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869A -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869A
KR20040090869A KR1020030024842A KR20030024842A KR20040090869A KR 20040090869 A KR20040090869 A KR 20040090869A KR 1020030024842 A KR1020030024842 A KR 1020030024842A KR 20030024842 A KR20030024842 A KR 20030024842A KR 20040090869 A KR20040090869 A KR 20040090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terminal
call
called terminal
s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383B1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38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38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의 전화 통화를 담당하는 착신 단말기, 발신 단말기 및 대기 단말기; 착신 단말기, 발신 단말기 및 대기 단말기의 호 처리를 제어하고 이동 통신 부가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교환국을 이용하여 통화중 대기시에 착신 단말기에 저장된 대기음 데이터가 전송되어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발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착신 전화 번호로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이동 교환국은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인 경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그 결과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이동 교환국은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이동 교환국은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진행시키고 동시에 착신 단말기는 송신할 대기음 데이터를 독출한다. 착신 단말기로부터 독출된 대기음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대기 단말기로 송신하면, 대기 단말기는 통화중 대기 상태에서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스피커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 Waiting Ring Service during Call Waiting}
본 발명은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중 대기(Call Waiting) 기능을 보유한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통화중에 제 3의 가입자로부터 착신을 요구받았을 경우에, 착신 단말기 또는 대기음 서비스 서버가 먼저 걸려온 대기 단말기로 대기음 데이터를 송신하고, 먼저 걸려온 대기 단말기는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대기 단말기의 스피커로 대기음을 송출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로서 이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이동 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무선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또는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또는 이미지(Image)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자가 지정한 다양한 음을 상대방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일반 전화기에서 통화 대기음으로 들리도록 하는 통화 대기음(RBT: Ring Back Tone) 서비스 또는 소위 컬러링 통화 대기음(CRBT: Coloring RBT)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통화 대기음 서비스는 착신자가 지정한 통화 대기음을 발신자에게 제공한다는 개념으로, 기존의 통화시 발생하는 기계적인 통화 대기음, 예컨대, "따르릉 따르릉" 소리 대신 최신 가요나 팝송 등은 물론이고 새소리, 물소리 등을 비롯하여 사전에 녹음해 둔 자신의 음성까지도 통화 대기음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서비스이다.
이러한 컬러링 통화 대기음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상대방은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통화 대기음을 청취하는 대신 발신자가 지정한 음원의 소리를 청취함으로써 청각적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컬러링 통화 대기음 서비스와 같은 맥락으로 통화중 대기음 서비스를고려해 볼 수 있다. 종래에는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한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통화 도중 이전의 통화를 잠시 대기시키고 나중에 걸려온 통화를 해야 하는 경우, 대기 상태인 이전의 단말기로 송출되는 음향은 "뚜~뚜"하는 소리 한 가지였다. 이는 전술한 통화 대기음과 같이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음향으로서 통화중 대기자는 상대방이 통화가 끝날 때까지 지루하게 기다려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컬러링 통화 대기음 서비스와 같이 통화중 대기음도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음향이 아닌 다양한 음악 또는 음성 메세지 등을 제공하여 통화중 대기자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화중 대기음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한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가 통화중에 제 3의 가입자로부터 착신을 요구받았을 경우에, 착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대기음이나 대기음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특정 대기음이 이동 통신망을 통해 대기 단말기로 송신되어, 착신자가 이전의 통화로 복귀할 때까지 먼저 걸려온 대기 단말기는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대기 단말기의 스피커로 대기음을 송출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기음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하여 대기음을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기음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대기 단말기 112 : 착신 단말기
120 : 무선 접속망 122 : 기지국 전송기
124 : 기지국 제어기 130 : 이동 교환국
140 : 홈 위치 등록기 150 : 방문자 위치 등록기
210 : 게이트웨이 220 : 인터넷
230 : 대기음 서비스 서버 240 : 음원 데이터베이스
