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772A - 지문인식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문인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772A
KR20040095772A KR1020030026745A KR20030026745A KR20040095772A KR 20040095772 A KR20040095772 A KR 20040095772A KR 1020030026745 A KR1020030026745 A KR 1020030026745A KR 20030026745 A KR20030026745 A KR 20030026745A KR 20040095772 A KR20040095772 A KR 20040095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shutter
fingerprint recognition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양호
Original Assignee
(주) 하모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하모두 filed Critical (주) 하모두
Priority to KR102003002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5772A/ko
Publication of KR2004009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77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손가락과 접촉되는 지문인식 센서(광학식 및 반도체식)의 지문인식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과 기구적인 안정성이 제공된 지문인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지문인식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메모리에 입력되어 기준 지문 정보로서 저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기준 지문 정보와 대비하기 위한 실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실사용자 지문정보와 상기 기준정보의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신호에 의하여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와; 상기 지문 인식부의 프리즘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하여 잠금 기능과 잠금 해제 기능이 부여된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전기(DC 및 AC)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 지문인식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문인식시스템{FINGERPRINT-BASED IDEN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지문인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과 접촉되는 지문인식부의 입력부인 반도체(C-MOS 방식), 또는 프리즘(Optic 방식)이 이물질이나 고의적인 훼손이나 위해 행위로부터 오염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과 기구적인 안정성을 갖는 지문인식부 보호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지문인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문인식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에 각 개인의 지문에 대한 정보를 등록시킨 후, 등록된 지문 이미지와 입력되는 지문 이미지를 비교하여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문인식시스템이 판독하는 지문은 땀샘이 융기되어 일정한 흐름을 형성한 것으로, 그 형태가 개개인마다 서로 다르고 태어날 때의 모습 그대로 평생동안 변하지 않는 고유한 특성 때문에 식별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네트워크의 발달과 더불어 보안 및 개인 사생활이 중시되면서, 개인 인증 방법으로서의 지문인식 기술은 각광받는 기술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지문인식시스템은 식별시스템과 인증시스템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식별시스템은 등록된 다수의 지문 중에서 입력된 지문을 구별하는 것으로 범죄수사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인증시스템은 등록된 지문과 입력된 지문을 1대1로 대조하여 판별하는 것으로, 출입통제수단이나 사무기기 사용제한수단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근자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지문인식처리를 수행함으로서 많은 응용분야에서 지문인식기술이 도입되었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거리에서도 지문을 대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문인식기술이 변천함에 따라 적용하는 분야도 다양화되고 있는데, 출입통제, 금융권의 신용카드, 범죄수사, 컴퓨터제어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등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출입통제에 적용되는 지문인식기술은, 출입자 관리를 위해서 보안을 요하는 장소의 출입이나 집안의 다른 사람의 침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도어록 제어부에 지문정보를 기록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신용카드의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카드의 분실이나 도난 및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카드에 지문을 기록함으로서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신용카드에도 지문인식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또한, 개인화기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범죄현장에서 채취되는 지문을 가지고 서버 혹은 메모리에 저장된 지문데이터와 비교하는 공무 및 범죄수사용과, 컴퓨터에 지문입력장치를 설치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전자상거래의 도입으로 소비자와 판매자의 피해를 방지하고 안전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서로의 지문확인과정을 확인한 후,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는 컴퓨터제어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등으로 발전하고 있다.
도 8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문인식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일정한 방향으로 소정의 밝기로 빛을 투사하는 광원(52)과, 이 광원(52)에서 나오는 빛을 입사면(54)으로 입사시켜 평면에 놓여진 손가락(56)의 지문융선(58)과 접촉된 부분에서 산란시키고, 나머지 부분에서 상기 입사면(54)과 직각 방향으로 이루어진 출사면(60)으로 전반사시켜 지문의 영상을 발생하는 프리즘(62)과, 상기 전반사된 빛을 결상시키는 결상렌즈(64)와, 결상된 광속으로부터 영상을 검출하는 영상검출수단(66)을 구비한다.
