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155B1 -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155B1
KR100494155B1 KR20030017876A KR20030017876A KR100494155B1 KR 100494155 B1 KR100494155 B1 KR 100494155B1 KR 20030017876 A KR20030017876 A KR 20030017876A KR 20030017876 A KR20030017876 A KR 20030017876A KR 100494155 B1 KR100494155 B1 KR 10049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ingtone
ring
serv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1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275A (ko
Inventor
이상연
김형섭
조태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1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1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155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벨소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화로가 설정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송출하는 발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접속망 및 이동 교환국; 및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및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는 자신만의 고유한 착신 전화벨을 착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고, 착신자는 발신자별로 각기 다른 착신 벨소리를 청취할 수 있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Description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hone Bell Service on Received Mobile Phone by Sender}
본 발명은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자가 착신 통신 단말기로 호 시도를 수행하면 발신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벨소리나 벨소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발신자의 특정 벨소리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통신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착신자가 호출에 응답하기 전까지 전송 벨소리가 재생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 사이에서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이다. 나아가, 최근에는 장소의 제약 없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이동 통신 서비스의 가입자들은 무선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하여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예컨대, 뉴스, 날씨, 스포츠, 증권, 환율, 교통 정보 등을 문자, 음성, 이미지(Image) 등의 각종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자가 지정한 다양한 음을 상대방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일반 전화기에서 통화 대기음으로 들리도록 하는 통화 대기음(RBT: Ring Back Tone) 서비스 또는 소위 컬러링 통화 대기음(CRBT: Coloring RBT)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통화 대기음 서비스는 착신자가 지정한 벨소리 발신자에게 제공한다는 서비스 개념으로, 기존의 통화시 발생하는 기계적인 통화 대기음, 예컨대, "따르릉 따르릉" 소리 대신 최신 가요나 팝송 등은 물론이고 새소리, 물소리 등을 비롯하여 사전에 녹음해 둔 자신의 목소리까지도 통화 대기음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서비스이다.
이러한 통화 대기음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상대방은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통화 대기음을 청취하는 대신 발신자가 지정한 음원의 소리를 청취함으로써 청각적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컬러링 통화 대기음 서비스는 발신자에게만 청각적인 만족감을 제공할 뿐 착신자는 단말기 제조시 셋팅되어 있는 벨소리 혹은 자신이 설정한 벨소리 소리만 듣게 된다. 예컨대, 착신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원래 저장되어 있던 제한된 전화 벨소리에서 특정 전화 벨소리를 선택하거나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로부터 특정 전화 벨소리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내려받아 전화 벨소리를 변경할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착신자가 전화 벨소리를 변경하더라도 변경된 하나의 전화 벨소리만을 청취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 기술의 향상과 통신망의 고속화가 진전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비교적 큰 용량의 벨소리나 동영상 파일 등의 원활한 전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차별되게 자신을 나타낼 수 있는 서비스를 점점 더 요구하고 있는데, 앞에서 설명한 통화 대기음 서비스도 사람들간의 차별 욕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대기음 서비스가 특정 착신자를 다른 착신자들과 차별되게 하는 서비스라고 본다면, 특정 발신자를 다른 발신자들과 차별되게 하는 서비스는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에서 착신자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발신자 정보 표시(CID : Caller Identification Display) 서비스가 제공되고는 있다. 하지만,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는 단지 착신자가 발신자를 확인하게 해 주어 장난, 음란전화 및 폭력전화의 방지, 부재 중 걸려온 전화 등을 확인하게 할 뿐 발신자를 다른 발신자들과 차별 짓는 서비스는 결코 아니다.
