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341A -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 및다운로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 및다운로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341A
KR20040093341A KR20030027224A KR20030027224A KR20040093341A KR 20040093341 A KR20040093341 A KR 20040093341A KR 20030027224 A KR20030027224 A KR 20030027224A KR 20030027224 A KR20030027224 A KR 20030027224A KR 20040093341 A KR20040093341 A KR 20040093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user
mobile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2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689B1 (ko
Inventor
김동만
배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27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689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689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개인 정보 서버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되며,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컴퓨터 단말기들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 및 다운로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AVING AND LOADING PERSONAL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ERV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저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회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그 사용층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이동통신 업체에서는 다른 업체 제품과의 찹려성을 위해 자사제품에 여러가지 기능을 추가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통신 서비스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 AMPS(Advanced Mobile PhoneService) 단말기, IS-95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능중의 하나가 메모리 기능이다. 상기 메모리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전화번호 및 기타 필요한 개인정보 내용을 기억시켰다가 필요에 따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을 인하여 사용자는 필요한 대부분의 전화번호등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시킴으로써 전화번호 수첩 등을 별도로 마련하고 있지 않다.
한편,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새로운 모델의 단말기가 계속 출시됨에 따라 단말기를 교체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어 기존에 등록해 놓은 전화번호를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시 입력해야 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번호 정보를 새로 일일이 입력한다는 것은 여간 불편한 작업이 아니다. 그래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컴퓨터에 미리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있는 전화번호부를 백업해 두고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유선으로 저장하는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이 컴퓨터 단말기20와 유선 케이블에 의해 직접 연결되고 있다. 상기 케이블은 직렬 통신용 포트(Serial Port)와 연결되는 케이블 또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한다.)용 케이블이 될 수 있으며, 그외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어떠한 케이블도 변경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 데이터들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수신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데이터 통신 케이블을 구배하여야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생산업체마다 데이터통신 케이블 연결 단자가 다르므로 동일한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한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은 여러 개의 데이터 통신 연결 케이블을 구매하여야 하므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었으며, 상기 스마트카드의 플레쉬 메모리에 상기 가입자의 정보 및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마트카드의 대표적인 용도의 하나는 가입자 확인 모듈을 내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로밍(roaming)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전화기 가입자 확인모듈용 스마트카드로서는 GSM 시스템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및 CDMA 시스템의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및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가입자 확인모듈로서의 스마트카드는 휴대전화기와의 정보공유를 위해 기본적으로 접촉식 스마트카드를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지된 바와 같이, 유럽의 이동통신 방식인 상기 GSM 시스템에 있어서는, 단말기의 교체나 통신 사업자 변동에 대처하기 위하여, 휴대전화기와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는 가입자 확인모듈로서 전술한 SIM 카드를 적용하여 왔다. 상기 SIM 카드에는 전화번호를 포함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어서 전원을 온 시키면 상기 SIM 카드에 있는 정보를 네트워크와 주고받게 되고, 사용 승인이 떨어지면 그때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USIM 카드는, 이동전화나 컴퓨터 사용자들이 전 세계 어디에 있든지 간에 제3세대, 광대역 패킷 기반의 텍스트, 디지털화된 음성이나 비디오 그리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2Mbps 이상의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상기 UMTS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스마트카드로서, 상기 IMT-2000 서비스 상용 단말기 내에 내장되며, 비밀 인증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또한, 상기 UIM은 유럽 GSM의 SIM을 2세대 CDMA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스마트카드이며, RUIM은 3세데 CDMA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탈착식 스마트카드이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가 새 기종의 단말기로 바꾸더라도 상기 스마트카드가 탈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마트 카드를 새로운 단말기에 부착함으로서, 개인 저장 정보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서는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개인 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방법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가 부착되지 않는 이기종의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저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가 저장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 정보를 수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가 저장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개인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무선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개인 정보 서버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되며, 유선 네트워크를통해 다수의 컴퓨터 단말기들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무선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개인 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에 매칭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터넷 네트워크과 연동된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사용자 관련 정보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터넷 네트워크과 연동된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유선으로 저장하는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전송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된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사업자간의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교환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 정보 저장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 정보 다운로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개인 정보 수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가 저장된 사업자 웹페이지 화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개인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하기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라는 용어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정보들로서, 단말기 사용자에 따라 갱신되거나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모든 정보들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저장한 전화번호부, 스케줄 정보, 생일관련 정보, 사진 정보, 단문 메시지(SMS) 정보 및 동영상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부 정보에는 이름,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메모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은 무선 통신망30과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은 상기 무선 통신망30을 거쳐 인터넷 네트워크40과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된 소정의 컴퓨터 단말기20으로 전송 가능하며,상기 컴퓨터 단말기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개인 정보 서버50이 상기 무선 통신망30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40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개인 정보 서버50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인 정보 서버50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을 통해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40과 연동된 컴퓨터 단말기20을 통해 열람 및 갱신이 가능하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관리되고 있는 사용자 관련 정보가 상기 개인 정보 서버50에 저장되어 관리함으로서, 상기 단말기10에 저장된 상기 정보가 삭제되거나, 상기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또는 단말기를 교체할 경우라 할 지라도 상기 개인 정보 서버50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함으로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의 유지가 가능하다.