250 :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이동 통신의 전화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착신 단말기, 발신 단말기 및 대기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및 상기 대기 단말기의 호 처리를 제어하고 이동 통신 부가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교환국을 이용하여 통화중 대기시에 상기 착신 단말기에 저장된 대기음 데이터가 전송되어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착신 전화 번호로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교환국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진행시키고 동시에 상기 착신 단말기는 송신할 대기음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e)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독출된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대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대기 단말기는 통화중 대기 상태에서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이동 통신의 전화 통화를 담당하는 착신 단말기, 발신 단말기 및 대기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발신 단말기 및 대기 단말기의 호 처리를 제어하고 이동 통신 부가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교환국을이용하여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대기음 데이터가 전송되어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a) 상기 발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착신 전화 번호로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교환국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진행시키고 동시에 상기 착신 단말기 및 상기 대기 단말기의 각각의 MIN을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각각의 MIN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대기음 데이터를 상기 이동 교환국을 통해 상기 대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g) 상기 대기 단말기는 통화중 대기 상태에서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이동 통신 서비스의 착신 가입자와 대기 가입자가 통화 중인 경우, 발신 가입자가 상기 착신 가입자에게 통화를 요청하여 통화함으로써 상기 대기 가입자가 잠시 통화를 대기하면서 기다릴 때, 착신 단말기에 저장된 대기음 데이터가 전송되어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송출하는 착신 단말기;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스피커로 송출하는 대기 단말기;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대기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접속망 및 이동 교환국;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대기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및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의하면, 이동 통신 서비스의 착신 가입자와 대기 가입자가 통화중인 경우, 발신 가입자가 상기 착신 가입자에게 통화를 요청하여 통화함으로써 상기 대기 가입자가 잠시 통화를 대기하면서 기다릴 때, 서버에 저장된 대기음 데이터가 전송되어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착신 단말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스피커로 송출하는 대기 단말기;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대기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접속망 및 이동 교환국;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대기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및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 홈 위치등록기; 및 상기 대기음 서비스를 위한 웹 사이트를 운영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의 통화가 연결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상기 대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대기음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 시스템(100)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 시스템(100)은 대기 단말기(110), 착신 단말기(112), 발신 단말기(114), 무선 접속망(RAN : Radio Access Network)(120), 이동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0),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40)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5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는 착신 단말기(112)와 대기 단말기(110)의 통화중 발신 단말기(114)에서 착신 단말기(112)로 통화를 요청하여,발신 단말기(114)와 착신 단말기(112)의 통화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착신 단말기(112)에서 전송되는 특정 대기음(음악이나 음성 등)이 대기 단말기(110)의 스피커로 송출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먼저, 대기, 착신 및 발신 단말기(110, 112 및 114)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 단말기(112)는 대기 단말기(110)와 통화중, 발신 단말기(114)의 호 시도(Call Attempt)로 통화가 연결되면 내장되어 있는 소정의 대기음 데이터를 대기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여기서, 호 시도란 발신 단말기(114)의 통화 버튼이 눌려지거나 통화 버튼이 눌려지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키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통화 대기시에 내장된 대기음 데이터가 대기 단말기(110)로 전송되기 위해서는 발신 단말기(114)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되기 이전에 착신 단말기(112)에 특정 대기음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착신 단말기(110)에서 대기음 송출 여부를 설정하는 방법은 착신 단말기(112)의 동작 모드 메뉴를 이용하여 설정하거나, 발신 단말기(114)의 통화 요청 후 착신 단말기(112)의 통화 버튼을 누르기 전에 소정의 '대기음 전송 키버튼'을 누르는 방법 등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착신 단말기(112)에는 대기음 데이터의 송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서, 전송할 대기음 데이터는 음악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가 모두 가능하다. 음악 데이터는 착신 단말기(112)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음악 또는 통신망을통해 다운 받아서 저장된 음악 등이 포함되고, 음성 데이터는 착신 단말기(112)의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또는 통신망을 통해 다운 받아서 저장된 음성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대기음 데이터 중 착신 단말기(112)의 사용자가 선택한 대기음 데이터가 통화중 대기시 대기 단말기(110)에 전송된다.