상기 영상검출수단(66)에서 검출된 지문융선(58) 이미지 데이터는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저장된 지문 데이터는 신원을 확인하려는 지문 이미지와 비교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동일할 경우 개인이 확인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문인식기는 손가락(56)과 접촉되어 실질적으로 지문을 스캔하는 프리즘(62)이 노출된 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각종 이물질에 접촉되거나 오염되면 프리즘(62)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지문인식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노출된 프리즘(62)에 어린이들의 장난에 의하여 껌과 같은 것이 접착되면 지문을 인식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이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프리즘(62)이 손상되어 지문인식기를 사용치 못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프리즘(62) 표면에 모래나 날카로운 금속 등으로 인하여 흠집이 생길 경우에도 지문인식기는 제대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76047호는 위에 기재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수단들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지문을 인식하기 위하여 손가락과 접촉되는 프리즘과 같은 지문인식부가 이물질에 의하여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문인식부의 전면부에 셔터를 설치하고, 이 셔터는 핀을 통하여 힌지 결합되거나 솔레노이드와 연결되어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지문인식시스템의 지문인식부 보호장치는, 셔터가 핀을 통하여 힌지 결합된 구조에서는 셔터의 잠금 기능이 해제되면 손가락으로 셔터를 밀어 오픈시키는 푸시형이므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셔터는, 솔레노이드는 구동축이 일정한 스트로크로 구동하면서 셔터를 오픈하고, 이 셔터는 본체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지문인식기가 건물 외부에 설치되었을 경우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셔터가 본체에 얼어붙어 열리지 않거나 솔레노이드의 구동축 운동범위가 제한되어 셔터가 완전히 오픈되지 않는 등의 기구적인 안정성이 결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과 접촉되는 지문인식부의 입력부인 반도체(C-MOS 방식), 또는 프리즘(Optic 방식)이 이물질이나 고의적인 훼손이나 위해 행위로부터 오염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과 기구적인 안정성을 갖는 지문인식부 보호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지문인식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메모리에 입력되어 기준 지문 정보로서 저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기준 지문 정보와 대비하기 위한 실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실사용자 지문정보와 상기 기준정보의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신호에 의하여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와; 상기 지문 인식부의 프리즘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하여 잠금 기능과 잠금 해제 기능이 부여된 셔터를 포함하고,상기 셔터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 지문인식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셔터는 지문인식부 외측에서 가이드부재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여 일정구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된 웜과, 상기 웜과 치차 결합되어 회전축 방향을 변환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및 이 피니언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래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시스템의 지문인식부 보호장치가 전자식 도어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시스템의 지문인식부 보호장치 정면도.
도 4a는 도 3의 좌측면도.
도 4b는 도 4a를 평면에서 바라본 주요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인식시스템의 지문인식부 보호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8은 일반적인 지문인식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시스템의 지문인식부 보호장치가 하나의 예로서 출입구를 개폐하는 전자식 도어록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도어록의 정면도 및 배면도로서, 부호(2)는 도어록 본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시스템은, 상기 도어록 본체(2)에 직접 설치되거나, 그 주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준지문정보로가 저장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와, 상기 기준지문정보와 대비되는 실사용자의 지문정보가 입력되는 지문인식부(6)와, 상기 실사용자 지문정보와 상기 기준정보의 디지털테이터로 변환된 화상정보를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4)의 신호에 의하여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개폐부(8)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 전면에 형성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미리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판독하여 지문인식부(6)의 사용을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10)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록 본체(2)의 전면 또는 그 주변에는, 그 내부에 설치된 지문인식부(6)를 사용 가능토록 하는 관통 홈(12)이 형성되고, 본체(2) 외부에는 도어록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14)가 제공된다.
상기 지문인식부(6)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6)와, 이 베이스(16)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18)과, 상기 측판(18)들 사이의 내측으로 지문인식을 위한 손가락이 삽입 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부로 형성된 공간부(20)와, 이 공간부(20)의 개방부쪽에 설치되며 도어록 본체(2) 내부에 설치된 광원(미도시)에서 방출되는 광속을 입사시켜 지문인식기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영상을 발생하는 프리즘(22)을 포함한다.
이 프리즘(22)을 통하여 생성된 지문영상은 도시되지 않은 결상렌즈와 영상검출소자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사용자의 기준지문정보로서 저장된다.
상기 베이스(16)에는 다수의 구멍(24)이 뚫려져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 등으로 본체(2) 내부 또는 주변 고정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측판(18)은 상부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도어록 본체(2)의 전면부도 이 측판(18)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제작되어, 도어록 본체(2) 내부 전면부에 지문인식부(6)의 전면부가 약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10)는 허가된 사용자에게만 지문인식부(6)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지문인식기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의 사용자 정보를 미리 입력하여 정보가 입력된 사람에 한하여 지문인식부(6)에 지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사용자 인증부(10)는, 다수의 숫자버튼(26)(도 1 참조)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설정한 암호와 동일한 암호가 입력되었을 때, 지문인식부(6)를 사용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숫자버튼 대신에 카드인식수단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카드(RF-IC 카드, IC 카드, 마그네틱 스트립 카드, 바코드 카드 등)정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저장시킨 후, 사용자 인증부에 카드를 소정거리에 위치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4)에서 카드를 인식하여 등록된 카드로 확인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4)의 제어에 의하여 지문인식부(6)를 사용 가능토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증부(10)를 통하여 인증된 사용자일 경우, 지문인식부(6)를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지문인식부(6)의 전면에는 지문인식부 보호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지문인식부 보호장치는, 지문인식부(6)를 구성하는 프리즘(22)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4)의 제어에 의하여 잠금 기능과 잠금 해제 기능이 부여된 셔터(28)로 구성되고, 이 셔터의 잠금/해제는 모터(3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프리즘(22)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20)를개폐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셔터(28)가 정확하고 안정되게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측판(18)의 일측면 길이 방향으로는 측판에서 연장되는 가이드부(32)가 제공되고, 이 가이드부(32)를 따라서 셔터(28)가 안내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셔터(28)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32)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34)이 제공된다.
