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824A -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824A
KR20040096824A KR1020040070880A KR20040070880A KR20040096824A KR 20040096824 A KR20040096824 A KR 20040096824A KR 1020040070880 A KR1020040070880 A KR 1020040070880A KR 20040070880 A KR20040070880 A KR 20040070880A KR 20040096824 A KR20040096824 A KR 20040096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atile organic
aqueous solution
filter
organic compound
organic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만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만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만도텍
Priority to KR102004007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6824A/ko
Publication of KR2004009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8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58Other waste gases from painting equipments or paint drying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및 피도장체 도장부스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자동차 및 피도장체가 입출고 될 수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 및 피도장체를 수용하여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도장부스와, 상기 도장부스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할 때 도장되지 않고 비산된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1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제 2 필터와, 상기 제 2 필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필터에서 정화되지 못한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미생물균으로 2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하여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을 수용하는 수용조와, 상기 수용조와 연통되며 상기 도장부스의 외부에 일정한 크기로 설치되며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액을 펌핑하여 분사함으로써 상기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분해시켜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3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부재와, 상기 정화부재와 덕트로 연통되어 연결되며 상기 정화부재에 의하여 저감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최종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입상 활성탄필터 및, 상기 입상 활성탄필터에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과 정화부재에 의하여 정화됨에 있어, 상기 분진은 1차적으로 제 2 필터에서 정화 및 저감되고, 상기 제 2 필터에서 정화 및 저감되지 못한분진은 수용조에 침지되어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에 의하여 2차적으로 분해되어 정화됨으로써, 분진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완전히 차단되고, 상기 제 2 필터와 수용조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지 못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상기 정화부재에 의하여 거의 정화되게 함으로써, 상기 입상 활성탄필터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가스를 최소화할 수 있어 대기오염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The decrease apparatus for VOCs}
본 발명은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을 이용하여 자동차 및 피도장체 도장부스에서 발생되는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최대한 정화시킬 수 있는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부스 하부에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조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조와 연통되며 상기 도장부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액을 펌핑하여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용액을 접촉하여 상기 수용조에서 상승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스크레버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화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공해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오염가스의 배출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최종적으로 정화하여 주는 입상 활성탄필터의 운전수명을 장시간 연장시킬 수 있어, 상기입상 활성탄필터에 대하여 원가절감을 할 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물질인 오존은 자동차 및 피도장체 및 여러 가지 연소시설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과 석유화학공장 및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태양광선 중의 자외선에 의하여 광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주로 발생된다.
이러한 오존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유해할 뿐만 아니라 DNA를 변화시키는 돌연변이성 물질이다.
특히,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자동차 및 피도장체 도장부스에서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상기 도장부스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부분 대기중에 방출되기 때문에 필히 정화시키거나 또는 저감시켜서 방출해야 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바이오필터법, 촉매산화법, 연소법, 습식세정법 및 활성탄접촉법을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조혈기능장애, 발암성, 의식장애, 두통, 전신경련, 신장장애, 심장이상 등을 유발하는 벤젠, 톨루엔, 자이렌 등 유기탄화수소화합물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우리 나라는 1995년 12월 29일 대기환경보전법 개정법률 제28조 제2항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규제"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여 대기환경규제지역에서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 시설관리를 1996년 1월부터 시행하고있으며, 대기환경규제지역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에 