한편, 대기 단말기(110)는 통화중 대기시에 전송되는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피커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는 대기 단말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대기음 데이터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 단말기(110)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스피커로 송출하는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송되는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스피커로 송출할 수 있는 데이터 송출 기술을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트리밍(Streaming)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스트리밍 기술은 인터넷 상에서 음성 파일, 영상 파일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술로서, 종래 파일 재생 방법에서는 먼저 하드 디스크에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한 후 재생하기 때문에 다운로드가 완료될 때까지는 파일 재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스트리밍 기술에서는 수신 측으로 전송되는 파일의 최초 작은 용량이 전송되면 먼저 전송된 부분을 재생하면서 나머지 부분을 계속 수신하고 또 동시에 재생한다. 또한, 스트리밍 기술에서는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전송되는 파일이 수신 측에 저장되지 않고 일정 부분의 재생이 끝날 때마다 바로 삭제된다.
따라서, 착신 단말기(112)에는 대기 단말기(110)로 전송할 대기음 데이터를스트리밍 대기음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스트리밍 변환 모듈이 내장되어 있고, 대기 단말기(110)에는 스트리밍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바로 스피커로 송출하기 위한 스트리밍 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착신 및 발신 단말기(110, 112 및 114)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무선 접속망(120)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 112 및 114)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 등을 한다. 무선 접속망(120)은 기지국 전송기(122) 및 기지국 제어기(1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 전송기(122)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124)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 전송기(122)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124)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망 및 향후 구현될 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10, 112 및 114)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124)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는 기저 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기지국 전송기(12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하여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달한다.
이동 교환국(1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 A/B/C 시스템의 이동 교환국(130)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세대 및 4세대를 위한 이동 교환국(130)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의 패킷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홈 위치 등록기(140)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50)로부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40)에는 대기, 착신 및 발신 단말기(110, 112 및 114)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 통신 단말기(110, 112 및 114)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50)는 위치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발신 단말기(114)에서 발신의 경우, 착신 단말기(112)로의 착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 교환국(130)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 시스템(200)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착신 단말기(112)에서 대기음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통화중 대기시 소정의 서버에 착신자에 의해 지정 및 저장된 특정 대기음 데이터가 발신 단말기(114)와 착신 단말기(112)의 통화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서버에서 대기 단말기(110)로 전송되어 스피커로 송출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 시스템(200)은 도 1에서 설명한 시스템에 게이트웨이(210), 인터넷(220),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 음원 데이터베이스(240) 및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가 추가로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 2의 통신 장치들 중 도 1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겠다.
착신 단말기(112)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대리점이나 가맹점을 통하여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대기음 서비스를 신청하고, 다양한 대기음 중에서 특정 대기음 데이터를 선택한다. 착신 단말기(112)에 의해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는 착신 단말기(112)의 MIN과 함께 해당 서버에 저장된다.
