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419B1 -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419B1
KR100924419B1 KR20080011781A KR20080011781A KR100924419B1 KR 100924419 B1 KR100924419 B1 KR 100924419B1 KR 20080011781 A KR20080011781 A KR 20080011781A KR 20080011781 A KR20080011781 A KR 20080011781A KR 100924419 B1 KR100924419 B1 KR 10092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mobile communication
ringtone
portable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1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664A (ko
Inventor
배성철
Original Assignee
배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철 filed Critical 배성철
Priority to KR2008001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4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1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41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가 잘 재생할 수 없는 주파수 영역은 가능한 샘플링 정도를 낮추고, 잘 재생되는 영역에서 샘플링 정도를 높이는 가변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여 벨소리 음원의 크기를 극소화하여 2.5G 또는 3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거의 실시간으로 발신벨을 전송할 수 있으며, 벨소리 음원의 음압을 휴대용 단말기의 재생 가능한 음의 크기 범위 내에서 평균화시켜 열화나 왜곡이 발생되지 않는 벨소리 음원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서비스를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에 신청하여 원하는 벨소리 음원을 설정하면,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는 인증된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임의의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설정된 벨소리 음원을 상기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우선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측에서 전송한 벨소리 음원이 착신용 벨소리로 재생되도록 한다.
부가서비스, 벨소리, 발신벨, 벨소리 음원 서버,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

Description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Telephone Tone to a Receiving Party}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울리는 벨소리를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정하여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0년 이후 이동통신의 음성 서비스 이외에 이동통신 가입자 유치 및 유지를 위하여 벨소리, 통화연결음, 발신자 정보표시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경쟁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 및 휴대폰의 성능이 눈부신 발달로 이러한 부가 서비스도 급속히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중 휴대 단말기를 통한 벨소리 서비스가 현재 상용화되고 있다.
벨소리(음향 또는 음악)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면, 벨소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는 일반적인 음악 CD에서 특정 구간을 MP3 포맷으로 음원을 추출한다. 이어, 사업자는 추출한 음원을 휴대용 단말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포맷인 AAC/AAC+, 또는 MMF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원을 이동통신 사업자의 벨소리 서버에 저장한다. 이어, 특정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벨소리 서비스를 받기 원하는 경우, 유/무선 인터넷 (또는 ARS)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의 벨소리 서버에 접속한 후, 원하는 벨소리를 확인하고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로 다운로드 한다. 이어,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여 다운로드한 벨소리를 착신용 벨소리로 설정한다. 따라서,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화가 걸려오면, 미리 설정된 벨소리가 전화를 받기 전까지 재생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벨소리 서비스는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특정 벨소리를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에서 다운받은 후, 직접 설정하여야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수의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가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화를 거는 경우,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설정된 착신 벨소리 만을 재생한다. 하지만 현재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자기 자신의 고유한 음향이나 음악의 벨소리를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기를 원하고 있다. 즉, 발신자가 설정한 고유의 벨소리를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전화를 착신하기 전까지 재생하기 때문에, 착신측 사용자는 발신측 이동전화번호를 확인하지 않고서도 발신측에서 전송한 고유한 벨소리로 발신자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기대와 추세에 부응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5-0088572호에는 "발신자 주도형 벨소리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폰 장치" 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첫번째 공개공보에서는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 벨소리가 저장되어 있어야 하며, 발신측에서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화를 걸때 선택된 벨 소리 데이터를 변환하여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송출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되는 벨소리는 발신측 및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 모두에게 메모리 용량을 크게 차지하는 부담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직접 벨소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벨소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하는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1560호에는 "착신 휴대폰으로 벨소리를 전송하는 시스템" 이 개시되어 있다. 이 두 번째 공개공보에서는 이동통신사업자가 데이터발송서비스서버를 구비하며, 발신자측 휴대폰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소정 착신자측 휴대폰으로 전송될 벨소리 종류와 착신 진화번호를 데이터발송서비스서버로 신청한다. 따라서, 데이터발송서비스서버는 이동통신업체의 데이터 발송 제어부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여, 차후 발신자측 휴대폰 사용자가 소정 착신자측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때 이를 인식한 데이터 발송제어부가 데이터발송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벨소리를 착신자측 휴대폰으로 발송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첫 번째 및 두번째 공개특허공보에서는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벨소리를 전송하거나, 이동통신 사업자의 벨소리 서버에서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 벨소리 음원의 크기가 500KB 수준이라고 가정하면, 현재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실제적인 전송 속도는 100Kbps이므로,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벨소리 음원을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 까지 전송하는데 약 40초가 소요되며, 다시 아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에서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까지 전송하는데 약 40초가 소요되기 때문에 결국, 발신측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벨소리가 울리기까지 약 80초가 소요되어 종래의 공보들에 구현된 기술들은 현실적으로 상품 가치가 없었다.
