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567A - 파스너 - Google Patents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567A
KR20040086567A KR1020040016805A KR20040016805A KR20040086567A KR 20040086567 A KR20040086567 A KR 20040086567A KR 1020040016805 A KR1020040016805 A KR 1020040016805A KR 20040016805 A KR20040016805 A KR 20040016805A KR 20040086567 A KR20040086567 A KR 20040086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link
tape
forc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726B1 (ko
Inventor
아카시순지
다카사와시게요시
윌리암스메이리온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6Means for permanently uniting the stringers at the end; Means for stopping movement of slider at the en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1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at the end of their upward travel with any suitable device, e.g. pull member combined with a press-button, a hook, a key-operated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1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paper articles, e.g. booklets, newsp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5Hydration status, fluid retention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18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a lock unlocked during deploy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152Each mating member having similarly shaped, sized, and operated interlocking or intermeshable 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lide Fastener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커버용 파스너는. 에어백 커버에 개방부의 엣지에 고정된 제1 및 제2스트링거 테이프를 포함한다. 스트링거 테이프 각각은 그 위에 장착된 결합요소 열을 구비하고, 이들은 함께 링크 되어 스트링거 테이프를 접속한다. 접속은 접속되어져 있는 결합요소의 구역 내에서는 강력하지만, 접속된 결합요소의 영역의 단부로부터는 용이하게 결합해제 된다. 파스너는 파스너의 중간영역에서 선-결정된 위치에서 함께 테이프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포함한다. 유지수단은 에어백의 팽창힘을 받으면 해체 또는 변위된다.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로 인한 에어백 팽창 시에, 유지수단은 결합요소의 개방을 하용하여, 파스너를 개방하여 에어백 커버 밖으로 에어백이 팽창되게 한다.

Description

파스너{A FASTENER}
본 발명은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별하게는 에이백 커버를 가두는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일반적으로 차량 충돌사고에 대한 안전장비로서 에어백이 설치된다. 에어백은 예를 들면 자동차 핸들의 중앙부에서 전방에 설치된다. 충돌이 발생하면, 센서가 충돌을 감지하여, 에어백이 바로 팽창되어 펼쳐지게 한다. 펼쳐진 에어백은 자동차 좌석에서 전진방향으로 던져지는 사람에게 쿠션역활을 할 것이다.
자동차에는 측방 충돌사고 시에도 향상된 보호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방 에어백과 마찬가지로 측방 에어백의 설치도 점차 일반화 되고 있다. 측방 에어백은 자동차 좌석과 자동차의 도어와의 사이에 공간에서 팽창 펼쳐지어, 자동차 측부와의 충격에 대해 좌석 점유자에게 쿠션역활을 제공하는 것이다. 측방 에어백이 설치되는 일반적인 장소는 자동차 좌석의 등받이 내측부 이다. 충돌 발생 시에, 에어백은 팽창되어, 자동차 좌석의 측부에 있는 슬릿과 같은 개방부를 통하여 밀려나가게 된다. 에어백의 팽창은 자동차 도어를 가격하는 동작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자동차의 측부를 따라서 이루어진다. 에어백이 그를 통해 출현하는 자동차 좌석에 개방부는 평상시에는 가둠상태를 유지하지만, 에어백의 팽창 시에는 개방되어야 한다. 에어백의 개방부는 실(yarn)로 봉합되어 폐쇄되어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어백의 팽창 시에, 실에 가해지는 압력이 실을 끊어서, 자동차좌석으로부터 에어백을 출현시키어, 탑승객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런데, 에어백 개방부의 실에 의한 봉합은 직선 전진방향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개방부는 실의 타입, 스티치의 수와 타입, 인장력 등과 같은 기준을 적절히 조정하여 이루어진 봉합으로, 에어백의 팽창 시에는 실이 확실하게 끊어지게 하고 자동차의 통상의 사용 시에는 실이 확실하게 끊어지지 않게 해야한다.
때때로, 일상적인 점검작업이나 보수를 목적으로 에어백에 접근로를 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실은 제거되어져야 하고 그리고 보수가 완료된 후에 필요한 기준에 맞추어 상기 개방부가 재-봉합 되어야 한다.
본원은 상술된 문제를 해결한 에어백 개방부의 폐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본원은 지퍼 파스너(zip fastener)와, 힘이 파스너의 평면을 횡단하여 가해질 때에 파스너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백 개방부의 폐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잇점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고로 이하에 설명되는 설명으로 일층 이해가 용이하게 기술될 것이다.