한편, 착신 단말기(112)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에 접속하여 대기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대기음 서비스 서버(1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브라우저, I-mode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웨이(210)는 현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IWF(Inter Working Function) 변환 기능을 가지며, 셀(Cell) 단위로 직접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의 처리를 써킷(Circuit) 회선과 데이터 회선을 함께 이용하여 셀 단위로 스위칭한다. 게이트웨이(210)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ISND(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B-ISDN(Broad ISDN), IN(Intelligent Network),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의 타 통신망과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게이트웨이(210)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도 포함되는데, WAP 브라우저가 설치된 착신 단말기(112)가 대기음 서비스서버(230)에 접속되기 위해서는 WAP 게이트웨이 및 인터넷(220)을 경유하게 된다. 여기서, WAP 게이트웨이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WAP 프로토콜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 요구를 요청 받아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로 전송한다. 역으로,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로부터의 TCP/IP 프로토콜에 의한 응답 데이터를 받아 WA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단말기(112)의 대기음 서비스 요구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즉,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착신 단말기(112)에게 대기음 선택 기능을 갖는 웹 사이트 화면을 제공하고, 통화중 대기시에 착신자가 선택한 대기음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대기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또한,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사용자가 대기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등과 같은 웹 언어로 구축된 유선 접속용 및 무선 접속용 웹 사이트를 운용한다. 따라서, 가입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대기음을 설정할 때 자신의 통신 단말기의 MIN을 별도로 입력해야 한다. 반면, 가입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MIN을 입력하지 않아도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가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를 자신에게 접속된 통신 단말기의 MIN과 함께 저장한다.
한편, 가입자는 하나의 대기음 데이터를 모든 대기 단말기에 대한 대기음으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각각의 대기 단말기마다 서로 다른 대기음을 지정할 수도 있다. 가입자가 하나의 대기음 데이터에 하나 이상의 대기 단말기를 지정하는 경우,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해당 가입자 단말기의 MIN, 특정 대기음 데이터, 및 지정된 하나 이상의 대기 단말기의 MIN이 계층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
또한,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에는 도 1에서 설명하였듯이 대기 단말기(110)가 수신하는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과 동시에 스피커로 송출할 수 있도록 전송 대상 대기음 데이터를 스트리밍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소정의 스트리밍 변환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 변환 모듈은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 내에 포함되는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와 외부로 연결되는 별도의 스트리밍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데이터별로 대기 단말기(110)를 달리하여 대기음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음원 데이터베이스(24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포맷의 대기음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어 있는 대기음 데이터를 웹 사이트의 소정의 대기음 설정 화면에 등록시켜 가입자의 통신 단말기나 가입자의 컴퓨터로 제공한다. 음원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는 대기음 데이터의 포맷으로는 오디오형의 각종 포맷이 가능한데 예컨대, *.mp3, *.wav, *.mid 등이가능할 것이다. 또한, 음원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는 대기음 파일은 최신 가요, 트로트, 엽기 음악, 클래식, 외국 가요 등의 음악 장르 데이터 또는 새소리, 물소리, 기차소리 등과 같은 자연의 소리 데이터 또는 가수나 영화배우 등의 음성 데이터 등의 다양한 기준에 의해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기본 신상정보, MIN 및 가입자가 설정한 대기음 데이터의 정보(데이터 명칭, 데이터 경로, 데이터 크기 등)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특정 대기음마다 다른 대기 단말기(110)가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대기음별로 설정된 대기 단말기(110)의 MIN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음원 데이터베이스(240) 및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또는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또는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또는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Elements)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충분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 통신 단말기가 대기 및 착신단말기(110 및 112)로 분리되어 예시되고 설명되지만, 대기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12)는 이동 통신망에 대하여 대기음 설정 서비스를 신청하고, 통화중 대기를 요청하는 역할이 바뀜에 따라 각기 대기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로 그 입장이 바뀔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112)를 이용하여 대기음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착신 단말기(112)를 이용하여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에 접속한 사용자는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화면에서 대기음 서비스를 선택하여 3A와 같은 초기 화면을 제공받는다. 사용자는 3A 화면에서 자신이 원하는 대기음, 예컨대, '2. 인기 가요 대기음'을 선택한다. 그러면, 착신 단말기(112)에는 3B와 같은 인기 가요 대기음 데이터의 목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역시 특정 대기음, 예컨대, '1. 그랬나봐'를 선택한다. 여기서, 도 3에는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사용자가 특정 대기음을 선택하면 선택된 대기음을 설정하기 전에 미리 들어볼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3B에서 특정 대기음을 선택하면 선택된 대기음을 모든 대기자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것인지, 대기자를 별도로 지정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도 3C의 예시 화면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도 3C에서 '2. 대기자 지정'을 선택하면 선택된 대기음이 사용될 대기 단말기(11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3D와 같은 예시 화면이 제공된다. 3D 화면에서 착신 단말기(112)의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대기 단말기(11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 등을 누르면 입력된 전화번호로 선택된대기음이 설정되고, 해당 사실을 알려주는 도 3E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도 3에서 설명한 각 화면은 하나의 예시 화면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를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하여 대기음을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자신만의 특별한 대기음을 상대방에게 들려주고 싶은 사용자는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에서 운용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 사용자는 접속한 웹 사이트의 초기 화면에서 대기음 서비스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도 4와 같은 대기음 설정 화면(400)을 제공받는다.
