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771A -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771A
KR20040090771A KR1020030024718A KR20030024718A KR20040090771A KR 20040090771 A KR20040090771 A KR 20040090771A KR 1020030024718 A KR1020030024718 A KR 1020030024718A KR 20030024718 A KR20030024718 A KR 20030024718A KR 20040090771 A KR20040090771 A KR 20040090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signal
storage device
informa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수
손영철
이동석
이태일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24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0771A/ko
Publication of KR2004009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7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면으로 관통홈을 갖는 소정 형상의 중공형 하우징; 관통홈으로 유입되는 아날로그의 광(光)정보를 집적시키기 위한 광학계; 광학계를 통해 집적된 광(光)정보를 소정 주파수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센서;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와 자동이득제어(AGC:Auto Gain Control) 및 A/D변환기를 통해 증폭된 아날로그의 신호를 디지트화된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신호변환부;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 및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탑재하며, 문자정보와 이미지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문자 데이터 변환 또는 이미지로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처리부;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문자정보 및 이미지정보를 개인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용 데이터 송수신장치로 이루어져, 메모리에 기 저장된 문자정보에 비교하여 이용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토록 한 후, 소정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며, 또는 기 저장된 정보를 개인통신 단말기로 전송가능하도록 하여 습득된 정보를 지속적이고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FORTABLE APPARATUS FOR INFORMATION STORAGE}
본 발명은 정보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스케닝 기능을 보유하여 아날로그 매체를 통해 습득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통신장치와 연계토록 하므로서 불필요한 메모를 억제할 수 있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수첩, PDA, 퍼스널 컴퓨터 등은 정보입력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입력은 소정의 절차 예컨대, 타이핑을 거쳐 코드화된 정보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근래에서는 타이핑에 대한 부담을 없애기 위해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텃치패널이 정보입력장치로써,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225439호 출원인 :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이데이 노부유끼"에서 정보 입력 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표시패널의 일측면으로 설치되는 타블렛트가 장착되고, 상기 타블렛트상으로 소정의 정보입력을 위한 펜촉이 설치된 입력팬을 통해 아날로그의 정보를 입력토록 하고 있다. 타블렛트는 텃치 감지기로 구성되며, 입력팬의 접촉을 통해 타블렛트의 하부에서 전기적 접속을 이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입력팬에 의한 문자 등을 기입할 경우 해당 문자의 형상을 입력받아 코드화된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저장한다.
현재 사용되는 다수 종의 정보입력 장치는 상기와 같이 타블렛트를 이용한 스크린 정보입력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0162163호 출원인 : 호산실업 주식회사"에서는 수기문자 및 도형입력 겸용 키입력장치와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수첩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수기문자 및 도형입력 겸용 키입력장치와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수첩"에서는 펜입력을 통해 영문, 숫자, 한글, 한자 및 일본어나 도형을 손쉽게 입력할 수있도록 타블렛트를 구비하여, 타블렛트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소정의 저장매체로 저장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입력 방법은 접촉식 좌표입력방식을 사용하여, 타블렛트로 스크랫치되는 펜의 이동궤적에 따라 메트릭스 배열된 스위칭 소자가 스위칭되도록 하므로서, 아날로그의 정보를 디지트화된 정보로 변환시킨다.
상기의 정보입력은 좌표입력 구조에 의한 스위칭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나, 압전식, 정전식, 탄성파방식 및 광방식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음을 감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수 종의 정보입력방식은 사용자가 소정의 정보입력도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필기된 패턴을 정보화 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단순 메모의 기능에 불과할 수 밖에 없다. 이는 상기의 정보가 입력되었다 하더라도, 입력된 정보는 단순 저장되거나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에 목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보의 활용범위가 극히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정보 입력장치는 수작업에 의한 정보 입력이 이루어지거나, 시스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다수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주부, 어린이 및 노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 매체로부터 습득된 정보를 디지트화된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저장된 정보가 인터넷상으로 탑재가능하도록 하여 저장된 정보의 활용범위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는,소정 형상으로 휴대가능하며, 일측면으로 관통홈을 갖는 중공형의 하우징; 상기 관통홈으로 유입되는 아날로그의 광(光)정보를 집적시키기 위한 광학계; 상기 광학계를 통해 집적된 광(光)정보를 다수의 픽셀(Pixel)을 통해 수신하고, 각 픽셀별로 수신된 광량에 대응하여 소정 주파수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센서;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을 통해 상기 광(光)정보 입력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광(光)정보의 순수 신호레벨을 생성하고, 자동이득제어(AGC:Auto Gain Control)를 통해 상기 순수 신호레벨의 전압치를 일정 레벨로 증폭시키며, A/D변환기를 통해 증폭된 아날로그의 신호를 디지트화된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신호변환부;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디지트화된 신호를 이용가능한 문자 데이터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탑재하며, 상기 문자 데이터화를 위해 다수 종의 문자정보를 저장하는 텍스트 정보구역 및 상기 문자정보와 이미지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구역으로 분리되는 메모리; 상기 문자 인식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제공되는 디지트화된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상기 문자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정보로 저장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문자 데이터 변환 또는 이미지로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처리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상으로 장착되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모드설정용 키입력부; 상기 문자정보 및 상기 이미지정보를 개인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용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시스템 전원제어를 포함하여 배터리의 방전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원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저장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저장장치와 개인통신 단말기간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a - 3d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저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그래픽이다.