또한, 최근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3G로 진화하여 기존 이동통신망의 전송속도가 약 10배 정도 빨라져도 발신측에서 전송된 벨소리 음원이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시간이 약 8초 정도 걸려서, 결국 현실적으로 상품가치가 없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벨소리 음원을 압축하는 경우, 20KB 용량의 벨소리 음원을 재생하면 약 3∼4초의 시간동안 재생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정도의 길이는 벨소리로서 의미가 없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벨소리의 크기를 최소 20KB 수준으로 극소화하여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간 거의 실시간인 1초 이내로 벨소리 음원이 전달되어야 상품 가치가 있다 하겠다.
또한, 종래에 벨소리 전송 서비스에 이용되는 압축된 벨소리 음원(음향 또는 음악)은 사람의 가청 주파수인 20Hz∼20KHz 전 범위의 주파수 성분을 모두 포함하고 있지만, 실제로 휴대용 단말기의 앰프 및 스피커는 사람의 목소리 주파수인 100Hz∼3KHz 근처에 재생이 잘되는 수준이다. 따라서, 압축된 벨소리 음원이 휴대용 단말기의 앰프 및 스피커 등을 통해 재생될 경우 벨소리 음원의 열화, 왜곡 등의 현상으로 CD의 원음과 비교했을 때 음질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벨소리 60초, AAC 포맷인 경우, 소요되는 메모리 용량이 적어도 500K 바이트 이상이 필요하므로, 음질의 손실이 많지 않은 60초 벨소리인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의 용량과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의 메모리 용량에 상당한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가 잘 재생할 수 없는 주파수 영역은 가능한 샘플링 정도를 낮추고, 잘 재생되는 영역에서 샘플링 정도를 높이는 가변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여 벨소리 음원의 크기를 극소화하여 2.5G 또는 3G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거의 실시간으로 발신벨을 전송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소리 음원의 음압을 휴대용 단말기의 재생 가능한 음의 크기 범위 내에서 평균화시켜 열화나 왜곡이 발생되지 않는 벨소리 음원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은, 추출된 음원의 주파수 대역과 음원의 크기를 가공할 때, 샘플링 레이트를 가변적으로 적용하여 처리하고, 가공된 음원을 MP3 또는 AAC/AAC+ 형식으로 압축하며, 상기 음원의 음압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평균화시키는 컴퓨터 시스템(100)과; 인터넷(200)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에서 만들어진 상기 음원의 업로드, 삭제, 또는 상기 음원의 관리를 제어하는 음원 관리 시스템(300)과; 상기 인터넷(200)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에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원을 상기 음원 관리 시스템(300)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는 벨소리 음원 서버(400)와; 상기 벨소리 음원 서버(400)에 저장된 각각의 음원의 주소를 기억하며, 인증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벨소리 음원 서버(400)에 저장된 음원을 선택적으로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를 걸은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500)와; 상기 인터넷(200) 또는 이동통신망(600)에 연결되어, 임의의 발신측과 착신측 사용자간 음성, 화상 또는 데이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710,720,730)로 구성되어, 상기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서비스를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300)에 신청하여 원하는 벨소리 음원을 설정하면,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300)는 인증된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600)을 통하여 임의의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설정된 벨소리 음원을 상기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우선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측에서 전송한 벨소리 음원이 착신용 벨소리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소리 음원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벨소리 음원을 음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의 벨소리 음원 서버에 올리는 단계와; 특정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소리 음원중에서 원하는 벨소리 음원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는 상기 발신측에서 선택한 벨소리 음원이 저장된 상기 벨소리 음원 서버의 주소를 인식하고, 상기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특정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는 상기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벨소리 음원을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의 