대한 관리에 관해서는 1999년 3월 31일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의 종류, 규모 및 억제 방지시설 등"에 관한 규정을 고시하면서, 자동차 및 피도장체제조업, 정비업 및 도장부스업 등에 있어서는 2000년말까지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억제시설 및 방지시설을 완료하도록 추진하고 있으며, 2000년에는 톨루엔, 자이렌 등을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대상물질로 추가, 확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도장부스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정화하거나 또는 제거하기 위한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배기수단에 다수개의 활성탄필터를 수직으로 세워진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흡기된 휘발성유기화합물들이 활성탄필터에서 균일하게 유동되지 못하고 그대로 배출되기 때문에 접촉시간이 매우 짧아 접촉효율이 저하되어 휘발성유기화합물인 오염가스가 많이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직으로된 활성탄필터 위에 수평으로된 활성탄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수평으로된 활성탄필터에 많이 접촉하게 하여 대기중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인 오염가스의 배출은 줄였으나 대신 활성탄필터의 교체 주기가 짧아, 상기 활성탄필터의 잦은 교체로 인하여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흡탈착 장치로서 널리 폴리에스터 재질에 활성탄분말을 함침한 부직포를 이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기술이 제시되었으나, 상기 장치는 활성탄분말을 함침한 부직포가 적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산먼지로 오염되고, 부직포의 경화 등을 이유로 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접촉효율이 급격히 저하되어 환경관련법규의 배출허용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함으로써 잦은 교체로 인한 유지보수비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과열시에는 부직포 소손으로 인한 도장부스의 화재가 발생되는 등의 상당한 문제점들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현재에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접촉장치의 재생가능성, 유지보수비 절감, 화재방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흡탈착장치로서 입상 활성탄필터를 이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집, 접촉하고 전기히터에 의한 가열 및 열풍에 의한 가열에 의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탈착, 제거함으로써, 입상 활성탄필터를 재사용 가능케 하는 흡탈착장치 및 그 방법이 제시되었다.
상기와 같이, 입상 활성탄필터를 이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정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저감장치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및 피도장체가 입출고 될 수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 및 피도장체를 수용하여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할 수 있는 공간부(12)가 형성된 도장부스(10)와, 상기 도장부스(10)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 1 필터(81)와, 상기 제 1 필터(81)의 상부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도장부스(1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공기 흡입부(13)와, 상기 공기 흡입부(13)와 연통되며,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부(13)에 공급하기 위한 흡입수단(20)과, 상기 도장부스(1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할 때 도장되지 않고 비산된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1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제 2 필터(82)와, 상기 제 2 필터(82)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필터(82)에서 정화되지 못한 휘발성유기화합이 입상 활성탄필터(6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오염가스 배출 통로(25)와, 상기 배출 통로(25)와 연통되며 상기 제 2 필터(82)에서 정화되지 못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2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입상 활성탄필터 박스(63)와, 상기 입상 활성탄필터 박스(63)에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수단(20)은, 상기 공기 흡입부(13)와 연통되는 흡입 덕트(21)와, 상기 흡입 덕트(2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22)와, 상기 모터(22)의 샤프트와 결합되되 상기 흡입 덕트(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수단(70)은, 상기 입상 활성탄필터 박스(63)와 연통되는 배출 덕트(75)와, 상기 배출 덕트(75)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71)와, 상기 모터(71)의 샤프트와 결합되되 상기 배출 덕트(75)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초기에는 입상 활성탄필터가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접촉하는 접촉효율이 우수하나 장시간 사용할 경우 접촉효율이 저하되어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대기중으로 대량 방출되어 대기오염의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입상 활성탄필터내에 미세입자의 먼지가 많이 존재함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이 있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상 활성탄필터의 잦은 교체로 인하여 유지보수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장부스 하부에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조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조와 연통되며 상기 도장부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액을 펌핑하여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용액을 접촉하여 상기 수용조에서 상승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스크레버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화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공해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오염가스의 배출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최종적으로 정화하여 주는 입상 활성탄필터의 운전수명을 장시간 연장시킬 수 있어, 입상 활성탄필터에 대하여 원가절감을 할 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는 수용액은, 증류수 80 내지 90% 중량부와, 미생물균 10 내지 20% 중량부로 하며, 상기 미생물균은 Arthrobactor sp, Norcardia sp, Mycobacterium sp, Bacillus sp, B.subtilis, B.megaterium, B.licheniformus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장부스 11. 공간부