따라서, 특정 발신자를 다른 발신자들과 차별 짓게 하면서 동시에 착신자에게 자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인식시키고, 청각적인 기쁨까지도 줄 수 있는 발신자 제공 벨소리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신자가 착신 통신 단말기로 호 시도를 수행하면 발신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벨소리나 벨소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발신자의 특정 벨소리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통신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착신자가 호출에 응답하기 전까지 전송 벨소리가 재생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설정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전화를 할 때 발신 단말기에 저장된 벨소리 데이터가 전송되어 착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화로가 설정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송출하는 발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접속망 및 이동 교환국; 및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및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 홈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전화를 할 때 서버에 저장된 벨소리 파일이 전송되어 착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신청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와 통화로가 형성된 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벨소리 파일을 송수신하는 무선 접속망 및 이동 교환국;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및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교환국과 연결되어 IWF 변환 기능과 셀 단위로 직접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위한 웹사이트를 운용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간에 통화로가 설정되면 상기 착신 단말기에 설정된 벨소리 파일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벨소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전화를 할 때 발신 단말기에 저장된 벨소리 데이터가 전송되어 착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발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b) 이동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 및 이동 교환국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가 설정되는 단계; (c) 상기 발신 단말기는 자신이 전화 벨소리 전송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전송할 벨소리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d)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단계; (f) 상기 착신 단말기는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통화 연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통화 연결 신호를 수신한 상기 발신 단말기는 상기 벨소리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의하면,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전화를 할 때 벨소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벨소리 파일이 전송되어 착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발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b) 이동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 및 이동 교환국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가 설정되는 단계; (c) 이동 교환국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각각의 MIN을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각각의 MIN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벨소리 파일을 상기 이동 교환국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단계; (f) 상기 착신 단말기는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통화 연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교환국을 통해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통화 연결 신호를 수신한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벨소리 파일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100)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100)은 발신 통신 단말기(110), 착신 통신 단말기(112), 무선 접속망(RAN : Radio Access Network)(120), 이동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0),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40)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5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는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서 상대방인 착신 통신 단말기(112)로 통화를 요청한 후 통화 대기음이 발생하기 전부터 통화 대기음이 발생하는 기간 동안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서 전송되는 특정 전화 벨소리(음악이나 음성 등)가 착신 통신 단말기(112)에 재생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먼저, 발신 및 착신 통신 단말기(110 및 112)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 통신 단말기(110)는 착신 통신 단말기(112)로 호 시도(Call Attempt)를 요청하여 착신 통신 단말기(112)와 통화로가 설정된 후 내장되어 있는 소정의 벨소리 데이터를 착신 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여기서, 호 시도란 발신 통신 단말기(110)의 통화 버튼이 눌려지거나 통화 버튼이 눌려지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키입력을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발신 통신 단말기(110)가 호 시도를 수행할 때, 내장된 벨소리 데이터가 착신 통신 단말기(112)로 전송되기 위해서는 호 시도 이전에 발신 통신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가 예컨대, '벨소리 전송 모드'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사용자가 발신 통신 단말기(110)를 벨소리 전송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은 발신 통신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 변경 메뉴를 이용하여 모드를 변경하거나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전이나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 버튼을 누르기 전에 소정의 '벨소리 전송 키버튼'을 누르는 방법 등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착신 통신 단말기(110)는 착신 통신 단말기(112)와 통화로가 설정된 후 전송되는 벨소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는 착신 통신 단말기(112)에 저장되어 있는 벨소리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착신 통신 단말기(112)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재생하는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송 및 재생되는 벨소리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수취단에서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 재생 기술을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트리밍(Streaming)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스트리밍 기술은 인터넷 상에서 음성 파일, 영상 파일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술로서, 종래 파일 재생 방법은 먼저 하드디스크에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한 후 재생하기 때문에 다운로드가 완료될 때까지는 파일 재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스트리밍 기술에서는 수신 측으로 전송되는 파일의 최초 작은 용량이 전송되면 먼저 전송된 부분을 재생하면서 나머지 부분을 계속 수신하고 또 재생한다. 또한, 스트리밍 기술에서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전송되는 파일이 수신 측에 저장되지 않고 일정 부분의 재생이 끝날 때마다 바로 삭제된다.
따라서,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는 착신 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할 벨소리 데이터를 스트리밍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스트리밍 변환 모듈이 내장되어 있고, 착신 통신 단말기(112)에는 수신되는 스트리밍 벨소리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트리밍 재상 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및 착신 통신 단말기(110 및 112)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무선 접속망(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 등을 한다. 무선 접속망(120)은 기지국 전송기(122) 및 기지국 제어기(1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 전송기(122)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124)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 전송기(122)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124)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망 및 향후 구현될 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124)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는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기지국 전송기(12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하여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 교환국(130)으로 전달한다.
