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092A -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092A
KR20040092092A KR1020030025938A KR20030025938A KR20040092092A KR 20040092092 A KR20040092092 A KR 20040092092A KR 1020030025938 A KR1020030025938 A KR 1020030025938A KR 20030025938 A KR20030025938 A KR 20030025938A KR 20040092092 A KR20040092092 A KR 20040092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evice
rotation
portable terminal
menu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9876B1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876B1/ko
Priority to US10/831,203 priority patent/US7856251B2/en
Priority to CNB2004100369968A priority patent/CN1319356C/zh
Publication of KR2004009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쪽 면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는 5개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면이 형성된 회전키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를 감지하는 폴더개폐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제1표시부 또는 제2표시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제1, 제2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USING ROTATION KEY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 상태에서 회전키 장치를 통한 메뉴 및 작동모드 기능을 신속히 선택하고 확인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는 데이터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다수 개의 키들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키들은 통화시작버튼인 센드(SND) 키, 취소 키, 수정 키(CLR), 숫자 키, 문자 키, 엔드(END) 키, 기능 키, 전원(PWR) 키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키들은 보통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상면에 15 내지 20정도 개수로 적소에 배열된다. 물론, 상기 키들은 상면에서 노출되어서 사용자는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 또는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키들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메뉴의 다양한 작동 모드 기능에 따라 선택에서 확인까지 복잡하게 이루어진 버튼을 찾아서 누르는 동작 과정이 쉽지 않았다. 또한 신속하게 변경할 경우에는 버튼이 제공된 위치로 이동하여 눌려야 함으로 동작이 느리고, 신속한 기능 전환의 조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에서 작동 모드 기능의 선택 및 확인까지의 신속한 모드 전환이 어렵고, 이로 인해 키 버튼 기능에 따른 빠른 모바일 인터넷 검색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듀얼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폴더가열린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키패드와 메인 표시부를 통해 대부분의 모든 기능들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서브 표시부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행하는 기능들은 단순하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키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 상태에서 메뉴 및 작동모드 기능을 신속히 선택하고 확인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쪽 면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는 5개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면이 형성된 회전키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를 감지하는 폴더개폐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제1표시부 또는 제2표시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제1, 제2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쪽 면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는 5개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면이 형성된 회전키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폴더의 열림을 감지 시, 제1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에 따른 수행과정을 제1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폴더의 닫힘을 감지 시, 제2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에 따른 수행과정을 제2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쪽 면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는 5개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면이 형성된 회전키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제2 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수행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에 따라 통화음이 조절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쪽 면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는 5개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면이 형성된 회전키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제2 모드에서, 제2표시부에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통해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통해 상기 선택된 메뉴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 도 2e는 상기 도 1의 회전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키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에 따른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2모드에서 통화중 통화음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2모드에서 메뉴선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1모드에서 메뉴선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회전속도나 회전방향에 따른 특정 메뉴 선택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를 구비하지 않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TV 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a-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키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 상태에 따라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제1표시부 또는 제2표시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폴더 개폐감지부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장치200의 동작을 제1표시부161 또는 제2표시부162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60은 도 3b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열려 상기 폴더와 본체가 이격될 때 표시되는 제1표시부161과 도 3a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의 폴더가 닫혔을 때 표시되는 제2표시부16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표시부16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용 폴더가 열렸을 때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동작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2표시부16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혔을 때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동작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상기 폴더개폐 감지부18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의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상기 회전키 장치200은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메뉴 및 작동모드 기능이 따라 선택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도 2a는 상기 회전키 장치170을 나타나며, 도 2b는 상기 회전키 장치170의 구성 중 다수의 접촉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c는 상기 도 2b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d는 상기 회전키 장치170의 구성 중 돔 스위치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e는 상기 회전키 장치170의 구성 중 접촉플레이트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a- 도 2e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키 장치200은 접촉단자221이 구비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10과 접촉하는 접촉플레이트220과, 상기 접촉단자221의 접촉으로 전기적신호를 인가 받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11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11의 한쪽 면에는 상기 도 2b와 같이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는 5개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도 2a와 같이 상기 접촉단자221과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면2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 2b - 도 2c에서 형성된 다수의 접촉면201들이 시계방향으로 A, B, C가 반복되어 구성되었다고 가정하면, 상기 다수의 접촉면201들의 각 포트들은 접촉단자221과 연결되지 않는 한 'High' 상태가 되며, 상기 접촉단자221과 접촉하는 순간 'Low'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A, B, C , A, B ,C...가 순차적으로 'Low'가 되며,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반대로 A, C , B , A , C , B.. 순으로 'Low'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을 통해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접촉면201들의 각 포트들이 'High' 에서 순차적으로 일정시간 'Low'로 상태가 변했다가 다시 장기간 'High'로 복구하므로 그 시간등을 측정하여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속도를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에 따른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을 통해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키 장치에 구비된 돔 스위치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모드라 함은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 동작하는 모드를 나타내며, 제2모드라 함은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동작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기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폴더개폐 감지부180은 301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닫혀있는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폴더개폐 감지부180의 출력신호를 통해 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 3a와 같이 제2모드로전환하는 3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3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회전키 장치2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어부110은 3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5단계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과정이나 기능 수행등을 제2표시부162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305단계에서의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과정이나 기능수행등은 도 5와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열려있는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폴더개폐 감지부180의 출력신호를 통해 3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7단계에서 도 3b와 같이 제1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307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회전키 장치2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어부110은 3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과정이나 기능수행등을 제1표시부161을 통해 표시하는 3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9단계에서의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에 대응하는 과정이나 기능수행등은 도 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제2모드 상태에서 통화중 통화음을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을 통해 통화음 조절기능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키 장치에 구비된 돔 스위치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기 도 1,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3a와 같이 제2모드 상태인 401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수행 중일 때 상기 제어부110은 4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통화음의 볼륨을 높이는 405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통화음의 볼륨을 낮추는 4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에 따른 통화음의 조절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통화음의 볼륨을 낮추고,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통화음의 볼륨을 높일 수도 있다.