<주요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정보저장장치 101 : 하우징
103 : 광학계 105 : 광원 발산장치
107 : CCD 109 : 신호변환부
111 : 메모리 113 : 전원제어부
117 : 디지털 신호처리부 119 : 데이터 송수신장치
121 : 디스플레이 패널 201 : 거치대
203 : 통신라인 205 : 개인통신 단말기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가능하고 권취가 수월한 형상의 하우징(101), 상기 하우징(101)의 일단으로 관통홈을 갖고 상기 관통홈으로 유입되는 아날로그의 광(光)정보를 집적시키기 위한 광학계(103), CCD(107), 신호변환부(109), 디지털 신호처리부(117), 메모리(111) 및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면상으로 장착되는 디스플레이패널(12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117)의 모드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모드설정을 위한 키입력부(115)와, 개인통신 단말기(미도시함)와 휴대용 정보저장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장치(119)가 디지털 신호처리부(117)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전원제어부(113)는 시스템 전원제어를 포함하여 배터리의 방전전압을 안정화시킨다. 상기 광학계(103)의 근접위치로 설치되어 아날로그 매체로 광원을 발산시켜 아날로그 정보를 효율적으로 습득하기 위한 광원발산장치(105)가 포함된다.
상기 광원발산장치(105)는 LED를 포함하는 발광소자이며, 상기 광학계(103)는 렌즈(Lens) 또는 프리즘(Prism)이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정보저장장치(100)가 안착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되, 상기 거치대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100)와 개인통신 단말기와 통신가능하도록하여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100)에 기록된 정보가 개인통신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의 안측부로 데이터 송수신장치(119)와 체결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가 개인통신 단말기의 통신입력수단으로 접속된다.
즉, 데이터 송수신장치(119)와 개인통신 단말기간 데이터 전송은 유선방식을 사용하며, 시리얼 통신 RS232C, 패러럴 통신, USB, SCSI, IEEE 1394 등의 케이블통신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CCD(Charge Coupled Device:107)는 상기 광학계(103)를 통해 집적된 광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아날로그 매체 예컨대, 신문, 잡지 등에 인쇄된 텍스트, 바코드 또는 인터넷 브라우져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인 광(光)정보를 다수의 픽셀(Pixel)을 통해 수신하고, 각 픽셀별로 수신된 광량에 대응하여 소정 주파수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CCD(107)는 신호처리의 효율성에 따라 CMOS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신호변환부(109)는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을 통해 시각적인 광정보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CCD(107)의 각 픽셀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순수한 신호레벨을 생성한다. 상기 각 픽셀에 대한 신호레벨은 자동이득제어(AGC:Auto Gain Control)를 통해 소정 레벨의 전압치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며, 다시 A/D변환기를 통해 아날로그의 정보를 디지트화된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메모리(111)는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 및 입력된 신호를 이용가능한 문자 데이터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탑재하며, 상기 문자 데이터화를 위해 다수 종의 문자정보를 저장하는 텍스트 정보구역 및 상기 문자정보와 이미지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구역으로 분리된다. 상기 이미지정보는 필기정보를 포함하여 단순 기록을 위한 문자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11)는 플레쉬 메모리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정보 저장구역은 메모리로 저장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페이지 분류일 것이며, 각 페이지 별로 인터넷 홈페이지, 쇼핑 리스트, 전화번호, 메모 등을 구별한 후, 스켄하기 전에 저장장소 즉, 정보 저장구역을 선택하고 스켄된 정보를 선택된 정보 저장구역으로 구별하여 저장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117)는 문자 인식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변환부(109)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신호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이미지로 저장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문자 데이터 변환 또는 이미지로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121)로 주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117)의 시스템 제어는 상기 키입력부(115)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모드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15)를 통해 이미지 저장모드가 선택된 후, 시스템 동작신호가 디지털 신호처리부(117)로 제공되면, 상기 전원제어부(113)는 각 모듈로 전원을 인가한다. 이 때, 광원 발산장치(105)는 점등되며, 상기 CCD(107)는 광학계(103)를 통해 유입되는 아날로그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변환부(109)를 통해 상기 아날로그 정보의 전기적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변환되어, 디지털 신호처리부(117)로 인가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117)는 상기 메모리(111)의 정보 저장구역에 대응한 어드레스로 현재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처리부(117)는 디스플레이 패널(121)로 메모리(111)에 저장되는 이미지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115)를 통해 문자인식 모드가 선택된 후, 시스템 동작신호가 디지털 신호처리부(117)로 제공되면, 전원제어부(113)의 전원공급과 더불어, 상기 CCD(107)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정보가 신호변환부(109)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117)는 현재 입력된 디지털 정보와 상기 메모리(111)에 기 저장된 다수 종의 문자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정보를 비교하므로서, 유사성이 극대화되는 문자정보를 페치한다. 