이동 교환국(1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 A/B/C 시스템의 이동 교환국(130)은 분산된 호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세대 및 4세대를 위한 이동 교환국(130)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의 패킷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홈 위치 등록기(140)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50)로부터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40)에는 발신 및 착신 통신 단말기(110 및 112)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따라서, 발신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착신 통신 단말기(112)로의 호 시도가 발생하면 이동 교환국(130)은 홈 위치 등록기(140)로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MIN 정보를 넘겨주어 착신 통신 단말기(112)가 어느 이동 교환국의 관할 영역에 있는지, 어느 무선 기지국의 관할 영역에 있는지를 파악하여 호 설정 작업을 수행한다. 만약, 이동 교환국(130)은 착신 통신 단말기(112)가 다른 이동 교환국이 관할하는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이동 통신 교환국으로 호 시도 정보를 전송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50)는 위치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서 발신의 경우, 착신 통신 단말기(112)로의 착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이동 교환국(130)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200)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서 벨소리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발신 통신 단말기(110)와 착신 통신 단말기(112) 사이에 통화로가 설정된 후 소정의 서버에 발신자에 의해 지정 및 저장된 특정 벨소리 데이터가 통화 대기음이 발생하기 전부터 통화 대기음이 발생하는 기간 동안 서버에서 착신 통신 단말기(112)로 전송되어 재생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200)은 도 1에서 설명한 시스템에 게이트웨이(210), 인터넷(220),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 음원 데이터베이스(240) 및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가 추가로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 2의 통신 장치들 중 도 1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겠다.
발신 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대리점이나 가맹점을 통하여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신청하고, 다양한 전화 벨소리 중에서 특정 전화 벨소리 파일을 선택한다.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 의해 선택된 전화 벨소리 파일은 발신 통신 단말기(110)의 MIN과 함께 해당 서버에 저장된다.
한편, 발신 통신 단말기(110)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에 접속하여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벨소리 서비스 서버(1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브라우저, I-mode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웨이(210)는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IWF(Inter Working Function) 변환 기능과 셀(Cell) 단위로 직접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의 처리를 써킷(Circuit) 회선과 데이터 회선을 함께 셀 단위로 스위칭한다. 게이트웨이(210)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ISND(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B-ISDN(Broad ISDN), IN(Intelligent Network),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의 타통신망과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게이트웨이(140)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도 포함되는데, WAP 브라우저가 설치된 발신 통신 단말기(110)가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에 접속되기 위해서는 WAP 게이트웨이 및 인터넷(220)을 경유하게 된다. 여기서, WAP 게이트웨이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WAP 프로토콜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 요구를 요청 받아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로 전송한다. 역으로,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로부터의 TCP/IP 프로토콜에 의한 응답 데이터를 받아 WA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발신 통신 단말기(110)의 전화 벨소리 서비스 요구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즉,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게 전화 벨소리 선택 기능을 갖는 웹사이트 화면을 제공하고,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 의해 호 시도가 발생하면 발신자가 선택한 전화 벨소리 파일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발신자가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등과 같은 웹언어로 구축된 유선 접속용 및 무선 접속용 웹사이트를 운용한다. 따라서, 발신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화 벨소리를 설정할 때 자신의 통신 단말기의 MIN을 별도로 입력해야 한다. 반면,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MIN을 입력하지 않아도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가 선택된 벨소리 파일을 자신에게 접속된 발신 통신 단말기의 MIN과 함께 저장한다.
한편, 발신자는 하나의 벨소리 파일을 모든 착신 통신 단말기에 대한 착신 벨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각각의 착신 통신 단말기마다 서로 다른 착신 벨을 지정할 수도 있다. 발신자가 하나의 벨소리 파일에 하나 이상의 착신 통신 단말기를 지정하는 경우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해당 발신 통신 단말기의 MIN 아래에 특정 벨소리 파일 아래에 지정된 하나 이상의 착신 통신 단말기의 MIN이 계층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형태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