12. 출입문 13. 공기 흡입부
20. 흡입수단 21. 흡입 덕트
22. 모터 23. 송풍팬
30. 수용조 31. 수용액
40. 정화부재 41. 펌프
42. 분사노즐 43. 볼
44. 스크레버 박스 45. 파이프
46. 박스
60. 입상 활성탄필터 61. 배풍 집진기
62. 덕트
70. 배출수단 71. 모터
72. 송풍팬
81. 제 1 필터 82. 제 2 필터
83. 제 3 필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는 자동차 및 피도장체가 입출고 될 수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 및 피도장체를 수용하여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도장부스와, 상기 도장부스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할 때 도장되지 않고 비산된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1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제 2 필터와, 상기 제 2 필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필터에서 정화되지 못한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을 미생물균으로 2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하여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을 수용하는 수용조와, 상기 수용조와 연통되며 상기 도장부스의 외부에 일정한 크기로 설치되며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액을 펌핑하여 분사함으로써 상기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을 분해시켜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3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부재와, 상기 정화부재와 덕트로 연통되어 연결되며 상기 정화부재에 의하여 저감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최종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입상 활성탄필터 및, 상기 입상 활성탄필터에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특히, 상기 도장부스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장부스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 1 필터와, 상기 제 1 필터의 상부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도장부스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공기 흡입부와 연통되며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부에 공급하기 위한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화부재는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액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하여 펌핑된 수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펌프에서 펌핑되는 수용액을 분사노즐로 보내기 위한 통로인 파이프와, 상기 분사노즐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조에서 상승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용액과 잘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볼이 수용되며 상기 볼의 표면에 수용액이 분사되면 그 볼의 표면에 상기 휘발성화합물이 통과되면서 상기 수용액과 접촉되어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레버 박스 및, 상기 분사노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용액과 상기 스크레버 박스의 볼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 수용액을 통과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4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제 3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은, 증류수 80 내지 90% 중량부와, 미생물균 10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생물균은 Arthrobactor sp, Norcardia sp, Mycobacterium sp, Bacillus sp, B.subtilis, B.megaterium, B.licheniformus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100)는 도장부스(10)와, 흡입수단(20)과, 수용조(30)와, 정화부재(40)와, 입상 활성탄필터(60)및, 배출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장부스(10)는, 자동차 및 피도장체가 입출고 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도장부스(10)의 내부는 자동차 및 피도장체를 입고하여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하기 위한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도장부스(10)의 일측 정면에는 자동차 및 피도장체를 입출고 할 수 있는 출입문(12)이 구비되며, 상기 도장부스(10)의 하단부로는 수용조(30)와 연통되기 위하여 일정부분 개방되나, 상기 개방된 부위에는 도장부스(10)에서 자동동차에 도료를 도포할 때 발생되는 페인트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1차적으로 정화시키거나 저감시키기 위한 제 2 필터(8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장부스(10)의 내부 상단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제 1 필터(81)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필터(81)의 상부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도장부스(1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공기 흡입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도장부스(10)의 외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부(13)와 연통되며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부(13)에 공급하여 도장부스(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흡입수단(20)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수단(20)은 도장부스(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장부스(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흡입수단(20)은, 상기 공기 흡입부(13)와 연통되는 흡입 덕트(21)와, 상기 흡입 덕트(2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22)와, 상기 모터(22)의 샤프트와 결합되되 상기 흡입 덕트(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조(30)는, 상기 도장부스(10)의 하부에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며,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31)이 저장된다.
