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599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599A
KR20040087599A KR1020030022044A KR20030022044A KR20040087599A KR 20040087599 A KR20040087599 A KR 20040087599A KR 1020030022044 A KR1020030022044 A KR 1020030022044A KR 20030022044 A KR20030022044 A KR 20030022044A KR 20040087599 A KR20040087599 A KR 20040087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assword
communication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7599A/ko
Publication of KR2004008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5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기능 설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서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킬 때 암호를 요구하지 않고 바로 로그인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 동작에 따라 사생활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단말기의 메뉴 상에서 단말기의 암호를 사용하지 않는 다수의 특정지역 갯수와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지역이 암호를 확인하지 않는 특정지역이면 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 사용 시마다 일일이 암호를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결해주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he private protection mode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생활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기능 설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서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킬 때 암호를 요구하지 않고 바로 로그인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된 잠금 기능은 전원을 켤 때, 항상 외부 잠금 키를 이용한 잠금 기능 등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잠금 기능과 잠금 해제 기능을 나타내는 전반적인 동작에 따른 플로우챠트로서,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의 메뉴 상에서 소정의 암호(Password)를 설정(101)하여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설정(102)한다.
상기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설정(102)한 다음 단말기의 전원을 온(103) 시키고, 이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암호와 일치하는 번호를 입력(104)하면 단말기의 초기화면이 출력(105)되며, 이때부터 사용자는 단말기의 원하는 동작을 구현(106)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킬 때 잠금 기능은 설정되고, 단말기 사용을 위해 잠금 기능을 해제시키면 단말기의 전원을 껐다 다시 켜기 전까지는 잠금 기능이 해제된 상태이다.
외부 잠금 키를 이용한 잠금 기능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외부에 구비된 잠금 기능 키를 선택하면 잠금이 설정되고, 단말기 사용을 위해 한번 해제하면 다시 설정하기 전까지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로 단말기 전원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설정된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항상 잠금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상태에서 잠금 기능을 해제하여도 사용자가 단말기 사용 시마다 설정된 잠금 해제코드의 암호 입력을 요구하고, 통화나 사생활 보호를 위한 잠금 기능을 제외한 단말기 메뉴 등의 기능은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종래의 잠금 기능 가운데 외부 잠금 키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전원을 켤 때 잠금 기능은 사용자가 단말기 사용을 위해서는 일일이 단말기 사용 시마다 잠금 기능을 해제하였다가 다시 재 설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기능 설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서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킬 때 암호를 요구하지 않고 바로 로그인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 동작에 따라 사생활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메뉴 상에서 단말기의 암호를 사용하지 않는 다수의 특정지역 갯수와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지역이 암호를 확인하지 않는 특정지역이면 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특정지역의 갯수와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초기 단말기 화면에서 승인된 사용자의 암호확인 절차를 거친 다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지역이 암호를 확인하는 일반지역이면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키고 초기화면이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특정지역의 갯수와 정보를 입력하면 소정의 메모리영역이 확보되어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특정지역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 동작에 따라 사생활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다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지역의 기지국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지국 정보가 일치하면 암호확인 절차 없이 초기화면으로 로그 인 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지역의 기지국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지국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암호확인 절차를 거친 다음 암호일치가 확인되면 초기화면으로 로그 인 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잠금 기능과 잠금 해제 기능을 나타내는 전반적인 동작에 따른 플로우챠트.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보호 제어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지역 암호 설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지역을 입력하고 저장시의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6 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특정지역에서 사용시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일반 유선전화(270)를 통해 컴퓨터(280)와 연결하거나 또는 컴퓨터(280)와 직접 연결하기 위해 공중전화 교환망(PSTN)/종합정보 통신망(ISDN)(260)과 연결되는 이동통신 교환국(250)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250)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230)(240)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230)(240)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211)(221)과 상기기지국(211)(221)에 무선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210)(22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기지국(211)(221)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210)(220)와 이동통신 교환국(250)사이에 무선 링크와 유선 링크에 적합하도록 신호 포맷을 바꿔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10)(220)의 송수신 전계 강도(전파 수신 세기)를 측정하여 이동통신 교환국(250)에 제공해준다.