이하, 상기 개인 정보 서버50의 연결 관계에 따른 세가지 실시예를 각각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조로서 개인 정보 서버51이 무선 네트워크30(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교환기33)과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은 도 3a 내지 도 3c에서의 기지국31, 기지국 제어기32, 무선교환기33 및 게이트웨이34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개인 정보 서버51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의 무선 교환기(예컨대, MSC)에 연결되어 구비됨으로서, 상기 개인 정보 서버51을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관리되도록 구현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현할 경우, 상기 개인 정보 서버51를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관리됨으로 인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 및 개인 정보의 관리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인 정보 서버51에 저장될 사용자 관련 정보의 전송 포맷 및 저장 포맷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특정되어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 및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구현된다.
또한, 상기 컴퓨터 단말기20에서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40을 통해 사업자가 관리하는 상기 개인 정보 서버51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접속에 의해 상기 개인 정보 서버51내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정하거나 상기 정보들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개인 정보 서버52가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동된 외부 사업자 서버에 의해 관리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b에 따르면, 상기 개인 정보 서버52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30이 아닌 외부 인터넷 네트워크40에 연결됨으로 인해, 상기 컴퓨터 단말기20를 통한 접속이 보다 용이해질 수가 있다. 즉, 상기 컴퓨터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 서버52에 접속하여 사용자 관련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수정, 삭제, 전송 및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관리하지 않고 외부 사업자가 관리함으로 인해, 각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설정한 개인 정보 데이터들의 포맷들에 호환될 수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회사 및 모델에 따라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A 이동통신 사업자(예컨대, 019 사업자)의 단말기를 사용하다가 B 이동통신 사업자(예컨대, 011 사업자)의 단말기로 교체할 경우, 상기 개인 정보 서버52를 관리하는 외부 사업자는 상기 두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개인 정보 형식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상호간의 호환이 용이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로서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두가지 방법을 결합하여, 이동통신 사업자 및 외부 사업자가 각각 개인 정보 서버를 운영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가 관리하는 개인 정보 서버51 및 외부 사업자가 관리하는 개인 정보 서버52가 서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한쪽의 개인 정보 서버(51 또는 52)의 데이터를 갱신할 경우, 다른 한쪽의 개인 정보 서버(52 또는 51)의 해당 데이터를 자동으로 갱신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현될 경우, 타 이동통신 사업자의 단말기로 교체할 경우에도 상기 개인 정보 서버의 호환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상기 개인 정보 서버에 접속하는 것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전송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들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으로부터 상기 개인 정보 서버50으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개인 정보 서버50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으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때, 전송되는 데이터들에 개인 정보임을 표시하는 개인 정보 표시 필드100이 추가된다.
