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794A -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794A
KR20040092794A KR1020030027111A KR20030027111A KR20040092794A KR 20040092794 A KR20040092794 A KR 20040092794A KR 1020030027111 A KR1020030027111 A KR 1020030027111A KR 20030027111 A KR20030027111 A KR 20030027111A KR 20040092794 A KR20040092794 A KR 20040092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button
terminal
front cover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2794A/ko
Publication of KR2004009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7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화면 표시 방향 회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각 출력단자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출력신호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단말기본체에 고정 설치하는 기판과, 기판을 수용하여 단말기본체의 전면을 복개하고 그 중앙에 키패드구멍을 형성하는 전면커버와, 각종 버튼구멍을 형성하여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체와, 회전판체의 버튼구멍에 삽입되도록 각종 선택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판체의 안쪽에서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버튼패드와, 버튼패드의 선택버튼에 접촉하여 상기한 기판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패드와 기판 사이에서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콘택패드를 포함함으로써, 화면을 최적화한 방향으로 전환할 때 이를 조작하는 키패드 역시 최적화한 방향으로 전환하여 문자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KEYBOARD ROLLING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SMS), 주문형 비디오(VOD) 등의 서비스를 받을 때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방향에 따라 키패드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기능에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더하여 휴대 가능한 정보기기로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SMS(Short Message Service)나 전화번호, 스케쥴, 메모 및 기타정보 등의 입력 기능은 기본으로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는 채팅 및 웹서핑, 주문형 비디오(VOD)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까지도 가능한 상황이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도 1에서와 같이 단말기(1)에 화면창(2)의 표시 방향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문 메시지의 내용이 많거나 16:9의 화면 비율을 갖는 비디오를 시청할 경우, 좁은 화면으로 인해 그 내용을 보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즉,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SMS 서비스 시에 장문의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에는 전체 메시지를 읽기 위해서 키패드(3)의 상,하 키를 이용하여 화면을 이동시켜야 하고, VOD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에 와이드 화면 비율(16:9)의 경우에는 좁은 화면으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2002년 6월 14일자(출원번호 : 02특33289호)로 선출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서는 단말기를 이용해 단문 메시지(SMS), 주문형 비디오(VOD) 등의 서비스를 받을 때,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문자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하는 발명을 제시한 바 있다.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와이드 화면 비율의 경우 단말기(1)를 가로로 눕혀 가로로 넓은 화면창(2)을 이용하여 와이드 영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를 옆으로 뉘여 화면창(2)은 와이드 화면 비율을 얻을 수는 있으나 키패드의(3) 방향은 전환할 수 없어 각종 선택버튼의 표시글이 옆으로 뉘어져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도면중 4는 볼륨버튼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와이드 화면 비율로의 변환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화면 비율의 변환에조응하여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서 일반적인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문형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경우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를 조립하여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Ⅰ-Ⅰ"선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에서 일반적인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문형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경우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말기본체 11 : 전면커버
11a : 키패드구멍 11b : 회전안내홈
11c : 회전조절홈 12 : 후면커버
13 : 기판 13a : 출력단자
14 : 키패드 14A : 회전판체
14B : 버튼패드 14C : 콘택패드
14a : 버튼구멍 14b : 선택버튼
14c : 입력단자 14d : 이탈방지돌기
14e : 회전조절돌기 15 : 신호스위치버튼
16 : 볼륨버튼 20 : 단말기덮개
21 : 화면창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면 표시 방향 회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각 출력단자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출력신호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단말기본체에 고정 설치하는 기판과, 기판을 수용하여 단말기본체의 전면을 복개하고 그 중앙에 키패드구멍을 형성하는 전면커버와, 각종 버튼구멍을 형성하여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체와, 회전판체의 버튼구멍에 삽입되도록 각종 선택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판체의 안쪽에서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버튼패드와, 버튼패드의 선택버튼에 접촉하여 상기한 기판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패드와 기판 사이에서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콘택패드와, 단말기본체의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선택버튼과 대응하는 기판의 출력신호를 전환하는 신호스위치버튼을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를 조립하여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Ⅰ-Ⅰ"선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에서 일반적인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문형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경우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회전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각종 선택버튼을 90°내에서 회전하여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키패드 회전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기본체(10)와, 단말기본체(10)에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안쪽에 단문 메시지, 주문형 비디오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화면창(21)을 구비하는 단말기덮개(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면창(21)은 소정의 기능키(미도시)를 이용하여 화면의 표시 방향을 90°전환하는 화면 표시 방향 회전 기능(Pivot)을 구비한다.