상기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230)(240)는 다수 기지국(211)(221)의 각 요소별 기능과 셀 운용자 사이의 접속 수단이 되며 다수 기지국 운용의 관리, 기지국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상태의 관리, 호 트래픽에 대한 자원의 할당과 구성, 기지국 운용에 관한 정보 수립, 기지국 운용, 감시 및 고장에 관련된 하부 장치 감시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250)은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230)(240) 및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210)(220)에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가적인 기능으로 채널 전환(handoff)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은 임의의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10)(220)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수신하면 다수의 여러 기지국(211)(221)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과 연결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보호 제어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3 을 참조하면, 제어부(3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통화모드에서 대기 호(Call)가 수신될 때 설정된 사생활보호 제어모드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단말기의 잠금 기능이나 잠금 해제기능에 따른 동작모드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10)에 연결된 메모리부(320)는 상기 제어부(310)에서 요구되는 제어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롬(ROM)과, 각종 전화번호, 이름 및 SMS(Short Message Service)에 의한 저장 메시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제어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10)로부터의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310)의 요구에 의해 해당 데이터를 출력한다.
키입력부(330)는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된 키와 키패드상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 및 기능 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10)로 출력하고,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생활보호 제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표시부(340)는 상기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각종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모뎀(350)은 상기 제어부(310)로부터의 송신할 메시지를 소정 변조방식에 의해 변조를 행하여 RF 송신부(360)로 제공하며, RF 수신부(37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310)로 제공한다.
특히, 상기 모뎀(350)은 상기 RF 수신부(37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대기 호의 수신이 감지되면 이를 상기 제어부(310)로 제공한다.
상기 RF 송신부(360)는 상기 모뎀(350)으로부터 제공되는 변조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며, 상기 RF 수신부(370)는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350)으로 제공한다.
듀플렉서(38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RF 수신부(370)로 제공할 수신신호와 상기 RF 송신부(360)로부터 제공받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송신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지역 암호 설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동작이 시작되면 단말기의 메뉴 상에서 키입력부(330)를 통해 암호를 설정(401)한다.
상기 암호가 설정(401)되면 제어부(310)는 잠금 기능이 설정(402)되고 단말기를 특정지역에서 사용하고자할 때 암호를 묻지 않는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403)하여 아니면, 즉 특정지역에서도 암호를 묻는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면 제어부(310)는 전원을 온(404)하고 표시부(340)에 초기화면을 출력(405)한 다음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구현(406)할 수 있도록 해주고 초기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판단(403)결과 맞으면, 즉 특정지역에서 암호를 묻지 않는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면 암호 없이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지역의 리스트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갯수에 따라 단말기에 키 입력(407)한다.
상기 특정지역의 갯수를 입력(407)한 다음 암호 없이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지역의 지역 명이 포함된 정보를 입력(408)하면 제어부(310)는 상기 설정된 특정지역의 정보를 표시부(340)를 통해 알려주고 사용자의 확인(409)을 받는다.
상기 사용자의 확인(409)이 끝나면 제어부(310)는 전원을 온(410)시키고 현재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지역이 암호를 확인하지 않는 지역인지 판단(411)하여 아니면, 즉 특정지역에서도 암호를 묻는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면 제어부(310)는 전원을 온(404)하고 표시부(340)에 초기화면을 출력(405)한 다음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구현(406)할 수 있도록 해주고 초기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판단(411)결과 맞으면, 즉 특정지역에서 암호를 묻지 않는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면 현재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지역이 암호를 확인하지 않는 특정지역임을 단말기의 표시부(340)에 디스플레이(412)해주고 단말기의 초기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구현(413)할 수 있도록 해주고 초기 동작을 종료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지역을 입력하고 저장시의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동작이 시작되면 단말기 사용자는 암호 없이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지역의 갯수를 키입력부(330)를 통해 입력(501)한다.
상기 입력(501)이 마무리되면 제어부(310)는 메모리부(320)에 소정의 메모리영역을 확보(502)하여 상기 입력된 특정지역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어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암호 없이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지역의 정보를 키입력부(330)를 통해 입력(503)하면 상기 제어부(310)는 메모리부(320)에 확보된 소정의 메모리영역에 상기 입력된 특정지역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암호 없이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지역의 정보를 모두 키 입력(503)하면 제어부(310)는 상기 설정된 특정지역의 기지국(211)(221) 정보를 획득(504)하고 획득된 기지국(211)(221) 정보를 메모리부(320)에 확보된 소정의 영역에 저장(505)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특정지역에서 사용시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동작이 시작되면 사용자는 단말기의 전원을 온(601)시킨다.