또한,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에는 도 1에서 설명하였듯이 착신 통신 단말기(112)가 수신하는 벨소리 파일을 수신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전송 대상 벨소리 파일을 스트리밍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소정의 스트리밍 변환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 변환 모듈은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 내에 포함되는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와 외부로 연결되는 별도의 스트리밍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소리 파일별로 착신 통신 단말기(112)를 달리하여 착신 전화벨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음원 데이터베이스(24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포맷의 벨소리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음원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 벨소리 파일을 웹사이트의 소정의 전화 벨소리 설정 화면에 등록시켜 발신 통신 단말기(110)나 발신자 컴퓨터로 제공한다. 음원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는 벨소리 파일의 포맷으로는 오디오형의 각종 포맷이 가능한데 예컨대, *.mp3, *.wav, *.mid 등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음원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는 벨소리 파일은 최신 가요, 트로트, 엽기 음악, 클래식, 외국 가요 등의 음악 장르별, 새소리, 물소리, 기차소리 등과 같은 자연의 소리, 가수나 영화배우 등의 음성별 등의 다양한 기준에 의해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기본 신상정보, MIN 및 가입자가 설정한 전화 벨소리 파일의 정보(파일 명칭, 파일 경로, 파일 크기 등)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특정 전화 벨소리마다 다른 착신 통신 단말기(112)가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전화 벨소리별로 설정된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MIN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음원 데이터베이스(240) 및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Elements)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충분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 통신 단말기가 발신 및 착신 통신 단말기(110 및 112)로 분리되어 예시되고 설명되지만, 발신 통신 단말기(110)와 착신 통신 단말기(112)는 이동 통신망에 대하여 전화 벨소리 설정 서비스를 신청하고,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역할이 바뀜에 따라 각기 착신 통신 단말기와 발신 통신 단말기로 그 입장이 바뀔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발신 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착신 전화 벨소리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발신 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에 접속한 사용자는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 화면에서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선택하여 3A와 같은 초기 화면을 제공받는다. 사용자는 3A 화면에서 자신이 원하는 벨소리, 예컨대, '4. 자연 벨소리'를 선택한다. 그러면,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는 3B와 같은 자연 벨소리 파일의 목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역시 특정 벨소리, 예컨대, '1. 새 소리'를 선택한다. 여기서, 도 3에는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사용자가 특정 벨소리를 선택하면 선택된 벨소리를 착신 전화 벨소리로 설정하기 전에 미리 들어볼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3B에서 특정 전화 벨소리를 선택하면 선택된 전화 벨소리를 모든 착신자에게 동일하게 적용할 것인지, 착신자를 별도로 지정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도 3C의 예시 화면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도 3C에서 '2. 착신자 지정'을 선택하면 선택된 벨소리가 착신 전화 벨소리로 사용될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3D와 같은 예시 화면이 제공된다. 3D 화면에서 발신 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 등을 누르면 입력된 전화번호로 선택된 벨소리가 착신 전화 벨소리로 설정되고, 해당 사실을 알려주는 도 3E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도 3에서 설명한 각 화면은 하나의 예시 화면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하여 착신 전화 벨소리를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자신만의 특별한 착신 전화 벨소리를 상대방에게 들려주고 싶은 사용자는 컴퓨터에 설치된 소정의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에서 운용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사용자는 접속한 웹사이트의 초기 화면에서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도 4와 같은 전화 벨소리 설정 화면(400)을 제공받는다.
사용자는 전화 벨소리 설정 화면(400)에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 및/또는 유선 전화번호를 발신자 전화번호 입력부(410)에 입력한다. 그리고, 자신이 선택할 착신 전화 벨소리를 전송 받을 착신 통신 단말기의 MIN을 착신자 전화번호 입력부(420)에 입력한다. 그런 다음, 착신 통신 단말기의 MIN별로 각각 특정 벨소리를 벨소리 선택부(430)에서 선택한다.
물론, 도 4에서는 착신 통신 단말기의 MIN을 입력한 후 착신 벨소리를 선택하는 걸로 도시되어 있지만, 역으로 착신 벨소리 선택을 먼저 하고 선택된 벨소리에 따라 착신 통신 단말기의 MIN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벨소리 확인 버튼(440)을 클릭하여 자신이 선택한 벨소리가 어떤 벨소리인지를 바로 확인하고 벨소리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여 벨소리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전화 벨소리 전송 기능을 갖는 발신 통신 단말기(110)로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전화번호가 입력되거나 선택되어 호 시도가 발생한다(S500).
발신자에 의해 호 시도가 요청되면 발신 통신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통신 단말기(112)와의 호 설정을 요청하여 통화로를 설정한다(S502).
착신 통신 단말기(112)와의 통화로 설정이 완료되면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미도시)는 발신 통신 단말기(110)가 전화벨 전송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504).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발신 통신 단말기(110)가 전화벨 전송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벨소리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장치를 검색하여 착신 벨소리로 설정된 벨소리 데이터를 독출한다(S506).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독출한 벨소리 데이터를 스트리밍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스트리밍 변환 장치(미도시)로 전달한다(S508).
스트리밍 변환 장치는 전달받은 벨소리 데이터를 스트리밍 데이터로 변환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변환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파 공간으로 송출한다(S510).
발신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송출된 벨소리 데이터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통신 단말기(112)로 전송되고, 착신 통신 단말기(112)는 수신 중인 벨소리 데이터를 재생하기 시작한다(S512).
