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481A -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481A
KR20040095481A KR1020030029350A KR20030029350A KR20040095481A KR 20040095481 A KR20040095481 A KR 20040095481A KR 1020030029350 A KR1020030029350 A KR 1020030029350A KR 20030029350 A KR20030029350 A KR 20030029350A KR 20040095481 A KR20040095481 A KR 20040095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or
donation
content
fee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석
Original Assignee
김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석 filed Critical 김강석
Priority to KR1020030029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5481A/ko
Publication of KR2004009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48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료로 제공되는 각종 콘텐츠를 기부하여 이에 대한 사용료를 기부금으로 제공함으로써 기부자가 경제적인 부담을 갖지 않으면서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들을 도울 수 있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각종 콘텐츠를 기부하고자 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기부자로 등록받고 기부자에 대한 정보를 기부자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부자 관리모듈과, 기부자가 기부한 콘텐츠의 사용료를 기부금으로 제공받는 기부대상자를 등록받고 기부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기부대상자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부대상자 관리모듈과, 기부자로부터 기부받은 각종 콘텐츠를 기부콘텐츠 DB에 저장하고 콘텐츠의 사용용도에 알맞게 설정하는 기부콘텐츠 관리모듈과, 기부한 콘텐츠의 사용료를 산정하고, 이용자로부터 사용료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사용료 관리모듈과, 지급받은 사용료를 기부대상자에게 제공하고 관리하는 기부금 관리모듈 및 각 모듈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Management System of Welfare Fun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료로 제공되는 각종 콘텐츠를 기부하여 이에 대한 사용료를 기부금으로 제공함으로써 기부자가 경제적인 부담을 갖지 않으면서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들을 도울 수 있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들을 돕기 위한 기부문화는 여러 곳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소외계층과 공익활동을 지원하며 함께 힘을 보태고 희망을 나누는 풍요로운 공동체 사회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재단 또는 자선단체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부문화는 기부자가 제공하는 기부금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자금으로 사용되고 있어 손쉽게 기부자가 자신의 소유하고 있는 자본을 기부금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사회복지재단 등에서 기부된 기부금의 투명한 관리시스템이 확보되지 못한 관계로 기부자들은 사회복지재단 또는 자선단체 등의 관리에 의문점을 제시하여 기부문화의 확대를 가로막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유선 또는 무선전화를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하여 다이얼링을 하면 상대방이 전화벨소리를 듣고 전화를 받게 되는데, 벨소리가 울리고 전화를 받기까지의 시간은 대략 3~10초가 소요된다. 이 시간동안 발신자측 전화기에는 상대방에게 전화 호출신호가 가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음이 울리게 된다. 이 신호음을 링백톤(Ring-Back Tone)이라고 하는데, 링백톤에는 상대방 전화기가 통화중임을 알리는 통화중 링백톤과 상대방 전화기로 호출신호가 가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중 링백톤이 있다. 이들 링백톤은 전화기의 기종이나 교환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음이 사용되지만, 보통 신호중 링백톤은 `따르릉, 따르릉` 또는 `뚜우, 뚜우`하는 전화벨소리와 같은 종류로 들리고 있으며 통화중 링백톤인 `뚜뚜뚜뚜`소리와는 구분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링백톤을 활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 제2000-7011496호(링백톤을 이용한 광고방법)에서 수신자측 교환기에 전화기의 링백톤으로 광고를 설정하여 광고를 링백톤으로 활용함으로써 광고료를 이용요금으로 대처하여 값싸게 전화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전화기의 링백톤 등을 이용하여 기부문화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심사숙고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료로 제공되는 각종 콘텐츠를 기부하여 이에 대한 사용료를 기부금으로 제공함으로써 기부자가 경제적인 부담을 갖지 않으면서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들을 도울 수 있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 링백톤에 설정된 광고의 광고료를 기부금으로 사용함으로써 단발성이 아닌 계속적인 기부문화를 진작시킬 수 있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부자가 직접 기부대상자를 선정하고 기부금을 실시간으로 홈페이지 및 모바일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기부금의 투명성 및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특정목적의 기부대상자를 위한 커뮤니티를 형성함으로써 기부금의 활용처를 직접 지정할 수 있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기금 운영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지기금 운영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지기금 운영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지기금 운영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부금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도시한 특성테이블.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무선 클라이언트 200 : 운영서버
