의 내부로 결합되면 상기 주입기(10)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재(30)의 일측에는 지지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2)는 시술자가 지지부재(30)를 용이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그 끝단을 대상 가축의 자궁내부로 안정되게 진입시키거나 상기 안내/고정부재(20)를 회전시킬 경우에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는 내부에 보존액이 수용되고, 이러한 보존액에는 가축의 수정란이 수용되도록 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에는 면봉(41)이 내설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면봉(41)은 상기 주입기(10)에 의해 밀리면서 수용된 보존액과 수정란을 개구된 측으로 밀어 사출되도록 하는 피스톤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는 상기 손잡이부(22)가 형성된 반대 방향의 외측관(24) 내부로 삽입되는데, 상기 면봉(41)이 설치된 방향으로부터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는 상기 외측관(24)의 내부에서 내측관(26)의 단부에 밀착되어 더이상 삽입되지 않게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외측관(24)을 약간 변형시켜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주입기(10)를 손잡이부(22) 측으로부터 삽입하게 되면 상기 주입기(10)의 끝단이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의 끝단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사출관(50)은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자체 탄성을 갖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에 결합되도록 확장된 형상이고,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보다 상대적으로 가늘게 형성된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정란은 사출관(50)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고, 보관부(42)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용 튜브(60)는 금속재로 된 상기 주입기(10), 안내/고정부재(20), 지지부재(30) 등이 가축의 질(A), 자궁경관(B), 자궁체(C) 등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보호용 튜브(60)는 상기 사출관(50)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보호용 튜브(60)는 내부에 주입기(10)와 안내/고정부재(20)가 삽입되어 결합된 지지부재(30)가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부(32) 일측에 돌출 형성된 부위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62)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에 결합된 사출관(50)만 통과되도록 협소하게 형성된 걸림공(64)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순서는 다양하지만 가장 바람직한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에 사출관(5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사출관(50)은 미리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에 결합된 상태로 냉동보관될 수도 있고,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가 사용될 경우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출관(50)은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의 일측(면봉(41)이 설치된 반대방향)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안내/고정부재(20)의 내부에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를 삽입시키되, 상기 면봉(41)이 설치된 부위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시켜 그단부가 상기 내측관(26)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외측관(24)의 끝단을 약간 변형시켜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주입기(10)를 손잡이부(22) 측으로부터 안내/고정부재(20)의 내부로 삽입시켜 그 끝단이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의 일측(면봉(41)이 설치된 부위)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주입기(10)가 안내/고정부재(20)의 내부에 결합되면, 상기 사출관(50)이 노출된 상태의 안내/고정부재(20)를 상기 지지부재(30)의 내부로 삽입시켜 상기 사출관(50)이 지지부재(30)의 끝부분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0)의 내부에는 주입기(10)가 결합된 안내/고정부재(20)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안내/고정부재(20) 내부에는 주입기(10)와 결합된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가 설치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 부품이 결합된 지지부재(30)를 보호용 튜브(6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공(64)으로 상기 사출관(50)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보호용 튜브(60)의 결합부(62)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부(32) 일측에 나사방식 또는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순서에 의해 각각의 부품은 결합되어 도 3에 도시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에 수용된 가축의 수정란을 가축의 자궁각 선단부(D)에 주입하여 이식하기 위해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의 지지부(32)를 취부하여 상기 보호용 튜브(60)를 대상 가축의 질(A)과 자궁경관(B)을 통과하여 자궁체(C)에 삽입한다.
