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327B1 -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327B1
KR101362327B1 KR1020070004091A KR20070004091A KR101362327B1 KR 101362327 B1 KR101362327 B1 KR 101362327B1 KR 1020070004091 A KR1020070004091 A KR 1020070004091A KR 20070004091 A KR20070004091 A KR 20070004091A KR 101362327 B1 KR101362327 B1 KR 101362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ag information
temperature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043A (ko
Inventor
김병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327B1/ko
Publication of KR2008006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사생활 보호모드 동작 시 간편하게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 및 해제하기 위해,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태그정보 수신 시, 상기 태그정보가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태그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온도센서로부터 온도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모드로 동작 시, 2번의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외의 타인으로부터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사생활 보호, 보안, 인증

Description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of Privacy Mode and Method ther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생활 보호모드가 제어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방법의 실행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은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생활 보호모드 동작 시 간편하게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기능을 벗어나,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일정 관리, 메모, 전화번호부(착신 전화 번호 목록, 발신 전화 번호 목록, 부재중 수신 전화 번호 목록), 문자 메시지 송수신, 사진기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통화 기록, 착/발신 전화 번호, 스케쥴, 사진, 송/수신 메시지 등과 같은 단말기 사용자 개인의 각종 사생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개인의 각종 사생활 정보를 타인으로부터 보호하기위해, 종래에는 기설정된 비밀 번호 입력시에만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잠금 기능에 사용되는 비밀 번호는 대부분 4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지므로, 비밀 번호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고, 잠금 기능을 해제해 놓은 상태에서는 개인의 사생활 정보가 무방비 상태로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외의 타인으로부터 저장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생활 보호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 방법은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태그정보 수신 시, 상기 태그정보가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태그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와 일치하면, 온도센서로부터 온도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태그정보 및 온도범위를 저장하는 저장부,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전파식별 리더기, 및 상기 수신한 태그정보가 상기 저장된 태그정보와 일치하면,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전파식별 태그와 온도 센서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파식별 태그는 마이크로 칩을 내장한 태그, 레이블, 카드 등에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파식별 리더기에서 자동 인식하는 기술이다. 전파식별 태그는 전원공급 여부에 따라 능동형(active)과 수동형(passive)으로 구분한다. 능동형 태그는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타입으로 배터리 사용으로 작동시간의 제한을 받는다. 한편 수동형 태그는 내부나 외부로부터 직접적인 배터리의 전원 없이 리더의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하며, 저렴하고, 인식거리가 짧다. 본 발명에서 전파식별 태그는 저 전력 소모용 수동형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동형 태그는 반경 50 cm 이내의 전파식별 리더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는 물체와 공기 등의 유체에 접속하여 접촉식과 방사된 열선을 계측하는 비접촉식이 있다. 접촉형으로는 금속 측온 저항체, 서미스터, IC화 온도센서 등이 있고, 비접촉형으로는 초전형 온도센서, 양자형 온도센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온도센서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체온을 감지함으로 접촉형 온도센서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노트북 컴퓨터, MP3 플레이어, 휴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이하 'PMP'라 칭함)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손에 들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벨트에는 전파식별 태그(200)가 부착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사생활 보호모드로 동작중인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전파식별 리더기(미도시)가 전파식별 태그(200)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임이 판단한다. 이이서, 사용자임이 판단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전파식별 태그(200)에 따른 인증에 의해 사용자 외의 다른 사람의 인증이 불가하므로, 사생활 보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는 사생활 보호모드임을 전제로 한다.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저장부(110), 전파식별 리더기(120), 제어부(130), 온도센서(140), 입력부(15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및 상태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10)는 각종 휘발성/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10)는 태그정보 저장영역(111), 온도범위 저장영역(113), 사생활 보호영역(11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태그정보 저장영역(111)은 특정 전파식별 태그의 태그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특 정 전파식별 태그(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태그이다. 예를 들어, 특정 전파식별 태그(200)는 사용자의 벨트, 또는 목걸이와 같은 액세서리에 부착된다. 태그정보는 각 전파식별 태그마다 할당된 고유의 식별정보이다. 예를 들어, 태그정보는 태그 재조일, 생산지, 간략한 기능정보 및 고유 아이디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온도범위 저장영역(113)은 기 설정된 온도범위를 저장한다. 여기서, 온도범위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생산 시, 미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해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온도범위는 체온범위임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온도범위는 35℃ 내지 39℃이다.
