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122A -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122A
KR20040096122A KR1020030028954A KR20030028954A KR20040096122A KR 20040096122 A KR20040096122 A KR 20040096122A KR 1020030028954 A KR1020030028954 A KR 1020030028954A KR 20030028954 A KR20030028954 A KR 20030028954A KR 20040096122 A KR20040096122 A KR 2004009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fall
unit
detection signal
electrode pattern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식
김종역
Original Assignee
케이웨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웨더(주) filed Critical 케이웨더(주)
Priority to KR102003002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6122A/ko
Publication of KR2004009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12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elements moving in a straight line, e.g. along a track; Mobile sprink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강우중인지를 판별하는 감도를 향상시키고, 감지 에러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제1 강우 감지부는 일정 기울기를 갖는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되어, 강우에 의해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쇼트됨에 따라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제2 강우 감지부는 일정 기울기를 갖는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되어, 강우에 의해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쇼트됨에 따라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며, 출력부는 제1 강우 감지 신호와 제2 강우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됨에 따라 입력되는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를 강우중 신호로 정의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다수의 강우 감지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강우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를 오어 연산 처리하므로 어느 하나의 강우 감지부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나머지 강우 감지부를 이용하여 현재의 기상 상태가 강우중인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RAINFALL DETECTING APPARATUS OF PYRAMIDAL}
본 발명은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우중인지를 판별하는 감도를 향상시키고, 감지 에러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우 감지 장치는 비, 이슬비, 눈 등의 강수 현상을 감지하여, 현재의 강수 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강우 감지 장치는 간격이 좁은 두 개의 철선을 외부에 노출시켜 비가 오면 철선 사이의 물방울이 맺혀 두 전극 사이의 흐르는 전류를 포착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하지만, 상기한 방식을 통해 구현되는 강우 감지 장치는 강우중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감도가 나쁠 뿐만 아니라, 강우 종료 후에도 철선간에 맺힌 물방울이 다 마를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의 기상 상태가 강우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판별 감도를 향상시키고, 강우중인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한 도 1의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상기한 도 3의 강우 감지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상기한 도 5의 강우 감지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 감지 패턴부 50, 60, 70, 80 : 연결부재
110, 120 : 강우 감지부 130 : 논리합 연산부
140 : 출력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는, 일정 기울기를 갖는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되어, 강우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쇼트됨에 따라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강우 감지부; 일정 기울기를 갖는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되어, 강우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쇼트됨에 따라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강우 감지부; 및 상기 제1 강우 감지 신호와 제2 강우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를 강우중 신호로 정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는 제1 입력단을 통해 상기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제2 입력단을 통해 상기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논리합 연산부; 및 상기 논리합 연산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강우중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제1 강우 감지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전극 패턴은 일정 기울기를 갖는 기판 위에 패터닝되되,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강우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강우 감지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강우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를 오어 연산 처리하므로 어느 하나의 강우 감지부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나머지 강우 감지부를 이용하여 현재의 기상 상태가 강우중인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한 도 1의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장치는 가상의 지평면으로부터 중력에 반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갖고서 돌출된 제1 내지 제4 빗면을 정의하는 제1 내지 제4 감지 패턴부(10, 20, 30, 40)와, 상기 빗면들이 만나는 에지로부터 확장된 제1 내지 제4 연결부재(50, 60, 70, 80)를 포함하여, 현재 기상 상태가 강우중인지를 판별한다.
제1 감지 패턴부(10)는 상기 지평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갖고서 빗면을 정의하는 제1 보드(12)와, 상기 제1 보드(12)위에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보드(12)는 삼각형상을 정의하고, 상기 제1 보드(12)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턴 역시 삼각형상을 정의한다. 특히, 상기 제1 전극 패턴은 제1 전극 몸체부재(14)와 상기 제1 전극 몸체부재(14)로부터 상기 제2 전극 패턴 방향으로 분기된 다수의 제1 전극 핑거부재(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 패턴은 제2 전극 몸체부재(16)와 상기 제2 전극 몸체부재(16)로부터 상기 제1 전극 패턴 방향으로 분기된 다수의 제2 전극 핑거부재(1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극 핑거부재(15)와 제2 전극 핑거부재(17)는 제1 보드(12)위에 형성되면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다. 상기한 이격에 의해 빗물 등이 낙하하더라도 중력 방향으로 흘려보내는 일종의 빗물 배출 경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간격에 충진된 빗물에 의해 제1 전극 패턴과 제2 전극 패턴은 쇼트되어 강우 발생을 감지한다.