작업자는 상기 벨소리 음원을 휴대용 단말기가 잘 재생할 수 없는 주파수 영역은 가능한 샘플링 정도를 낮추고, 잘 재생되는 영역에서 샘플링 정도를 높이는 가변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여 가공하고, 가공된 음원을 MP3, 또는 AAC/AAC+ 포맷의 음원으로 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의 작업자는 상기 벨소리 음원을 휴대용 단말기의 재생 가능한 음의 크기인 50∼70dB t사이로 평균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벨소리 음원을 샘플링할 때, 휴대용 단말기가 잘 재생할 수 없는 주파수 영역은 가능한 샘플링 정도를 낮추고, 잘 재생되는 영역에서 샘플링 정도를 높이는 가변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며, 벨소리 음원의 음압을 휴대용 단말기의 재생 가능한 음원의 크기 범위 내에서 평균화시킨다. 이 경우 벨소리 음원의 크 기를 현재 AAC 포맷의 일반적인 크기인 500KB이상을 20KB 수준으로 극소화시켜 이동통신 사업자의 벨소리 서버에서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에 거의 실시간으로 전송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수십 만 곡 이상의 음악에 대한 벨소리 음원을 저장해야 하는 대규모 저장 공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입장에서도 적은 용량의 벨소리 음원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요금을 줄일 수 있고, 저장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보다 향상된 음질을 갖는 벨소리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이에 따른 발신벨 서비스 제공절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은, 추출된 음원의 주파수 대역과 음원의 크기를 가공할 때, 샘플링 레이트를 가변적으로 적용하여 처리하고, 가공된 음원을 MP3 또는 AAC/AAC+ 형식으로 압축하며, 음원의 음압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평균화시키는 컴퓨터 시스템(100)과; 인터넷(200)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100)에서 만들어진 음원의 업로드, 삭제, 또는 음원의 관리를 제어하는 음원 관리 시스템(300)과; 인터넷(200)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컴퓨터 시스템(100)에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을 음원 관리 시스템(300) 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는 벨소리 음원 서버(400)와; 벨소리 음원 서버(400)에 저장된 각각의 음원의 주소를 기억하며, 인증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벨소리 음원 서버(400)에 저장된 음원을 선택적으로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를 걸은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500)와; 인터넷(200) 또는 이동통신망(600)에 연결되어, 임의의 발신측과 착신측 사용자간 음성, 화상 또는 데이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710,720,7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컴퓨터 시스템(100)의 작업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을 휴대용 단말기가 잘 재생할 수 없는 주파수 영역은 가능한 샘플링 정도를 낮추고, 잘 재생되는 영역에서 샘플링 정도를 높이는 가변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여 샘프링하고, MP3, AAC/AAC+ 포맷으로 압축한다.
예를 들어, 일반 음원을 추출하여 벨소리 서비스용 음원으로 편집 및 가공하는 경우, 종래에는 벨소리의 포맷인 AAC에서는 특정 음악을 전 주파수 대역에서 64Kbps로 샘플링하여 벨소리로 가공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100Hz∼1KHz에서는 128Kbps, 50Hz∼100Hz는 32Kbps, 50Hz 이하는 8Kbps로 샘플링하며, 또한 1KHz∼3KHz는 64Kbps, 3KHz∼5KHz는 32Kbps, 5KHz 이상은 8Kbps 등으로 주파수 대역 별로 가변적으로 샘플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변 샘플링 방식을 적용하면, 60초 정도의 대중가요 음악인 경우, 종래에는 AAC 포맷으로 샘플링 할 경우 약 500KB 크기의 용량을 갖지만, 가변적 샘플링인 경우 종래 보다 1/10 수준인 약 50KB 이하의 용량을 갖는다. 또한 벨 소리의 전체 길이도 기존 60초 정도의 1/2 수준인 30초 정도로 하면, 약 20KB 수준의 발신벨이 만들어 진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00)의 작업자는 일반적 음악의 음압은 30∼100dB 까지의 대역을 갖으나, 휴대용 단말기의 재생 가능한 음의 크기인 50∼70dB t사이로 평균화(Normalize)시킨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원의 음압이 너무 커서 종래에 발생하였던 음의 열화 및 왜곡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더욱 좋은 음질을 갖는 벨소리 음원이 재생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임의의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710)에서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위해서는, 먼저 이동통신 사업자는 컴퓨터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다양하면서도 풍부한 벨소리 음원을 만들어(S101), 음원 관리 시스템(300)을 통하여 벨소리 음원 서버(400)에 올린다(S102).