사생활 보호영역(115)은 사생활 보호 기능이 설정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해 전화번호부, 메모가 사생활 보호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전화번호부, 메모를 사생활 보호영역(115)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파식별 리더기(120)는 소정범위 내에 위치한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소정범위는 전파식별 리더기(120)로부터 50cm 이내의 범위임이 바람직하다. 전파식별 리더기(120)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따라 소정범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전파식별 리더기(120)는 수신한 태그정보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전파식별 판단부(131), 온도센서 구동부(133), 온도 판단부(135), 기능 관리부(137)를 포함 한다. 여기서, 제어부(130)에 포함된 각각의 장치는 통합하여 하나의 장치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파식별 판단부(131)는 전파식별 리더기(120)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태그정보가 저장부(110)의 태그정보 저자영역(111)에 저장된 태그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온도센서 구동부(133)에게 통보한다.
온도센서 구동부(133)는 판단결과를 수신하여 태그정보가 저장된 태그정보와 일치하면, 온도센서(140)를 구동한다. 한편, 태그정보가 저장된 태그정보와 상이하면, 온도센서(140)를 구동하지 않고,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한다.
온도 판단부(135)는 온도센서(140)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저장부(110)의 온도범위 저장영역(113)에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기능 관리부(137)에게 전송한다.
기능 관리부(137)는 감지된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면,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한다. 한편, 감지된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기능 관리부(137)는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한다.
온도센서(140)는 온도를 감지한다. 특히, 온도센서(140)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고, 체온을 측정한다. 온도센서(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이나, 후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온도센서(140)는 측면, 후면 외의 임의의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140)를 측면에 부착한 것을 도시하였다.
입력부(15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서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다양한 유형의 입력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130)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6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6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입력부(150)로부터 입력된 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아이콘 등으로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6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사생활 보호모드 설정 및 해제를 알리는 문구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모드가 태그정보 등록모드인지 확인한다(S205). 확인결과 태그정보 등록모드이면, 제어부(130)는 특정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부(110)의 식별정보 저장영역(111)에 저장한다(S210). 여기서, 특정 전파식별 태그(200)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특정 전파식별 태그(200)는 사용자가 착용한 벨트 또는 액세서리에 부착된다.
전술한 S205 과정에서 태그정보 등록모드가 아니면, 제어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모드가 사생활 보호모드인지 판단한다(S220). 사생활 보호모드이면, 제어부(130)는 전파식별 리더기(120)를 제어하여 소정범위에 위치한 전파식별 태그(200)가 존재하면, 전파식별 태그(200)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한 다(S230).
제어부(130)는 전파식별 판단부(131)를 제어하여 수신된 태그정보와 전술한 S210 과정에서 저장된 태그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240). 상기 판단 결과, 일치하면, 제어부(130)는 온도센서 구동부(133)를 제어하여 온도센서(140)를 구동하고, 온도센서(140)로부터 온도를 감지한다(S250). 구체적으로, 온도센서(140)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의 접촉을 감지하고, 체온을 측정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전술한 S240 과정 확인 결과, 상이하면, 제어부(130)는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한다. 덧붙여, 제어부(130)는 온도센서 구동부(133)를 제어하여 온도센서(140)를 구동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한다.
제어부(130)는 온도 판단부(135)를 제어하여 온도센서(140)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저장부(110)의 온도범위 저장영역(113)에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감지된 온도가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면, 제어부(130)는 기능관리부(137)를 제어하여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한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손으로 잡고 있으면, 사생활 보호모드가 해제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온도센서(140)에 접촉이 있어 체온이 측정된 경우, 사생활 보호모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사생활 보호모드로 동작 시, 2번의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외의 타인으로부터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사생활 보호모드 해제 시, 번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휴대함 과 동시에 2번의 인증절차가 빠르게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감지된 온도가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기능 관리부(137)를 제어하여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한다.
전술한 S220 과정에서 사생활 보호모드가 아니면, 제어부(130)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가 사생활 보호모드로 동작 시, 2번의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외의 타인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번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휴대함과 동시에 2번의 인증절차가 빠르게 수행되므로 사생활 보호모드의 해제가 가능하다.