상기 전송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관리하는 모든 정보들이 가능하며, 상기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름, 전화번호 및 주소에 대해서만 도시하였다.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각 데이터 필드마다의 해당되는 각각의 정보들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며,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들이 특정 대상에게 전송되는 데이터가 아니라, 상기 개인 정보 서버50에 전송되는 데이터임을 구분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 표시 필드100이 헤더로서 추가되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상기와 같은 데이터들이 전송될 때, 무선 네트워크 사업자는 상기 추가된 개인 정보 표시 필드100을 확인하고,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들이 개인 정보 서버에 전송되는 데이터임을 인식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들은 특정 대상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 정보 서버50로 전송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인 정보 서버50가 외부 사업자에 의해 운영된다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인터넷을 통해 상기 외부 사업자의 개인 정보 서버52로 전송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서버50에 저장된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 정보 서버50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들은 각 가입자들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입자에 대한 사용자 관련 정보(예컨대,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등)들이 구조적, 체계적으로 저장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교체하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사업자가 다를 경우, 상기 개인 정보 서버50에 저장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의 데이터 포맷은 다를 수가 있다. 즉, 각 무선 사업자별로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 및 각 정보별 할당되는 데이터 크기들이 다를 수 있다.
예컨대, A 이동통신 사업자의 경우, 이름에 5바이트, 전화번호에 10바이트, 주소에 20바이트를 할당하고, B 이동통신 사업자의 경우, 이름에 4바이트, 전화번호에 11바이트, 메모에 30바이트가 할당되었다고 할 경우, 상호간의 호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을 상기 A 사업자용으로부터 B 사업자용으로 변경할 경우, 이름은 5바이트 중에서 4바이트만을 잘라내어 저장하고, 전화번호는 1바이트를 더 추가하여 구성하게 된다. 한편, 주소 필드가 B 사업자에서 제공하지 않는다면, 상기 주소 필드는 삭제되거나, 기타 메모 필드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사업자간의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교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A 사업자의 데이터 포맷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B 사업자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관련 정보 저장 및 다운로드 절차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 정보 저장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700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된 메뉴를 사용하여 개인 정보들(예컨대, 전화번호부, 메모 등등)을 입력 또는 수정한다.
710단계에서 상기 수정된 개인 정보들을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저장된 개인 정보들이 도 4에서 도시된 형식으로 무선 네트워크로 전송된다. 720단계에서 상기 전송된 데이터들은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 정보 다운로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800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개인 정보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다. 810단계에서 개인 정보 다운로드를 요청하게 되면, 820단계에서 상기 개인 정보50으로부터 개인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의 형식도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820단계에서 개인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개인 정보 표시 필드100을 확인하고, 830단계에서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들을 저장된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갱신(update)하게 된다.
만약, 상기 수신 과정이 새로 교체된 단말기에 처음 실시하게 되는 저장 과정일 경우, 수신된 모든 데이터가 그대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개인 정보 수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900단계에서 인터넷과 연동된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사업자의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상기 사업자는 해당 무선 네트워크 사업자가 될 수 있으며, 개인 정보 서버만을 따로 관리해주는 외부 사업자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상기 웹페이지의 메뉴를 통해 910단계에서 개인 정보 수정을 요청한다. 920단계에서 상기 수정 요청에 의해 해당 사용자의 기 저장된 개인 정보를 확인하고 수정하게 된다. 930단계에서 종료를 요청하면, 상기 수정 작업이 종료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정된 자료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경우, 상기 수정 작업후 메뉴를 통해 상기 수정된 데이터를 상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940단계의 개인정보 다운로드를 선택할 경우, 950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개인 정보를 상술한 방법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960단계에서 종료여부를 확인한 후, 작업을 종료한다.