제2 감지 패턴부(20)는 상기 지평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갖고서 빗면을 정의하는 제2 보드(22)와, 상기 제2 보드(22)위에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제3 및 제4 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보드(22)는 삼각형상을 정의하고, 상기 제3 및 제4 전극 패턴은 삼각형상을 정의한다. 특히, 상기 제3 전극 패턴은 제3 전극 몸체부재(24)와 상기 제3 전극 몸체부재(24)로부터 상기 제4 전극 패턴 방향으로 분기된 다수의 제3 전극 핑거부재(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전극 패턴은 제4 전극 몸체부재(26)와 상기 제4 전극 몸체부재(26)로부터 상기 제3 전극 패턴 방향으로 분기된 다수의 제4 전극 핑거부재(2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전극 핑거부재(25)와 제4 전극 핑거부재(27)는 제2 보드(22)위에 형성되면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다. 상기한 이격에 의해 빗물 등이 낙하하더라도 중력 방향으로 흘려보내는 일종의 빗물 배출 경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간격에 충진된 빗물에 의해 제3 전극 패턴과 제4 전극 패턴은 쇼트되어 강우 발생을 감지한다.
제3 감지 패턴부(30)는 상기 지평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갖고서 빗면을 정의하는 제3 보드(32)와, 상기 제3 보드(32)위에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제5 및 제6 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3 보드(32)는 삼각형상을 정의하고, 상기 제5 및 제6 전극 패턴은 삼각형상을 정의한다. 특히, 상기 제5 전극 패턴은 제5 전극 몸체부재(34)와 상기 제5 전극 몸체부재(34)로부터 상기 제6 전극 패턴 방향으로 분기된 다수의 제5 전극 핑거부재(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 전극 패턴은 제6 전극 몸체부재(36)와 상기 제6 전극 몸체부재(36)로부터 상기 제5 전극 패턴 방향으로 분기된 다수의 제6 전극 핑거부재(3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 전극 핑거부재(35)와 제6 전극 핑거부재(37)는 제3 보드(32)위에 형성되면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다. 상기한 이격에 의해 빗물 등이 낙하하더라도 중력 방향으로 흘려보내는 일종의 빗물 배출 경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간격에 충진된 빗물에 의해 제5 전극 패턴과 제6 전극 패턴은 쇼트되어 강우 발생을 감지한다.
제4 감지 패턴부(40)는 상기 지평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갖고서 빗면을 정의하는 제4 보드(42)와, 상기 제4 보드(42)위에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제7 및 제8 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4 보드(42)는 삼각형상을 정의하고, 상기 제7 및 제8 전극 패턴은 삼각형상을 정의한다. 특히, 상기 제7 전극 패턴은 제7 전극 몸체부재(44)와 상기 제7 전극 몸체부재(44)로부터 상기 제8 전극 패턴 방향으로 분기된 다수의 제7 전극 핑거부재(4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8 전극 패턴은 제8 전극 몸체부재(46)와 상기 제8 전극 몸체부재(46)로부터 상기 제7 전극 패턴 방향으로 분기된 다수의 제8 전극 핑거부재(4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7 전극 핑거부재(45)와 제8 전극 핑거부재(47)는 제4 보드(42)위에 형성되면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다. 상기한 이격에 의해 빗물 등이 낙하하더라도 중력 방향으로 흘려보내는 일종의 빗물 배출 경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간격에 충진된 빗물에 의해 제7 전극 패턴과 제8 전극 패턴은 쇼트되어 강우 발생을 감지한다.