단말기본체(10)는 전면커버(11)와 후면커버(12)의 내부에 각종 기능을 제어하도록 고정 설치하는 기판(13)과, 이 기판(13)에 착탈하면서 각종 기능을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도록 상기한 전면커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키패드(14)와, 기판(13)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기판(13)의 출력신호를 전환하는 신호스위치버튼(15)으로 이루어진다.
전면커버(11)는 그 중앙부위에 진원형으로 키패드구멍(11a)을 형성하고, 키패드구멍(11a)의 내주연에는 후술할 회전판체(14A)의 이탈방지턱(14d)이 결합하도록 회전안내홈(11b)을 단차지게 형성한다.
또, 회전안내홈(11b) 중에서 약 0 ~ 180°범위내에는 후술할 회전판체(14A)의 회전조절돌기(14e)가 삽입되어 약 90°범위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조절홈(11c)을 더 깊숙하게 음형지게 형성한다.
기판(13)은 각각의 출력단자(13a)가 두 개 이상의 출력신호, 예컨대 도 6과 도 7을 참고로 하면 ①번 키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에는 상기한 ①번이라는 출력신호와 함께 *표 출력신호를 구비하여 키패드(14)의 회전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키패드(14)는 각종 버튼구멍(14a)을 형성하여 전면커버(11)의 키패드구멍(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체(14A)와, 회전판체(14A)의 버튼구멍(14a)에 삽입되도록 각종 선택버튼(14b)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판체(14A)의 안쪽에서 전면커버(11)의 키패드구멍(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버튼패드(14B)와, 버튼패드(14B)의 선택버튼(14b)에 접촉하여 기판(13)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입력단자(14c)를 구비하는 콘택패드(14C)로 이루어진다.
회전판체(14A)는 원형으로 형성하여 그 중앙부위에 상기한 버튼패드(14B)의 선택버튼(14b)을 삽입할 수 있도록 버튼구멍(14a)을 형성한다.
또, 회전판체(14A)는 그 외주연에 상기한 키패드구멍(11a)의 회전안내홈(11b)에 상응하여 형합하도록 이탈방지턱(14d)을 단차지게 형성하고, 이탈방지턱(14d)의 외주연 일부에는 상기한 회전조절홈(11c)에 삽입하여 회전판체(14A)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회전조절돌기(14e)를 형성한다. 회전조절돌기(14e)는 약 90°범위내에서 형성하되 상기 회전조절홈(11c)과의 관계에서 회전판체(14A)가 약 90°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면 된다.
버튼패드(14B)는 상기 회전판체(14A)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원판 모양으로 형성하되, 그 중앙부위에는 상기한 회전판체(14A)의 버튼구멍(14a)을 통해 전면커버(11)의 외곽으로 약간 노출되도록 선택버튼(14b)을 형성한다.
콘택패드(14C)는 버튼패드(14B)와 기판(13)에 양측면이 각각 밀착하여 상기한 회전판체(14A)와 버튼패드(14B)와 함께 전면커버(11)의 키패드구멍(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신호스위치버튼(15)은 단말기본체(10)의 측면에 택스위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6은 볼륨버튼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즉, 단말기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통화를 수행할 때는 도 6에서와 같이 화면창(21)을 세로로 길게 유지하는 동시에 키패드(14) 역시 단말기를 기준으로 하여 가로방향으로 각종 표시글이 배열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반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SMS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에 장문의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와이드 화면 비율(16:9)로 VOD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에는 도 7에서와 같이 화면창(21)을 가로로 뉘여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키패드(14) 역시 이와 조응하도록 가로로 뉘여 표시글이 단말기를 기준으로 하여 세로방향으로 각종 표시글이 배열되도록 전환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6의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단말기를 옆으로 뉘이면 키패드(14)의 표시글 역시 옆으로 뉘여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판체(14A)를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이 회전판체(14A)와 함께 버튼패드(14B), 그리고 콘택패드(14C)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이때 회전판체(14A)의 이탈방지턱(14d)이 키패드구멍(11a)의 회전안내턱(11b)과 형합하여 회전함에 따라 회전판체(14A)가 원활하게 회전을 한다. 또, 회전판체(14A)의 회전조절돌기(14e)가 키패드구멍(11a)의 회전조절홈(11c) 내에서 회전하면서 그 회전각도를 90°정도로 제한한다.
