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168A -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168A
KR20040087168A KR1020030021437A KR20030021437A KR20040087168A KR 20040087168 A KR20040087168 A KR 20040087168A KR 1020030021437 A KR1020030021437 A KR 1020030021437A KR 20030021437 A KR20030021437 A KR 20030021437A KR 20040087168 A KR20040087168 A KR 20040087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user
mobile terminal
change
wall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4746B1 (ko
Inventor
최정임
유승영
홍병성
조재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74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상황별 용도에 맞추어 벨소리, 배경화면, 개인 정보관리 기능, 단말기 수신제어를 연동하는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고, 간단한 모드 전환을 통해 상황에 맞는 휴대 단말기 기능으로 일괄 변경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 편의를 개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상황에 따라 변경되어야 하는 기능 설정을 각각의 기능별로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일괄 변경을 제공하는 기능에 있어서도 단순 그림으로 한정된 배경 화면들과 벨소리의 일괄 변경정도 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상황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상태 설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변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메뉴 혹은 단축키를 이용하여 다수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모드 선택에 따라 해당 모드에 대해 기 지정된 배경화면, 벨소리/진동, 그리고 단말기의 수신여부를 포함한 설정들로 단말기의 기능을 일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상황에 따른 용이한 기능들과 상태 설정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MOBILE TERMINAL MODE CHANGE METHOD CONSIDERING PURPOSES}
본 발명은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상황별 용도에 맞추어 벨소리, 배경화면, 개인 정보관리 기능, 단말기 수신제어를 연동하는 다수의 모드를 정의하고, 간단한 모드 전환을 통해 상황에 맞는 휴대 단말기 기능으로 일괄 변경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 편의를 개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사용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무선 통신 사용자는 갈수록 급증하고 있으며, 이들이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 역시 끊임 없이 개선되고 있다.
이제는 무선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으므로,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은 직장인이 드물 정도로 생활에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하면서 사용자의 구미에 따른 개성적인 표현 하도록 휴대 단말기에는 여러가지 사용자 지정 기능이 있으며,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하도록 기본 기능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자면, 휴대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변경하거나, 벨소리를 변경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착신 기능을 벨소리/진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외에도 다양한 테마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를 설정함에 따라 대기 화면과 음악, 초기 화면, 종료 화면등이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테마 기능을 이용하더라도 기본적인 동작이나 기능은 변경할 수 없으며, 바탕 화면이나 벨소리 정도만 변경할 수 있다. 즉, 메뉴의 변경, 화면의 변경, 대기 상태에서 제공할 기능, 수신 형태에 대한 설정은 각각의 기능들을 단축키나 메뉴 조작으로 하나씩 설정해야 한다.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접할 수 있는 상황은 상당히 다양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제공되는 단순한 벨소리/진동 조절 기능만으로는 이러한 경우들에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단순한 배경화면의 변경은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도록 할 수 있지만 기능상의 편의성은 크지 않다.
그리고,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없거나 통화를 원하지 않는 경우, 종래의 유일한 대응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제거하는 방법 뿐이며, 이 경우 특수한 부가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한 사용자는 전원 제거 시 걸려온 전화나 전송된 메세지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전원을 제거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상황에 따라 변경되어야 하는 기능 설정을 각각의 기능별로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일괄 변경을 제공하는 기능에 있어서도 단순 그림으로 한정된 배경 화면들과 벨소리의 일괄 변경정도 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상황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상태 설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변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기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생성할 수 있는 다수의 모드를 제공하고, 각 모드에서 각종 화면들이나 벨소리를 지정함과 아울러 수신여부까지 설정하도록 한 후, 모드만 지정하는 것으로 각 모드에서 설정한 내용으로 휴대 단말기 기능이 갱신되어 사용자 상황에 따른 용이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모드 설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2는 본 발명 모드 설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3은 본 발명 모드 중 비즈니스 모드의 동작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4는 본 발명 모드 중 오프라인 모드의 동작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5는 본 발명의 각 모드들을 대표하는 배경화면 실시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메뉴 혹은 단축키를 이용하여 다수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모드 선택에 따라 해당 모드에 대해 기 지정된 배경화면, 벨소리/진동, 그리고 단말기의 수신여부를 포함한 설정들로 단말기의 기능을 일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 설정된 소정의 모드들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지정된 기능들로 단말기 기능의 일괄 재설정이 가능한 새로운 모드들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 설정을 이용하는 가정모드, 착신알림이 진동으로 강제 변경되고 스케줄 관리 기능을 가지는 배경화면이 강제 설정되는 비즈니스 모드, 그리고 전화 수신을 거부하며 이를 나타내는 배경화면이 강제로 설정되지만 부가 기능은 정상 동작하고 발신자 전화번호 및 수신 메세지를 저장하는 오프라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상황 및 그에 따른 설정들을 본 발명 일 실시예를 통해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상황을 예를 들어 3가지로 나누어 본다면, 가정에서 사용하는 상황, 비즈니스용으로 사용하는 상황, 그리고 오프라인 상황을 들 수 있다.