만약,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단말기를 타 사업자의 단말기 또는 이기종의 단말기로 교체할 경우, 970단계의 단말기 모델 변환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사 및 기종을 사용자가 교체된 단말기로 변경하게 되면, 사업자가 기 설정한 규칙(예컨대, 상기 도 6에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980단계에서 사용자 관련 정보의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다. 마찬가지로990단계에서 종료여부를 확인한 후, 작업을 종료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가 저장된 사업자 웹페이지 화면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9에서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가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개인 정보에 대한 편집 메뉴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서비스 회사310 및 단말기 기종320을 표시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회사310 및 단말기 기종320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고 하단의 기종변환370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상술한 타 사업자들간의 개인 정보 호환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페이지300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성명330 및 핸드폰 전화번호340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사용자가 구성한 사용자 관련 메뉴350가 정리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관련 메뉴350에서 직접 수정이 가능하며, 상기 웹페이지300 하단의 수정360 메뉴를 통해 수정이 가능하다. 또한, 다운로드380 메뉴를 구비하여, 상기 수정 또는 갱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350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으로 전송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를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시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및 교체시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의 정보를 쉽게 복구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무선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개인 정보 서버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게이트웨이를 통해 연결되며,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컴퓨터 단말기들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인터넷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촉된 스마트 카드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이름, 전화번호, 주소, 메모, 스케줄, 생일, 단문 메시지, 사진 및 동영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상기 인터넷과 연동된 컴퓨터 단말기에 의해 독출되어, 수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에는 상기 정보가 사용자 관련 정보임을 구별하는 개인 정보 표시 필드 헤더가 추가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무선 교환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교환기와 연결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사업자에 의해 관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서버는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사업자에 의해 관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10. 무선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개인 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된 상기 단말기에 매칭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인터넷 네트워크과 연동된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사용자 관련 정보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인터넷 네트워크과 연동된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련 정보는 이름, 전화번호, 주소, 메모, 스케줄, 생일, 단문 메시지, 사진 및 동영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과 연동된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개인 정보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정보에 대한 포맷 변환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사용자 관련 정보에 대한 데이터 포맷이 새로 설정한 단말기의 기종에 맞게 설정된 새로운 포맷으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20030027224A 2003-04-29 2003-04-29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 및다운로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754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7224A KR100754689B1 (ko) 2003-04-29 2003-04-29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 및다운로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7224A KR100754689B1 (ko) 2003-04-29 2003-04-29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 및다운로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341A true KR20040093341A (ko) 2004-11-05
KR100754689B1 KR100754689B1 (ko) 2007-09-03

Family

ID=3737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27224A KR100754689B1 (ko) 2003-04-29 2003-04-29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 및다운로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599B1 (ko) * 2006-12-13 2008-05-30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백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4705B1 (ko) 2006-10-19 2009-04-24 주식회사 올앳 개인 정보 관리 이동 통신 단말, 이동 통신 단말 개인 정보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859A (ko) * 2000-05-03 2000-08-05 홍동우 복합통신망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KR20020063458A (ko) * 2001-01-29 2002-08-03 인포뱅크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와 웹싱크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 방법
KR20030005914A (ko) * 2001-07-10 2003-01-23 (주) 엘지텔레콤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번호 등록 방법 및 그의 전화번호 안내 방법
KR100530014B1 (ko) * 2002-07-26 2005-11-22 (주)판도라티비 웹투폰 무선인터넷 직접 접속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05B1 (ko) 2006-10-19 2009-04-24 주식회사 올앳 개인 정보 관리 이동 통신 단말, 이동 통신 단말 개인 정보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0833599B1 (ko) * 2006-12-13 2008-05-30 주식회사 엠티오메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백업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689B1 (ko) 2007-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5702B1 (en) Backup system and method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742128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use-history information
CN102308561B (zh) 通过uicc进行的me网络参数配置
US94976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mart card remote operation based on smart card web server
US200800207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 roaming using virtual sim card
US8453927B2 (e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handset device and IC cards
CN100454949C (zh) 获知移动终端业务能力信息的方法
US20100287307A1 (en) Data Synchronization
US88632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mart card migration
US20090191918A1 (en) Generic identity module for telecommunication services
JP2009159573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事業者サーバ、並びに、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307343A (zh) 通信装置及通信装置的装置发端通信请求的处理方法
US20110082896A1 (en) Dynamically Updated Web-Enabled and Embedded Contact Address in Communication Devices
US7877112B2 (en) SIM card data transfer system and methods
KR20050096930A (ko) 스마트카드와 서버 사이의 통신
EP206361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ess controlling method, and smart card
US20040127205A1 (en) Over the air maintenance of mobile station telephone directories
JP4592694B2 (ja) データベース同期
KR1007546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 및다운로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16122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CN101582949A (zh) 一种显示手机号码归属地的管理系统
CN101287096B (zh) 实现标识转换的卡及转换方法
EP13031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software modules in a mobile terminal
JP2004535745A (ja) 携帯端末から通信網へのアクセスを管理するシステムと方法
KR100590699B1 (ko) 최신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와 함께 컨텐츠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