이와 같이 회전판체(14A)와 버튼패드(14B) 그리고 콘택패드(14C)가 함께 회전을 함에 따라 콘택패드(14C)의 입력단자가 시계방향으로 90°의 위상차를 가지는 기판(13)의 다른 출력단자와 접촉한 상태가 된다. 예컨대, 도 6에서 콘택패드(14C)의 ①번 입력단자는 기판(13)의 ①번 출력단자와 접촉하고 있다가 도 7에서와 같이 콘택패드(14C)를 90°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 콘택패드(14C)는 회전하는 반면 기판(13)은 그대로 고정됨에 따라 결국 콘택패드(14C)의 ①번 입력단자가 기판(13)의 '+' 출력단자 위치로 이동하여 접촉하게 된다.
하지만, 단말기본체(10)의 측면에 구비한 신호스위치버튼(15)을 눌러 기판(13)의 출력신호(13a)를 전환하게 되면 도 6에서의 기판상 '+' 출력단자는 '+' 출력신호 뿐만 아니라 미리 ①번 출력신호를 함께 구비하고 있다가 신호스위치버튼(15)을 통한 출력신호 변경 지령에 따라 도 7에서 '+' 출력신호가 아니라 ①번 출력신호를 내보내게 된다.
이렇게 하여,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전환할 때 이에 상응하여 키패드의 조작 방향을 함께 전환함으로써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는,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향 전환에 따라 키패드의 조작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화면을 최적화한 방향으로 전환할 때 이를 조작하는 키패드 역시 최적화한 방향으로 전환하여 문자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화면 표시 방향 회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각 출력단자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출력신호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단말기본체에 고정 설치하는 기판과,
    기판을 수용하여 단말기본체의 전면을 복개하고 그 중앙에 키패드구멍을 형성하는 전면커버와,
    각종 버튼구멍을 형성하여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체와,
    회전판체의 버튼구멍에 삽입되도록 각종 선택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판체의 안쪽에서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버튼패드와,
    버튼패드의 선택버튼에 접촉하여 상기한 기판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패드와 기판 사이에서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콘택패드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2. 화면 표시 방향 회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각 출력단자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출력신호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단말기본체에 고정 설치하는 기판과,
    기판을 수용하여 단말기본체의 전면을 복개하고 그 중앙에 키패드구멍을 형성하는 전면커버와,
    각종 버튼구멍을 형성하여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판체와,
    회전판체의 버튼구멍에 삽입되도록 각종 선택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판체의 안쪽에서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버튼패드와,
    버튼패드의 선택버튼에 접촉하여 상기한 기판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패드와 기판 사이에서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콘택패드와,
    단말기본체의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선택버튼과 대응하는 기판의 출력신호를 전환하는 신호스위치버튼을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 내주연에는 상기 회전판체의 회전운동을 안내하도록 회전안내홈을 단차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회전판체의 외주연에는 상기 키패드구멍의 회전안내홈과 상응하도록 이탈방지턱을 단차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면커버의 키패드구멍의 내주연에는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음형지게 회전조절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향하는 회전판체의 외주연에는 상기한 회전조절홈의 범위 내에 각운동하면서 회전판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조절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신호스위치버튼은 단말기본체의 측면에 택스위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KR1020030027111A 2003-04-29 2003-04-29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KR20040092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11A KR20040092794A (ko) 2003-04-29 2003-04-29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11A KR20040092794A (ko) 2003-04-29 2003-04-29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794A true KR20040092794A (ko) 2004-11-04

Family

ID=3737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111A KR20040092794A (ko) 2003-04-29 2003-04-29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27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89B1 (ko) * 2003-05-0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입력 확장성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89B1 (ko) * 2003-05-0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입력 확장성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7032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US6768899B2 (en) Rotationa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064745B2 (en) Rotary-keypad for a mobile handset
US20040185921A1 (en)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swivel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US6862459B2 (en) Switching device
US20050124387A1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WO2002100076A1 (fr) Telephone cellulaire
US7759587B2 (en) Two-way key of portable terminal
US20070123320A1 (en) Key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2186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KR20040092794A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회전 장치
KR20030068684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JP2001273093A (ja) 操作部機構
KR100782416B1 (ko) 이동통신단말기
KR10063167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회전 장치
KR20040028200A (ko) 휴대폰의 키패드 변환 장치
KR100481480B1 (ko) 키입력부 운영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61695B1 (ko) 회전 메커니즘을 통해 각 기능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액세스를 제공하는, 셀룰러 폰, 디지털 카메라 및 pda를통합한 디바이스
JP2003143284A (ja) 携帯端末
KR20040028176A (ko) 슬라이드타입의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92178A (ko) 휴대 단말기
KR20080100707A (ko) 이동 가능한 키패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4502348A (ja) 電子装置の各種機能のナビゲーション選択装置
KR20070010763A (ko) 듀얼 음성출력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