벨소리를 재생 중인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S514). 여기서, 통화 연결과 관련된 신호의 입력이란 플립(Flip)형 단말기의 경우에는 닫혀 있던 플립이 열려지면서 통화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고, 폴더(Folder)형 단말기의 경우에는 접혀 있는 송화단과 수화단이 일정한 간격 이상으로 벌어지면서 통화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단계 S514의 판단 결과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통화 연결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발신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516).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통신 단말기(112)가 송출한 통화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벨소리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한다(S518).
만약, 발신 통신 단말기(1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단계 S504에서 발신 통신 단말기(110)가 전화벨 전송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벨소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며, 착신 통신 단말기(112)는 발신 통신 단말기(110)와 통화로가 설정되면 내장된 벨소리를 재생한다(S520).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발신 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착신 전화 벨소리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 전화 벨소리를 설정하고자 하는 발신자는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 설치된 WAP 브라우저 등과 같은 모바일용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에 접속한다(S600).
발신자는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발신 통신 단말기(110)를 통해 모니터링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설정 컨텐츠를 선택한다(S602).
발신자는 단계 S602에서 선택한 착신 전화 벨소리 설정 컨텐츠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설정 화면을 발신 통신 단말기(110)를 통해 제공받고, 키버튼 등을 조작하여 특정 벨소리 파일을 선택하여 미리 듣기를 수행한다(S604).
발신자는 하나 이상의 벨소리 파일을 선택 및 미리 듣기를 수행하여 자신이 원하는 벨소리 파일을 착신 벨소리로 결정한다(S606).
단계 S606에서 발신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착신 벨소리 결정과 관련된 키 값을 전달받은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착신자 지정 화면을 발신 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한다(S608).
발신 통신 단말기(110)를 통해 착신자 지정 화면을 제공받은 사용자는 착신자를 개별적으로 지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소정의 키 값을 발신 통신 단말기(110)로 입력하고, 발신 통신 단말기(110)는 입력된 키 값을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로 전송한다(S610).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발신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키 값을 수신하여 착신자 개별 지정과 관련된 키 값이 전송되는지를 판단한다(S612).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단계 S612에서 착신자 개별 지정과 관련된 키 값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MIN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 제공하고, 발신자에 의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MIN을 발신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전달받는다(S614).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 의해 선택된 벨소리 파일 및 수신한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MIN을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S616).
만약, 단계 S612의 판단 결과 착신자 개별 지정과 관련된 키 값이 아닌 착신자 모두 지정과 관련된 키 값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발신 통신 단말기(110)에 의해 선택된 벨소리 파일을 모든 착신 통신 단말기(112)에 대한 기본 착신 벨소리 파일로 설정하여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S618).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발신 통신 단말기(110)로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전화번호가 입력되거나 선택되어 호 시도가 발생한다(S700).
발신자에 의해 호 시도가 요청되면 발신 통신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통신 단말기(112)와의 호 설정을 요청하여 통화로를 설정한다(S702).
발신 통신 단말기(110)와 착신 통신 단말기(112) 사이에 통화로가 설정되면 이동 교환국(130)은 홈 위치 등록기(140)를 검색하여 발신 통신 단말기(11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인지를 판단한다(S704).
이동 교환국(130)은 단계 S704의 판단 결과 발신 통신 단말기(110)가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라고 판단되면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로 발신 및 착신 통신 단말기(110 및 112)의 MIN을 전송한다(S706).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수신한 발신 및 착신 통신 단말기(110 및 112)의 MIN을 이용하여 착신 통신 단말기(112)에 설정된 착신 벨소리 파일을 확인하여 이동 교환국(130)으로 착신 벨소리 파일을 전송한다(S708). 물론,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에서 전송되는 착신 벨소리 파일은 스트리밍 데이터로 변환된 벨소리 파일이다.
이동 교환국(130)은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로부터 전송되는 벨소리 파일을 착신 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한다(S710).
착신 통신 단말기(112)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 중인 벨소리 파일을 재생하기 시작한다(S712).
벨소리를 재생 중인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S714).
착신 통신 단말기(112)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단계 S714의 판단 결과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통화 연결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로 전송한다(S716).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통신 단말기(112)가 송출한 통화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벨소리 파일의 전송을 중단한다(S718).
만약,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는 단계 S704에서 발신 통신 단말기(110)가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벨소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며, 착신 통신 단말기(112)는 발신 통신 단말기(110)와 통화로가 설정되면 내장된 벨소리를 재생한다(S720).