상기 단말기의 전원이 온(601)되면 제어부(310)는 현재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기지국(211)(221)의 정보가 메모리부(320)에 미리 저장된 기지국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602)한다.
상기 판단(602)결과 맞으면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암호와 사용자가 새로 입력한 암호가 일치하는지 비교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동작시키지 않고 생략(603)하여 단말기를 초기화면으로 로그 인(604)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즉, 상기의 경우는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암호 없이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지역이므로 암호확인 절차를 생략하고 단말기를 초기화면으로 직접 로그 인(604)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판단(602)결과 틀리면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암호와 사용자가 새로 입력한 암호가 일치하는지 비교 판단(605)하여 틀리면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암호와 일치할 때까지 사용자 암호를 재입력(606)한다.
상기 판단(605)결과 맞으면 단말기를 초기화면으로 로그 인(604)하고 동작을종료한다.
즉, 상기의 경우는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암호와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일반지역이므로 암호확인 절차를 거치고 단말기를 초기화면으로 로그 인(604)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기능 설정에 있어서 특정 지역에서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킬 때 암호를 요구하지 않고 바로 로그인 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 사용시마다 일일이 암호를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말끔히 해결해주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 동작에 따라 사생활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메뉴 상에서 단말기의 암호를 사용하지 않는 다수의 특정지역 갯수와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지역이 암호를 확인하지 않는 특정지역이면 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지역의 갯수와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초기 단말기 화면에서 승인된 사용자의 암호확인 절차를 거친 다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3.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지역이 암호를 확인하는 일반지역이면 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키고 초기화면이 출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지역의 갯수와 정보를 입력하면 소정의 메모리영역이 확보되어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특정지역의 기지국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5.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 동작에 따라 사생활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다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지역의 기지국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지국 정보가 일치하면 암호확인 절차 없이 초기화면으로 로그 인 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는 지역의 기지국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지국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암호확인 절차를 거친 다음 암호일치가 확인되면 초기화면으로 로그 인 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KR1020030022044A 2003-04-08 2003-04-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KR20040087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044A KR20040087599A (ko) 2003-04-08 2003-04-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044A KR20040087599A (ko) 2003-04-08 2003-04-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599A true KR20040087599A (ko) 2004-10-14

Family

ID=3736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044A KR20040087599A (ko) 2003-04-08 2003-04-08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75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327B1 (ko) * 2007-01-15 2014-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327B1 (ko) * 2007-01-15 2014-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121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691802B2 (en) Authentication key entry in cellular radio system
US5509052A (en) Base storage of handset's base registrations
KR101068304B1 (ko)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서 원격 데이터 액세스를 위한 방법및 장치
CN1805576B (zh) 移动通信终端、移动通信系统和存储介质
US200401983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service access reques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774276B2 (ja) 移動電話端末を利用した室内機器制御システム
AU635357B2 (en) Cordless telephone registration method
JPH07264657A (ja) 移動無線通信装置
EP1422864B1 (en) Method of activating/deactivating encryption of data/vo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10101718A (ko) 한 세트의 모뎀을 공유하는 가입자 그룹에 무선 통신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GB2296631A (e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5110507A (ja) 移動無線通信装置
US7406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blocked secure storage memory
KR2004008759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EP0509510A2 (en) Radio communication adapter connected to mobil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radio communication adapter
US20040198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access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94010B1 (ko) 쇼트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잠금 제어장치 및 방법
JP3056869B2 (ja) 移動無線通信装置
KR1004844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JP2593599B2 (ja) 無線データ電話機のプログラミ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マブル無線データ電話機
KR100259053B1 (ko)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및 인증 방법
JP2801445B2 (ja) 無線電話機のプログラミ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マブル無線電話機
KR2004008721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자동 잠금/해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0379368B1 (ko) 유선망 서비스의 지역번호와 상호 연계되는 이동 단말의 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