202 : 기부자 관리모듈 204 : 기부대상자 관리모듈
206 : 광고주 관리모듈 208 : 기부콘텐츠 관리모듈
209 : 광고 설정부 210 : 콘텐츠 설정부
212 : 사용료 관리모듈 214 : 기부금 관리모듈
300 : 콘텐츠 기부자 400 : 광고주
500 : 기부대상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복지기금 운영시스템은 기부금을 제공하는 기부자와, 기부자로부터 제공받은 기부금을 기부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복지기금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복지지금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서버는
각종 콘텐츠를 기부하고자 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기부자로 등록받고 기부자에 대한 정보를 기부자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부자 관리모듈과, 기부자가 기부한 콘텐츠의 사용료를 기부금으로 제공받는 기부대상자를 등록받고 기부대상자에대한 정보를 기부대상자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부대상자 관리모듈과, 기부자로부터 기부받은 각종 콘텐츠를 기부콘텐츠 DB에 저장하고 콘텐츠의 사용용도에 알맞게 설정하는 기부콘텐츠 관리모듈과, 기부한 콘텐츠의 사용료를 산정하고, 이용자로부터 사용료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사용료 관리모듈과, 지급받은 사용료를 기부대상자에게 제공하고 관리하는 기부금 관리모듈 및 각 모듈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부콘텐츠는 전화기의 링백톤과 인터넷에 연결된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설정되는 광고 및 유·무선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게임, 유료로 제공되는 음악, 동영상 등의 정보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유·무선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광고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광고료를 지불하는 광고주에 대한 정보를 광고주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광고주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부콘텐츠 관리모듈은 기부된 콘텐츠가 전화 링백톤 또는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설정되는 광고인 경우에 링백톤 또는 클라이언트에 광고주로 제공받은 광고를 설정하는 광고 설정부와 기부받은 콘텐츠가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사용되는 것인 경우에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설정하는 콘텐츠 설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부대상자 관리모듈은 등록하거나 또는 등록된 기부자가 기부콘텐츠의 이용료가 지불되는 기부대상자를 직접 지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부대상자 관리모듈은 기부자들로부터 특정 기부대상을 위한 모임(이하 "커뮤니티"라 함)의 생성을 요청받아 형성하고 커뮤니티에 가입된 기부자들의 기부콘텐츠 사용료가 커뮤니티의 기부대상자에게 지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지기금 운영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지기금 운영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지기금 운영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지기금 운영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지기금 운영시스템은 전화기의 링백톤 또는 유·무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에서 사용 가능한 각종 콘텐츠를 기부하여 이에 대한 사용료를 기부금으로 제공하는 기부자(300,300')와, 기부콘텐츠를 이용하는 유·무선 클라이언트(100)와, 기부콘텐츠에 광고가 설정되는 경우에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주(400)와, 기부자가 제공한 기부콘텐츠에 대한 사용료를 기부금으로 제공받는 기부대상자(500) 및 기부자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유·무선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도록 설정하며 기부콘텐츠 이용료를 기부금으로 기부대상자(500)에게 제공하는 운영서버(200)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운영서버를 자세히 살펴보면, 운영서버(200)는 기부자 관리모듈(202), 기부대상자 관리모듈(204), 기부콘텐츠 관리모듈(208), 사용료 관리모듈(212), 기부금 관리모듈(241) 및 제어모듈(216)을 포함하며,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동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전화기의 링백톤 또는 유·무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에서 사용 가능한 각종 콘텐츠를 기부하는 기부자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기부자 DB(218), 기부콘텐츠를 제공받는 기부대상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기부대상자 DB(220), 전화 링백톤 또는 클라이언트에 설정되는 광고와 광고주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광고주 DB(222), 기부콘텐츠의 사용료에 대한 내역이 저장되는 사용료 DB(224) 및 기부대상자에게 제공된 사용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기부금 DB(226)를 포함하고 있다.
기부자 관리모듈(202)은 유·무선 클라이언트에서 이용되는 각종 콘텐츠를 기부콘텐츠로서 기부하고 콘텐츠 사용료를 기부금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자를 기부자로 등록받고 기부자의 ID 및 비밀번호와 함께 성별, 나이 및 전화번호 등을 기본정보로 등록받아 기부자 DB(218)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기부자(300,300')는 오프라인에서 가입서를 작성하여 등록하거나 또는 인터넷으로 운영서버(200)에 연결하여 직접 가입할 수 있다.