지퍼 파스너는 개방부를 용이하게 폐쇄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만일 파스너의 결합요소를 분리하기에 충분한 힘이 파스너에 가해지면, 알려진 바와 같이 결합요소 열을 따라서 일 지점에서 지퍼 파스너가 개방(또는 파괴)될 수 있다. 그러나, 선(先)-결정된 힘을 받는 경우에 결합요소가 알려진 바와 같은 방식으로 신뢰성 있게 결합해제할 수 있는 파스너를 제공하기는 곤란하였다. 그런데, 결합요소가 일단 파괴되거나 예를 들어 슬라이더가 부주의한 동작에 의해 상단 정지부를 지나가 이동하면, 요소 열의 단부로부터 분리되어 용이하게 벗겨질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면은, 본원은 취약지점(a point of weakness)이 결합요소가 선-결정된 힘이 파스너에 가해졌을 때에 취약지점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파스너를 따라서 선-결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개별 테이프에 장착된 결합요소 열(row)로 연결된 1쌍의 테이프를 가진 지퍼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은, 다수의 취약지점을 파스너를 따라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취약지점은 적어도 일 요소 열에 있는 틈 이다. 양호하게, 부서지기 쉬운 접속(frangible connection) 또는 해체식 접속(releasable connection)은 접속이 파괴 또는 해체될 때까지 결합상태로 인접요소를 유지할 수 있는 취약지점에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가 취약지점을 제공한다. 슬라이더에 파스너의 평면을 횡단하는 압력이 외부방향으로 테이프가 부풀어 오르게 하여, 지퍼 파스너를 개방하게 요소 열을 따라서 슬라이더 배면을 가압한다. 2개 슬라이더가 제공되며, 슬라이더는 대향방향에서 파스너를 잠그고 그리고 중간 위치에서 만나서 파스너를 잠근다. 슬라이더는 부서지기 용이하거나 해체식 접속으로 함께 결합된다.
양호하게, 취약부위 또는 취약지점을, 개방 파스너에 의해 제공되는 개방부의 단부에서부터 측정할 때에, 중앙영역에 설치한다. 양호하게, 취약지점은 파스너 길이의 1/4 내지 3/4 사이에 영역에서 파스너의 중앙 반부에 제공된다. 보다 양호하게는, 취약지점이 예를 들어 파스너의 길이의 반부에 파스너를 따라서 대체로 중간 지점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파스너 잠금 시에 스트링거 테이프가 상기 결합요소에 의해 서로 접속하도록 그 위에 장착되는 결합요소 열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스트링거 테이프를 포함하는 파스너를 제공하며, 상기 파스너는 결합요소의 제1 및 제2구역 중간에 선-결정된 위치에서 함께 테이프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수단은 선-결정된 힘이 유지수단에 가해지면 제1 및 제2구역 내에서 결합요소를 결합해제 하도록 결합해제 가능하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파스너는 자동차 또는 다른 차량의 좌석에 있는 에어백 개방부와 같은 에어백 개방부를 폐쇄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유지수단을 결합해제하는 힘은 파스너에 대항하는 에어백의 압력에서 올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압력이 주로 예를 들어 좌석의 측부인 파스너의 평면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발휘할 지라도, 파스너가 스트링거 테이프의 평면 내에서 스트래칭을 받게된다. 좌석의 측부 및/또는 스트래칭 힘에 대해 수직적인 에어백으로부터의 힘(또는 변위)이 파스너를 개방하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요소는 파스너의 접속영역 내에서 보다 파스너의 개방영역으로부터 원격져 벗겨지는 동작에 의해 더 용이하게 분리된다. 테이프는 개방지점에서 가장 멀리 있는 제1 및 제2구역의 단부에서 연결되어, 파스너가 상기 단부에서 개방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테이프를 함께 유지하는 유지수단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형태는 슬라이더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할 때에 결합요소를 개방하고,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결합요소를 폐쇄하도록, 개별적으로 결합요소의 제1 및 제2구역에 장착되는 1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이다. 당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의 유도 단부에 결합요소는 슬라이더 몸체 내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적절한 슬라이더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더의 영역에서 테이프가 불거지게 하는 힘에 의해 파스너를 개방하며, 테이프를 따라서 뒤로 가압한다. 양호하게, 정지부는 파스너의 폐쇄 시에 슬라이더의 위치를 정해주며, 슬라이더는 에어백의 힘이 파스너의 개방을 개시하는 취약지점을 제공한다.
파스너가 자동차 좌석에 설치되는 중에 슬라이더가 사고로 급작스럽게 이동 또는 방해받는 일이 없도록, 파스너가 설치 및 고정되어진 후에 제거를 목적으로 2개 슬라이더에는 무-견인탭으로 제공되거나 제거가능한 견인탭이 제공된다.
링크는 2개 슬라이더를 함께 링크하기 위해 제공되며, 링크는 예를 들어 팽창 에어백의 힘에 의해 파괴 또는 분리되는 것이다. 링크는 예를 들어 슬라이더 몸체에 제공된 협력동작 록킹을 이루거나, 슬라이더 견인탭에 설치된 협력동작 록킹을 이루는 것이다.