한편, 지금까지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의 발신자 벨소리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유선 전화망에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유선 전화망에도 적용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800)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유선 전화망은 발신 유선 전화기(810),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PABX :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812 및 814), 벨소리 데이터베이스(813 및 815), 착신 유선 전화기(820) 및 공중 교환 전화망(PSTN : Public Swithced Telephone Network)(8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GMSC : Gateway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840)을 통해 이동 통신망과 연계된다.
발신 유선 전화기(8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기이고, 착신 유선 전화기(820)는 발신 유선 전화기(810)의 호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벨소리 데이터를 재생하는 착신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착신 유선 전화기(820)에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하였듯이 벨소리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소정의 모듈이 내장되거나 별도의 벨소리 재생 장치가 연결되어야 한다.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812)는 발신 유선 전화기(810)로부터 전송되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가 유선 단말기인지 이동 단말기인지를 구별하고, 유선 단말기인 경우에는 해당 국번을 관리하는 다른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814)로 호 연결을 시도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공중 교환 전화망(830)으로 호 연결 정도를 전달한다.
한편,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182)는 발신 유선 전화기(810)가 착신 전화벨소리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라고 판단되면 벨소리 데이터베이스(813)를 검색하여 착신 유선 전화기(820)나 착신 이동 단말기(880)에 설정되어 있는 벨소리 데이터를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814)나 공중 교환 전화망(830)을 통해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812)에서 공중 교환 전화망(830)으로 전송되는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MIN)는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840)으로 전송되고,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은 발신측 MIN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이동 교환국(850)을 확인하여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동 교환국(850)은 수신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는 무선 접속망(870)의 기지국 제어기(872) 및 기지국 전송기(874)를 통해 착신 이동 단말기(880)로 전송되어 통화로가 형성된다.
발신 유선 전화기(810)와 착신 이동 단말기(880)간에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로 형성 정보가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812)로 전송되고, 통화로 형성 신호를 수신한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812)는 벨소리 데이터베이스(813)를 검색하여 착신 이동 단말기(880)에 설정된 발신 유선 전화기(810)의 착신 벨소리 데이터를 전송한다.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812)에서 전송되는 벨소리 데이터는 앞에서 설명한 호 연결 요청 신호와 동일한 통신 경로를 통해 착신 이동 단말기(880)로 수신되어 재생된다. 여기서, 착신 이동 단말기(88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착신 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기능과 구성을 갖는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도 8에서 설명한 착신 벨소리 서비스의 발신측 및 착신측은 입장이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도 8의 발신 유선 단말기(810)가 착신측으로 전환되고, 착신 유선 단말기(820) 및 착신 이동 단말기(880)가 발신측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착신 이동 단말기(880)가 유선 전화기(810 및 820)으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여 착신 이동 단말기(880)나 벨소리 서비스 서버(230)가 착신 이동 단말기(880)와 유선 전화기(810 및 820)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된 이후에 유선 전화기(810 및 820)에 설정된 착신 벨소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종래 컬러링 통화 대기음 서비스는 발신자에게만 청각적인 만족감을 줄뿐이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자도 발신자가 전송하는 전화벨 소리를 청취할 수 있어 통화 연결시 착신자도 청각적인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신자는 자신만의 고유한 전화 벨소리를 다수의 착신자별로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어 자신만의 독특하고 개성 있는 착신 전화 벨소리를 가질 수 있고, 착신자도 재생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만 듣고도 발신자를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 입장에서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발신자가 자신의 착신 전화 벨소리를 착신자에게 선물하는 등의 새로운 부가 서비스 개발을 통해 고객들의 이동통신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발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착신 전화 벨소리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하여 착신 전화 벨소리를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발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착신 전화 벨소리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유선 전화망에도 적용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발신 통신 단말기 112 : 착신 통신 단말기
120, 870 : 무선 접속망 122, 874 : 기지국 전송기
124, 872 : 기지국 제어기 130, 850 : 이동 교환국
140 : 홈 위치 등록기 150 : 방문자 위치 등록기
210 : 게이트웨이 220, 860 : 인터넷
230 : 벨소리 서비스 서버 240 : 음원 데이터베이스
250 :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810 : 발신 유선 전화기
812, 814 :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 813, 815 : 벨소리 DB
820 : 착신 유선 전화기 830 : PSTN
840 :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 880 : 착신 이동 단말기

Claims (37)

  1.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전화를 할 때 발신 단말기에 저장된 벨소리 데이터가 전송되어 착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화로가 설정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송출하는 발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접속망(RAN) 및 이동 교환국(MSC); 및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및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된 홈 위치 등록기(HL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는 상기 발신 단말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를 요청하여 상기 통화로가 설정된 후 통화 대기음(RBT)이 발생하기 전부터 통화 대기음이 발생하는 기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는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스트리밍(Streaming) 포맷의 스트리밍 벨소리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에는 통화를 시도할 때마다 상기 벨소리 데이터의 송출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소정의 키버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에는 통화를 시도할 때마다 상기 벨소리 데이터의 송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는 상기 스트리밍 벨소리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바로 재생하기 위한 스트리밍 재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전화를 할 때 서버에 저장된 벨소리 파일이 전송되어 착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신청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와 통화로가 형성된 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착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벨소리 파일을 송수신하는 무선 접속망 및 이동 교환국;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및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 홈 위치 등록기;