이때, 기부콘텐츠로는 기부콘텐츠는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설정되는 광고, 유·무선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게임 및 각종 유익한 정보 등이며, 기부콘텐츠가 전화 링백톤 또는 클라이언트에 광고인 경우에는 링백톤 또는 클라이언트에 광고가 설정되고 설정된 광고 사용료를 기부금으로 이용되고, 기부콘텐츠가 유·무선 클라이언트에서 사용되는 게임, 음악 또는 동영상 등의 유익한 정보 등인 경우에는 게임, 정보 등의 이용료를 기부금으로 이용된다.
기부대상자 관리모듈(204)은 기부된 기부자의 콘텐츠를 이용한 자로부터 받은 이용료를 기부금으로 제공받는 기부대상자(500)를 등록하고 기부대상에 대한 정보를 기부대상자 DB(22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기부대상자는 고아원, 복지사회단체 등의 복지법인을 비롯하여 소년/소녀 가장, 생활보호대상자 등의 개인들이 소정의 심사를 거쳐 선정되며, 기부자의 요청에 따라 기부대상자가 추가될 수 있다.
한편, 기부대상자 관리모듈(204)은 기부자들로부터 특정 기부대상자를 위한 커뮤니티의 생성을 요청받아 형성하고 커뮤니티에 가입된 기부자들이 기부한 기부콘텐츠의 사용료가 커뮤니티에 속하는 기부대상자에게 전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광고주 관리모듈(206)은 기부자가 유·무선 전화기의 링백톤 또는 클라이언트에 광고가 설정될 수 있도록 기부한 경우에는 링백톤 및 설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광고에 대한 정보와 광고주(400)에 대한 정보를 광고주 DB(222)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광고주(400)는 기부자의 나이, 주소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대상을 선정하거나, 1개월, 1년 등의 기간과 서울, 부산 등의 지역 및 노출되는 광고회수 등을 선정할 수 있다.
기부콘텐츠 관리모듈(208)은 기부자로부터 각종 콘텐츠를 기부받아 기부콘텐츠 DB에 저장하고 유·무선 클라이언트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기부콘텐츠 관리모듈(208)은 기부된 콘텐츠가 전화 링백톤 또는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설정되는 광고인 경우에 링백톤 또는 클라이언트에 광고주로 제공받은 광고를 설정하는 광고 설정부(209)와 기부받은 콘텐츠가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사용되는 것인 경우에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설정하는 콘텐츠 설정부(210)로 이루어진다.
사용료 관리모듈(212)은 기부된 기부콘텐츠의 사용료를 산정하고, 콘텐츠의 이용자로부터 사용료를 징수받아 사용료 DB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콘텐츠의 이용료는 무통장입금, 신용카드입금 및 사이버머니를 이용하여 결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부자의 전화 링백톤으로 광고가 설정되면 사용료로서 설정된 광고의 기간에 대한 광고료가 산정하고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료에 대한 내역을 사용료 DB(224)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기부금 관리모듈(241)은 기부대상자(500)에게 제공된 사용료에 대한 내역을 기부금 DB(226)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와 같은 기부금 DB(226)에는 기부자별로 기부대상자와 지급된 광고료가 나열되어 사용료의 사용내역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216)은 각 모듈(202~214)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로서 유·무선 전화기의 링백톤을 기부받은 복지기금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운영서버(200)는 기부자 관리모듈(202)을 통해 유·무선 전화기의 링백톤으로 광고가 설정할 수 있도록 링백톤을 기부하고자 하는 전화 사용자들을 기부자로 등록받고 기부자의 ID 및 비밀번호와 함께 성별, 나이 및 전화번호 등을 기부자 DB(218)에 저장한다(단계 S301).
또한 광고주 관리모듈(206)을 통해 기부자가 기부한 전화기의 링백톤으로 사용되는 광고 및 광고료를 지불하는 광고주에 대한 정보를 광고주 DB(222)에 저장한다(단계 S302).
그리고, 기부대상자 관리모듈(204)을 통해 링백톤에 광고가 설정된 후에 광고료로 지불되는 기부금을 제공받고자 하는 기부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기부대상자 DB(220)에 저장한다(단계 S303).