만약 상기 통화수행 중인 40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에 구비된 돔 스위치 202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메뉴를 표시하는 도 6의 5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돔 스위치202대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사이드 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제2모드에서 메뉴선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는 제2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메뉴들을 설정하였으며, 상기 표시되는 메뉴들로 수신메시지확인, 폰 북 검색, 벨소리 선택, 및 촬영모드에서 줌 기능이나 화면밝기 기능을 통해 영상신호를 조절하는 메뉴를 일 예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을 통해 메뉴 선택기능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키 장치에 구비된 돔 스위치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기 도 1,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3a와 같이 제2모드 상태인 501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에 구비된 돔 스위치202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5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메뉴를 표시하는 5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돔 스위치202의 입력 대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사이드 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메뉴의 종류들이 표시되는 503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회전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에 커서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하스크롤 화면에서 메뉴가 표시될 때,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측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키고,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측메뉴로 상기 커서를 위치시킨다. 또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측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키고,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측메뉴로 상기 커서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좌우스크롤 화면에서 메뉴가 표시될 때,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측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키고,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측메뉴로 상기 커서를 위치시킨다. 또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측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키고,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측메뉴로 상기 커서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 키 장치200을 통해 상기 503단계에서 표기되는 메뉴들 중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돔 스위치202를 입력하면 선택한 메뉴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서브메뉴들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수신메시지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2표시부162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제2표시부162에 표시되는 메시지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메시지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통해 스크롤 하여 전체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신메시지가 수신된 날짜별로 저장되어 있다면, 506단계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 동작을 통해 순서적으로 수신메시지를 확인하는 507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수신날짜가 빠른 순서대로 메시지를 표시하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수신날짜가 늦은 순서대로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수신날짜가 늦은 순서대로 메시지를 표시하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수신날짜가 빠른 순서대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폰 북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폰 북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상기 제2 표시부162에 표시한다. 상기 폰 북의 데이터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회전키 장치200을 회전하는 509단계를 진행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커서를 데이터들에 위치시키는 5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폰 북의 데이터들이 상하스크롤 화면으로 표시된다면,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상측 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키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하측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킨다. 또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하측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키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상측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벨소리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벨소리의 종류를 상기 제2 표시부162에 표시한다. 상기 벨소리의 종류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회전키 장치200을 회전하는 512단계를 진행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커서를 상기 벨소리의 종류들에 위치시키는 5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벨소리의 종류들이 상하스크롤 화면으로 표시된다면,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상측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키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하측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킨다. 또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하측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키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상측메뉴로 커서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사진찍기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51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부140을 통해 상기 제2표시부162에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촬영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에 구비된 돔 스위치202를 통해 줌 기능을 선택한 후, 회전키 장치200을 회전하는 515단계를 진행하면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화면을 서서히 확대하는 줌 인기 능을 수행하거나, 화면을 서서히 축소시키는 줌 아웃 기능을 수행하는 516단계로 진행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전키 장치200에 구비된 돔 스위치202를 통해 화면의 명도 조절 기능을 선택한 후, 회전키 장치200을 회전하는 515단계를 진행하면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화면을 서서히 밝게 하거나, 화면을 서서히 어둡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516단계로 진행한다.