특히, 상기한 4개의 감지 패턴부(10, 20, 30, 40) 각각이 동서남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감지 패턴부(10, 20, 30, 40)로부터 출력되는 강우 감지신호를 근거로 낙하하는 강우의 방향까지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연결부재(50)는 제1 감지 패턴부(10)와 제4 감지 패턴부(40)가 연결되는 사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 연결부재(50)에는 일종의 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52)를 이용하여 지면이나 상기 지면에 별도 형성된 단 등에 고정한다.
제2 연결부재(60)는 제1 감지 패턴부(10)와 제2 감지 패턴부(20)가 연결되는사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연결부재(60)에는 일종의 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62)를 이용하여 지면이나 상기 지면에 별도 형성된 단 등에 고정한다.
제3 연결부재(70)는 제2 감지 패턴부(20)와 제3 감지 패턴부(30)가 연결되는 사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3 연결부재(70)에는 일종의 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72)를 이용하여 지면이나 상기 지면에 별도 형성된 단 등에 고정한다.
제4 연결부재(80)는 제3 감지 패턴부(30)와 제4 감지 패턴부(40)가 연결되는 사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4 연결부재(80)에는 일종의 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82)를 이용하여 지면이나 상기 지면에 별도 형성된 단 등에 고정한다.
이처럼, 제1 내지 제4 감지 패턴부(10, 20, 30, 40)가 형성되는 빗면, 바람직하게는 하부 빗면에는 바람막이 등의 별도의 걸림부재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눈 등의 누적에 의해 강우 등의 기상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쇼트되어 강우중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내지 제4 감지 패턴부(10, 20, 30, 40)를 정의하는 제1 내지 제4 보드(12, 22, 32, 42)의 하부에는 히터와 같은 가열부가 더 구비되어, 안개나 결빙 등의 기상 현상에 의해 현재의 기상 상태가 강우중으로 오류 판단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부는 지속적으로 일정 열을 상기 제1 내지 제4 감지 패턴부(10, 20, 30, 40)에 제공할 수도 있고, 현재 강우중이라는 메시지의 초기부터 기동되어 일정 열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일실시예에서는 플랫 타입의 4개의 빗면을 갖는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플랫 타입의 3개의 빗면 또는 플랫 타입의 5개 이상의 빗면을 갖는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도 그 적용이 가능하고, 원뿔 형태의 보드 위에 2개의 전극패턴을 하나의 감지 패턴부로 정의하면서 다수의 감지 패턴부를 갖는 강우 감지 장치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는 제1 강우 감지부(110), 제2 강우 감지부(120), 논리합 연산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현재의 기상 상태가 강우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강우중이라 판별되는 경우에는 일정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강우 감지부(11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부(111), 강우중인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112), 상기 제1 감지부(112)의 하부에 구비되어 일정 열을 제공하는 제1 가열부(113), 제1 감지부(112)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를 정류하는 제1 정류부(114) 및 제1 정류부(114)에 의해 정류된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130)에 출력하는 제1 출력부(115)를 포함하여,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13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1 감지부(112)는 상기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제1 감지 패턴부(10)와 제2 감지 패턴부(20)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감지 패턴부(10, 20)에 각각 구비되는 2개의 전극 패턴들이 쇼트될 때 현재 강우중이라는 액티브 상태의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130)에 출력한다.
제2 강우 감지부(12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121), 강우중인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122), 상기 제2 감지부(1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일정 열을 제공하는 제2 가열부(123), 제2 감지부(122)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를 정류하는 제2 정류부(124) 및 제2 정류부(124)에 의해 정류된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130)에 출력하는 제2 출력부(125)를 포함하여,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13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2 감지부(122)는 상기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제3 감지 패턴부(30)와 제4 감지 패턴부(40)로 이루어져, 제3 및 제4 감지 패턴부(30, 40)에 각각 구비되는 2개의 전극 패턴들이 쇼트될 때 현재 강우중이라는 액티브 상태의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130)에 출력한다.