사용자는 대기음 설정 화면(400)에서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MIN 및/또는 유선 전화번호를 자신의 전화번호 입력부(410)에 입력한다. 그리고, 자신이 선택할 대기음을 전송 받을 대기 단말기의 MIN을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부(420)에 입력한다. 그런 다음, 대기 단말기의 MIN별로 각각 특정 대기음을 대기음 선택부(430)에서 선택한다.
물론, 도 4에서는 대기 단말기의 MIN을 입력한 후 대기음을 선택하는 걸로 도시되어 있지만, 역으로 대기음 선택을 먼저 하고 선택된 대기음에 따라 대기 단말기의 MIN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대기음 확인 버튼(440)을 클릭하여 자신이 선택한 대기음이 어떤 대기음인지를 바로 확인하고 대기음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여 대기음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대기음 전송 기능을 갖는 발신 단말기(114)로 착신 단말기(112)의 전화번호가 입력되거나 선택되어 호 시도가 발생한다(S500).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단말기(112)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502), 통화중인 경우 착신 단말기(112)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4).
착신 단말기(112)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단말기(112)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6). 여기서, 통화 연결과 관련된 신호의 입력이란 통화중에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눌러서 통화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단말기(112)와 발신 단말기(114)간의 통화를 진행시키고, 동시에 착신 단말기(1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대기음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장치를 검색하여 대기음으로 설정된 대기음 데이터를 독출한다(S508).
착신 단말기(1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독출한 대기음 데이터를 스트리밍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스트리밍 변환 장치(미도시)로 전달한다(S510).
스트리밍 변환 장치는 전달받은 대기음 데이터를 스트리밍 데이터로 변환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변환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파 공간으로 송출한다(S512).
착신 단말기(112)로부터 송출된 대기음 데이터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대기단말기(110)로 전송되고, 대기 단말기(110)는 수신 중인 대기음 데이터를 스피커로 송출하기 시작한다(S514).
착신 단말기(1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통화가 복귀되는지를 판단하여(S516) , 그 결과 통화가 복귀되었다고 판단되면 대기음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한다(S518).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기(112)를 이용하여 대기음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기음을 설정하고자 하는 가입자는 착신 단말기(112)에 설치된 WAP 브라우저 등과 같은 모바일용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에 접속한다(S600).
가입자는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착신 단말기(112)를 통해 모니터링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설정 컨텐츠를 선택한다(S602).
가입자는 단계 S602에서 선택한 대기음 설정 컨텐츠에 따른 대기음 설정 화면을 착신 단말기(112)를 통해 제공받고, 키 버튼 등을 조작하여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여 미리 듣기를 수행한다(S604).
가입자는 하나 이상의 대기음 데이터를 선택하고 미리 듣기를 수행하여 자신이 원하는 대기음 데이터를 대기음으로 결정한다(S606).
단계 S606에서 착신 단말기(112)로부터 대기음 결정과 관련된 키 값을 전달받은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대기자 지정 화면을 착신 단말기(112)에 제공한다(S608).