이외에도 동영상의 재생, 빨리감기 및 되감기 기능과, 벨소리 크기 또는 벨/진동 선택등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제1모드에서 메뉴선택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메뉴 선택, 촬영모드에서 영상신호조절 및 동영상 조절을 일 예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을 통해 메뉴 선택, 촬영모드에서 영상신호조절 및 동영상 조절을 기능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키 장치에 구비된 돔 스위치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기 도 1,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3b와 같이 제1모드 상태인 601단계에서, 메뉴들이 표시되는 메뉴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6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표시부161에 메뉴들을 표시한다. 상기 메뉴모드로는 초기 메뉴, 문자메시지 메뉴, 폰 북의 메뉴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메뉴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회전키 장치200이 회전을 하는 603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메뉴들에게 커서를 위치시키는 604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메뉴들이 상하스크롤 화면에 표시 시,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측 또는 하측메뉴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하측 또는 상측메뉴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메뉴들이 좌우스크롤 화면에 표시 시, 상기 회전키 장치2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좌측 또는 우측메뉴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측 또는 좌측메뉴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상기 601단계에서, 카메라부140을 통해 영상신호가 상기 제1표시부161에 표시되는 촬영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6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606단계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200을 회전시켜, 607단계에서 상기 영상신호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줌 기능이나 상기 영상신호의 명도를 조절하는 화면밝기 기능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601단계에서, 동영상이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6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상기 동영상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되거나 인터넷드을 통해을 다운로드 된 동영상을 나타낸다. 상기 동영상이 상기 제1표시부161을 통해 표시될 때 상기 사용자가 609단계에서 회전키 장치2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회전키 장치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동영상의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를 수행하는 610단계로 진행한다.
이외에도 TV 수신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채널선택등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키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열린 상태뿐만 아니라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회전키 장치를 통해 메뉴 및 작동모드 기능을 신속하게 선택하고 확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한쪽 면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는 5개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면이 형성된 회전키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를 감지하는 폴더개폐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제1표시부 또는 제2표시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제1, 제2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열림을 감지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제1표시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힘을 감지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제2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한쪽 면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는 5개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면이 형성된 회전키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개폐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폴더의 열림을 감지 시, 제1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에 따른 수행과정을 제1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폴더의 닫힘을 감지 시, 제2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에 따른 수행과정을 제2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이 화전 키의 회전 또는 돔 스위치의 입력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 전환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통한 메뉴선택 수행과정이 제1표시부를 통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카메라를 구비하며 제1모드로 전환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통해 촬영모드에서 조절된 영상신호가 제1표시부를 통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조절은 줌 기능 또는 화면밝기 조절등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 전환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통한 동영상의 조절과정이 제1표시부를 통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조절은 상기 동영상의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기능등을 나타냄을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한쪽 면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는 5개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면이 형성된 회전키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제2 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수행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에 따라 통화음이 조절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이 화전 키의 회전 또는 돔 스위치의 입력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키의 회전 시,
    상기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이면 통화음을 업 또는 다운시키는 과정과,
    상기 회전방향이 반 시계방향이면 통화음을 다운 또는 업 시키는 과정으로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수행 시, 제2표시부에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통해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통해 상기 선택된 메뉴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한쪽 면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에 따라 접점신호를 감지하는 5개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며, 다른 쪽에는 회전방향에 따른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접촉면이 형성된 회전키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회전키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제2 모드에서, 제2표시부에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통해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을 통해 상기 선택된 메뉴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키 장치의 동작이 화전 키의 회전 또는 돔 스위치의 입력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중 수신메시지가 선택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신메시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중 폰 북 선택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폰 북의 데이터를 검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중 벨소리 선택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벨소리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중 동영상 선택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동영상을 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중 사진찍기 선택 시, 상기 회전키 장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줌 기능 또는 화면 밝기기능을 통해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3-0025938A 2003-04-24 2003-04-24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39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938A KR100539876B1 (ko) 2003-04-24 2003-04-24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US10/831,203 US7856251B2 (en) 2003-04-24 2004-04-26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 rotating key and controlling a display in a mobile terminal
CNB2004100369968A CN1319356C (zh) 2003-04-24 2004-04-26 在移动终端中使用旋转键以及控制显示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938A KR100539876B1 (ko) 2003-04-24 2003-04-24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092A true KR20040092092A (ko) 2004-11-03
KR100539876B1 KR100539876B1 (ko) 2005-12-28

Family

ID=3737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938A KR100539876B1 (ko) 2003-04-24 2003-04-24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8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348B1 (ko) * 2004-08-19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세계시간 및 알람 설정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144803B1 (ko) * 2006-06-05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348B1 (ko) * 2004-08-19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세계시간 및 알람 설정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144803B1 (ko) * 2006-06-05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9876B1 (ko)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68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사용 방법
US78562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 rotating key and controlling a display in a mobile terminal
KR100753041B1 (ko) 가상 모드다이얼을 구비한 휴대단말 및 그 작동방법
JP4764329B2 (ja) 情報処理装置
KR100800801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US888496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053987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9177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각도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및 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7708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사용 방법
JP5311084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情報選択方法
KR1007900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사용 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53228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회전키 장치의 키 제어 방법
KR100663513B1 (ko) 휴대단말기를 통해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0663555B1 (ko) 카메라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데이터 합성방법
KR1007033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촬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78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605996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070037549A (ko) 다기능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입력방법
KR101002864B1 (ko) 슬라이드용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제어방법
JP3120847B2 (ja) 電話装置
JP2001166875A (ja) 情報通信機器
JP2005117164A (ja) 携帯電話端末
KR20050113807A (ko)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쇼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