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906A -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906A
KR20040095906A KR1020030026931A KR20030026931A KR20040095906A KR 20040095906 A KR20040095906 A KR 20040095906A KR 1020030026931 A KR1020030026931 A KR 1020030026931A KR 20030026931 A KR20030026931 A KR 20030026931A KR 20040095906 A KR20040095906 A KR 20040095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power generation
fitness
bicycle
gene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수 filed Critical 정현수
Priority to KR102003002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5906A/ko
Publication of KR2004009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9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alternators or dynamos
    • A63B21/005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alternators or dynamos for charging a batte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63B21/2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by overcoming gyroscopic forces, e.g. by turning the spin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헬스용 자전거를 이용한 운동효과는 물론 이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헬스용 자전거에 부가적으로 장착된 발전장치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운동과 더불어 전기를 이용한 생활가전제품의 사용이 가능한 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용 자전거는 직립 상태에서 바닥면에 고정·지지되는 헬스용 자전거 본체 및 프레임과; 상기 본체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웨이트디스크와; 상기 웨이트디스크를 정지된 위치에서 회전시키면서 그 회전에 의해 소모되는 체력적인 힘으로 운동효과를 얻기 위한 웨이트디스크 회전용 페달과;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을 웨이트디스크로 전달하기 위한 크랭크와; 상기 페달의 회전을 크랭크를 통해 웨이트디스크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매개장치와; 상기 헬스용 자전거 본체의 프레임 상부 후방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좌가 가능한 안장부와; 상기 안장부에서 프레임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신체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양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헬스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일측의 동일 축선상에 대직경의 구동풀리가 연이어 장착되고, 그 후방측으로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소직경의 연동풀리가 축설되되, 상기 연동풀리의 일측에는 이와 동일 축선상에 대직경을 이루는 2단 구동풀리가 장착되고, 그 후방측으로 발전장치와 축전지가 축으로 연결된 2단 연동풀리가 상기 2단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BICYCLE FOR MULTIPURPOSE WEIGHT TRAINING THAT GENERATOR IS EQUIP}
본 발명은 실내운동기구로 사용되고 있는 헬스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헬스용 자전거를 이용한 운동효과는 물론 이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헬스용 자전거의 후방측에 장착된 발전장치를 통해 각종 생활가전제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운동과 더불어 전기를 이용한 각종 생활가전제품의 사용이 가능하게 한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운동기구의 하나인 헬스용 자전거는 도로에서의 자전거를 탈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바쁜 현대인들에게 일상생활에서의 부족한 운동량을 충족시켜 주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헬스용 자전거는 주로 실내에 비치되어 운동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의 안장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양측의 페달을 밟아 주는 것에 의해 다리의 근력운동은 물론 전신 운동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실내운동기구로 발명된 헬스용 자전거의 일반적인 구성은 첨부도면 도 1과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고정·지지되는 헬스용 자전거 본체(2) 및 프레임(3)과; 상기 자전거 본체(2) 및 프레임(3)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웨이트디스크(130)와; 상기 웨이트디스크(130)를 정지된 위치에서 회전 시키면서, 그 회전에 소모되는 체력적인 힘으로 운동효과를 얻기 위한 웨이트디스크 회전용 페달(190)과; 상기 페달(190)의 회전운동을 웨이트디스크(130)로 전달하기 위한 크랭크(120)와; 상기 페달(190)의 회전을 크랭크(120)를 통해 웨이트디스크(130)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매개장치(140)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2)의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은 자세로 페달(190)을 밟아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장부(4)와; 이 안장부(4)에 착석한 자세로 양손을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한 손잡이부(5)와; 상기 페달(190)을 돌리는 운동과정을 결과로 출력하여 기록하기 위한 주행계 및 기록계 그리고 운동시간 등을 표시하기 위한 타이머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헬스용 자전거의 사용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상기 본체(2)의 안장부(4)에 착석한 상태에서 양손으로 전방의 손잡이부(5)를 잡고, 양발은 본체(2)의 양측 페달(190)에 올려놓은 다음, 양발을 돌려가면서 페달(190)을 회전시켜 줌으로 인해 그 회전 운동과정에서 운동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즉, 양발로 페달(190)을 밟아 회전시키는데 소모되는 모든 힘은 운동량으로 나타나게 되며, 페달(190)의 회전에 소모되는 운동량은 사용자 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이에 따른 운동효과도 개인의 신체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헬스용 자전거들은 대부분 실내에서의 운동효과를 제공할 뿐, 이에 따른 운동에너지 즉, 자전거의 크랭크 축이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에너지가 