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665A - Elevator - Google Patents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665A
KR20040089665A KR10-2004-7013134A KR20047013134A KR20040089665A KR 20040089665 A KR20040089665 A KR 20040089665A KR 20047013134 A KR20047013134 A KR 20047013134A KR 20040089665 A KR20040089665 A KR 20040089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ge
elevator cage
hoistway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33950B1 (en
Inventor
하시구치나오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9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6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95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6Maintenanc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Abstract

승강로(1)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체(30)에, 회전축이 거의 수직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된 구동 풀리(14)를 갖는 권상기(13),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등의 전향 풀리, 제어판(31), 조속기(32)가 부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케이지(5)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에 보수용의 개구부(9)가 설치된다. 권상기(13) 등의 기기는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케이지(5) 등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케이지(5)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권상기(13) 등의 기기와 케이지 상면(8)과의 간극을, 적어도 케이지(5)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g) 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한다. 보수 작업자(20)는, 케이지(5) 내의 작업대(21)를 타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로부터 손을 뻗어서 권상기(13) 등의 기기의 보수를 실행한다.On the frame body 30 provided above the hoistway 1, the hoisting machine 13 which has the drive pulley 14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rotating shaft may become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 forward pulley, such as an elevator cage side forward pulley 15, a control panel ( 31), the governor 32 is attached. The elevator cage 5 is provided with an opening 9 for repai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8. A device, such as the hoisting machine 13, is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overlaps with the cage 5 and the like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nd the hoisting machine 13 and the like in the state where the cage 5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maintenance position. The clearan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cage upper surface 8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alue (V 2 / 2g) obtained by dividing the square of at least the rated speed of the cage 5 by twice the gravity acceleration, and the gap is made as small as possible. The maintenance worker 20 rides on the work bench 21 in the cage 5, extends a hand from the opening 9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8, and repairs the equipment such as the hoist 13.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Elevator device {ELEVATOR}

최근 증가하고 있는 기계실을 설치하지 않는, 이른바 기계실 미설치(machineroom-less)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권상기를 구비할 수 있어, 권상기의 구동 풀리(drive sheave)를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로 벽면 사이에 배치하고, 또한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권상기의 일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겹치도록 해서 배치되는 것이 많다. 또한, 종래는 기계실에 배치되어 있었던 제어판이나 전향 풀리, 조속기 등의 기기도,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로 벽면 사이에 배치된다.In so-called machine room-less elevators, which do not install an increasing number of machine rooms, a hoist can b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so that the drive sheave of the hoist can be mounted on the elevator cage and hoistway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It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wall surfaces, and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part of hoist may overlap with an elevator cage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a hoistway. Moreover, apparatuses, such as a control panel, a forward pulley, a governor, etc. which were conventionally arrange | positioned in a machine room, are also arrange | positioned between an elevator cage and a hoistway wall surface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a hoistway.

이러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로 벽면 사이에 권상기의 구동 풀리, 제어판, 전향 풀리, 조속기 등의 기기의 두께 이상의 간극이 필요하다. 이 간극은 승강로의 전체 높이에 걸쳐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발생시키고, 특히 건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이데드 스페이스가 확대된다.In the elevator apparatus of such a structure, the clearance more than the thickness of apparatuses, such as a drive pulley of a hoisting machine, a control panel, a forward pulley, a governor, is required between the elevator cage and the hoistway wall surface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This gap creates dead space over the entire height of the hoistway, especially as the building rises.

또한, 승강로 상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가 어떠한 이유에 의해 폭주해서 극한까지 상승한 사태를 가정하여,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기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충돌 회피와 보수 작업시에 있어서의 보수 작업자의 안전 확보 때문에 승강로 상부에 간극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승강로 상부에도 데드 스페이스가 생긴다. 여기에서, 이 승강로 상부의 데드 스페이스는 다음 두 개의 방식 중 하나로 형성된다. 하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폭주해서 극한까지 상승했을 경우라도, 승강로 상부에 배치된 기기와 엘리베이터 바구니가 부딪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상하 방향의 공간을 말한다. 또 하나는, 종래의 기계실 미설치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에 배치된 권상기 등의 기기를 점검하기 위해서, 보수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을 타고 작업하거나, 혹은 일본 특개평 제 5-97357 호 공보에 설명된 것처럼, 보수 작업자가 상반신을 엘리베이터 케이지로부터 내밀고 작업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었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폭주했을 경우에, 보수 작업자가 승강로 상부 또는 승강로 상부에 배치된 기기에 머리를 부딪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로 상부에 배치된 기기 사이에 간극을 크게 잡을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확보하는 상하 방향의 공간을 말한다.In add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ssuming that the elevator has runaway for some reason and has risen to the extreme, the collision between the equipment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the elevator cage and the safety of the maintenance worker at the time of maintenance work are ensur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gap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thus a dead space also occurs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Here, the dead space above the hoistway is formed in one of two ways. One is an up-down space provided so that the apparatus placed on the hoistway and the elevator basket may not collide, even when the elevator cage is congested and rises to the limit. In another conventional machine room-less elevator, a maintenance worker works on the upper surface of an elevator cage, or as describ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5-97357, in order to check a device such as a hoist installed in a hoistway. The maintenance worker extended the upper body from the elevator cage and worked. Therefore, when the elevator cage is congested, it is necessary to make a large gap between the elevator cage and the apparatus disposed above the hoistway in order to prevent the maintenance worker from hitting the head of the apparatus arranged above the hoistway or the hoistway. Therefore, it means the space of the up-down direction to secure.

