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674A - 로울러블레이드등의 레저용 견인기 - Google Patents

로울러블레이드등의 레저용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674A
KR20040097674A KR1020030030023A KR20030030023A KR20040097674A KR 20040097674 A KR20040097674 A KR 20040097674A KR 1020030030023 A KR1020030030023 A KR 1020030030023A KR 20030030023 A KR20030030023 A KR 20030030023A KR 20040097674 A KR20040097674 A KR 20040097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ractor
frame
pulling device
speed
lei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용
Original Assignee
배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용 filed Critical 배성용
Priority to KR102003003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7674A/ko
Publication of KR20040097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6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65G41/003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mounted for linear movemen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7Articles manipulated as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레저문화가 발달하고 새로운 스포츠모형이 개발됨에 따라 스케이트, 스키 등에서 인라인스케이트와 로울러브레이드, 그리고 스케이트보드의 종목으로 다양한 변천을 거쳤다.
인라인스케이트나 로울러브레이드는 어린아이에서 각종 동호인 모임까지 형성되어 현대인의 레저생활의 필수품처럼 자리 잡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스포츠 및 레저생활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스포츠에 관한 것으로 인라인스케이트나 로울러브레이드 탈 때 앞에서 끌어주는 기구로 감속모터가 내장된 견인기의 일측에 연결된 견인 줄을 잡고 견인기를 조정하여 여러가지 레저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인라인스케이트나 로울러브레이드용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저 생활의 목적뿐만 아니라 무겁고 조그마한 물건을 옮길 때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레저생활이나 실생활에서 필요한 유익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로울러블레이드등의 레저용 견인기{omitted}
레저 문화의 발달에 따라 각종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계속 늘어나고있다. 기술의 발달은 새로운 스포츠 문화를 탄생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견인기를 이용하면 로울러스케이트를 더욱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저용 견인기 구동 장치로 로울러브레이드나 인라인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등를 즐길 때 사용하는 새로운 기구이다
본 발명의 골격을 이루는 견인기 몸체부(1)에는 전기모터(11)와 감속기어(5)가 일체화된 감속모터(10)를 채용하여 힘과 부피의 축소를 이루었다. 그리고 모터의 양 축에 바퀴를 달아 구동하게 한 구루마형태의 것이다. 감속 모타가 내장되어 견인기역할을 하고 이것에 견인줄(2)을 연결하고 조종용 손잡이(4)와 결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용방법의 예시는 견인기 사용방법의 사시도(도1)이다.
본 발명은 견인기와 조종손잡이의 연결로 구성되어 있다. 견인기는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끄는 힘과, 쉽게 구룰 수 있는 바퀴 그리고 배터리의 저장단계이다. 너무 크게 만들어 사용하기 불편하기 보다는 작고 힘이 넘치도록 만드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무작정 잘 끌어 준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구룸동작의 안정정이 매우 중요하게 요구되기 때문에 조종손잡이에서 좌우나 스피드를 잘 조정이 되도록 제작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가벼우면서 사용에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스피드를 즐기는 기구인 만큼 고속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인라인스케이트나 로올러브레이드를 즐기는 층은 속도를 즐기는 층으로 본 발명이 제시하는견인기 사용의 핵심이 되는 층이다.
도면 1. 견인기의 사용방법에 대한 사시도
도면 2. 견인기의 구조도
도면 3. 견인기 조종용 손잡이 구조도
도면 4. 전기적 연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견인기 몸체 부 2. 견인기 연결 조종용 줄 틀
3. 타이어 4. 조종용 손잡이 틀
5. 감속기어 6. 모터의 축
7. 컨트롤러 8. 배터리
9. 조정용 손잡이 줄 연결구 10. 감속기어가 내장된 모터 또는 엔진
11. 모터의 전동부 12. 베어링
13. Main S/W 14. 스피드 조종용 겸 손잡이
15. Sub S/W 16. 전원 케이블