상기 수용조(30)는, 상기 제 2 필터(82)에서 정화 또는 저감되지 못한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2차적으로 정화시키거나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할 때 발생되는 페인트 분진을 분해하여, 분진에 의해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용조(30)에 수용되어 있는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31)은, 증류수 80 내지 90% 중량부와, 미생물균 10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생물균은, Arthrobactor sp, Norcardia sp, Mycobacterium sp, Bacillus sp, B.subtilis, B.megaterium, B.licheniformus 중의 하나이거나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조(30)에는, 상기 도장부스(10)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하기에서 언급되는 정화부재(40)와 연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높이까지 수용액(31)을 수용하여, 상기 수용액(31)의 상부로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부재(40)는, 상기 수용조(30)의 상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도장부스(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조(30)에서 정화 또는 저감되지 못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3차적으로 정화 또는 저감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정화부재(40)는, 상기 수용조(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액(31)을 펌핑하는 펌프(41)와, 상기 펌프(41)에 의하여 펌핑된 수용액(31)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2)과, 상기 분사노즐(42)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조(30)에서 상승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상기 분사노즐(42)에서 분사되는 수용액(31)과 잘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볼(43)이 수용되며 상기 볼(43)의 표면에 수용액이 분사되면 그 볼(43)의 표면에 상기 휘발성화합물이 통과되면서 상기 수용액(31)과 접촉되어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레버 박스(44) 및, 상기 분사노즐(4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42)에서 분사되는 수용액(31)과 상기 스크레버 박스(44)의 볼(43)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 수용액(31)을 통과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4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제 3 필터(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펌프(41)와 분사노즐(42) 사이에는, 상기 펌프(41)와 연통되면서 상기 분사노즐(42)과도 연통되어, 상기 펌프(41)에서 펌핑된 수용액(31)이 분사노즐(42)에 공급되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4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레버 박스(44)에는, 복수개의 볼(43)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볼(43)과 볼(4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수용조(30)에서 상승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제 3 필터(83)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또한, 상기 스크레버 박스(44)는, 상기 볼(43)의 크기보다 작은 관통구(미도시)가 조밀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크레버 박스(44)의 관통구와, 상기 볼(43)과 볼(44)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제 2 필터(82)와 수용조(30)에서 정화되지 못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상승되고, 또한 상기 분사노즐(42)에서 분사되는 수용액(31)은 볼(43)의 표면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와, 볼(43)과 볼(43)의 공간으로 통과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상기 볼(43)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볼(43)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31)에 의하여 정화 또는 제거되고, 또한 상기 수용액(31)과도 희석되면서 정화 또는 제거된다.
상기 정화부재(40)에서, 상기 분사노즐(42)과, 스크레버 박스(44) 및, 제 3 필터(83)는 일정한 크기의 박스(46)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수용조(30)와 연통되며, 상기 펌프(41)는 상기 파이프(45)에 의하여 분사노즐(42)과 연통되면서 상기 박스(46)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상 활성탄필터(60)와 배출수단(70)은, 일정한 크기의 배풍 집진기(61)의 내부에 설치되나, 상기 입상 활성탄필터(60)는 배풍 집진기(61)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수단(70)은 배풍 집진기(61)의 내부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배출수단(70)은, 상기 배풍 집진기(6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71)와, 상기 모터(71)의 샤프트와 결합되되 상기 배풍 집진기(61)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화부재(40)와 배풍 집진기(61)는 덕트(62)에 의하여 연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도장부스(10) 내에 있는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할 때, 상기도장부스(10)의 외부에 설치된 흡입수단(20)에 의하여 도장부스(10) 내부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고, 동시에 상기 배풍집진기(61)의 내부에 설치된 배출수단(70)에 의하여 상기 도장부스(10) 내부로 들어온 신선한 공기의 양만큼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이 구비되면, 상기 도장부스(10) 내부에 있는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포되는 도료에서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상기 도장부스(10) 하단부에 설치된 제 2필터(82)에서 1차적으로 정화 또는 저감되고, 상기 제 2 필터(82)에서 정화 또는 저감되지 못한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상기 수용조(30)에 수용되어 있는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31)에서 정화 또는 저감되며, 이때 상기 분진은 수용액(31)에 침지됨으로 완전히 분해되어 분진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완전히 차단된다.
상기 수용조(30)에 수용되어 있는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31)에 의하여 정화되지 못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상기 정화부재(40)의 펌프(41)에 의하여 펌핑되어 분사노즐(42)에 의하여 분사되는 수용액(31)이 스크레버 박스(44)의 내부에 조밀하게 수용되어 있는 볼(43)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수용조(30)에서 상승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상기 볼(43)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거의 정화 또는 저감된다.