그리고, 셔터(28)가 일정구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측판(18)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35)가 설치되고, 상기 셔터(28)의 일측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35)와 접촉되어 셔터(28)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접촉돌기(36)가 형성된다.
이러한 셔터(28)는 모터(30)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개폐되는데, 이러한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셔터(28)의 일측은 래크(rack)(3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30)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된 웜(worm)(40)과, 상기 웜(40)과 치차 결합되어 회전축 방향을 변환하는 웜기어(42)와, 상기 웜기어(42)와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기어(44) 및 이 피니언기어(4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셔터(28)를 실질적으로 개폐하는 래크(38)를 포함한다.
상기 웜기어(42)와 피니언기어(44)는 베이스(16)에 고정된 브라켓트(19)에 설치된 축(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셔터(28)는 평상시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4)의 제어에 의해서 공간부(20)를 닫고있는 상태로 되고, 또 모터(30)의 회전축에 웜(40)이 설치되고, 웜기어(42)는 셔터(28)에 만들어진 래크(38)와 맞물려 있으므로, 셔터측에서 힘이 가해지면 열리지 않고, 사용자 인증부(10)를 통하여 등록된 출입자일 경우에만 마이크로프로세서(4)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30)가 구동하면서 셔터(28)를 이동시켜 공간부(20)를 개방하여 지문인식부(6)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지문인식부(6)의 프리즘(22)에 의하여 지문이 확인 된 후, 프리즘(22)에 놓여진 손가락을 공간부(20) 외부로 빼면 마이크로프로세서(4)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30)가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셔터(28)를 원위치로 이동시켜 지문인식부(6)의 공간부(20)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셔터(28)는 외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금속 또는 단단한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지문인식부(6)를 완벽하게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지문인식부 보호장치가 제공된 지문인식기를 사용하려면, 먼저 사용자 인증부(10)가 숫자버튼일 경우 암호숫자를 사용자가 기억하고, 사용자 인증부(10)가 카드인식수단일 경우 사용자 인증부(10)가 인식 가능한 거리에 사용할 카드를 위치시켜 카드정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저장시키고, 이와 함께 지문인식기 사용자들의 지문을 지문인식부(6)의 프리즘(22)을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저장시킨다.
이렇게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 후, 지문인식기의 사용자 인증부(10)에 숫자버튼(26)을 눌러 암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카드를 소정거리에 위치시키면, 마이크로프로세서(4)에서 이를 비교하여 암호가 일치하거나 또는 등록된 카드로 확인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4)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30)가 구동한다.
이러한 모터(30)의 회전에 의하여 웜(40)이 회전하면서 이와 치차 결합된 웜기어(42) 및 피니언기어(44)도 동시에 회전하게되며, 피니언기어(44)의 회전운동을 래크(38)가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셔터(28)를 측판(18)에 형성된 가이드부(32)를 따라서 슬라이드 시킨다.
이와 같이 셔터(28)를 작동하는 동력전달수단이 치차결합된 기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셔터(28)의 개폐작동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기구적인 안정성이 제공된다.
이러한 셔터(28)의 이동은 접촉돌기(36)가 도 5에서 보아 상부측의 리미트스위치(35)와 접촉될 때까지 진행되며, 이러한 작용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셔터(28)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오픈되어 지문인식부(6)의 공간부(20)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셔터(28)가 오픈되면 지문인식부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셔터를 손가락으로 밀지 않아도 되므로 지문인식부의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된다.
이렇게 지문인식부(6)의 공간부가(20) 개방되면 도어록 본체(2)에 형성된 관통홈(12)과 공간부(20)는 서로 통하도록 이루어지며, 이 상태에서 프리즘(22)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올려놓으면, 이 프리즘(22)에서 인식된 지문데이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저장된 지문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도어를 오픈 할 수 있도록 도어 록을 해정하며, 이때 개폐부(8)를 회전시켜 도어를 오픈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 인증부(10)에서 일차적으로 신원확인을 하고 인증된 사람에 한하여 지문인식부(6)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보안이 갖춰짐으로, 암호가 노출되거나 카드를 분실하여도 지문이 입력된 데이터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도어를 열 수 없게된다.