그대로 소모되어 비 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헬스용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을 함에 있어, 자전거 풀리에 축전지를 장착하고 이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가 발생되도록 한 헬스용 자전거가 발명된 바 있으나, 이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난해하여 생산설비의 구축이 어렵고, 이에 따른 생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헬스용 자전거의 공급단가를 상승시킴에 따라,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에 따른 적지않은 부담감을 안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잡하게 구성된 부품들에 의해서 잦은 고장이 발생하게 되어 부품의 교체 및 유지 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은 물론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헬스용 자전거를 이용하여 실내 운동을 실시함에 있어, 사용자가 실내에서의 운동을 위해 상기 헬스용 자전거의 크랭크축 페달을 지속적으로 밟아 주는 것에 의해 내부의 크랭크와 연결된 각 풀리들의 회전작동으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장치를 통해 CD플레이어, 라디오 등과 같은 각종 생활 가전제품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헬스용 자전거를 이용한 실내의 운동효과는 물론 각종 생활 가전제품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헬스용 자전거의 내부에 장착되는 발전장치의 설치구조를 간소화하여 생산단가를 낮추고 제품의 고장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헬스용 자전거에 실내 청소기능을 부가하여 함으로써, 실내에서의 운동과 더불어 바닥 청소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립 상태에서 바닥면에 고정·지지되는 헬스용 자전거 본체 및 프레임과;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웨이트디스크와; 상기 웨이트디스크를 정지된 위치에서 회전시키면서 그 회전에 의해 소모되는 체력적인 힘으로 운동효과를 얻기 위한 웨이트디스크 회전용 페달과;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을 웨이트디스크로 전달하기 위한 크랭크와; 상기 페달의 회전을 크랭크를 통해 웨이트디스크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매개장치와; 상기 헬스용 자전거 본체의 프레임 상부 후방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좌가 가능한 안장부와; 상기 안장부에서 프레임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신체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양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헬스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일측의 동일 축선상에 대직경을 갖는 구동풀리가 연이어서 장착되고, 그 후방측으로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소직경의 연동풀리가 축설되되, 상기 연동풀리의 일측에는 이와 동일 축선상으로 대직경을 이루는 2단 구동풀리가 장착되고, 후방측으로 발전장치 축전지가 축으로 연결·결합된 2단 연동풀리가 전방의 2단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구성되어 이루어진 헬스용 자전거를 제안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헬스용 자전거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헬스용 자전거의 평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의 정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의 평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의 내부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용 자전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용 자전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단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디스크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헬스용 자전거 10 : 주행부
20 : 발전부 12 : 크랭크
13 : 웨이트디스크 14 : 회전매개장치
15 : 서브풀리 16 : 감속풀리
17 : 주행구동축 22 : 구동풀리
23,25 : 축 24 : 연동풀리
26 : 2단 구동풀리 27 : 발전장치
28 : 2단 연동풀리 29 : 축전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헬스용 자전거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헬스용 자전거의 개략적인 평단면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의 정단면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의 개략적인 평단면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의 내부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로 실내운동기구로 사용되는 헬스용 자전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헬스용 자전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용 자전거의 기본 구조는 일반적인 실내운동기구인 헬스용 자전거의 기본 구조가 적용 되었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립 상태에서 바닥면에 고정·지지되는 헬스용 자전거 본체(2) 및 프레임(3)과;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웨이트디스크(13)와; 상기 웨이트디스크(13)를 정지된 위치에서 회전시키면서 그 회전에 의해 소모되는 체력적인 힘으로 운동효과를 얻기 위한 웨이트디스크 회전용 페달(19)과; 상기 페달(19)의 회전운동을 웨이트디스크(13)로 전달하기 위한 크랭크(12)와; 상기 페달(19)의 회전을 크랭크(12)를 통해 웨이트디스크(13)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매개장치(14)와; 상기 헬스용 자전거 본체(2)의 프레임(3) 상부 후방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착좌가 가능한 안장부(4)와; 상기 안장부(4)에서 프레임(3)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신체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양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부(5) 등이 기본 구조로 적용되었으며, 부가적으로는 상기 크랭크(12) 일측의 동일 축선상에 대직경을 이루는 구동풀리(22)가 연이어 장착되고, 그 후방측으로 상기 구동풀리(22)와 벨트(22a)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소직경의 연동풀리(24)가 축설되되, 상기 연동풀리(24)의 일측에는 이와 동일 축(23)선상으로 대직경의 2단 구동풀리(26)가 장착되고, 후방측으로 발전장치(27)가 구비된 2단 연동풀리(28)가 전방의 2단 구동풀리(26)와 벨트(26a)로 연결·구성된 구조가 적용되었다.