논리합 연산부(또는 오어 게이트)(130)는 액티브 상태의 상기 제1 강우 감지 신호와 제2 강우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됨에 따라 현재 기상 상태가 강우중 메시지를 갖는 강우중 신호를 출력한다. 이처럼, 2개의 감지 패턴부를 하나의 유니트로 묶고, 묶어진 어느 하나의 유니트로부터 액티브 상태의 강우 감지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현재 강우중이라는 신호를 얻을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감지 패턴부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으로 강우중이라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출력부(140)는 논리합 연산부(130)로부터 강우중 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나 조작자가 인지할 수 있는 타입으로 변경시켜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출력부(140)는 발광 다이오드 등과 같은 발광체일 수도 있고,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도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하는 호스트 시스템측과 연결된 유선 라인이나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강우중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한편, 도면상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출력부(115)로부터 출력되는 액티브 상태의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제1 가열부(113)에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가열부(113)를 구동시키므로써, 강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가열 상태를 유지하다가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제1 가열부(113)를 구동하므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출력부(123)로부터 출력되는 액티브 상태의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제2 가열부(123)에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가열부(123)를 구동시키므로써, 강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가열 상태를 유지하다가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제2 가열부(123)를 구동하므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일실시예에서는 강우 감지 장치가 오어 게이트를 갖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논리곱 연산부(또는 앤드 게이트)를 구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때 제1 강우 감지 신호와 제2 강우 감지 신호가 모두 인가될 때 현재 강우중이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것은 자명하다.
도 4는 상기한 도 3의 강우 감지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패턴부(10)의 일단과 상기 제1 감지 패턴부(10)와 마주 보는 제2 감지 패턴부(20)의 일단은 전원부 또는 배터리(111), 바람직하게는 배터리(111)를 경유하여 연결되고, 제1 감지 패턴부(10)의 타단과 제2 감지 패턴부(20)의 타단은 공통되어 정류부(114)에 연결되어, 제1 감지 패턴부(10)와 제2 감지 패턴부(20) 모두가 도통되는 경우에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제1 정류부(114)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감지 패턴부(10)의 제1 전극 패턴은 배터리(111)의 양극에, 제2 감지 패턴부(20)의 제3 전극 패턴은 배터리(111)의 음극에 연결되며, 제1 감지 패턴부(10)의 제2 전극 패턴과 제2 감지 패턴부(20)의 제4 전극 패턴은 공통되어, 제1 정류부(114)에 연결된다. 동작시, 제1 감지 패턴부(10)의 제1 전극 패턴과 제2 전극 패턴간에 형성된 공간에 빗물 등이 충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턴이 쇼트되고, 제2 감지 패턴부(20)의 제3 전극 패턴과 제4 전극 패턴간에 형성된 공간에 빗물 등이 충진되어 상기 제3 및 제4 전극 패턴이 쇼트됨에 따라, 액티브 상태의 상기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제1 정류부(114)에 출력한다.
또한, 제3 감지 패턴부(30)의 일단과 상기 제3 감지 패턴부(30)와 마주 보는 제4 감지 패턴부(40)의 일단은 전원부(121)를 경유하여 연결되고, 제3 감지 패턴부(30)의 타단과 제4 감지 패턴부(40)의 타단은 공통되어 제2 정류부(124)에 연결되어, 제3 감지 패턴부(30)와 제4 감지 패턴부(40) 모두가 도통되는 경우에 액티브 상태의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제2 정류부(124)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3 감지 패턴부(30)의 제5 전극 패턴은 배터리(121)의 양극에, 제4 감지 패턴부(40)의 제7 전극 패턴은 배터리(121)의 음극에 연결되며, 제3 감지패턴부(30)의 제2 전극 패턴과 제4 감지 패턴부(40)의 제4 전극 패턴은 공통되어, 제2 정류부(124)에 연결된다. 동작시, 제3 감지 패턴부(30)의 제5 전극 패턴과 제6 전극 패턴간에 형성된 공간에 빗물 등이 충진되어 상기 제5 및 제6 전극 패턴이 쇼트되고, 제4 감지 패턴부(40)의 제7 전극 패턴과 제8 전극 패턴간에 형성된 공간에 빗물 등이 충진되어 상기 제7 및 제8 전극 패턴이 쇼트됨에 따라, 액티브 상태의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제2 정류부(124)에 출력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감지 패턴부를 하나의 유니트로 하여 각각의 감지 패턴부 모두에 의해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 강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1개의 감지 패턴부에 의해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는 제1 강우 감지부(210), 제2 강우 감지부(220), 제3 강우 감지부(230), 제4 강우 감지부(240), 논리합 연산부(250) 및 출력부(260)를 포함하여, 강우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강우중이라 판별되는 경우에는 일정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강우 감지부(210)는 제1 전원부(211), 제1 감지부(212), 제1 가열부(213), 제1 정류부(214) 및 제1 출력부(215)를 포함하여,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25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1 감지부(212)는 상기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제1 감지 패턴부(10)로서, 구비되는 2개의 전극 패턴들이 쇼트될 때 현재 강우중이라는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250)에 출력한다.