즉, 가정에서 사용하는 상황이란 기본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제공되는 모든 기능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상황으로,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메뉴 구조나 기능은 이러한 상황에 맞추어 개발된 것이다. 벨소리에 대한 다양한 변경, 조작, 일반적인 메뉴의 선택 단계등은 사용자가 자유로운 상황에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다는 가정으로 설계된 것이다. 따라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각종 배경화면 변환 기능, 벨소리 변환기능, 그리고 테마 변환 기능들도 적용할 수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비즈니스용으로 사용하는 상황이라는 것은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벨소리 대신 진동으로 착신 알림을 변경해야 하며,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스케쥴 관리등으로 구체화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직장이나 학교등과 같이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비교적 사용상 제한이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단축키나 메뉴 설정을 통해 벨소리를 진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초기 화면으로 제공하는 등의 설정은 제공하지 않는데,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특수한 상황에 따른 배경화면 제공 기능(예를 들어 스케쥴 관리 기능)이 강제적으로 설정되며, 배경화면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오프라인 상황은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지 않지만 휴대 단말기의 부가 기능(예를 들어, 일정관리, 메세지 확인, 알람, 게임등)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취침시 외부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고 싶지 않지만 알람 기능을 이용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모드 설정 내용 중에 수신여부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발신자 전화번호나 수신 메세지등을 받아들이지만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내부적으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오프라인임을 알리는 배경화면이 강제적으로 설정되며, 사용자가 이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예를 든 3가지 경우 외에도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모드를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각 모드를 설정하기위해서는 사용자가 수신여부, 벨소리 및 크기,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설정 내용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렇게 생성된 모드는 메뉴 혹은 단축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해당 상황에 맞추어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들을 일괄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모드 선택 방법 및 새로운 모드를 등록하는 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언급한 3가지 모드(비즈니스, 가족, 오프라인)를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며, 사용자가 더 많은 모드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경우이다.
먼저, 단말기 모드 설정을 위해 메뉴 혹은 단축키를 이용하여 현재 설정된 모든 모드들을 화면상에 출력 시킨다. 만일 사용자가 새로운 모드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방향키나 숫자키를 눌러 해당하는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모드의 설정 내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일괄적으로 재설정된다. 즉, 단순한 2단계 설정으로 원하는 모드로의 변경이 가능하며, 단축키를 이용한다면 직접적인 모드 변경도 가능하다.
만일 사용자가 새로운 모드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모드들이 나열된 상태에서 모드등록을 위한 메뉴 혹은 대응하는 키를 눌러 새로운 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할 모드의 이름, 휴대 단말기로 수신되는 착신을 거부할 것인지 설정하는 수신여부 선택, 단순 화면 혹은 기능성 배경을 선택할 수 있는 배경화면 선택을 수행한 후 이를 등록하는 것으로 새로운 모드를 생성 및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한된 소정의 모드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모드 역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 적용 범위가 넓고 유연하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예로 든 3가지 경우들을 전환하는 경우를 도 2의 모드 선택 실시예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반복적인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2의 모드별 설정을 설명하면서 상기 비즈니스 모드와 오프라인 모드에 관해서는 각각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 혹은 단축키를 눌러 현재 설정된 모드들을 나열시키키고, 방향키나 숫자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만일 선택 내용이 가족모드라면, 사용자가 지정한 배경화면, 벨소리가 자동으로 적용되며 전화 수신을 허용한다. 즉, 가장 자유로운 설정이 가능한 모드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족 모드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설정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데 유의한다.