착신 단말기(112)를 통해 대기자 지정 화면을 제공받은 가입자는 대기자를 개별적으로 지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소정의 키 값을 착신 단말기(112)로 입력하고, 착신 단말기(112)는 입력된 키 값을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로 전송한다(S610).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착신 단말기(112)로부터 전송되는 키 값을 수신하여 대기자 개별 지정과 관련된 키 값이 전송되는지를 판단한다(S612).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단계 S612에서 대기자 개별 지정과 관련된 키 값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대기 단말기(110)의 MIN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착신 단말기(112)에 제공하고, 가입자에 의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대기 단말기(110)의 MIN을 착신 단말기(112)로부터 전달받는다(S614).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착신 단말기(112)에 의해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 및 수신한 대기 단말기(110)의 MIN을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S616).
만약, 단계 S612의 판단 결과 대기자 개별 지정과 관련된 키 값이 아닌 대기자 모두 지정과 관련된 키 값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착신 단말기(112)에 의해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를 모든 대기 단말기(110)에 대한 기본 대기음 데이터로 설정하여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S618).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대기음 전송 기능을 갖는 발신 단말기(114)로 착신 단말기(112)의 전화번호가 입력되거나 선택되어 호 시도가 발생한다(S700).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단말기(112)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702), 통화중인 경우 착신 단말기(112)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4).
착신 단말기(112)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단말기(112)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6). 여기서, 통화 연결과 관련된 신호의 입력이란 통화중에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눌러서 통화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면, 이동 교환국(130)은 홈 위치 등록기(140)를 검색하여 착신 단말기(112)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S708).
이동 교환국(130)은 단계 S708의 판단 결과 착신 단말기(112)가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라고 판단되면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단말기(112)와 발신 단말기(114)간의 통화를 진행시키고, 동시에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로 대기 및 착신 단말기(110 및 112)의 MIN을 전송한다(S710).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수신한 대기 및 착신 단말기(110 및 112)의 MIN을 이용하여 대기 단말기(110)에 설정된 대기음 데이터를 확인하여 이동 교환국(130)으로 대기음 데이터를 전송한다(S712). 물론,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에서 전송되는 대기음 데이터는 스트리밍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이다.
이동 교환국(130)은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로부터 전송되는 대기음 데이터를 대기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714).
대기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 중인 대기음 데이터를 스피커로 송출하기 시작한다(S716).
착신 단말기(1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통화가 복귀되는지를 판단하여(S718) , 그 결과 통화가 복귀되었다고 판단되면 통화 복귀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로 전송한다(S720).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단말기(112)가 송출한 통화 복귀 신호를 수신하는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대기음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한다(S722).
만약, 대기음 서비스 서버(230)는 단계 S708에서 착신 단말기(112)가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대기음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며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단말기(112)와 발신 단말기(114)간의 통화를 진행시키고 일반 대기음이 대기 단말기(110)의 스피커로 송출된다(S72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컬러링 통화 대기음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을 기다리는 동안 발신자에게 청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통화 대기 도중 잠시 기다리는 동안 상대방이 설정해둔 음악 또는 음성 메세지를 들음으로써 대기자의 지루함을 해소함으로써 청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착신자는 자신만의 고유한 대기음을 다수의 대기자별로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어 자신만의 독특하고 개성 있는 대기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 입장에서는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가입자가 대기음을 타 가입자에게 선물하는 등의 새로운 부가 서비스 개발을 통해 고객들의 이동통신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9)

  1. 이동 통신의 전화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착신 단말기, 발신 단말기 및 대기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대기 단말기의 호 처리를 제어하고 이동 통신 부가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교환국을 이용하여 통화중 대기시에 상기 착신 단말기에 저장된 대기음 데이터가 전송되어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착신 전화 번호로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교환국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진행시키고 동시에 상기 착신 단말기는 송신할 대기음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e)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독출된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대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대기 단말기는 통화중 대기 상태에서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는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대기 단말기의 통화중 상기 발신 단말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통화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송신할 대기음 데이터는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되기 이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스트리밍 포맷의 스트리밍 대기음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는 상기 통화중 대기를 시도할 때마다 상기 대기음 데이터의 송출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소정의 키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는 상기 통화중 대기를 시도할 때마다 상기 대기음 데이터의 송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단말기에는 상기 스트리밍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바로 스피커로 송출하기 위한 스트리밍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대기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데이터는 음악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데이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음악 및 통신망을 통해 다운 받아서 저장되어 있는 음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및 통신망을 통해 다운 받아서 저장되어 있는 음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이동 통신의 전화 통화를 담당하는 착신 단말기, 발신 단말기 및 대기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발신 단말기 및 대기 단말기의 호 처리를 제어하고 이동통신 부가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교환국을 이용하여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대기음 데이터가 전송되어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a) 상기 발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착신 전화 번호로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교환국이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간의 통화를 진행시키고 동시에 상기 착신 단말기 및 상기 대기 단말기의 각각의 MIN을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각각의 MIN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대기음 데이터를 상기 이동 교환국을 통해 상기 대기 단말기로송신하는 단계; 및