    상기 이동 교환국과 연결되어 IWF(Inter Working Function) 변환 기능과 셀(Cell) 단위로 직접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위한 웹사이트를 운용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간에 통화로가 설정되면 상기 착신 단말기에 설정된 벨소리 파일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벨소리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는 상기 발신 단말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를 요청하여 상기 통화로가 설정된 후 통화 대기음이 발생하기 전부터 통화 대기음이 발생하는 기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에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정의 무선 인터넷 접속용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및 I-m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스트리밍 포맷의 스트리밍 벨소리 파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의 신청은 유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로 수행할 수 있되, 상기 컴퓨터는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가 운용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로 구축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신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벨소리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신상 정보, 가입자별로 선택된 벨소리 파일 및 상기 선택된 벨소리 파일별로 설정된 착신 단말기의 MIN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 8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는 상기 스트리밍 벨소리 파일을 수신하면서 바로 재생하기 위한 스트리밍 재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전화를 할 때 발신 단말기에 저장된 벨소리 데이터가 전송되어 착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발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b) 이동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 및 이동 교환국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가 설정되는 단계;
    (c) 상기 발신 단말기는 자신이 전화 벨소리 전송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전송할 벨소리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d)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단계;
    (f) 상기 착신 단말기는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통화 연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통화 연결 신호를 수신한 상기 발신 단말기는 상기 벨소리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상기 전화 벨소리 전송 모드는 상기 착신 전화번호가 선택 또는 입력되기 전이나 상기 착신 전화번호가 선택 또는 입력된 후 상기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되기 이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스트리밍 포맷인 스트리밍 벨소리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19. 이동통신 서비스의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전화를 할 때 벨소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벨소리 파일이 전송되어 착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발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b) 이동 통신망의 무선 기지국 및 이동 교환국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가 설정되는 단계;
    (c) 이동 교환국은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각각의 MIN을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각각의 MIN을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벨소리 파일을 상기 이동 교환국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단계;
    (f) 상기 착신 단말기는 통화 연결과 관련된 키 값이나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통화 연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교환국을 통해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통화 연결 신호를 수신한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벨소리 파일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의 가입 여부는 상기 이동 교환국이 홈 위치 등록기(HLR)에 저장된 상기 발신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가입은 컴퓨터 및/또는 상기 발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가입시 상기 컴퓨터 및/또는 상기 발신 단말기에 의해 특정 벨소리 파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벨소리 파일을 재생하여 들려주는 미리 듣기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는 서비스 가입 단계에서 선택된 벨소리 파일에 대해 착신 단말기 개별 지정과 착신 단말기 모두 지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 개별 지정은 상기 선택된 벨소리 파일별로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기의 MIN을 입력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 모두 지정은 하나의 선택된 벨소리 파일을 모든 착신 단말기에 대한 기본 착신 벨소리로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는 자신과 연동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발신 가입자의 가입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상기 벨소리 파일을 파악 및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벨소리 서비스 서버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스트리밍 포맷인 스트리밍 벨소리 파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28. 유선 전화망을 이용하여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에게 전화를 할 때, 벨소리 데이터가 전송되어 착신 유선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신청하고,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유선 단말기;
    상기 발신 유선 단말기와 통화로가 형성된 후, 상기 유선 전화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착신 유선 단말기; 및
    상기 발신 유선 단말기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유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 사이의 통화로를 설정하는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 및