이때, 상기 2단 연동풀리(28)가 장착된 축(25)의 양단에는 상기 2단 연동풀리(28)의 회전력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장치(27)와 축전기(29)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장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헬스용 자전거(1)의 기본 구조를 통해 발전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구적인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3과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크랭크(12) 회전용페달(19)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12)가 회전하고, 상기 크랭크(12)의 회전을 회전매개장치(14)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웨이트디스크(13)와, 상기 웨이트디스크(13) 일측으로 연장된 축(13a)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서브풀리(15)를 통해 회전을 저속으로 감속시켜 전달받는 감속풀리(16)와, 상기 감속풀리(16)의 회전축을 형성하여 이 감속풀리(16)의 회전과 연동하는 주행구동축(17)과, 상기 주행구동축(17)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프론트휠(17a),(17b)과, 상기 프론트휠(17a),(17b)에 대응되어 주행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본체(2) 또는 구조물에 장착되는 리어휠()로 이루어진 주행부(10)를 포함하며;
상기 크랭크(12) 일측의 동일 축선상에 연이어 장착되는 대직경의 구동풀리(22)와, 그 후방측으로 상기 구동풀리(22)와 벨트(22a)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소직경의 연동풀리(24)와, 상기 연동풀리(24)의 일측으로 이와 동일 축(23)선상에서 대직경을 이루는 2단 구동풀리(26)와, 그 후방측으로 발전장치(27)와 축전지(29)가 축(25)으로 연결·결합되고 전방의 2단 구동풀리(26)와 벨트(26a)로 연결되는 2단 연동풀리(28)로 구성된 발전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행부(10)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손잡이프레임(52)을 주행구동축(17)에 연결하여 손잡이부(5)의 회전방향에 따라 주행구동축(17)을 움직여서 프론트휠(17a),(17b)의 각도를 변화시켜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장치를 주행구동축(17)을 중심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후방에 장착된 리어휠(17c)을 상기 주행구동축(17)의 조향없이 전방향 회전 가능하게 볼조인트(미도시됨)로 본체(2)에 장착하여 상기 리어휠(17c)의 회전방향을 자유운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장치(27)는 통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지(29)와, 상기 축전지(29)를 통해 출력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축전지(2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30)와, 상기 배터리(30)에서 출력된 전류를 소정의 전류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전류변환기(32)와, 상기 전류변환기에서 출력된 전류를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된 레귤레이터(34)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18)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여 벨트의 슬립이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로울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헬스용 자전거의 사용과 관련하여 페달의 회전에 연동되어 나타나는 동작을 중심으로 페달을 통한 주행부(10)의 가속과, 발전장치(27)를 통한 발전부(20)의 전력 공급과정을 구분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행에 따른 운동효과는 사용자가 헬스용 자전거(1) 상부측 안장부(4)에 착석한 상태에서 크랭크 축 페달(19)을 회전시키면, 크랭크(12)가 회전하게 되고, 이렇게 회전되는 크랭크(12)의 회전력은 벨트(12a)로 연결된 전방의 회전매개장치(14)로 전달되어 웨이트디스크(13)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웨이트디스크(13)는 통상 마그네트(미도시됨)에 의해 마찰력을 제어할 수 있어 페달(19)을 회전시키는 힘을 가감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웨이트디스크(1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웨이트디스크(13)의 일측으로 연장된 축(13a)이 회전됨과 아울러, 이 축선상에 결합되어 있는서브풀리(15)가 회전되면서 그 회전력을 벨트(15a)를 통해 감속풀리(16)로 전달하여 주행구동축(17)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양측 프론트휠(17a),(17b)을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전거의 상부측 안장부(4)에 착석한 상태에서 크랭크의 페달(19)을 회전시켜 여기에 소모되는 힘에 의해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전장치(27)를 이용한 발전부(20)의 전력공급은 상기 페달(19)의 회전에 따라 크랭크(12) 축에 연이어 장착된 대직경의 구동풀리(22)가 회전되면서, 이와 벨트(22a)로 연결된 후방측 연동풀리(24)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연동풀리(24)와 동일 축(23)선상에 결합되어 있는 대직경의 2단 구동풀리(26)에 의해 상기 연동풀리(24)에 의한 회전력이 증속되면서, 그 후방측 발전장치(27)와 연결되어 있는 2단 연동풀리(28)의 회전으로 상기 발전장치(27)가 발전하여 타측의 축전지(29)를 통해 전력을 저장 및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전장치(27)는 축전지(29)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축전지(29)를 통하여 발전장치(27)로부터 충집된 전력을 모아 다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전지(29)는 배터리(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축전지(29)를 통해 충집된 전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기적인 저항이 있을 때, 다시 배터리(30)로부터 전류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30)는 