상기 스크레버 박스(44)에서 정화 또는 저감되지 못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은,상기 분사노즐(42)의 상부에 설치된 제 3필터(83)와, 상기 배풍집진기(61) 내부의 하단부에 설치된 입상 활성탄필터(60)에서 완전히 제거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어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에 의하면, 도장부스 내에서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할 때 발생되는 도료의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과 정화부재에 의하여 정화함에 있어, 상기 분진은 1차적으로 제 2 필터에서 정화 및 저감되고, 상기 제 2 필터에서 정화 및 저감되지 못한 분진은 수용조에 침지되어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에 의하여 2차적으로 분해되어 정화됨으로써, 분진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완전히 차단되고, 상기 제 2 필터와 수용조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지 못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상기 정화부재에 의하여 거의 정화되게 함으로써, 상기 입상 활성탄필터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가스를 최소화할 수 있어 대기오염을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자동차 및 피도장체 또는 피도장체가 입출고 될 수 있는 출입문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 및 피도장체를 수용하여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도장부스와;
    상기 도장부스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동차 및 피도장체에 도료를 도포할 때 도장되지 않고 비산된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을 1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제 2 필터와;
    상기 제 2 필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필터에서 정화되지 못한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을 미생물균으로 2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하여,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을 수용하는 수용조와;
    상기 수용조와 연통되며, 상기 도장부스의 외부에 일정한 크기로 설치되며,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액을 펌핑하여 분사함으로써, 상기 분진과 휘발성유기화합을 분해시켜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3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부재와;
    상기 정화부재와 덕트로 연통되어 연결되며, 상기 정화부재에 의하여 저감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최종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입상 활성탄필터; 및
    상기 입상 활성탄필터에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 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부스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장부스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 1 필터와;
    상기 제 1 필터의 상부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도장부스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공기 흡입부와 연통되며,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부에 공급하기 위한 흡입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재는,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액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하여 펌핑된 수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펌프에서 펌핑되는 수용액을 분사노즐로 보내기 위한 통로인 파이프와;
    상기 분사노즐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조에서 상승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용액과 잘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볼이 수용되며, 상기 볼의 표면에 수용액이 분사되면 그 볼의표면에 상기 휘발성화합물이 통과되면서 상기 수용액과 접촉되어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레버 박스; 및
    상기 분사노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용액과, 상기 스크레버 박스의 볼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는 수용액을 통과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4차적으로 정화시키기 위한 제 3 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에 수용되어 있는 미생물균이 함유된 수용액은,
    증류수 80 내지 90% 중량부와, 미생물균 10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균은, Arthrobactor sp, Norcardia sp, Mycobacterium sp, Bacillus sp, B.subtilis, B.megaterium, B.licheniformus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KR1020040070880A 2004-09-06 2004-09-06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KR20040096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880A KR20040096824A (ko) 2004-09-06 2004-09-06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880A KR20040096824A (ko) 2004-09-06 2004-09-06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531U Division KR200370360Y1 (ko) 2004-09-06 2004-09-06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824A true KR20040096824A (ko) 2004-11-17

Family