이렇게, 종래의 기계실 미설치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로 전체 높이에 걸친 데드 스페이스와 승강로 상부의 데드 스페이스가 생긴다.Thus, in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 non-installation elevator, the dead space over the whole height of a hoistway and the dead space of an upper part of a hoistway arise.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로 벽면 사이에 권상기 등의 기기를 배치하지 않도록 해서 승강로의 전체 높이에 걸쳐 생기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폭주해서 극한까지 상승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기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충돌 회피 및 보수 작업자의 안전 확보 때문에 설치된 공간에 의한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한다. 이로써, 필요한 승강로 공간을 최소로 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n this invention, the dead space which arises over the whole height of a hoistway is minimized, so that apparatuses, such as a hoist, may not be arrange | positioned between an elevator cage and a hoistway wall surface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a hoistway. In addition, when the elevator is congested and ascends to the limit, the dead space due to the installed space is minimized due to the collision avoidance between the equipment installed on the hoistway and the elevator cage and the safety of the maintenance work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apparatus with a minimum required lift path space.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상부에 프레임체가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체에는 권상기, 전향 풀리가 부착되어 있다. 권상기는, 회전축이 거의 수직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된 구동 풀리를 갖는다. 전향 풀리는, 권상기의 구동 풀리에 감긴 엘리베이터의 주 로프를 방향 전환시키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케이지 상면에 개폐 가능한 개구부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권상기 또는 전향 풀리는,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 또는 평형추 중 어느 하나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권상기 및 전향 풀리와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과의 간극을, 적어도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 g) 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한 것이다.In the elevator apparatus of this invention, the frame body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the hoisting machine and the forward pulley are attached to the frame body. The hoist has a drive pulley disposed so that the rotational axis i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The forward pulley turns the main rope of the elevator wound on the drive pulley of the hoisting machine. The elevator cag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ge. Here, the hoist or forward pulley is disposed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overlaps with either the elevator cage or the counterweight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Then, the gap between the hoisting machine and the forward pulley and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elevator cage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maintenance position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quare of at least the rated speed of the elevator cage by twice the gravity acceleration (V 2 / It is 2 g) or more, and this gap is made as small as possible.

또한, 프레임체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 또는조속기를 붙일 수 있고, 제어판 또는 조속기의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am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or a governor for controlling the lift of the elevator cage, and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 panel or the governor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the elevator cage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lift path.

이렇게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어판 또는 조속기와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과의 간극을, 적어도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g) 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한 것이다.The elevator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control panel or the governo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in the state where the elevator cage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maintenance position by at least twice the square of the acceleration of gravity of the elevator cage ( V 2 / 2g) or more, and the gap is made as small as possible.

또한, 권상기 또는 제어판의 적어도 한 쪽의 보수 작업 대상면이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maintenance work target surface of the hoisting machine or the control panel is disposed vertically downward.

또한, 권상기는,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 상부에 권상기 등의 기기를 집약해서 배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승강로 측벽면 사이의 승강로 전체 높이에 걸쳐 생기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해서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기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충돌 회피 및 보수 작업자의 안전 확보 때문에 설정된 공간에 의한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함으로써, 필요한 승강로 공간을 최소로 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ing machine is formed to have a smaller thickness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than the dimension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tegrating and arranging devices such as a hoisting machin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collis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elevator cag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with a minimum dead space generated over the entire height of the hoistway between the elevator cage and the sidewall face of the hoistway By minimizing the dead space by the set space because of the safety of the evasion and maintenance worker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evator device with a minimum of the required hoistway space.

본 발명은, 권상기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elevator apparatus in which the hois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in a hoistw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위쪽으로부터 내려다 본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viewed from above,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 배면측에서 본 배면도,FIG. 2 is a rear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FIG. 1 viewed from the hoistway rear side; FIG.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 측면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보수 작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3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FIG. 1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hoistway side, and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maintenance work; FIG.

도 4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폭주한 상태를 가정하고, 그 폭주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elevator cage at the time of runaway, assuming that the elevator cage is congested i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5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로, 정격 속도가 빠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보수 작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maintenance work in an elevator having a high rated speed i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describe this invention in more detail,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attached drawing.