    (g) 상기 대기 단말기는 통화중 대기 상태에서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는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대기 단말기의 통화중 상기 발신 단말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통화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에의 가입 여부는 상기 이동 교환국이 홈 위치 등록기에 저장된 상기 발신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 가입은 컴퓨터 및/또는 상기 착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는 상기 대기음 서비스 가입시 상기 컴퓨터 및/또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의해 특정 대기음 데이터가 선택되면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를 재생하여 들려주는 미리 듣기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는 서비스 가입 단계에서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에 대해 대기 단말기 개별 지정과 대기 단말기 모두 지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단말기 개별 지정은 상기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별로 하나 이상의 대기 단말기의 MIN을 입력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단말기 모두 지정은 상기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를 모든 대기 단말기에 대한 기본 대기음으로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는 자신과 연동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착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대기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파악 및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는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스트리밍 포맷인 스트리밍 대기음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대기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정의 무선 인터넷 접속용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및 I-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의 신청은 유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로 수행할 수 있되, 상기 컴퓨터는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가 운용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로 구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대기음 서비스를 신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대기음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신상 정보, 가입자별로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 및 상기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별로 설정된 대기 단말기의 MIN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에는 음악 데이터 정보 및 음성 데이터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단말기에는 상기 스트리밍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바로 스피커로 송출하기 위한 스트리밍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9. 이동 통신 서비스의 착신 가입자와 대기 가입자가 통화 중인 경우, 발신 가입자가 상기 착신 가입자에게 통화를 요청하여 통화함으로써 상기 대기 가입자가 잠시 통화를 대기하면서 기다릴 때, 착신 단말기에 저장된 대기음 데이터가 전송되어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송출하는 착신 단말기;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스피커로 송출하는 대기 단말기;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대기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접속망 및 이동 교환국;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대기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및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 홈 위치 등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는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대기 단말기의 통화중 상기 발신 단말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통화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스트리밍 포맷의 스트리밍 대기음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는 상기 통화중 대기를 시도할 때마다 상기 대기음 데이터의 송출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소정의 키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는 상기 통화중 대기를 시도할 때마다 상기 대기음 데이터의 송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단말기에는 상기 스트리밍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바로 스피커로 송출하기 위한 스트리밍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대기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6.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데이터는 음악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데이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음악 및 통신망을 통해 다운 받아서 저장되어 있는 음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 및 통신망을 통해 다운 받아서 저장되어 있는 음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9. 이동 통신 서비스의 착신 가입자와 대기 가입자가 통화중인 경우, 발신 가입자가 상기 착신 가입자에게 통화를 요청하여 통화함으로써 상기 대기 가입자가 잠시 통화를 대기하면서 기다릴 때, 서버에 저장된 대기음 데이터가 전송되어 대기음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착신 단말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스피커로 송출하는 대기 단말기;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대기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접속망 및 이동 교환국;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대기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및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교환국과 연결되어 IWF 변환 기능을 하며, 셀(Cell) 단위로 직접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대기음 서비스를 위한 웹 사이트를 운영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의 통화가 연결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상기 대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대기음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는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대기 단말기의 통화중 상기발신 단말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의 통화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는 상기 대기음 서비스 가입시 상기 컴퓨터 및/또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의해 특정 대기음 데이터가 선택되면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를 재생하여 들려주는 미리 듣기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는 자신과 연동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착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대기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파악 및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3.