상기 보호용 튜브(60)가 자궁경관(B)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보호용 튜브(60)의 끝단이 상기 자궁체(C)의 벽에 부딪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술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고정부재(2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지지부재(30) 내부로 밀어 넣는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고정부재(20)를 지지부재(30)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사출관(50)이 걸림공(64) 밖으로 빠져나와 자궁체(C)의 벽에 부딪히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고정부재(20)를 계속하여 좌,우(정,역회전)로 회전시키거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시키게 되면, 사출관(50)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공(64)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자궁체(C)의 벽을 따라 자궁각 선단부(D) 측으로 휘어지면서 삽입이 계속 된다. 즉, 안내/고정부재(20)의 회전은 자체탄성을 갖는 사출관(50)이 자궁체(C)의 벽에 부딪혀 한곳에 멈추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안내/고정부재(20)를 회전시키면서 밀어넣게 되면, 상기 안내/고정부재(20)는 지지부재(30) 내부에서 걸림공(6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그 내부에 삽입된 주입기(10)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입기(10)의 끝단에 결합된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가 회전하게 되어 사출관(50)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고정부재(20)의 회전시 주입기(10)가 회전되는 것은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가 상기 안내/고정부재(2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계속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출관(50)은 만곡지게 굴곡진 자궁체(C)의 내부 깊숙하게 삽입되어 자궁각 선단부(D) 근처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시술자는 상기 손잡이부(22)를 취부한 뒤 상기 누름부(12)를 누른다. 상기 누름부(1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주입기(10)의 끝단이 면봉(41)을 사출관(50) 측으로 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면봉(41)은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에 수용되어 있던 수정란을 사출관(50) 내부로 이동시키게 되며, 따라서 사출관(50)으로 공급된 수정란은 그 끝단을 통하여 자궁각 선단부(D)에 근접한 위치에 분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체 탄성을 갖고 가늘고 길게 형성되며, 유연성을 갖는 사출관(50)이 자궁체(C)의 내부 깊숙하게 삽입될 수 있음으로써 수정란이 자궁각 선단부(D)에 정확하게 주입되어 착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제 2실시예는 상기 사출관(50)이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작용을 갖는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의 수정란이 보관되는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의 보관부(42) 타단에 사출관(50)이 상기 보관부(42)보다 상대적으로 가늘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사출관(50)이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사출관(50)과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삭제될 수 있고, 사출관(50)과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의 연결부위로 수정란이 누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사출관(50)의 끝단을 각이지지 않도록 구형 또는 만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사출관(50)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a,6b,6c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의한 수정란 이식장치는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에 수용된 보존액의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주입량조절부재(70)가 누름부(12)에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다.
즉, 도 6a에는 상기 누름부(12)에 나사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나사공(14)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 형상의 주입량 조절부재(70)가 체결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량 조절부재(70)를 조여 주입량 조절부재(70)가 손잡이부(22)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게 되면, 상기 누름부(12)의 작동거리는 주입량 조절부재(70)의 돌출된 거리만큼 줄어드는 것이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량 조절부재(70)를 풀어 주입량 조절부재(70)가 손잡이부(22)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게 되면 상기 누름부(12)의 작동거리는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입량 조절부재(70)는 수정란을 보존하기 위한 보존액이 자궁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그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란이 사출관(50)의 끝단부 근처에 공기(기포)에 쌓인 상태로 보존된 상태라면, 상기 수정란이 분출될 정도로만 상기 주입기(10)를 이동시킴으로써 수정란의 분출이 이루어져 이식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는 수정란의 착상 및 자궁내부의 손상에 영향을 미칠지 모르는 보존액이 필요이상으로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는 가늘고 길며 자체 탄성을 갖는 사출관이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사출관만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된 보호용 튜브가 사출관을 자궁각 선단부로 안내하게 되므로 장치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고, 자궁체 내로 삽입된 사출관이 안내/고정부재의 회전에 의해 자궁체의 내측에 위치한 자궁각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음으로써, 수정란을 자궁각 선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가축의 착상율(수태율)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가는 봉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에 누름부(12)가 형성된 주입기(10);