제2 강우 감지부(220)는 제2 전원부(221), 제2 감지부(222), 제2 가열부(223), 제2 정류부(224) 및 제2 출력부(225)를 포함하여,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25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2 감지부(222)는 상기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제2 감지 패턴부(20)로서, 구비되는 2개의 전극 패턴들이 쇼트될 때 현재 강우중이라는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250)에 출력한다.
제3 강우 감지부(230)는 제3 전원부(231), 제3 감지부(232), 제3 가열부(233), 제3 정류부(234) 및 제3 출력부(235)를 포함하여,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 제3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25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3 감지부(232)는 상기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제3 감지 패턴부(30)로서, 구비되는 2개의 전극 패턴들이 쇼트될 때 현재 강우중이라는 제3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250)에 출력한다.
제4 강우 감지부(240)는 제4 전원부(241), 제4 감지부(242), 제4 가열부(243), 제4 정류부(244) 및 제2 출력부(245)를 포함하여,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 제4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25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4 감지부(242)는 상기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제4 감지 패턴부(40)로서, 구비되는 2개의 전극 패턴들이 쇼트될 때 현재 강우중이라는 제4 강우 감지 신호를 논리합 연산부(250)에 출력한다.
논리합 연산부(또는 오어 게이트)(250)는 상기 제1 내지 제4 강우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됨에 따라 현재 기상 상태가 강우중 메시지를 갖는 강우중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260)는 논리합 연산부(250)로부터 상기 강우중 신호가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나 조작자가 인지할 수 있는 타입으로 변경시켜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출력부(260)는 발광 다이오드 등과 같은 발광체일 수도 있고,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도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하는 호스트 시스템측과 연결된 유선 라인이나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강우중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한편, 도면상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내지 제4 출력부(215, 225, 235, 245)로부터 출력되는 제1 내지 제4 강우 감지 신호 각각을 제1 내지 제4 가열부(213, 223, 233, 243)에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가열부들(213, 223, 233, 243)을 구동시키므로써, 강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가열 상태를 유지하다가 강우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가열부(213, 223, 233, 243)들을 구동하므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강우 감지 장치가 오어 게이트를 갖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논리곱 연산부(또는 앤드 게이트)를 구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때 제1 내지 제4 강우 감지 신호가 모두 인가될 때 현재 강우중이라는 메시지를 출력할 것은 자명하다.
도 6은 상기한 도 5의 강우 감지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패턴부(10)에 구비되는 2개의 전극 패턴은 제1 배터리(211)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전극 패턴은 제1 정류부(214)에 연결되어,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제1 정류부(214)에 출력한다. 동작시, 기상 상태가 좋은 경우 등에는 상기 2개의 전극 패턴이 오픈 상태이므로 제1 정류부(214)에는 어떠한 신호도 공급하지 않는 플로팅 상태이나, 기상 상태가 악화되어 빗물 등이 낙하하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전극 패턴이 상기 빗물에 의해 쇼트되므로 일정 레벨의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제1 정류부(214)에 출력한다.