또, 각각의 도면 중,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중복 설명은 적절하게 간략화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in each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 and the duplica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or abbreviate |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위쪽으로부터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 배면측에서 본 배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top view which looked down at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shows the arrangement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FIG. 1 as seen from the hoistway rear side. FIG.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승강로(1)의 벽면(2)에 설치된 레일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한 쌍의 케이지용 가이드 레일(3)과 다른 한 쌍의 평형추용 가이드 레일(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케이지(5)는 케이지용 가이드 레일(3)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하고, 평형추(10)는 평형추용 가이드 레일(4)에 안내되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In the drawing, in the hoistway 1, a pair of cage guide rails 3 and a pair of counterweights for counterweights pass through a rail bracket (not shown)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2 of the hoistway 1. The rails 4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elevator cage 5 is guided to the cage guide rail 3 to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and the counterweight 10 is guided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4 so as to b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levator cage 5.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is elevated.

엘리베이터 케이지(5)에는, 출입구문(7)이 엘리베이터 케이지(5) 정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도 1에 있어서, 출입구문(7)측의 승강로의 벽면을 정면이라 칭하고, 정면과 대향하는 면을 배면이라 칭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출입구면과 직교하는 양 면을 측면이라고 칭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5)는 복수의 대들보에 의해 형성된 케이지 프레임(6)에 의해 하면 및 양 측면이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상면(8)에는, 개폐 뚜껑(9a)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된 보수 작업 실행용 개구부(9)가 설치된다. 평형추(10)는, 승강로(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배면측에, 그리고 일 측면이 승강로(1)의 벽면(2)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In the elevator cage 5, an entrance door 7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levator cage 5. Hereinafter, in FIG. 1,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on the entrance door 7 side is called front, and the surface facing the front is called back. In addition, both surfaces orthogonal to the entrance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5 are called side surfaces.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elevator cage 5 are supported by the cage frame 6 formed by the plurality of girders. Here, the opening 9 for maintenance work which became openable and closeable by the opening-closing lid 9a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8 of the elevator cage 5. The counterweight 10 is arrange | positioned near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elevator cage 5 in the hoistway 1, and one side is close to the wall surface 2 of the hoistway 1.

다음에, 승강로(1) 상부에는, 케이지용 가이드 레일(3)과 평형추용 가이드 레일(4)에 의해 지지된 프레임체(30)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체(30)에는, 엘리베이터 주 로프(12)가 감긴 구동 풀리(14)를 갖는 권상기(13)가 설치된다. 또한, 구동 풀리(14)는 회전축이 거의 수직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13)는 적어도 권상기(13)의 일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겹치는 것 같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배치예에서는, 평형추(10)가 배치되는 부분의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코너부와는 다른 타 코너부측에, 권상기(13)가 그 주요부가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와도 권상기(13)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13)는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Next, the frame 30 supported by the cage guide rail 3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4 is provided in the hoistway 1 upper part. The frame 30 is provided with a hoist 13 having a drive pulley 14 on which an elevator main rope 12 is wound. In addition, the drive pulley 14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rotating shaft may become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Moreover, the hoist 13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t least one part of the hoist 13 may overlap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5 and the hoistway 1. In the arrangement example shown in FIG. 1, the main part of the hoisting machine 13 is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on the other corner part sid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rner part of the elevator cage 5 of the portion where the counterweight 10 is disposed.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overlap with the elevator cage 5, and the opening part 9 of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8 is also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part of the hoisting machine 13 may overlap o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Further, the hoist 13 is formed to have a smaller thickness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than the radial dimension.