    상기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에 의해 관리되는 상기 벨소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벨소리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에는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프로그램이 내장되거나 별도의 재생 장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는 상기 발신 유선 단말기로부터 호 연결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발신 유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에의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데이터는 스트리밍 포맷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2. 유선 전화망을 통해 발신 유선 전화기와 착신 유선 전화기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된 후, 벨소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벨소리 데이터가 전송되어 상기 착신 유선 전화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상기 발신 유선 전화기에 의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착신 전화번호로 통화 요청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유선 전화망에 설치된 전자 교환기에 의해 상기 발신 유선 전화기와 상기 착신 유선 전화기 사이의 통화로가 설정되는 단계;
    (c) 상기 전자 교환기가 상기 벨소리 데이터베이스에서 벨소리 데이터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벨소리 데이터가 상기 유선 전화망을 통해 전송되어 상기 착신 유선 전화기로 수신되어 재생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전자 교환기는 상기 발신 유선 전화기의 전화번호 및 상기 착신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유선 단말기에 설정된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34. 유선 전화망 및 이동 통신망이 연계되어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된 후, 벨소리 데이터가 전송되어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를 신청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와 통화로가 형성된 후 상기 유선 전화망 및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수신하면서 재생하는 착신 단말기; 및
    상기 유선 전화망과 상기 이동 통신망이 연동되도록 상기 유선 전화망과 상기 이동 통신망 사이의 통신 경로의 탐색, 설정 및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관문 이동통신 교환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는 유선 전화기, 무선 전화기, PDA, 셀룰러폰, PCS폰, GSM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MBS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는 상기 벨소리 데이터를 저장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화망 및 상기 이동 통신망에는 상기 벨소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벨소리 데이터 저장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30017876A 2003-03-21 2003-03-21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49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7876A KR100494155B1 (ko) 2003-03-21 2003-03-21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7876A KR100494155B1 (ko) 2003-03-21 2003-03-21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75A KR20040083275A (ko) 2004-10-01
KR100494155B1 true KR100494155B1 (ko) 2005-06-10

Family

ID=3736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17876A KR100494155B1 (ko) 2003-03-21 2003-03-21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1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250B1 (ko) 2004-06-03 2011-07-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지정 벨소리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5115863A1 (ko) * 2014-01-31 2015-08-06 남희옥 전화와 연계된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572A (ko) * 2004-03-02 2005-09-07 이영수 발신자 주도형 벨소리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 장치
KR100814258B1 (ko) * 2005-10-14 2008-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수신 링 소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53523B1 (ko) * 2006-11-01 2008-08-22 김창모 이동통신단말에서 듀얼모드 확산통신을 이용하는통화대기음 및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통화대기음 및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53524B1 (ko) * 2006-11-08 2008-08-22 김창모 이동통신단말에서 싱글모드 확산통신을 이용하는통화대기음 및 벨소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통화대기음 및 벨소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24419B1 (ko) * 2008-02-05 2009-10-29 배성철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991B1 (ko) * 2014-07-25 2017-01-04 주식회사 유니크래스 발신자 지정 벨소리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666127B1 (ko) * 2015-02-09 2016-10-13 홍동희 무선단말기의 벨소리 설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250B1 (ko) 2004-06-03 2011-07-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지정 벨소리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5115863A1 (ko) * 2014-01-31 2015-08-06 남희옥 전화와 연계된 컨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75A (ko)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210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by using call-side switching center
EP1692892B1 (en) Method for setting substitute ringback tone of calling party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EP17901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by using receiver-side switching center
US80595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terminal codec setup of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EP1914969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KR100494155B1 (ko)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560848B1 (ko) 발신자 설정 동영상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04383B1 (ko) 통화중 대기시에 대기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95265B1 (ko) 착신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46398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110151B1 (ko) 통화 대기음 서비스 방법
KR100673243B1 (ko) 착신자가 설정한 통화연결음 제공 상태에서 발신자가 설정한 통화 연결음으로의 변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36405B1 (ko) Svd 기능을 활용한 컬러링 플러스 소망 상자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92375B1 (ko) 추가 통화 연결음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741190B1 (ko) 착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되는 인트로 메시지 제공 방법
KR100478912B1 (ko) 발신 이미지 표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69602B1 (ko) 이동 단말기 벨소리와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70028139A (ko) 컬러링 음원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14768B1 (ko) 통화대기음 연속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8180A (ko) 통화가 종료되면 종료음을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60076635A (ko) 발신자가 선택 가능한 벨소리 설정 시스템
KR20040032007A (ko) 착신 전화벨 소리 설정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06007A (ko) 발신자에 의한 착신 전화의 컬러링 음악 등록 방법 및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