Claims (16)

  1.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태그정보 및 온도범위를 저장하는 저장부;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전파식별 리더기; 및
    상기 수신한 태그정보가 상기 저장된 태그정보와 일치하면,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사생활 보호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생활 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태그정보와 상이하면, 상기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특정 전파식별 태그의 고유 식별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생활 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생활 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범위는
    35℃ 내지 39℃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생활 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리더기는
    소정범위 내에 위치한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생활 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센서에 신체의 일부가 접촉했을 때 체온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생활 보호 모드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파식별 태그로부터 태그정보 수신 시, 상기 태그정보가 미리 저장된 태그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태그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태그정보와 일치하면, 온도센서로부터 온도를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사생활 보호 모드를 해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사생활 보호 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가 상기 미리 저장된 태그정보와 상이하면, 상기 사생활 보호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태그정보 및 온도범위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 제어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특정 전파식별 태그의 고유 식별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범위는
    35℃ 내지 39℃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과정에서 상기 전파식별 태그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전파식별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모드 제어방법.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과정은
    온도센서에 신체의 일부가 접촉했을 때 체온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모드 제어방법.
KR1020070004091A 2007-01-15 2007-01-15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136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091A KR101362327B1 (ko) 2007-01-15 2007-01-15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091A KR101362327B1 (ko) 2007-01-15 2007-01-15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043A KR20080067043A (ko) 2008-07-18
KR101362327B1 true KR101362327B1 (ko) 2014-02-12

Family

ID=3982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091A KR101362327B1 (ko) 2007-01-15 2007-01-15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3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599A (ko) * 2003-04-08 200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KR20050048162A (ko) * 2003-11-19 2005-05-24 김학수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착신 정보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599A (ko) * 2003-04-08 200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생활보호 모드 제어방법
KR20050048162A (ko) * 2003-11-19 2005-05-24 김학수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착신 정보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043A (ko) 200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8450B2 (en) Assemblies, devices, and systems for polling NFC tags
US8074880B2 (en)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employing enhanced fingerprint authentication
US104331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mart terminal
KR20170126688A (ko) 스마트 카드 및 그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
TWI515636B (zh) 可攜式電子裝置及其自動解鎖方法
US9824203B2 (en) Utiliz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to assess the battery level of a peripheral device
KR20170098096A (ko) 생체 정보 기반 인증을 이용한 전자 장치들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02042890A1 (fr) Systeme de securite pour processeur d'informations
US1159550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CN108781234B (zh) 功能控制方法及终端
EP3082326A1 (en) Utiliz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to control one or more operational states of a peripheral device
GB2496480A (en) Portable wireless device unlocked by activating a pattern of sensors
EP2927897A1 (en) Electronic notific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101143786B1 (ko) 지문인식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그의 제어방법
TWI424329B (zh) 電子閱讀裝置及其資料保護方法
US20020124175A1 (en) Data processing system utilizing discrete operating device
US9805183B2 (en) Utiliz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to display messages and notifications on peripheral devices
CN108229149B (zh) 一种数据保护的方法和装置
KR101362327B1 (ko) 사생활 보호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기
JP2007256180A (ja) 携帯端末及び無線タグ検知装置及び無線タグ検知方法
JP2012039313A (ja) 端末装置、携帯電話機、動作管理方法及び動作管理プログラム等
KR101414773B1 (ko) 전자 도어락 장치 개폐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93017B1 (ko) 스마트카드 시스템
CN110770730A (zh) 电子设备解锁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20160022011A (ko) 이동식 정보기기의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