다음에,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향 풀리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평형추측 전향 풀리(16), 케이지용 풀리(17), 평형추용 풀리(18)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들 전향 풀리의 배치에 대해서는, 권상기(13)의 구동 풀리(14)에 감긴 주 로프(12)의 배치 경로와 함께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주 로프(12)의 한 쪽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에 감기고,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켜져, 케이지 프레임(6) 하부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된 케이지용 풀리(17)에 순차적으로 감기고, 다시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승강로(1) 상부의 프레임체(30)에 부착되어 있다. 주 로프(12)의 다른 쪽은, 권상기(13)에서 평형추측 전향 풀리(16)에 감기고, 수평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전환시켜져, 평형추용 풀리(18)에 감기고, 승강로(1) 상부의 프레임체(30)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및 케이지용 풀리(17)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로부터 케이지용 풀리(17)를 향하는 주 로프부 및 케이지용 풀리(17)로부터 프레임체(30)를 향하는 주 로프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측면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및 케이지용 풀리(17)의 대부분이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승강로 벽면(2)과의 거리를 크게 취할 필요가 없도록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케이지측전향 풀리(15)는 바구니 상면(8)의 개구부(9)와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평형추측 전향 풀리(16)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평형추(10)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평형추용 풀리(18)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평형추(10)와 전체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평형추(10)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의 간극을 크게 취할 필요가 없도록 되어 있다.Next, the forward pulley that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refers to the elevator cage side forward pulley 15, the counterweight side forward pulley 16, the cage pulley 17, and the counterweight pulley 18. The arrangement of these forward pulleys will be described sequentially with the arrangement path of the main rope 12 wound around the drive pulley 14 of the hoisting machine 13. One side of the main rope 12 is wound on the elevator cage side turning pulley 15, and is switch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age pulleys 17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ge frame 6 lower part, respectively. It winds up sequentially, turns again to a vertical direction, and is attached to the frame 30 of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other side of the main rope 12 is wound on the counterweight side turning pulley 16 by the hoisting machine 13, is switch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wound on the counterweight pulley 18, and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is provided. It is attached to the frame 30 of the. Here, the elevator cage side forward pulley 15 and the cage pulley 17 are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elevator cage side overlaps the elevator cage 5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other words, the main rope portion facing the cage pulley 17 from the elevator cage side turning pulley 15 and the main rope portion facing the frame body 30 from the cage pulley 17 as far as possible on the side of the elevator cage 5. Most of the elevator cage side turning pulley 15 and the cage pulley 17 are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elevator cage 5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so that the elevator cage 5 and the hoistway wall surface 2 It is not necessary to take a large distance. Moreover, the elevator cage side turning pulley 15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part may overlap with the opening part 9 of the basket upper surface 8, too. Moreover, the counterweight side forward pulley 16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t least one part may overlap with the counterweight 10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nd the counterweight pulley 18 is the counterweight o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of the hoistway 1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whole and 10 may overlap. In other words, the gap between the counterweight 10 and the elevator cage 5 does not have to be large.

다음에,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31)은, 승강로(1) 상부의 프레임체(30)에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된다. 도 1의 배치예에서는, 제어판(31) 전체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와도 제어판(31) 전체가 수직 투영면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Next, in the control panel 31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of the elevator cage 5,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 panel 31 overlaps with the elevator cage 5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o the frame 30 above the hoistway 1. It is arranged to be. In the arrangement example of FIG. 1, the whole control panel 31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overlap with the elevator cage 5, and also the opening part 9 of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8 may also b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whole control panel 31 may overlap o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have.

다음에, 조속기(32)는, 제어판(31)과 같이 승강로(1) 상부의 프레임체(30)에 설치되어 있고, 조속기(32)에는 조속기 로프(33)가 감겨 있다. 그리고, 조속기 로프(33)에 장력을 주기 위한 조속기용 인장 풀리(34)가 승강로(1) 하부에 설치된다. 조속기(32)도, 제어판(31)과 같이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와도 조속기(32)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조속기(32)의 로우프 풀리부 이외는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조속기(32) 두께로 인해 조속기(32)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측면 사이에 필요 없는 간극을 잡을 필요가 없도록 되어 있다.Next, the governor 32 is provided in the frame 30 above the hoistway 1 like the control panel 31, and the governor rope 33 is wound around the governor 32. In addition, a tension pulley 34 for the governor for tensioning the governor rope 33 is installed below the hoistway 1. Like the control panel 31, the governor 32 is also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t least one part may overlap with the elevator cage 5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and the governor 32 also with the opening 9 of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8. A part of)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overlap o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at is, except the rope pulley part of the governor 32,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overlap with the elevator cage 5, and it is necessary to catch the unnecessary clearance gap between the governor 3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5 by the thickness of the governor 32. There is no.

이상의 설명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권상기(13),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평형추측 전향 풀리(16), 제어판(31), 조속기(32)와 같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가, 승강로(1)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체(30)에 집약해서 배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라고 할 경우에는, 권상기(12),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평형추측 전향 풀리(16), 제어판(31), 조속기(32)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체(30)는,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케이지용 가이드 레일(3) 및 평형추용 가이드 레일(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했지만, 승강로(1)의 벽면(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라도 좋다.As mention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nstallation apparatuses, such as the hoisting machine 13, the elevator cage side turning pulley 15, the counterweight side turning pulley 16, the control panel 31, and the governor 32, It is concentrated and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ame body 30 provided in the hoistway 1 upper par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hoist upper installation device is used, the hoisting machine 12, the elevator cage side forward pulley 15, the counterweight side forward pulley 16, the control panel 31, and the governor 32 shall be referred to. In addition, although the frame body 30 showed the example supported by the cage guide rail 3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4 in the above-mentioned description, the frame 30 is not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2 of the hoistway 1. It may be supported by.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 측면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보수 작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FIG. 1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hoistway side,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intenance work. FIG.