이는 상기 문자인식 프로그램에 기초한 것으로 페치된 문자정보는 디지털 신호처리부(117)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21)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페치된 문자정보는 메모리(111)의 정보 저장구역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저장되며, 메모리(111)의 특성상 저장된 정보는 전원제어부(113)의 전원공급여부와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저장된다. 물론, 키입력부(115)를 통해 저장된 문자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19)는 상기 메모리(111)에 저장된 문자정보를 개인통신 단말기(미도시함)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신호처리부(117)는 문자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정보저장장치(100)는 메모가 필요한 지면(紙面)상의 프린트정보 또는 컴퓨터의 모니터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등을 스켄하므로서 해당 정보를 저장토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저장장치와 개인통신 단말기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정보저장장치(100)는 거치대(201)상으로 안착되며, 상기 거치대(201)는 통신선(203)을 통해 개인통신 단말기(205)와 접속된다. 거치대(201)는 상기 휴대용 정보저장장치(100)와 체결되는 위치로 상기 통신선(203)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는 데이터 송수신장치(119)와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정보저장장치(100)를 통해 저장된 문자정보 또는 이미지정보는 상기 거치대(201)를 통해 개인통신 단말기(205)로 제공된다.
개인통신 단말기(205)는 상기 문자정보 또는 이미지정보를 저장하거나 인터넷 웹사이트로 접속시키기 위한 컨텐츠를 보유한다. 휴대용 정보저장장치(100)에 기 저장된 문자정보가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IP주소일 경우, 개인통신 단말기(205)는 상기 IP주소를 입력받아 사용자 클릭에 의해 해당 인터넷 사이트로 접속한다. 상기 휴대용 정보저장장치(100)에 기 저장된 이미지정보는 개인통신 단말기(205)를 통해 하드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정보를 포멧화된 형식에 따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IP주소가 쇼핑리스트일 경우 부가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가정보는 사용자의 쇼핑시 매장에서의 최단동선 지동 정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정보가 지면(紙面)상으로 프린트된 전화번호정보일 경우, 사용자는 개인통신 단말기(205)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정보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가미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휴대용 정보저장장치를 이용한 정보의 입력과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그래픽도면이다. 도 3a는 컴퓨터의 모니터상에 표시되는 인터넷 주소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3b는 지면상으로 프린트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3c는 다수의 바코드 정보를 통해 쇼핑목록을 설정함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3d는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는 엑세서리의 기능을 갖도록 세련미를 보유한 소정 형상의 휴대가능한 하우징내부로, CCD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디지트화하고 디지트화된 정보를 이미지 저장하거나 또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문자정보에 비교하여이용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토록 한 후, 소정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며, 또는 기 저장된 정보를 개인통신 단말기로 전송가능하도록 하여 습득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디지트화된 단순 메모기능과 주요 메모기능을 보유하여 시스템의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휴대용 정보저장장치를 휴대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지면(紙面)상으로 프린트된 정보나 컴퓨터 모니터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홈페이지 주소, 쇼핑목록, 노트,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손쉽게 저장하거나 이를 가공할 수 있어 정보수집이용이한 효과를 얻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저장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소정 형상으로 휴대가능하며, 일측면으로 관통홈을 갖는 중공형의 하우징;
    상기 관통홈으로 유입되는 아날로그의 광(光)정보를 집적시키기 위한 광학계;
    상기 광학계를 통해 집적된 광(光)정보를 다수의 픽셀(Pixel)을 통해 수신하고, 각 픽셀별로 수신된 광량에 대응하여 소정 주파수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센서;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을 통해 상기 광(光)정보 입력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광(光)정보의 순수 신호레벨을 생성하고, 자동이득제어(AGC:Auto Gain Control)를 통해 상기 순수 신호레벨의 전압치를 일정 레벨로 증폭시키며, A/D변환기를 통해 증폭된 아날로그의 신호를 디지트화된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신호변환부;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디지트화된 신호를 이용가능한 문자 데이터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탑재하며, 상기 문자 데이터화를 위해 다수 종의 문자정보를 저장하는 텍스트 정보구역 및 상기 문자정보와 이미지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구역으로 분리되는 메모리;