이와 같이, 전화의 링백톤을 기부한 기부자, 광고주 및 기부대상자가 등록되면, 광고주가 기부자의 나이, 사용지역 및 사용횟수 등을 확인하여 전화번호를 선택하면(단계 S304),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를 선택된 전화번호의 링백톤으로 설정한다(단계 S305). 이때, 링백톤으로 설정되는 광고는 한달, 1년, 서울, 부산 등과 같이 기간 및 지역 및 사용횟수를 구별하여 설정할 수 있다.
기부자의 전화에 광고가 링백톤으로 설정되면 사용료 관리모듈(212)에서는 사용기간에 따른 광고료를 징수하여 사용료 DB(224)에 저장한다(단계 S306). 사용료 DB(224)에는 광고가 설정된 전화번호와 함께 사용된 광고 및 광고료에 대한 정보가 자세히 저장된다.
사용료가 징수되면 기부금 관리모듈(241)을 통해 사용료를 기부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내역을 기부금 DB(226)에 저장한다(단계 S307).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금 DB(226)는 기부대상에 따라 지불된 기부금과 기부대상이 나열되어 기부금의 사용내역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로서 유·무선 전화기의 링백톤을 기부받은 복지기금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3의 단계 S301, S302, S303과 같이, 기부자 관리모듈, 광고주 관리모듈 및 기부대상자 관리모듈을 통해 유·무선 전화기의 링백톤을 기부하는 기부자와 링백톤에 광고를 설정하여 광고료를 지불하는 광고주 및 광고료를 기부금으로 제공받는 기부대상자를 등록받는다(단계 S401).
그 후, 등록하거나 또는 등록된 기부자가 특정한 고아원, 양로원 또는 특정한 병명으로 인해 도움이 필요한 기부대상자를 위한 커뮤니티의 생성을 요청하면, 기부대상자 관리모듈은 특정한 목적을 위한 커뮤니티를 형성한다(단계 S402).
다른 기부자들은 이러한 커뮤니티가 형성되면, 형성된 커뮤니티에 기부자가 기부한 링백톤에 설정된 광고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 커뮤니티에 가입한다(단계 S403).
한편, 기부자의 전화번호에 광고가 설정되면(단계 S404), 사용료 관리모듈(212)에서 사용기간에 따른 광고료를 징수하고(단계 S405), 기부금 관리모듈(241)을 통해 커뮤니티에 속하는 기부대상자에게 광고료를 제공하고, 제공된 내역을 기부금 DB(226)에 저장한다(단계 S406).
도 5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로서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사용가능한 콘텐츠를 기부받은 복지기금 운영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기부자 관리모듈(202)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유·무선 클라이언트에서 사용 가능한 게임 및 음악, 동양상 등의 각종 유익한 정보을 기부하고자 하는 콘텐츠 제공자들을 기부자로 등록받는다(단계 S501).
또한, 기부대상자 관리모듈(204)을 통해 유·무선 클라이언트에서 기부콘텐츠를 이용하여 이에 대한 이용료를 기부금을 제공받는 기부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기부대상자 DB(220)에 저장한다(단계 S502).
그 후, 기부콘텐츠 설정모듈의 콘텐츠 설정부(209)를 통해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도록 기부콘텐츠를 설정한다(단계 S503). 이러한 기부콘텐츠는 인터넷을 통해 유·무선 클라이언트를 통해 제공되며, 제공되는 기부콘텐츠에 각각의 정보이용료가 사용료로 부가된다.
등록된 기부콘텐츠를 외부 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이용하면, 사용료 관리모듈(212)은 기부된 콘텐츠의 사용료를 산정하고 콘텐츠의 이용자로부터 사용료를 징수하여 사용료 DB에 저장한다(단계 S504). 이때, 콘텐츠의 사용료는 무통장입금, 신용카드입금 및 사이버머니를 이용하여 결재된다.