만일 선택 내용이 비즈니스 모드라면, 대기 상태용 배경화면으로 스케줄 관리 및 달력화면을 포함한 전용화면으로 변환되며 벨소리는 진동으로 재설정된다. 상기 비즈니스 모드를 이용한 경우 제공되는 전용화면으로 스케쥴을 확인 및 편집하는 방법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비즈니스 모드가 설정되면 달력이 출력되어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스케쥴을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도록한 전용 배경화면이 대기모드에서 표시되며, 벨소리/알람음/메세지 수신음이 모두 진동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달력 모양을 한 스케쥴 관리화면은 오늘 날자를 알 수 있도록 오늘 날자가 표시된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 소정의 일정버튼을 누르면 달력화면이 활성화 되면서 사용자가 방향키로 날자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키조작으로 원하는 날자를 선택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해당 날자에 저장된 일정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일정이 있으면 저장된 일정 리스트를 표시하고, 없으면 공백 리스트를 표시한다. 상기 리스트 표시 상태에서 일정추가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일정을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즉, 비즈니스 모드에서는 부가 기능의 하나인 스케쥴 관리 기능이 배경화면으로 강제 설정되어 대기상태에서 항상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스케쥴 확인 및 편집의 용이성을 극대화 한 것이다. 특수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특수한 모드 이므로 사용자에 의한 배경화면 지정은 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드의 생성 및 추가가 가능하며, 이러한 모드의 생성에서 대기상태의 배경화면으로 다른 부가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모드에서는 다른 부가 기능이 기본 화면으로 출력되므로 해당 기능을 많이 이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대단히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학생모드를 생성하고, 기본 화면으로 계산기나 사전기능을 설정해 둘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드 설정에 의해 특수한 기능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한다.
도 2의 모드 선택에서 선택 내용이 오프라인 모드라면, 전화 수신이 있더라도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는다. 수신은 방지하지만, 일반적인 단말기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단말기의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자체를 차단하는 것은 아니므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이 경우 배경화면은 사용자가 오프라인 모드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지시켜, 실수를 방지하도록 오프라인 고유의 배경화면이 대기 상태에 출력되도록 고정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일반 배경화면 등으로 변경될 수 없다.
상기 오프라인 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오프라인 모드가 선택되면, 오프라인 모드 전용 배경화면으로 대기상태 화면이 변경되어 고정되고, 전화나 메세지 등이 수신되더라도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는다. 그러나, 수신되는 정보(발신자 전화번호, 메세지 등)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이후 오프라인 모드가 해제되면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상에 표시한다.
상기 오프라인 모드에서는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모든 기능들을 정지시켜 단순히 모든 기능이 사용 중이지만 사용자만 이를 인지할 수없도록 하는 단순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기지국으로 부터 착신 신호를 받으면 오프라인 모드라는 것을 기지국에 알리거나 기지국의 신호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도록 하여 단말기가 오프라인 상태라는 것을 상대방이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드 설정에 의해 단말기의 수신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유로운 단말기 기능 설정 및 사용이 가능한 가족 모드, 소정의 강제적인 기능이 설정되는 비즈니스 모드, 수신을 차단하는 오프라인 모드를 비롯한 다양한 모드를 선택하는 것으로 해당 상황에 적합한 휴대 단말기 설정으로 쉽게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모드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들의 상위 개념으로, 이러한 모드 설정에 의해 최적의 설정 상태로 자동전환되면서 사용할 수 있는기능들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내용에서, 비록 강제적으로 배경화면을 고정시키는 경우라 할지라도 동일한 한 화면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데, 해당 모드 내에서 미리 준비된 다양한 배경화면 유형을 선택할 수 있으며, 벨소리의 종류나 크기, 진동음의 간격이나 세기등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5a내지 도 5c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로 든 3가지 모드들의 대기 상태 배경화면들을 예시한 것으로, 이를 통해 그 특징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5a는 비즈니스모드에서의 배경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일정관리 기능에서 볼 수 있었던 달력이 대기 상태에 표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일정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기본적으로 진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음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간략한 표시를 위해서 단순히 달력만을 나타내었지만 달력과 함께 다양한 그림이나 사진,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동일 유형(일정관리 기능이 포함된 배경화면)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표시 방식이나 종류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이한 유형의 배경화면으로는 전환할 수 없다.
도 5b는 가족모드에서의 배경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인 그림이나 사진 혹은 동영상을 대기 화면에 나타낸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반 휴대 단말기의 기능과 동일한 모드이다.