전류변환기(32)와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전류를 원하는 조건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전류변환기(32)에는 레귤레이터(34)가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30)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직류 상태에서 교류상태로 변환시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용 자전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단면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용 자전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단면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웨이트 디스크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단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상기 헬스용 자전거는 자전거 사용에 따른 회전 동력을 진공 흡입작용으로 변환시켜, 이 흡입력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청소를 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따른 상기 헬스용 자전거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9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디스크(13') 표면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유동시켜 흡입력을 형성하는 날개(13a')와; 상기 날개(13a')의 회전에 따라서, 이 회전력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이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는 집진부(40')와; 상기 웨이트 디스크(13')를 구동하는 회전매개장치(1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를 추진력으로 변환시켜 주행력을 얻기 위한 주행부(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매개장치(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페달(19')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웨이트 디스크(13')를 회전시키고, 이 웨이트 디스크(13')는 외부로 연장된 축(13b')을 통해 서브풀리(1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매개장치(14')는 정방향 회전력으로 웨이트 디스크(13')를 회전시키고, 역방향인 경우 상기 웨이트 디스크(13')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크랭크(12')를 돌리는 페달(19')의 회전방향이 정방향인 경우에만 웨이트 디스크(1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집진부(40')는 웨이트 디스크(13')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날개(13a')의 외부를 감싸 날개(13a')의 회전에 따른 공기의 흡입유동을 형성하는 챔버(30')와, 상기 챔버(30')측으로 외부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해 챔버(30')의 일단에 형성된 인-렛 튜브(32')와, 챔버(30')측으로 도입된 외부공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아웃-렛 튜브(34')를 구비하며, 이 밖에 인-렛 튜브(32')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집진하고 제어하는 집진헤드(42')와, 챔버(30')에서 형성되는 부압으로 먼지를 흡입하는 크리닝헤드(50')와, 크리닝헤드(50')를 통해 오물을 흡입하여 집진헤드(42')로 인도하는 연결관(52')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13a')는 공기의 흡입유동을 향상시켜주기 위해서 상기 웨이트 디스크(13')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배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은 먼저, 상기 페달(19')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웨이트 디스크(13')가 회전함에 따라, 이 웨이트 디스크(13') 표면에 형성된 날개(13a')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챔버(30')의 인-렛 튜브(32')를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유입된 외부공기가 아웃-렛 튜브(3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과정을 거치면서 부압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챔버(30')에 수용된 웨이트 디스크(13')상의 날개(13a') 회전속도에 따라 인-렛 튜브(3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량이 증가되고, 아웃-렛 튜브(34')를 통한 공기의 배출량이 증가되면서, 유속과 유량도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흡입력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집진부(40')의 크리닝헤드(50')를 통해 오물을 흡입하여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헬스용 자전거를 이용하여 실내 운동에 따른 운동 효과는 물론 이에 따른 회전운동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 및 실내의 바닥청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헬스용 자전거의 다목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용 자전거에 의하면,