그 후, 콘텐츠의 사용료가 징수되면 기부금 관리모듈(241)을 통해 사용료를 기부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내역을 기부금 DB(214)에 저장한다(단계 S505).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광고료를 기부하지 않은 상태로서 직접 기부자에게 전달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변형을한 것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지기금 운영시스템은 유료로 제공되는 각종 콘텐츠를 기부하여 이에 대한 사용료를 기부금으로 제공함으로써 기부자는 경제적인 부담을 갖지 않으면서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들을 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화 링백톤에 설정된 광고에 대한 광고료를 기부금으로 사용함으로써 계속적으로 기부문화를 진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부자가 직접 기부대상자를 선정하고 기부금을 실시간으로 홈페이지 및 모바일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기부금의 투명성 및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부자가 특정목적의 기부대상자를 위한 커뮤니티를 형성함으로써 기부금의 활용처를 직접 지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지부금을 제공하는 기부자와, 기부자로부터 제공받은 기부금을 기부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복지기금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복지지금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각종 콘텐츠를 기부하고자 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기부자로 등록받고 상기 기부자에 대한 정보를 기부자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부자 관리모듈;
    상기 기부자가 기부한 콘텐츠의 사용료를 기부금으로 제공받는 기부대상자를 등록받고 상기 기부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기부대상자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부대상자 관리모듈;
    상기 기부자로부터 기부받은 각종 콘텐츠를 기부콘텐츠 DB에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의 사용용도에 알맞게 설정하는 기부콘텐츠 관리모듈;
    상기 기부한 콘텐츠의 사용료를 산정하고, 상기 이용자로부터 사용료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사용료 관리모듈;
    상기 지급받은 사용료를 기부대상자에게 제공하고 관리하는 기부금 관리모듈 및
    각 모듈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콘텐츠는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설정되는 광고, 유·무선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게임, 및 음악, 동영상 등의 정보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는 유·무선 전화기의 링백톤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유·무선 클라이언트에서 이용되는 광고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광고료를 지불하는 광고주에 대한 정보를 광고주 DB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광고주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콘텐츠 설정모듈은 기부콘텐츠가 전화 링백톤 또는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설정되는 광고인 경우에 상기 링백톤 또는 클라이언트에 광고주로 제공받은 광고를 설정하는 광고 설정부와 상기 기부콘텐츠가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사용되는 유료 콘텐츠인 경우에 상기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설정하는콘텐츠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기부대상자 관리모듈은 등록하거나 또는 등록된 기부자가 기부콘텐츠의 이용료가 지불되는 기부대상자를 직접 지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기부대상자 관리모듈은 기부자들로부터 특정 기부대상을 위한 커뮤니티의 생성을 요청받아 형성하고 커뮤니티에 가입된 기부자들의 기부콘텐츠 사용료가 커뮤니티의 기부대상자에게 지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8. 기부금을 지급하는 기부자와, 상기 기부자로부터 제공받은 기부금을 기부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복지기금 운영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된 유·무선 클라이언트에서 사용 가능한 콘텐츠를 기부콘텐츠로 기부받는 단계;
    상기 기부콘텐츠를 유·무선 클라이언트에서 유료로 사용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유·무선 클라이언트의 이용자가 상기 기부콘텐츠를 이용하면 상기 기부콘텐츠의 사용료를 징수하는 단계; 및
    상기 징수된 사용료를 기부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콘텐츠는 유·무선 클라이언트에 설정되는 광고, 유·무선 클라이언트로 제공되는 게임, 및 정보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거나 또는 등록된 기부자가 기부콘텐츠의 사용료가 지불되는 기부대상자를 직접 지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자가 특정 기부대상에게 기부금이 지불되는 커뮤니티의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방법.
  12. 기부금을 지급하는 기부자와, 상기 기부자로부터 제공받은 기부금을 기부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복지기금 운영방법에 있어서,
    유·무선 전화기의 링백톤으로 광고가 설정할 수 있도록 링백톤을 기부하고자 하는 전화 사용자들을 기부자로 등록받는 단계;
    상기 기부자가 기부한 전화기의 링백톤으로 사용되는 광고 및 광고료를 지불하는 광고주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를 상기 기부된 전화번호의 링백톤에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부자의 전화에 광고가 링백톤으로 설정되면 사용기간에 따른 광고료를 징수하는 단계; 및
    상기 징수된 광고료를 기부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복지기금 운영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는 상기 기부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광고가 설정되는 전화번호, 광고기간, 지역 및 사용회수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복지기금 운영방법.