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는 상기 대기음 데이터를 스트리밍 포맷인 스트리밍 대기음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4.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대기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5.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정의 무선 인터넷 접속용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및 I-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7.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음 서비스 서버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대기음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음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대기음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신상 정보, 가입자별로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 및 상기 선택된 대기음 데이터별로 설정된 대기 단말기의 MIN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데이터베이스에는 음악 데이터 정보 및 음성 데이터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9.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단말기에는 상기 스트리밍 대기음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바로 스피커로 송출하기 위한 스트리밍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03-0024842A 2003-04-18 2003-04-18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50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842A KR100504383B1 (ko) 2003-04-18 2003-04-18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842A KR100504383B1 (ko) 2003-04-18 2003-04-18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869A true KR20040090869A (ko) 2004-10-27
KR100504383B1 KR100504383B1 (ko) 2005-07-28

Family

ID=3737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8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4383B1 (ko) 2003-04-18 2003-04-18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3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712B1 (ko) * 2005-08-10 2007-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중 대기 유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7071148A1 (fr) * 2005-12-20 2007-06-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ème et procédé permettant d'établir des informations de rappel automatique personnalisées
KR100771107B1 (ko) * 2005-09-30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장치 및 방법
RU2424630C1 (ru) * 2007-03-22 2011-07-20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оигрывания сигнала контроля посылки вызова, регистр домашних абонентов и центр коммутаци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712B1 (ko) * 2005-08-10 2007-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중 대기 유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71107B1 (ko) * 2005-09-30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화중 대기장치 및 방법
WO2007071148A1 (fr) * 2005-12-20 2007-06-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ème et procédé permettant d'établir des informations de rappel automatique personnalisées
RU2424630C1 (ru) * 2007-03-22 2011-07-20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оигрывания сигнала контроля посылки вызова, регистр домашних абонентов и центр коммутаци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383B1 (ko)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9439B (zh) 用于多媒体回铃音服务的终端以及用于控制终端的方法
EP1692892B1 (en) Method for setting substitute ringback tone of calling party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646376B1 (ko) 발신측 교환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856B1 (ko) 착신측 교환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494155B1 (ko)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504383B1 (ko)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60848B1 (ko) 발신자 설정 동영상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73182B1 (ko) 전화 통화시 아바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95265B1 (ko) 착신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46398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92375B1 (ko) 추가 통화 연결음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50028180A (ko) 통화가 종료되면 종료음을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73243B1 (ko) 착신자가 설정한 통화연결음 제공 상태에서 발신자가 설정한 통화 연결음으로의 변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36405B1 (ko) Svd 기능을 활용한 컬러링 플러스 소망 상자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41190B1 (ko) 착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되는 인트로 메시지 제공 방법
KR100814768B1 (ko) 통화대기음 연속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10151B1 (ko) 통화 대기음 서비스 방법
KR20070006007A (ko) 발신자에 의한 착신 전화의 컬러링 음악 등록 방법 및시스템
KR100723697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과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84205B1 (ko) 통화 연결음 및 착신음 통합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70028139A (ko) 컬러링 음원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9577A (ko) 통화 연결음이 발생되는 기간 동안 이동 통신 단말기에이미지 컬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6635A (ko) 발신자가 선택 가능한 벨소리 설정 시스템
KR20070028654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50075563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자기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