페달의 회전압력에 의해 다리 근육에 작용하는 부하에 따라 신체의 근육운동을 강화시킴은 물론 이와 동시에 상기한 회전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부의 발전장치를 통해 필요한 전력을 저장 및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D플레이어, 라디오,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기용 등과 같은 각종 생활 가전제품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헬스용 자전거를 이용한 운동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운동효과에 부가하여 각종 생활가전에 필요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헬스용 자전거를 이용하여 실내 바닥을 청소할 수 있도록 실내의 진공청소기능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헬스용 자전거를 보다 다양한 용도로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기능에 의한 사용상의 편리함과 함께 사용자들에게 제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직립 상태에서 바닥면에 고정·지지되는 헬스용 자전거 본체 및 프레임과,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웨이트디스크와, 상기 웨이트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페달과,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을 웨이트디스크로 전달하기 위한 크랭크와, 상기 페달의 회전을 크랭크를 통해 웨이트디스크로 전달하는 회전매개장치와, 착석 가능한 안장부 및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헬스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12) 일측의 동일 축선상에 장착된 대직경의 구동풀리(22)와,
    상기 구동풀리(22)와 벨트(22a)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소직경의 연동풀리(24)와,
    상기 연동풀리의 동력을 받도록 연동되게 설치된 발전장치(27)와,
    상기 발전장치와 축전지(29)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축(25)으로 결합된 연동풀리(28)가 구동풀리(26)와 벨트(26a)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용 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풀리 일측에는 동일축선상으로 2단 구동풀리(26)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용 자전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풀리(24)은 2단 연동풀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용 자전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충집된 전류를 저장하여 전기적 저항이 있을때 전류를 보내는 배터리(30)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원하는 조건으로 변환하는 전류변환기(32)와,
    상기 배터리(30)로 부터 출력된 전류를 직류상태에서 교류상태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용 자전거.
KR1020030026931A 2003-04-29 2003-04-29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 KR20040095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931A KR20040095906A (ko) 2003-04-29 2003-04-29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931A KR20040095906A (ko) 2003-04-29 2003-04-29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906A true KR20040095906A (ko) 2004-11-16

Family

ID=3737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931A KR20040095906A (ko) 2003-04-29 2003-04-29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59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210B1 (ko) * 2008-07-15 2011-05-31 주식회사기원전자 발전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운동기구
KR101242092B1 (ko) * 2010-12-13 2013-03-11 이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한 발전 장치
WO2014038856A1 (ko) * 2012-09-05 2014-03-13 Kim Su Jong 지렛대 원리와 되감기 현상을 이용한 승강 페달이 구비된 자가 발전장치
KR20220124934A (ko) 2021-03-04 2022-09-14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발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210B1 (ko) * 2008-07-15 2011-05-31 주식회사기원전자 발전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운동기구
KR101242092B1 (ko) * 2010-12-13 2013-03-11 이경근 운동 기구를 이용한 발전 장치
WO2014038856A1 (ko) * 2012-09-05 2014-03-13 Kim Su Jong 지렛대 원리와 되감기 현상을 이용한 승강 페달이 구비된 자가 발전장치
KR20220124934A (ko) 2021-03-04 2022-09-14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1487C2 (ru) Трансмисс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A2762944C (en) Bicycle deriving driving force by motor-generator
US20120178592A1 (en) Mobile gym and exercise bike
JP2003205050A (ja) 足踏式発電健康装置
KR20110064759A (ko) 발전 겸용 전동수단을 갖는 자전거용 바퀴
KR20040095906A (ko) 발전장치가 구비된 다목적 헬스용 자전거
WO2006002577A1 (fr) Bicyclette a moteur a entrainement par pedale a mouvement alternatif
KR200245361Y1 (ko) 발전기가 구비된 헬스 싸이클
KR101109291B1 (ko) 탈부착이 가능하며 전륜구동의 기어변속이 가능한 자전거
WO2008056962A1 (en) Horseback riding type bicycle
CN210904825U (zh) 一种折叠功能的空气净化器智能健身车
CN201375780Y (zh) 健身发电车
CN110613918A (zh) 一种折叠功能的空气净化器智能健身车
CN204979039U (zh) 一种儿童娱乐健身发电自行车
KR200292445Y1 (ko) 자전거 동력을 이용한 런닝머신
CN106178406B (zh) 一种电动平衡车
CN110898391A (zh) 一种风扇式动感单车
CN219467913U (zh) 一种智能健身脚踏车
CN215706857U (zh) 一种驱动式滑步车
CN106178405A (zh) 一种电子健身车
CN219149153U (zh) 一种健身设备
CN218076289U (zh) 一种足球发球机
TWI323671B (en) Integrated rechargeable exercise battery vehicle
WO2004105889A1 (en) Forward/reverse pedalled exercise bike
CN108853879B (zh) 一种可多人使用的多功能体育健身锻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