도 3을 이용하여, 이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엘리베이터 케이지(5)를 최상층 부근의 소정 보수 위치에 정지시켜, 보수 작업자(20)가 작업대(21)를 타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의 개폐 뚜껑(9a)을 열고, 엘리베이터 케이지(5) 내로부터 승강로 상부 기기의 보수 작업을 실행한다.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작업대(21)는 엘리베이터 케이지(5)에 상설된 접기식의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평상 운전시에는 접혀져서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내부 측벽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 작업대(21)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를 조정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 보수 작업자(20)의 신장에 따라 작업대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권상기(13)와 제어판(31)은, 보수 작업을 실행하는 보수 작업 대상면(22)이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승강로(1) 상부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때문에,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간극은 최대한 작게 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거리를 구하는 계산을 실행한다.The repair method of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using FIG. First, the elevator cage 5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maintenance position near the top floor, and the maintenance worker 20 rides on the work bench 21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 closing lid 9a of the opening 9 of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8. The maintenance work of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pparatus is performed from inside the elevator cage 5. The work bench 21 described here is of a folding type installed in the elevator cage 5, which is folded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stored in the inner side wall of the elevator cage 5. Moreover, this work bench 21 is equipped with the mechanism which adjusts a height in an up-down direction, and adjusts the height of a work bench according to elongation of the maintenance worker 20. And the hoisting machine 13 and the control panel 31 arrange | position the maintenance work target surface 22 which performs maintenance work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In this invention, since it aims at minimizing the dead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8 and the upper part of a hoistway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as small as possible, for that reason, In the method described below, calculation is performed to find the distance between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8 and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device.

도 4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폭주한 상태를 가정하고, 그 폭주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4a는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정격 속도에서 상승하고, 평형추가 완충기에 돌입하는 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b는 평형추가 완충기에 돌입한 후,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관성력으로 더욱 상승했을 때의 한계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ge during the runaway, assuming that the elevator cage is congested i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 4A is an elevator cage at a rated speed.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oment when it rises and a counterweight enters a shock absorber. 4B is a diagram showing the limit position when the elevator cage further rises by inertia force after the counterweight enters the shock absorber.

엘리베이터가 정격 속도로 상승하고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간극은, 어떠한 이유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폭주해버렸을 경우를 가정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충돌하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바꿔 말하면,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간극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폭주시에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충돌하지 않는 거리 이상으로 하면 좋다.When the elevator is rising at the rated speed, the clear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8 of the elevator cage 5 and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assumes that the elevator cage 5 has runaway for some reason. (5) must not impinge on the hoist top installation equipment. In other words, the clearance between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8 and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may be more than the distance that the elevator cage 5 does not collide with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during the runaway of the elevator cage 5.

여기에서,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정격 속도(V)에서 상승 중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감속하지 않고 상승을 계속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는 반대 방향으로 하강을 계속하는 평형추(10)가 완충기(11)에 돌입한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돌입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평형추(10) 사이에 그 때까지 있었던 주 로프(12)의 장력이 없어진다. 이때, 정격 속도(V)로 상승하고 있던 엘리베이터 케이지(5)는, 관성력에 의해, 이 속도(V)를 초속으로 해서 비상(飛上)한다. 이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은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4A, when the elevator cage 5 continues to rise without deceleration due to any cause while the elevator cage 5 ascends at the rated speed V, the desc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levator cage 5 is stopped. Subsequent counterweight 10 enters shock absorber 11. As shown in FIG. 4B, this intrusion eliminates tension of the main rope 12 that has existed between the elevator cage 5 and the counterweight 10 up to that point. At this time, the elevator cage 5 which has risen at the rated speed V escapes with this speed V as the initial speed by the inertia force. The emergency value of this elevator cage 5 can be calculated | required by the following formula.

S = V2/ 2gS = V 2 / 2g

여기서, S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비상값, V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초속(정격 속도), g는 중력가속도이다.Where S is the emergency value of the elevator cage, V is the initial velocity (rated speed) of the elevator cage, and g is the gravity acceleration.

따라서, 상기 식에 의해,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 사이의 간극은, 적어도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S) 이상으로 두면, 만약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정격 속도(V)에서의 상승 중에 폭주했을 경우라도,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충돌해버리는 사태는 피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 승강로 상부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폭주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충돌을 피하는 간극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이 간극을 최대한 작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식에서 구한 간극은 평형추(10)가 완충기(11)에 돌입한 때로부터의 비상값(S)이기 때문에, 이 간극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기 위해서, 보수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 보수 작업자(20)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를 이동시켰을 때의 보수 위치는 평형추(10)가 완충기(11)에 접촉하기 직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는, 보수 위치에 있어서의 평형추(10)와 완충기(11) 사이에는 여유값을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그 여유값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S)의 2할 정도로 하면 충분하다.Therefore, by the above formula, if the clearance between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8 and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is at least more than the emergency value S of the elevator cage 5, if the elevator cage 5 is rated speed (V), Even in the case of runaway during the ascension, the situation where the elevator cage 5 collides with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device can be avoided. Howeve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duce the dead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not only the clearance which avoids the collision between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8 and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nstallation apparatus during the runaway of the elevator is secured, but the gap is maximized. There is a desire to be small. Therefore, since the clearance obtained by the above formula is the emergency value S from when the counterweight 10 enters the shock absorber 11, the maintenance is performed to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in order to make this clearance as small as possible. The maintenance position when the operator 20 moves the elevator cage 5 is preferably just before the counterweight 10 contacts the shock absorber 11.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argin value between the counterweight 10 and the shock absorber 11 in the maintenance position, but the margin value is sufficient to be about 2 of the emergency value S of the elevator cage 5. .