제2 감지 패턴부(20)에 구비되는 2개의 전극 패턴은 제2 배터리(221)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전극 패턴은 제2 정류부(224)에 연결되어,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제2 정류부(224)에 출력한다. 동작시, 기상 상태가 좋은 경우 등에는 상기 2개의 전극 패턴이 오픈 상태이므로 제2 정류부(224)에는 어떠한 신호도 공급하지 않는 플로팅 상태이나, 기상 상태가 악화되어 빗물 등이 낙하하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전극 패턴이 상기 빗물에 의해 쇼트되므로 일정 레벨의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제2 정류부(224)에 출력한다.
제3 감지 패턴부(30)에 구비되는 2개의 전극 패턴은 제3 배터리(231)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전극 패턴은 제3 정류부(234)에 연결되어, 제3 강우 감지 신호를 제3 정류부(234)에 출력한다. 동작시, 기상 상태가 좋은 경우 등에는 상기 2개의 전극 패턴이 오픈 상태이므로 제3 정류부(234)에는 어떠한 신호도 공급하지 않는 플로팅 상태이나, 기상 상태가 악화되어 빗물 등이 낙하하는경우에는 상기 2개의 전극 패턴이 상기 빗물에 의해 쇼트되므로 일정 레벨의 제3 강우 감지 신호를 제3 정류부(234)에 출력한다.
제4 감지 패턴부(40)에 구비되는 2개의 전극 패턴은 제4 배터리(241)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전극 패턴은 제4 정류부(244)에 연결되어, 제4 강우 감지 신호를 제4 정류부(244)에 출력한다. 동작시, 기상 상태가 좋은 경우 등에는 상기 2개의 전극 패턴이 오픈 상태이므로 제4 정류부(244)에는 어떠한 신호도 공급하지 않는 플로팅 상태이나, 기상 상태가 악화되어 빗물 등이 낙하하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전극 패턴이 상기 빗물에 의해 쇼트되므로 일정 레벨의 제4 강우 감지 신호를 제4 정류부(244)에 출력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강우 감지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강우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를 오어 연산 처리하므로 어느 하나의 강우 감지부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나머지 강우 감지부를 이용하여 현재의 기상 상태가 강우중인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빗면을 갖는 피라미드 구조로 강우를 판별하기 위한 강우 감지 장치를 형성하므로써, 강우 감지의 방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빗면을 갖는 피라미드 형태의 강우 감지 장치는 일정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입체를 정의하면서 배치되므로 상기 일정 평면상에 배치되는 강우 감지 장치에 비해 강우 감지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면을 정의하는 삼각형의 하부변에는 별도의 바람막이 등의 걸림부재가 미형성되므로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눈 등이 낙하하더라도 누적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눈 등의 누적은 실질적으로 비가 오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강우중인 것으로 잘못 판별하는 오류를 유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강우 감지부의 오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우 감지부의 하부에 일정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가 더 구비되므로 눈이 낙하하더라도 이의 누적을 차단할 수 있고, 결빙 등에 의한 강우 감지 장치의 오류를 차단할 수 있다.

Claims (9)

  1. 일정 기울기를 갖는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되어, 강우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쇼트됨에 따라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강우 감지부;
    일정 기울기를 갖는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되어, 강우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전극 패턴이 쇼트됨에 따라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강우 감지부; 및
    상기 제1 강우 감지 신호와 제2 강우 감지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를 강우중 신호로 정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제1 입력단을 통해 상기 제1 강우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제2 입력단을 통해 상기 제2 강우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논리합 연산부; 및
    상기 논리합 연산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강우중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1 강우 감지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전극패턴은 일정 기울기를 갖는 기판 위에 패터닝되되,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강우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우 감지부가,
    일정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된 두 개의 전극 패턴을 구비하여, 상기 두 개의 전극 패턴의 쇼트에 의해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정류하는 제1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제1 감지 신호를 상기 제1 강우 감지 신호로 정의하여 상기 논리합 연산부에 출력하는 제1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안개 등의 수분에 의한 상기 제1 감지부의 감지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 감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일정 열을 상기 제1 감지부에 제공하는 제1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제1 강우 감지 신호에 의해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우 감지부가,
    일정 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된 두 개의 전극 패턴을 구비하여, 상기 두 개의 전극 패턴의 쇼트에 의해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정류하는 제2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제2 감지 신호를 상기 제2 강우 감지 신호로 정의하여 상기 논리합 연산부에 출력하는 제2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안개 등의 수분에 의한 상기 제2 감지부의 감지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2 감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일정 열을 상기 제2 감지부에 제공하는 제2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열부는 상기 제2 강우 감지 신호에 의해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장치.