17. 견인 줄
본 발명은 견인기 몸체부(1), 견인기 연결 조종용 줄 틀(2), 조종용 손잡이 틀(4)로 구성되었다. 견인기 몸체부(1)은 동력을 발생하는 배터리(8) 전동모터(11) 감속기어(5) 컨트롤러(7)와 동력을 받아 구룸작용을 하는 바퀴로 이루어진다. 이 견인기 몸체부(1)에는 견인기와 조종용 손잡이 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9)를 가진다. 연결구(9)는 조종용 손잡이 틀에서 각종 장치를 제어 할 수 있는 전선과 안전을 위한 단단한 줄(17)을 이용한다. 이 견인줄은 견인기와 사람과의 사이에 이끌어 주는 역할을 연결하는 줄로서 안전과 운전에 적합한 소재를 갖는다. 줄(2)과 연결하는 연결구는 하나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손잡이 틀(4)와 연결 할 수도 있지만 사용방식이나 구성의 다양화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런 다양성은 한손으로 조종간을 잡고 견인기를 조종하는 것보다 두 손으로 잡고 조종할 수 있는 스포츠나 레저용으로 제작을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연결구를 예시하였으나 제작의 형태를 달리하는 방법에서는 두개 이상의 연결구를 포함 한다. 감속기어 틀(10)에는 전동모터(11)와 감속기어(5) 로 구성된다.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일정한 속도로 바꾸어 줄 수 있는 감속기어는 필수적이다. 제작형태에 따라 본 예시된 견인기(1)의 감속기어 틀(10) 내에 변속기(Transmission)를 추가 할 수 있다. 감속기어와 연결된 동력전달용 축(6)은 감속기어틀(10)의 양측이나 일측에서 바퀴로 동력을 전달한다. 이런 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은 소비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시한 견인기의 구조에 포함되지 않은 바퀴의 형태는 2륜이나 3륜 4륜 등으로 견인기의 사용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모양으로 만든다. 이는 스피드를 즐기거나 완만한 스피드를 요구하거나 레포츠를 위하여 각종의 다양한 방식을 요구(회전각도 등)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견인기에 내장하는 전동감속모터(10) 대신 스쿠터용 소형엔진을 장착하여 동력을 얻을 수 있다. 이때는 배터리의 공간은 유류통으로 사용한다.
견인기(1)와 연결된 줄(2)에 부착된 조종용손잡이 틀(4)의 구조에는 Main S/W(13)와 Sub S/W(15) 그리고 스피드 조절용S/W를 겸한 회전되는 손잡이(14)로 구성된다. Main S/W(13)은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을 ON/Off를 한다. Sub S/W(15)는 견인기를 사용할 때 주행시키거나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로 스피드를 조종하는 손잡이에 고정되어 수직적 움직임을 갖으며 손잡이틀(14)와 연동하여 회전을 할 수있다. 손잡이틀(14) 내에는 모터의 출력을 이용 스피드를 조절하는 S/W가 내장되어 본 발명의 핵심적인 사용방법인 스피드의 조절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조종용 손잡이틀(2)에는 각종 전조등이나 례저용 경광등 등을 달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모든 전기적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는 도4의 연결도를 갖는다. 컨트롤러는 Main S/W(13), Break cut-off S/W기능의 Sub S/W(15), Speed control S/W(14), 전조등 등 스위치를 컨트롤하여 배터리로부터 인가 되어오는 전원을 제어하거나 모터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의 전기적 연결도에 나타난 충전기는 일반 가정용 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한다.
인라인스케이트나 로울러브레이드 스케이트보드를 즐기는 동호인들이 매우 유용하게 새로운 유형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본 발명은 현대인의 스피드레저를 즐기는 새로운 분야의 개척이 될 것이다. 인라인스케이트나 로울러브레이드, 스케이트보드를 자신의 발에 장착하고 미끄러지는 즐거움에 속도를 더하고 각종 묘기를 부림으로서 즐거움을 갖는 운동 및 레저용 기구이다. 이런 것들은 운동하는 사람의 체력이나 묘기를 부리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즐긴다. 신발처럼 신에 장착하고 자신의 발의 힘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형태로, 조금만 운동을 하고 나면 발에 피로가 몰려와 더 타고 싶어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본 발명의 견인기(도1)가 필요하다. 앞에서 끌어주는 역할을 하는 견인기는 어디든지 갈 수 있다. 평상시 주행에는 놀이터로의 이동으로 이용하고 넓은 장소에서는 스피드와 묘기를 줄길 수 있다. 조종 방법에 따라 직선주행 뿐만 아니라 좌·우로 빠른 회전을 하면서 강력한 스피드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레저용뿐만 아니라 일정한 장소까지 별개로 포장한 용기를 끌게 하거나 올려 놓고 이동 시킬 수 있다. 본 견인기의 작용은 사용자의 방식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변화하게 사용된다. 언덕을 오르는 구간을 만났을 때 아주 유용한 견인기구가 된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레저용이나 운반용으로 사용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견인기는 레포츠를 즐기는 현대인에 각광을 받는 새로운 스포츠 기구로 탄생할 수 있다.