이상에서, 보수 위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간극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S) 내지 비상값(S)의 2할 증가 정도의 사이에서 설정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정격 속도가 매분 120미터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실제로 간극을 계산하면,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S)은 약 20cm가 되고, 여유값을 고려하면, 간극은 20cm 내지 24cm 정도로 확보하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수 작업을 실행할 때에, 보수 작업자(20)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보다 머리를 돌출하지 않고 손을 뻗으면 권상기(13) 등의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손이 닿도록 작업대(21)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만약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폭주했을 경우라도 보수 작업자(20)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머리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8 and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in a maintenance position is set between the 20% increase of the emergency value S of the elevator cage 5 to the emergency value S. Is enough. For example, in an elevator whose rated speed is 120 meters per minute, when the clearance is actually calculated, the emergency value S of the elevator cage 5 is about 20 cm, and considering the margin value, the clearance is secured at about 20 cm to 24 cm. Is preferable. 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the maintenance worker 20 extends his or her hand without protruding the head from the opening 9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8. By setting the height of the work bench 21 so as to touch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the maintenance worker 20 can be prevented from hitting the head of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even if the elevator cage 5 is congested. .

다음에, 도 5는, 이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로, 정격 속도가 빠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보수 작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FIG. 5: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method of the repair operation in the elevator with a rapid speed with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정격 속도가 매분 120미터보다 빠른, 이른바 고속의 부류에 들어가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전술한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비상값(S)이 속도의 자승에 비례해서 커지므로, 엘리베이터 정격 속도가 커진 정도로,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사이에서 최소로 필요한 간극이 커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수 작업을 실행할 때에, 보수 작업자(20)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보다 머리만을 돌출하고, 또한 손을 뻗으면 권상기(13) 등의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에 손이 닿도록 작업대(21)의 높이를 설정하면 보수 작업이 가능해서, 만약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폭주했을 경우라도 보수 작업자(20)는 목을 움츠리는 정도로 기기와 머리가 부딪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In an elevator entering the so-called high-speed class, where the rated speed is faster than 120 meters per minute, the emergency value S of the above-mentioned elevator cage 5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square of the speed, so that the elevator rated speed increases. The minimum required clearance between the cage top surface 8 and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equipment becomes large. Also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when performing maintenance work, the maintenance worker 20 protrudes only a head rather than the opening part 9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8, and if it reaches out, the hoist 13 If the height of the work bench 21 is set to reach the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of the hoistway, etc., the repair work can be performed, so that even if the elevator cage 5 is congested, the repair worker 20 will shrug the neck. This can prevent the device from hitting the head.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작업대(21)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에 상설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작업대(21)는 엘리베이터 케이지(5)에 상설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수 작업용으로 외부로부터 가지고 들어가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보수 작업자(20)는 서서 작업하도록 하고 있지만, 작업대(21)의 높이를 더 높게 해서, 보수 작업자(20)가 앉아서 작업하도록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work bench 21 has shown the example permanently installed in the elevator cage 5, the work bench 21 is not limited to what was permanently installed in the elevator cage 5, and is taken from the exterior for maintenance work. You may enter. In addition, in the figure, although the maintenance worker 20 is to stand and works, it is apparent that the same effect can be acquired even if the maintenance worker 20 is made to work by making the height of the work bench 21 higher.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quired.