이때, 컴퓨터 시스템(100)의 작업자는 벨소리 음원을 휴대용 단말기가 잘 재생할 수 없는 주파수 영역은 가능한 샘플링 정도를 낮추고, 잘 재생되는 영역에서 샘플링 정도를 높이는 가변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여 MP3, AAC/AAC+ 포맷의 음원을 가공하며, 벨소리 음원을 휴대용 단말기의 재생 가능한 음의 크기인 50∼70dB t사이로 평균화(Normalize)시킨다.
이어,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710) 사용자는 유/무선 인터넷 또는 ARS를 이용 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500)에 접속하여 발신벨 제공 서비스를 신청한다(S103).
이때,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710) 사용자는 미리 저장된 벨소리 음원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벨소리 음원을 선택하여 설정한다(S104).
그러면,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500)는 발신측에서 설정한 벨소리 음원이 저장된 벨소리 음원 서버(400)의 주소를 인식하여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한다(S105).
이후,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400)는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710)가 이동통신망(600)을 통하여 임의의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730)의 통화키를 누르면(S106),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500)는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인증된 사용자일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벨소리 음원을 이동통신망(600)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착신측 단말기(730)로 전달한다(S107).
따라서, 벨소리 음원을 수신한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730)는 사용자가 착신하기 전까지 발신측에서 전송한 벨소리용 음원을 먼저 수신하고(S108), 사용자가 착신하기 전까지 벨소리 음원을 재생한다(S09).
여기서,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730)의 현재 모드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발신자 벨소리 기능이 꺼져 있는 상태이면, 발신측(710)에서 이동통신망(600)을 통하여 전화를 걸어도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730)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벨소리가 재생된다. 아울러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730) 사용자가 현재 모드를 진동모드로 설정하면, 발신측(710)에서 이동통신망(600)을 통하여 전화를 걸어도 착신측에서는 벨소리 음원 대신에 진동 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730)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벨소리가 재생되지 않는다.
또한, 이동통신망의 운영기술과 전송 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발신측이 원하는 벨소리용 음원이 저장된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에서 전송되지 않고, 발신측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벨소리용 음원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여,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착신 전까지 벨소리로 재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청각과 음악, 음성의 주파수 활성화 영역을 비교한 도면.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컴퓨터 시스템 200 : 인터넷
300 : 음원 관리 시스템 400 : 벨소리 음원 서버
500 :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 600 : 이동통신망
710,720,730: 휴대용 단말기

Claims (7)

  1. 추출된 음원의 주파수 대역과 음원의 크기를 가공할 때, 샘플링 레이트를 가변적으로 적용하여 처리하고, 가공된 음원을 MP3 또는 AAC/AAC+ 형식으로 압축하며, 상기 음원의 음압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평균화시키는 컴퓨터 시스템(100)과;
    인터넷(200)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작업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에서 만들어진 상기 음원의 업로드, 삭제, 또는 상기 음원의 관리를 제어하는 음원 관리 시스템(300)과;
    상기 인터넷(200)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에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을 상기 음원 관리 시스템(300)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는 벨소리 음원 서버(400)와;
    상기 벨소리 음원 서버(400)에 저장된 각각의 음원의 주소를 기억하며, 인증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벨소리 음원 서버(400)에 저장된 음원을 선택적으로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를 걸은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500)와;
    상기 인터넷(200) 또는 이동통신망(600)에 연결되어, 임의의 발신측과 착신측 사용자간 음성, 화상 또는 데이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710,720,730)로 구성되어,
    상기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서비스를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500)에 신청하여 원하는 벨소리 음원을 설정하면,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500)는 인증된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600)을 통하여 임의의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설정된 벨소리 음원을 상기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우선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측에서 전송한 벨소리 음원이 착신용 벨소리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의 작업자는 상기 벨소리 음원을 휴대용 단말기가 잘 재생할 수 없는 주파수 영역은 가능한 샘플링 정도를 낮추고, 잘 재생되는 영역에서 현재의 샘플링 레벨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변 샘플링 레벨을 적용하여 가공하고, 가공된 음원을 MP3, 또는 AAC/AAC+ 포맷의 음원으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의 작업자는 상기 벨소리 음원을 휴대용 단말기의 재생 가능한 음의 크기인 50∼70dB t사이로 평균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4.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소리 음원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벨소리 음원을 음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의 벨소리 음원 서버에 올리는 단계와;