    상기 주입기(10)보다 짧게 형성되며 일측에 손잡이부(22)가 형성된 외측관(24), 상기 외측관(24)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주입기(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관(24)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관(26)으로 이루어진 안내/고정부재(20);
    상기 안내/고정부재(20)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관(24)보다 짧게 형성되며, 일측에 지지부(32)가 형성된 지지부재(30);
    중공형으로 형성된 보관부(42)의 내부에 수정란 보존액이 수용되고, 상기 보관부(42)의 일측 내부에는 면봉(41)이 설치되며, 상기 보관부(42)에 비하여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자체 탄성을 갖는 사출관(50)을 구비하여 상기 면봉(41)이 설치된 측으로부터 상기 외측관(24)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가 설치되고 상기 주입기(10)가 설치된 안내/고정부재(20)가 결합된 지지부재(30)가 삽입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지지부재(30)에 결합되는 결합부(62)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사출관(50)만 통과되는 걸림공(64)이 형성되는 보호용 튜브(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관(50)은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상기 보관부(4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관(50)은 상기 수정란/보존액 수용 스트로(4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12)에는 상기 누름부(12)와 손잡이부(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주입기(10)의 작동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주입량 조절부재(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
KR1020030030118A 2003-05-13 2003-05-13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 KR20040097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118A KR20040097726A (ko) 2003-05-13 2003-05-13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118A KR20040097726A (ko) 2003-05-13 2003-05-13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726A true KR20040097726A (ko) 2004-11-18

Family

ID=3737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118A KR20040097726A (ko) 2003-05-13 2003-05-13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77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775A2 (ko) * 2010-02-08 2011-08-11 광개토한우농업법인 주식회사 소 생식세포와 임신증진물질을 동시 장착 후 1회로 자궁내에 주입이 가능한 2단 인공수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775A2 (ko) * 2010-02-08 2011-08-11 광개토한우농업법인 주식회사 소 생식세포와 임신증진물질을 동시 장착 후 1회로 자궁내에 주입이 가능한 2단 인공수정기
WO2011096775A3 (ko) * 2010-02-08 2012-01-05 광개토한우농업법인 주식회사 소 생식세포와 임신증진물질을 동시 장착 후 1회로 자궁내에 주입이 가능한 2단 인공수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0897B1 (en) Artificial insemination device for pigs
JP3361778B2 (ja) 家畜の人工授精用精子または受精卵移植用卵子の注入器及びその操作方法
NO165325B (no) Apparat til kunstig inseminering.
JPH08501718A (ja) 人工受精及び受精卵移植装置
ES2194215T3 (es) Instrumento para el guiado del suministro de materiales inyectables en el tratamiento de incontinencia urinaria.
US6860235B2 (en) Apparatus for creating a pathway in an animal and methods therefor
SU89722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садки эмбрионов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US20110282135A1 (en) Device and metho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of bovines
CA2490727C (en) Apparatus for creating a pathway in an animal and methods therefor
US6059716A (en) Artificial insemination device for private use
US5147299A (en) Device to facilitate artificial insemination of bovines and similar animals
KR20040097726A (ko) 가축용 수정란 이식장치
US10675133B2 (en) Device for the atraumatic transfer of a material or substance with a reproductive, therapeutic or diagnostic purpose into female mammals
US200200381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of animals
JP3162023U (ja) カテーテル挿入補助器具
MX2011003816A (es) Dispositivo mejorado para la inseminacion artificial de ovinos, caprinos, venados y/o animales domesticos y salvajes.
JP2008206881A (ja) 家畜の子宮深部注入用器具
JP2007020795A (ja) 家畜用胚の移植用深部注入器
US20090326317A1 (en) Instrument for intra-uterine transfer via the natural vagino-uterine route
KR200208513Y1 (ko) 가축용 인공수정장치의 주입기커버
KR101156231B1 (ko)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KR100841802B1 (ko) 심부주입용 수정 장치
KR100655959B1 (ko) 인공수정 장치
KR200352387Y1 (ko) 인공수정 장치
US11103336B2 (en) Animal insemination and in-vitro fertilization sheath, cap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