권상기(13), 엘리베이터 케이지측 전향 풀리(15), 평형추측 전향 풀리(16), 제어판(31), 조속기(32)와 같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를 프레임체(30)에 집약하고,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승강로 벽면(2)과 엘리베이터 케이지(5) 사이에 기기를 배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를 수직 투영면상에서 엘리베이터(5) 또는 평형추(10)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하는 것으로, 승강로(1)의 평면 치수가 최소가 되어, 승강로(1)의 전체 높이에 걸쳐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직 투영면상에서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를 엘리베이터 케이지(5) 또는 평형추(10)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하는 것에 더하여,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를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와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보수 작업자(20)가 엘리베이터 케이지(5) 내에서 작업할 때에 보수 대상이 되는 기기에 손을 뻗기 쉬워지므로, 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nstallation apparatuses, such as the hoisting machine 13, the elevator cage side forward pulley 15, the counterweight side forward pulley 16, the control panel 31, and the governor 32, is concentrated on the frame 30, and the hoistway 1 In such a way that the device is not placed between the elevator wall surface 2 and the elevator cage 5 o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and that at least part of the elevator upper installation device overlaps the elevator 5 or counterweight 10 o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By arrange | positioning, the planar dimension of the hoistway 1 becomes the minimum, and dead space can be minimized over the whole height of the hoistway 1. Furthermore, in addition to arranging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overlaps with the elevator cage 5 or the counterweight 10,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apparatus is also partially provided with the opening 9 of the elevator cage upper surface 8. By arranging the parts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it is easy to reach out to the equipment to be repaired when the maintenance worker 20 works in the elevator cage 5, so that the maintenanc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엘리베이터 폭주시의 엘리베이터 케이지(5)와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승강로(1) 상부와 엘리베이터 케이지(5)의 상면(8)과의 간극을 최소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승강로(1) 상부에 있어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할 수 있다. 게다가, 권상기(13)와 제어판(31)의 보수 작업 대상면(22)이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보수 작업자(20)는 엘리베이터 케이지(5) 내로부터 작업대(21)를 타고,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의 개구부(9)로부터 머리를 돌출하지 않고 손을 뻗으면, 혹은 필요하면 개구부(9)로부터 머리만 돌출하고 또 손을 뻗는 것으로 승강로 상부 설치 기기의 보수가 가능하게 되어, 만약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폭주했을 경우에도 머리를 움츠리는 정도로 보수 작업자(20)와 엘리베이터 케이지(5)가 부딪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보수 작업자(20)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지금까지 보수 작업시의 안전 확보 때문에 크게 하여야 했던 데드 스페이스를 축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ision between the elevator cage 5 and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upper installation device during the runaway of the elevator can be avoided,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nd the upper surface 8 of the elevator cage 5 is minimized. By setting so that the dead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while the hoisting machine 13 and the maintenance work target surface 22 of the control panel 31 are arranged vertically downward, the maintenance worker 20 rides on the work bench 21 from inside the elevator cage 5, and lifts the elevator. If the hand is extended without protruding the head from the opening 9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ge 8, or if necessary, only the head is protruded from the opening 9 and the hand is extended to repair the upper installation device of the hoistway. Even when the elevator cage 5 is congested, the maintenance worker 20 and the elevator cage 5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to the extent that their head is shrunk, and the safety of the maintenance worker 20 can be ensur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ad space, which had to be increased due to secur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work.

또한, 권상기(13)는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승강로(1) 전체 높이의 축소에 기여한다.Further, the hoisting machine 13 is formed to have a smaller thickness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than the dimension in the radial direction, and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the height of the hoistway 1.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엘리베이터 케이지(5)는, 케이지 프레임(6)의 하부에 설치된 케이지용 풀리(17)에 의해 지지되어서 승강하는 배치로 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에 상부 프레임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승강로(1) 전체 높이의 축소에 기여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5)를 양 측면에서 매다는 타입과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8)에 상부 프레임이 불필요한 것이면, 로핑(roping) 형식은 이 실시형태의 2:1 로핑 형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vator cage 5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arranged to be supported by the cage pulley 17 provided below the cage frame 6, the elevator cage 5 moves up and down. Since it does not need to install, it contributes to reduction of the height of the hoistway 1 whole. Further, if the upper frame is unnecessar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8, such as the type of suspending the elevator cage 5 from both sides, the roping type is not limited to that of the 2: 1 roping type of this embodiment,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이상에서, 기계실 미설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존재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할 수 있고, 승강로(1)가 점유하는 공간 용적을 최대한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dead space existing in the machine room non-installation elevator can be minimized, and the space volume occupied by the hoistway 1 can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종래의 기계실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있어서 존재하던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로 할 수 있어, 기계실 미설치 엘리베이터의 장점인 공간 절약성이 더욱 향상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건축 비용을 염가로 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건물의 외관이나 높이에 의한 제한 등을 갖는 엄격한 입지 조건에서의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데도 적합하다.As mentioned above,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an minimize the dead space which existed in the hoistway of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 elevator, and can provide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further improved the space saving property which is the advantage of the machine room not installed elevator. . Moreover, it becomes possible to make the building construction cost of a building cheap, and is also suitable for providing the elevator in strict location conditions which have restrictions by the appearance, height, etc. of a building.