KR1020030028954A 2003-05-07 2003-05-07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 KR20040096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954A KR20040096122A (ko) 2003-05-07 2003-05-07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954A KR20040096122A (ko) 2003-05-07 2003-05-07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871U Division KR200397216Y1 (ko) 2005-06-29 2005-06-29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122A true KR20040096122A (ko) 2004-11-16

Family

ID=3737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954A KR20040096122A (ko) 2003-05-07 2003-05-07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61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490B1 (ko) * 2019-03-19 2019-09-11 (주)파코코리아인더스 강수 유무 측정장치
KR102575428B1 (ko) * 2022-11-18 2023-09-06 윤명호 감지 기능을 향상한 우적 감지 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0758U (ko) * 1980-05-22 1981-12-17
JPS5965281A (ja) * 1982-10-06 1984-04-13 Takenaka Komuten Co Ltd 雨天検出装置
JPH0257956A (ja) * 1988-08-23 1990-02-27 Nippon Denso Co Ltd 雨滴センサ
JPH0612980U (ja) * 1991-08-26 1994-02-18 株式会社電制 降雪強度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0758U (ko) * 1980-05-22 1981-12-17
JPS5965281A (ja) * 1982-10-06 1984-04-13 Takenaka Komuten Co Ltd 雨天検出装置
JPH0257956A (ja) * 1988-08-23 1990-02-27 Nippon Denso Co Ltd 雨滴センサ
JPH0612980U (ja) * 1991-08-26 1994-02-18 株式会社電制 降雪強度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490B1 (ko) * 2019-03-19 2019-09-11 (주)파코코리아인더스 강수 유무 측정장치
KR102575428B1 (ko) * 2022-11-18 2023-09-06 윤명호 감지 기능을 향상한 우적 감지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4146B (zh) 一种协作式车流量检测方法
CN102747696B (zh) 一种智能路标及其应用方法
KR102609459B1 (ko) 노면 상태 탐지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노면 상태 탐지 방법
KR200397216Y1 (ko)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
KR20040096122A (ko) 피라미드형 강우 감지 장치
CN205743959U (zh) 公路隧道通风系统
CN207249149U (zh) 一种车辆及其雨刮器控制系统、车载雨量识别装置
CN101392584B (zh) 一种电动阳篷及雨水检测传感器
CN208201759U (zh) 基于环境监视的智能控制马路洒水系统
CN109215217B (zh) 排水结构以及具有该排水结构的触控装置
JPH08201534A (ja) 降雪感知器および降雪感知方法
CN206411056U (zh) 一种沥青路面结冰监测传感器
CN108880593A (zh) 一种基于双入水信号控制铅鱼水下无线通信的电路及其控制方法
CN103336318A (zh) 一种自动测量降水量的装置及测量方法
JPS61172032A (ja) 光学的雨雪判別装置
CN210243871U (zh) 一种防浇灌雨量智能判断系统
Kawai et al. A smart method to distinguish road surface conditions at night-time using a car-mounted camera
CN103198326A (zh) 一种输电线路直升机巡检的图像分类方法
CN207216054U (zh) 一种检测下雨下雪的装置
CN208222718U (zh) 处理器、过滤网和空调器
CN208369584U (zh) 一种基于双入水信号控制铅鱼水下无线通信的电路
KR20220111157A (ko) 강설 감지센서 모듈
CN106253362A (zh) 电路控制系统及方法、自主清洁设备
CN110361796A (zh) 防浇灌雨量智能判断系统
KR20170081857A (ko) 차도에서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