ID=3737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880A KR20040096824A (ko) 2004-09-06 2004-09-06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6824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964B1 (ko) * 2006-12-13 2008-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장시스템의 배기장치
KR100854749B1 (ko) * 2007-08-02 2008-08-27 (주)엘림환경 Uv도료 분진가스 집진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집진처리방법
KR101601589B1 (ko) 2015-01-09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장설비의 악취 제거를 위한 미생물제,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CN107941570A (zh) * 2017-12-30 2018-04-20 武汉博富通试验设备有限公司 整车voc自动采样舱
CN108195636A (zh) * 2017-12-30 2018-06-22 武汉博富通试验设备有限公司 整车voc采样舱
CN108421386A (zh) * 2018-05-18 2018-08-21 芜湖市涵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废气的高效环保处理设备
CN108593365A (zh) * 2017-12-30 2018-09-28 武汉博富通试验设备有限公司 整车voc采样舱
KR20180133133A (ko) 2017-06-05 2018-12-13 강성균 유해성분 제거장치
KR20200014518A (ko) 2018-08-01 2020-02-11 강성균 도장부스내 유해성분(VOCs 및 미세먼지)집진 3중 시스템 구축
KR20200136069A (ko) 2019-05-27 2020-12-07 강성균 수용성 도료, 도색 위한 텐트식 이동식 팽창식 도장부스 개발
KR20220029021A (ko) * 2020-09-01 2022-03-08 (유)한국엔지니어링 오염공기 및 유해분진의 통합처리를 위한 집진장치
WO2022178875A1 (zh) * 2021-02-27 2022-09-01 苏州鱼得水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化工车间空气净化设备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964B1 (ko) * 2006-12-13 2008-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장시스템의 배기장치
KR100854749B1 (ko) * 2007-08-02 2008-08-27 (주)엘림환경 Uv도료 분진가스 집진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집진처리방법
KR101601589B1 (ko) 2015-01-09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장설비의 악취 제거를 위한 미생물제,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US10603397B2 (en) 2015-01-09 2020-03-31 Hyundai Motor Company Agent for removing malodor from painting booth, and method of removing malodor
US10463757B2 (en) 2015-01-09 2019-11-05 Hyundai Motor Company Agent for removing malodor from painting booth, and method of removing malodor
KR20180133133A (ko) 2017-06-05 2018-12-13 강성균 유해성분 제거장치
CN108593365A (zh) * 2017-12-30 2018-09-28 武汉博富通试验设备有限公司 整车voc采样舱
CN108195636A (zh) * 2017-12-30 2018-06-22 武汉博富通试验设备有限公司 整车voc采样舱
CN107941570A (zh) * 2017-12-30 2018-04-20 武汉博富通试验设备有限公司 整车voc自动采样舱
CN108421386A (zh) * 2018-05-18 2018-08-21 芜湖市涵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废气的高效环保处理设备
KR20200014518A (ko) 2018-08-01 2020-02-11 강성균 도장부스내 유해성분(VOCs 및 미세먼지)집진 3중 시스템 구축
KR20200136069A (ko) 2019-05-27 2020-12-07 강성균 수용성 도료, 도색 위한 텐트식 이동식 팽창식 도장부스 개발
KR20220029021A (ko) * 2020-09-01 2022-03-08 (유)한국엔지니어링 오염공기 및 유해분진의 통합처리를 위한 집진장치
WO2022178875A1 (zh) * 2021-02-27 2022-09-01 苏州鱼得水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化工车间空气净化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381B1 (ko) 자동차 도장공정용 입자상 물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시스템
KR101850956B1 (ko) 탈취장치
KR20040096824A (ko)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JP4786926B2 (ja) 塗装設備
KR100603810B1 (ko) 도장설비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101894363B1 (ko) 도장부스용 배기 여과시스템 및 방법
KR101512648B1 (ko) 도장부스에서 배출된 페인트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용 건식 제거 장치
CN113578024A (zh) 一种废气净化装置及其使用方法
CN205164412U (zh) 一种VOCs废气集成处理装置
CN108261919A (zh) 一种一体式废气治理设备
KR200370360Y1 (ko) 도장부스용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장치
CN212017343U (zh) 一种基于多孔材料的甲醛处理装置
KR102327433B1 (ko) 유해가스 저감장치
KR20120108283A (ko) 자동차용 도장 시스템의 악취 저감 장치
CN210584235U (zh) 一种喷漆废气的净化装置
KR200255633Y1 (ko) 자동차 도장시설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처리장치
KR102072828B1 (ko)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배기가스 정화시설의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1978342B1 (ko) 미세 물입자를 이용한 터널의 공기 정화시스템
KR102273453B1 (ko) 습식 집진 장치가 결합된 자동차용 도장 부스
KR20170003706U (ko) 도장설비용 입자상 물질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20200043780A (ko) 자가정화 기능을 가지는 기체 정화장치
KR100569410B1 (ko) 광촉매반응기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 처리장치
CN211514083U (zh) 一种油性漆喷漆废气高效处理装置
KR102161633B1 (ko) 분진 및 온실가스 저감장치
KR100333448B1 (ko) 도장 건조공정의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