Claims (6)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체와,A frame body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상기 프레임체에 장착되고 회전축이 거의 수직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된 구동 풀리를 갖는 권상기와,A hoist having a pulley mounted to the frame body and disposed so that the rotational axis i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상기 프레임체에 장착되고 상기 권상기의 상기 구동 풀리에 감긴 엘리베이터의 주 로프를 방향 전환시키는 전향 풀리와,A forward pulley mounted on the frame body and redirecting a main rope of an elevator wound around the drive pulley of the hoisting machine; 상면에 개폐 가능한 개구부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구비하고,The elevator cag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권상기 또는 상기 전향 풀리는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 또는 상기 평형추 중 어느 하나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권상기 및 상기 전향 풀리와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과의 간극을, 적어도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g) 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hoist and the hoist in a state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hoist or the forward pulley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any one of the elevator cage or the counterweight o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and the elevator cage stops at a predetermined maintenance position. The clearance between the forward pulle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alue of the square of the rated speed of the elevator cage divided by twice the gravity acceleration (V 2 / 2g), and the clearance is made as small as possible. doing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체에,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이 장착되고, 상기 제어판의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판과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과의 간극을, 적어도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g) 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lift of the elevator cage is mounted to the fram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rol panel is disposed to overlap the elevator cage o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whereby the elevator cage stops at a predetermined maintenance position. In the state, the clearance between the control pane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quare of the rated speed of the elevator cage by twice the gravity acceleration (V 2 / 2g), and the clearance is as much as possible. Characterized in that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프레임체에 조속기가 장착되고, 상기 조속기의 적어도 일부가 승강로의 수직 투영면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소정의 보수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조속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 상면과의 간극을, 적어도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정격 속도의 자승을 중력 가속도의 두 배로 나눈 값(V2/2 g)이상으로 하고, 또한 이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governor is mounted on the frame, and at least a part of the governor is disposed to overlap the elevator cage o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and the governor and the elevator in a state where the elevator cage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maintenance position. the clear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ge, at least the square of the rated speed of the elevator cage with doubly divided by (V 2/2 g) more than the acceleration due to gravity, and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as small as possible,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권상기 또는 상기 제어판의 적어도 한 쪽의 보수 작업 대상면이 수직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At least one maintenance target surface of the hoisting machine or the control panel is disposed vertically downwards.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권상기는,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said hoisting machine is formed in thickness of the rotation axis direction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a radi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프레임체는, 케이지용 가이드 레일 및 평형추용 가이드 레일, 또는 승강로 벽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frame body is supported by any one of a cage guide rail, a counterweight guide rail, or a hoistway wall surface.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KR1020047013134A 2002-12-24 2002-12-24 Elevator KR10063395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13444 WO2004058619A1 (en) 2002-12-24 2002-12-24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665A true KR20040089665A (en) 2004-10-21
KR100633950B1 KR100633950B1 (en) 2006-10-13

Family

ID=3267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134A KR100633950B1 (en) 2002-12-24 2002-12-24 Elevat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77247A4 (en)
JP (1) JPWO2004058619A1 (en)
KR (1) KR100633950B1 (en)
CN (1) CN1612837A (en)
WO (1) WO200405861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6556A1 (en) 2017-05-23 2018-11-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way display systems for elevator cars
JP6628943B2 (en) * 2017-07-12 2020-01-15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operation management device, elevator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elevator operation management program
DE102018202551A1 (en) * 2018-02-20 2019-08-22 Thyssenkrupp Ag Collision prevention between a guide device and a ca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7357A (en) * 1991-10-04 1993-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cage device
FI96198C (en) * 1994-11-03 1996-05-27 Kone Oy Pinion Elevator
JP4191331B2 (en) * 1999-01-08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JP2000318941A (en) * 1999-05-07 2000-11-21 Inventio Ag Device for working in elevator shaft
JP4493759B2 (en) * 1999-09-13 2010-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EP1972592B1 (en) * 2000-09-20 2010-04-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7247A4 (en) 2010-12-22
KR100633950B1 (en) 2006-10-13
CN1612837A (en) 2005-05-04
WO2004058619A1 (en) 2004-07-15
EP1577247A1 (en) 2005-09-21
JPWO2004058619A1 (en)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2591B2 (en) Elevator terminal safety device
KR100326109B1 (en) Elevator having governor
EA014743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counterweight
KR102480892B1 (en) Bottom driving elevator
US7097000B2 (en) Elevator apparatus
WO2001062654A1 (en) Elevator device
KR100633950B1 (en) Elevator
JP2012056773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3603606B2 (en) Elevator equipment
WO2001053184A1 (en) Elevator device
KR20010096838A (en) Installation structure and the method for winch of a lower part driving elevator with machine roomless
JP2000177949A (en) Elevator
JP2015051837A (en) Elevator with inter-floor adjustment function
WO2017141438A1 (en) Elevator device
JP4248678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0095461A (en) Traction elevator
JP2002128433A (en) Safety device for work on elevator car
JPH0986826A (en) Rope-type elevator
JP4917829B2 (e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and installation equipment
JP2001048445A (en) Elevator
JP6300715B2 (en) Elevator scaffolding equipment
JP3807851B2 (en) Elevator hoistway
KR100750010B1 (en) Elevator system
EP1710191B1 (en) Elevator system
JP2004142853A (en)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