KR1020030029350A 2003-05-09 2003-05-09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40095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350A KR20040095481A (ko) 2003-05-09 2003-05-09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350A KR20040095481A (ko) 2003-05-09 2003-05-09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481A true KR20040095481A (ko) 2004-11-15

Family

ID=3737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350A KR20040095481A (ko) 2003-05-09 2003-05-09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54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552A2 (ko) * 2010-10-28 2012-05-03 Lee Juang Keun 기부를 위한 광고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901A (ko) * 2000-05-04 2000-08-05 한대운 인터넷의 배너 광고를 클릭하여 자동으로 기부금이적립되는 운영 시스템
KR20000063861A (ko) * 2000-08-07 2000-11-06 조달현 인터넷 쇼핑 시스템과 기부방법
JP2001283082A (ja) * 2000-03-30 2001-10-12 Kobayashi Keiei Keizai Kenkyusho 募金方法および募金システム
KR20020080699A (ko) * 2001-04-17 2002-10-26 윤효성 통신단말을 이용한 광고 방법
KR20020085322A (ko) * 2001-05-08 2002-11-16 정만 사회복지기금의 조성 및 후원이 인터넷 온라인상에서가능한 인터넷 서비스시스템의 제공방법
KR20030004202A (ko) * 2002-11-26 2003-01-14 김영래 인터넷 광고를 통한 기업이미지 전환 및 불우이웃돕기 성금조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3082A (ja) * 2000-03-30 2001-10-12 Kobayashi Keiei Keizai Kenkyusho 募金方法および募金システム
KR20000049901A (ko) * 2000-05-04 2000-08-05 한대운 인터넷의 배너 광고를 클릭하여 자동으로 기부금이적립되는 운영 시스템
KR20000063861A (ko) * 2000-08-07 2000-11-06 조달현 인터넷 쇼핑 시스템과 기부방법
KR20020080699A (ko) * 2001-04-17 2002-10-26 윤효성 통신단말을 이용한 광고 방법
KR20020085322A (ko) * 2001-05-08 2002-11-16 정만 사회복지기금의 조성 및 후원이 인터넷 온라인상에서가능한 인터넷 서비스시스템의 제공방법
KR20030004202A (ko) * 2002-11-26 2003-01-14 김영래 인터넷 광고를 통한 기업이미지 전환 및 불우이웃돕기 성금조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552A2 (ko) * 2010-10-28 2012-05-03 Lee Juang Keun 기부를 위한 광고 시스템
WO2012057552A3 (ko) * 2010-10-28 2012-06-21 Lee Juang Keun 기부를 위한 광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385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to track information using call signaling messages
US8681952B2 (en) Systems and methods to selectively provide telephonic connections
US10210531B2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the specification of a complex geographic area
US1014709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dynamically generate listings to selectively track user responses
US9386164B2 (en) Systems and methods to establish communication connections via mobile application
ES2452171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prestar servicios de redes sociales a través de tonos de retorno de llamada
US20130315227A1 (en) Telephony
US20100088246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managing a social network
US20150078538A1 (en) Systems and methods to customize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prompts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caller
CA2685678C (en) Methods and apparatuses to connect people for real time communications vi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US8817959B1 (en) System for handling messages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US940198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connections to users in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BRPI0611488A2 (pt) sistema e método para propaganda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US10097592B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multiple connections for anonymous communica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US20070297584A1 (en) Computer enabl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individuals via telephone
US20140335818A1 (en) Systems and methods to customize the presentation of prompts to establish communication connections
US11743730B1 (en) Access controlling network architectures and systems, having cellular network components and elements modified to host access controlling schemas designed to transform and/or facilitate cellular communication signals in accordance with novel cellular communications protocols with multi-part multi-functional address signaling, and methods for use thereof
JP2007512606A (ja) 検索エンジンに併せて広告配置を組み込む、インターネット及びメンバ・プール上の受信者自己価格設定マルチメディア通信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CN102203817B (zh) 用于促进使用移动设备的本地资源供应的方法、系统和装置
JP2010081607A (ja) ビデオ店舗を実現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40095481A (ko) 복지기금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US7873151B1 (en) User-controlled personalized announcements for account-based services
KR20100036696A (ko) 웹 상의 동일 사이트 혹은 동일 메뉴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방법과 그 서비스 시스템
US201600367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 message
US81498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transport service relying on call induced targeted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