Claims (5)

  1. 도1항의 구성에 있어서 견인기틀(1), 견인기 조종용 줄 틀(2), 조종용 손잡이틀(4)로 구성된 것에 구룸바퀴(3)를 이용하여 인라인스케이트나 로울러브레이드, 스케이트보드 같은 레포츠용 또는 산업용으로서의 견인기 역할을 하는 다목적 레저용 견인기
  2. 견인기틀(1)에 전동 감속모터(11), 배터리(8), 컨트롤러(7)와 변속기능을 내장하여 레포츠용으로 사용하는 견인기(1)
  3. 본 발명에서 예시 하지 않은 것으로 견인기틀(1)에 내장하는 동력의 사용에 있어서 미니 스쿠터용 소형엔진과 유류공급 장치 및 조정용틀을 이용한 동력전달 장치를 이용한 견인기(1)
  4. 도 3의 조정용손잡이틀(4)의 Main S/W(13), 주행의 시작이나 비상용 Break Cut-off S/W(15), 스피드 콘트롤S/W가 내장된 손잡이(14)가 견인기 연결 및 조종용 줄 틀(2)이 포함된 견인기 조종용 손잡이 틀(도3)
  5. 전원의 충전 기능과 견인기 사용에 필요한 전원장치를 제어하는 도 4의 전기적 기능을 연결 또는 제어하는 회로가 내장된 컨트롤러(도 2의 7)
KR1020030030023A 2003-05-12 2003-05-12 로울러블레이드등의 레저용 견인기 KR20040097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023A KR20040097674A (ko) 2003-05-12 2003-05-12 로울러블레이드등의 레저용 견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023A KR20040097674A (ko) 2003-05-12 2003-05-12 로울러블레이드등의 레저용 견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674A true KR20040097674A (ko) 2004-11-18

Family

ID=3737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023A KR20040097674A (ko) 2003-05-12 2003-05-12 로울러블레이드등의 레저용 견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767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089A (en) * 1980-10-17 1984-06-26 Akira Kuwahara Motorized device for pushing or pulling a roller skate
US5562176A (en) * 1993-03-17 1996-10-08 Lucernoni; Fabrizio Motor arrangement for roller skater
KR20010108135A (ko) * 1999-01-26 2001-12-07 안토니오 팀 사람을 견인하기 위하여 롤러나 미끄럼 몸체를 이동시키는견인 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089A (en) * 1980-10-17 1984-06-26 Akira Kuwahara Motorized device for pushing or pulling a roller skate
US5562176A (en) * 1993-03-17 1996-10-08 Lucernoni; Fabrizio Motor arrangement for roller skater
KR20010108135A (ko) * 1999-01-26 2001-12-07 안토니오 팀 사람을 견인하기 위하여 롤러나 미끄럼 몸체를 이동시키는견인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7806B2 (en) Foot-propelled wheeled hobby and/or sport device
US6315630B1 (en) Remotely controlled skateboard having motion-responsive doll riding thereon
JP6250824B2 (ja) 分離型電動スケートボード
US7226062B1 (en) Recreational wheelie vehicle
CN101745213B (zh) 滑板
WO2018040993A1 (zh) 双板式多人协同滑行设备
US20180296907A1 (en) Powered wheeled board
CN111921182B (zh) 一种多功能滑行运动装备
US2015007588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owering A Wheeled Vehicle
CN203469429U (zh) 分体式电动滑板
WO1996020762A1 (en) Powered skate system
KR20040097674A (ko) 로울러블레이드등의 레저용 견인기
CN215706861U (zh) 一种可即时定位支撑人体可变速儿童滑板
US5924732A (en) In-line skate sail
WO1997012651A1 (en) Motorized power system for in line skates and the like
CN215436743U (zh) 一种可即时定位支撑人体手摇式低龄儿童滑板
KR200298818Y1 (ko) 견인 스쿠터
CN215794247U (zh) 一种可即时定位支撑人体可手摇式板体扭转儿童滑板
CN113443056A (zh) 一种可即时定位支撑人体手摇式低龄儿童滑板
KR20070103659A (ko) 동력 인라인 스케이트
KR100831841B1 (ko) 스케이트보드
JPH09290040A (ja) ダウンヒル用2輪車一式
KR970000293B1 (ko) 스포츠용 주행 놀이기구
KR200337494Y1 (ko) 착탈식 롤러 보드
KR200387383Y1 (ko) 바퀴달린 썰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