이중보안을 위한 사용자 인증부(10)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셔터(28)를 열기 위한 스위치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를 개폐부(8)를 회전시켜 수동으로 오픈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프리즘(22)에서 인식된 지문데이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저장된 지문데이터가 일치하면 자동으로 도어가 오픈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어를 오픈 한 다음 일정시간이 지나거나 도어에 장착된 센서에 의하여 사람의 출입이 확인된 다음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의하여 모터(30)가 상기의 반대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셔터(28)가 상기 작동의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여 닫히면서 이와 동시에 도어의 모든 잠금기능이 작동되어 도어가 잠기게 된다.
셔터(28)의 닫힘은 접촉돌기(36)에 의하여 도 5에서 보아 하부측의 리미트스위치(35)와 접촉될 때까지 진행되며 이러한 작동으로 오픈되었던 지문인식부(6)의 공간부(20)를 셔터(28)가 폐쇄한다.
상기에서 지문인식기의 사용자 인증부(10)는 카드 또는 암호 중에서 어느 하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나타냈지만, 이들을 하나의 도어록 본체에 같이 설치하여 두가지 모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부의 지문입력부는 광학식 프리즘이 적용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도체식의 C-MOS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시스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어록에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출입허가, 금융 및 크레디트카드, 공무 및 범죄수사, 컴퓨터제어 및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시스템는, 지문인식부에 먼지나 껌과 같은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학식, 반도체식의 지믄인식과 같은 지문인식수단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셔터를 푸시형과 같이 손가락으로 밀지 않아도 오픈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된다.
또한 지문인식부를 개폐하는 동력전달수단은 치차결합된 기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기구적인 안정성이 제공된다.

Claims (8)

  1.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메모리에 입력되어 기준 지문 정보로서 저장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기준 지문 정보와 대비하기 위한 실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생성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실사용자 지문정보와 상기 기준정보의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신호에 의하여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와; 상기 지문 인식부의 지문입력부(광학식 프리즘, 반도체식의 C-MOS)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하여 잠금 기능과 잠금 해제 기능이 부여된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 지문인식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지문센서의 지문인식부 전면부를 따라서 이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여 일정구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베이스에 형성된 측판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일측은 래크로 형성되고, 이 래크는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셔터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평상시에는 닫혀있고 사용자 인증부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저장된 사용자 인식수단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개방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지문확인이 완료되면 원위치로 복귀되어 지문인식부를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베이스에 정착된 모터 및 이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웜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브라켓트에 설치되어 상기 웜과 치차 결합되어 회전축 방향을 변환하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이 피니언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셔터를 개폐하는 래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식시스템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미리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판독하여 이중보안수단으로서 지문인식부의 사용을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지문인식시스템.
KR1020030026745A 2003-04-28 2003-04-28 지문인식시스템 KR20040095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745A KR20040095772A (ko) 2003-04-28 2003-04-28 지문인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745A KR20040095772A (ko) 2003-04-28 2003-04-28 지문인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772A true KR20040095772A (ko) 2004-11-16

Family

ID=3737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745A KR20040095772A (ko) 2003-04-28 2003-04-28 지문인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57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5329A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mechanical keys which store data
US7898385B2 (en) Personnel and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using three factors of authentication
US5337043A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mechanical keys which store data
CA290861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a document and printing a mark thereon
US7907753B2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symbol recognition
EP2172608B1 (en) Method for identifying keys for controlling locks
US20050247776A1 (en) Authenticating optical-card reader
KR100707747B1 (ko) 개인 인증 장치
KR101567005B1 (ko) 뒤따름 방지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196620Y1 (ko) 지문 인식기의 지문 인식부 보호장치
JP2007241336A (ja) Icカード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787005B1 (ko) 카메라를 내장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과 출입통제 방법
RU2321068C1 (ru) Способ видео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KR100384949B1 (ko) 출입자 확인 센서부를 구비하는 도어개폐시스템 및지문인식 전자카드키를 이용한 도어개폐 및 출입자 확인방법
KR20040095772A (ko) 지문인식시스템
KR20090041619A (ko) 출입 통제 시스템
JP2006107123A (ja) 指紋認識システム
EP1531227A2 (en) Turnstile security system
RU2470369C2 (ru) Замок-выключатель для встраивания в двужущееся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замка-выключателя
JP5533488B2 (ja) 自動ゲートシステム
KR20020040413A (ko) 지문취득장치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Dutta et al. Microcontroller Based Bank Locker Security System Using IRIS Scanner and Vein Scanner
Nelson Access control and biometrics
JP4347648B2 (ja) 不正監視装置
KR200189358Y1 (ko) 지문인식기가 장착된 도어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