도 5c는 오프라인모드에서의 배경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 수신이 금지되었음을 나타내는 배경화면을 대기화면에 표시하고 있으며, 다른 유형으로의 변경은 금지되어 있으나, 수신 금지를 나타내는 동일한 유형의 배경화면들 중에서는 선택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발명은 기존의 단순 배경화면 변경이나 벨소리의 조작 차원이 아닌 단말기의 전체적인 기능 상태를 모드로 정의하여 이를 한번에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드 선택 만으로 상황에 따른 적절한 기능으로의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모드에서 지원하는 동일 유형 개체(동일 기능의 배경화면 등)에 대한 유형별 선택이 가능하므로 일반적인 배경화면 변경, 테마 기능 등을 하위 개념으로 수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기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생성할 수 있는 다수의 모드를 제공하고, 각 모드에서 각종 화면들이나 벨소리를 지정함과 아울러 수신여부까지 설정하도록 한 후, 모드만 지정하는 것으로 각 모드에서 설정한 내용으로 휴대 단말기 기능이 일괄적으로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상황에 따른 용이한 기능들과 상태 설정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메뉴 혹은 단축키를 이용하여 다수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모드 선택에 따라 해당 모드에 대해 기 지정된 배경화면, 벨소리/진동, 그리고 단말기의 수신여부를 포함한 설정들로 단말기의 기능을 일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배경화면은 일반적인 그림/사진/동영상의 배경화면 뿐만 아니라 대기상태에서 소정의 기능을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기능을 배경화면으로 지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소정의 모드들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지정된 기능들로 단말기 기능의 일괄 재설정이 가능한 새로운 모드들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들은 설정된 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는 대기화면 유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 설정을 이용하는 가정모드, 착신알림이 진동으로 강제 변경되고 스케줄 관리 기능을 가지는 배경화면이 강제 설정되는 비즈니스 모드, 그리고 전화 수신을 거부하며 이를 나타내는 배경화면이 강제로 설정되지만 부가 기능은 정상 동작하고 발신자 전화번호 및 수신 메세지를 저장하는 오프라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들은 설정된 내용에 따라 특징적인 배경화면을 강제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동일한 유형으로 제공되는 목록 중에서 해당 배경화면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KR10-2003-0021437A 2003-04-04 2003-04-04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KR100524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437A KR100524746B1 (ko) 2003-04-04 2003-04-04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437A KR100524746B1 (ko) 2003-04-04 2003-04-04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168A true KR20040087168A (ko) 2004-10-13
KR100524746B1 KR100524746B1 (ko) 2005-11-01

Family

ID=3736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437A KR100524746B1 (ko) 2003-04-04 2003-04-04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7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633B1 (ko) * 2006-06-07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환경에 따른 부가 기능 수행 방법
KR100983683B1 (ko) * 2008-05-07 2010-09-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상황별 기능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20085752A (ko) * 2009-09-22 2012-08-0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이동 통신 장치를 위한 사용자 선택가능 환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633B1 (ko) * 2006-06-07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환경에 따른 부가 기능 수행 방법
KR100983683B1 (ko) * 2008-05-07 2010-09-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상황별 기능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20085752A (ko) * 2009-09-22 2012-08-0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이동 통신 장치를 위한 사용자 선택가능 환경
US9860686B2 (en) 2009-09-22 2018-01-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selectable enviro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10206057B2 (en) 2009-09-22 2019-0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selectable environment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4746B1 (ko)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382B1 (ko) 휴대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CN100354808C (zh) 一种具有图形用户界面的设备
US7369880B2 (en) Mobile phone apparatus
BRPI0113636B1 (pt) método para controlar as características operacionais de um perfil no terminal de comunicação, terminal de comunicação, e, método para fornecer as características operacionais para o perfil para o terminal de comunicação
KR20050022136A (ko) 위치에 따라 설정 변경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60044858A (ko) 전자 디바이스의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 간의시나리오 동기화
KR20010059668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 작성 방법
KR100520664B1 (ko) 이동통신단말에서 사용자 세팅 메뉴의 세팅 변경방법
KR100581289B1 (ko) 이동 전화기의 벨소리 선택 환경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및방법
KR100524746B1 (ko) 사용 용도에 따른 휴대 단말기 모드 변경 방법
JP2005217490A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及び携帯電話端末
KR100365597B1 (ko) 무선 이동국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정 장치 및 방법
KR100827084B1 (ko)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080066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환경 설정 변경 장치 및 방법
JP2001237922A (ja) 電話機
KR10101471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일정 알람 및 착신알림신호 자동 변경방법
KR20160005315A (ko)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를 위한 모바일단말 및 그의 동작방법, 모바일단말의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를 도와주는 메시지 서버
KR20050002111A (ko) 휴대폰의 대기모드에서 표시부 출력 제어 방법
KR100353444B1 (ko) 이동 전화기의 안내 메시지 변경방법
JP2005236429A (ja) 携帯無線機及びその着信動作方法
JP2003152826A (ja) 携帯電話機の音量調節方法と音量設定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機
KR101259104B1 (ko)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방법
KR20040037528A (ko) 휴대폰의 녹음기능을 이용한 벨소리 설정 방법
KR20100027690A (ko) 모드 변경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벨소리 모드로 수신 모드를 전환하는 전화 단말의 수신 모드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130670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매너모드 자동 복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