    상기 문자 인식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제공되는 디지트화된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상기 문자정보 또는 상기 이미지정보로 저장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문자 데이터 변환 또는 이미지로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처리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상으로 장착되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모드설정용 키입력부;
    상기 문자정보 및 상기 이미지정보를 개인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용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시스템 전원제어를 포함하여 배터리의 방전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원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의 근접위치로 설치되어 상기 아날로그 매체로 광원을 발산시켜 아날로그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광원발산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발광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이미지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는 렌즈(Lens) 또는 프리즘(Prism)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와 상기 개인통신 단말기간 데이터 전송은 유선방식을 사용하며, 시리얼 통신 RS232C, 패러럴 통신, USB, SCSI, IEEE 1394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KR1020030024718A 2003-04-18 2003-04-18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KR20040090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718A KR20040090771A (ko) 2003-04-18 2003-04-18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718A KR20040090771A (ko) 2003-04-18 2003-04-18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771A true KR20040090771A (ko) 2004-10-27

Family

ID=3737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718A KR20040090771A (ko) 2003-04-18 2003-04-18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07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299B1 (ko) * 2004-05-18 2006-11-14 캐리 컴퓨터 이엔지. 컴퍼니 리미티드 축적 장치의 볼륨 라벨 문자 표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299B1 (ko) * 2004-05-18 2006-11-14 캐리 컴퓨터 이엔지. 컴퍼니 리미티드 축적 장치의 볼륨 라벨 문자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0363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r drawings in a mobile terminal using a virtual screen
US8873722B2 (en) Cradle for mobile telephone, videophone system, karaoke system, car navigation system, and emergency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US200700827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ch-processing of commands through pattern recognition of panel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024346A1 (en) Digital pen function control
KR20050072715A (ko) 범용 컴퓨팅 장치
JP2002366941A (ja) パームオフィスアシスタント
KR20050072710A (ko) 범용 컴퓨팅 장치의 광학 시스템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화상 데이터를 캡처하는 방법
US20040203411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20060066740A1 (en) Mobile phone with complete English keyboard
JP2021532492A (ja) 文字入力方法及び端末
KR20040090771A (ko) 휴대용 정보저장 장치
JP200503334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
KR100906380B1 (ko) 펜 형태의 전자사전 장치 및 그 방법
JP4778720B2 (ja) デジタルペン及び手書き入力システム
JP2002111841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文字読取装置
US2018015256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scanning and editing of documents
KR100721668B1 (ko) 근거리 무선 전송 기능을 가지는 필기 장치와 이 필기장치와 연동하여 필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
KR20040016539A (ko) 휴대전화 펜식 입력장치
RU2005112458A (ru)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ввода/выводаин информ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вы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и электронная игрушка, в которой использован точечный растр
JP2006350672A (ja) 受光器
JP2004265285A (ja) 携帯型文字記録装置
KR20000058589A (ko) 펜 형태 스캐닝 장치를 이용한 전자 사전 제공 시스템 및방법
WO2001001263A1 (en) Recording of information
KR200207508Y1 (ko) 휴대용 스캐너
KR20010069381A (ko) 마우스겸용 펜타입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