    특정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소리 음원중에서 원하는 벨소리 음원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는 상기 발신측에서 선택한 벨소리 음원이 저장된 상기 벨소리 음원 서버의 주소를 인식하고, 상기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특정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는 상기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벨소리 음원을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음원을 수신한 상기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착신하기 전까지 상기 발신측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한 벨소리용 음원을 먼저 수신하고, 상기 착신측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착신하기 전까지 상기 벨소리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를 상기 벨소리 음원이 상기 착신측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다음에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소리 음원을 만들 때,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벨소리 음원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잘 재생할 수 없는 주파수 영역은 가능한 샘플링 정도를 낮추고, 잘 재생되는 영역에서 현재의 샘플링 레벨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변 샘플링 레벨을 적용하여 가공하고, 가공된 음원을 MP3, 또는 AAC/AAC+ 포맷의 음원으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소리 음원을 만들 때,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벨소리 음원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재생 가능한 음의 크기인 50∼70dB t사이로 평균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방법.
KR20080011781A 2008-02-05 2008-02-05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2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1781A KR100924419B1 (ko) 2008-02-05 2008-02-05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1781A KR100924419B1 (ko) 2008-02-05 2008-02-05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664A KR20080019664A (ko) 2008-03-04
KR100924419B1 true KR100924419B1 (ko) 2009-10-29

Family

ID=3939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1781A KR100924419B1 (ko) 2008-02-05 2008-02-05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4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275A (ko) * 2003-03-21 2004-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2771A (ko) * 2004-12-23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착신벨 발생장치 및 방법
KR20060076635A (ko) * 2004-12-29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가 선택 가능한 벨소리 설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275A (ko) * 2003-03-21 2004-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에 의해 설정되는 착신 전화 벨소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2771A (ko) * 2004-12-23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착신벨 발생장치 및 방법
KR20060076635A (ko) * 2004-12-29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가 선택 가능한 벨소리 설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664A (ko) 2008-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0107B2 (ja) マルチメディア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機及び端末機の制御方法
US7031453B1 (en) Telephony ring customization
US67248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device based on a frequency response for a hearing-impaired user
US8537995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US935706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s over a voice channel
US200701337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ringback greetings
US20020025048A1 (en) Method of transmitting voice information and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for transmission of voice information
KR100590539B1 (ko) 패킷망에서의 통화 대기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50059434A1 (en)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sound effect for mobile phone
KR100924419B1 (ko) 이동 통신 부가서비스용 발신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0956A (ko)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50001884A (ko) 휴대 단말기의 자체 링백톤 설정 방법
EP2224703B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novelty voice alteration and related methods
US2013027968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swering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KR100587147B1 (ko) 통화연결음 제공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202724B2 (ja) 電話機能付き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3251274B2 (ja) 通信端末装置、保留メロディ送出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WO2001099391A1 (fr) Terminal de transmission, procede de transmission d'une melodie d'attente, procede de lecture d'une melodie entrante et support de stockage de donnees
KR100808776B1 (ko) 개인형 무선 인터넷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개인화 서비스제공 방법
KR100917363B1 (ko) 음악파일 재생 기능을 구비한 인터넷 전화기
KR200231930Y1 (ko) 웨이브의 양방향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갖는 이동단말시스템
KR20060076635A (ko) 발신자가 선택 가능한 벨소리 설정 시스템
JP2005303529A (ja) 電話端末装置、電話システム及び電話端末装置制御用プログラム
KR20100091743A (ko)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용 벨소리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0105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녹음 및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