링크는 그들이 함께 유지되는 2개 슬라이더에서 협력동작하는 형태로 제2슬라이더에 제1슬라이더가 직접 접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링크는 파스너를 개방하도록 슬라이더가 분리 이동하게 분리되거나 파괴된다.
중간 링크요소가 제공되고, 링크요소는 2개 슬라이더에 접속된다.
2개 슬라이더를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힘은 링크수단의 타입과 선택된 크기 및 스트링거 테이프에 결합요소를 따르는 슬라이더의 이동의 용이함과 같은 인자에종속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수단은 파스너의 폐쇄 시에 스트링거 테이프와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한다. 링크는 일회에 파괴되어진 후에 대체의 필요가 있는 소모성 요소이다. 다르게는, 만일 링크가 개방되면, 파스너가 순차적으로 제1 및 제2구역에 결합요소를 폐쇄하고 그리고 링크를 재폐쇄하여 다시 폐쇄될 수 있도록, 링크는 재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링크는 플라스틱재로 제조된다.
부서지기 쉬운 무른 링크는 2개 스트링거 테이프를 연결하도록 스트링거 테이프의 구역을 용접, 접합, 또는 용융하여 형성하거나, 그들을 연결하도록 2개 스트링거 테이프를 횡단하는 일 피스의 재료를 부착하여 형성한다. 링크를 파괴하는데 필요한 힘은 재료에 의해, 사용되는 용접공정이나 연결공정에 의해, 연결부나 용접부가 그 위로 연장되는 구역에 의해, 및/또는 취약영역의 제공으로 정해진다.
파지, 클립, 또는 파괴식 성형요소와 같은 것에 충분한 힘이 가해지면 파괴되는 대체식 일회성 링크가 제공된다. 일회성 링크는 스트링거 테이프 모두에 직접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피스의 테이프에 의해 스트링거 테이프에 연결된다. 이러한 테이프는 스트링거 테이프에 용접, 접착 또는 다른 방식에 의해 고착된다. 일회성 링크는 단일 파괴식 부품을 포함하고, 그리고 링크가 장력을 받아 그를 따라서 파괴되는 얇은 구역과 같은 취약선이 파괴 부분에 설치된다.
일회성 링크는 함께 접속되지만 충분한 힘이 가해지면 분리되는 2개 파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에어백 팽창력, 예를 들면 파스너를 개방시키는 힘은, 이것이 사용되는 자동차의 모델과 사용되는 에어백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지라도 대략 400Newtons 정도가 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파스너가 팽창 에어백의 압력을 받으면 개방되지만 정상적인 사용 중에는 개방되지 않는 유지수단을 선택한다.
양호하게, 파스너의 길이는 약 50cm 이다
결합요소는 각각의 테이프를 따라서 연속 열로 연장 구성된다. 제1 및 제2구역은 모두 결합요소로 이루어진 연속 열의 부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틈은 파스너의 중앙 또는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유지수단은 그 틈에 설치된다.
파스너는 그 길이를 따라서 일 지점보다 더 먼 지점에서 개방되도록 배열된다. 복수의 틈이 제공되어 2개 구역 이상으로 열을 분할한다. 링크는 각각의 틈에 설치된다.
결합요소는 당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나선식으로 감겨진 코일요소이거나 금속 또는 성형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이산된 상호결합 치형요소이다.
파스너는 일회 사용용으로 설계될 수도 있구 재사용용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결합요소는 스트링거 테이프의 종방향 변방 엣지에 장착된다. 슬라이더가 설치된 장소에서, 스트링거 테이프를 따라 이동하여 서로 결합하거나 결합해제 되게 파스너 요소 열로 전해진다.
파스너가 개방되어진 후에 그리고, 에어백이 팽창되어진 후에, 에어백은 순차적으로 제거 또는 수축된다. 대체 에어백은 자동차 좌석에 개방부 내측부에 놓여지고, 파스너를 폐쇄하여 에어백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준비한다. 만일 파스너가 슬라이더를 포함하면, 슬라이더는 결합요소를 폐쇄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만일 파스너가 슬라이더를 포함하지 않았다면, 특정한 공구를 사용하여 결합요소를 폐쇄한다. 알려져 있는 예의 그러한 공구로는 결합요소를 함께 가압하는 부품을 가진 지그(jig)와 결합요소의 열을 따라서 지그를 작동하는 핸들이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b는 제1실시예의 링크의 사시도이다.
도2는 좌석의 측부에 제1실시예의 파스너를 가진 자동차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3은 스트링거 테이프가 함께 링크되도록 설치된 테이프 또는 용접 링크가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a는 클립으로 주어진 링크가 있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b는 개방 시에 클립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c는 클립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a-c는 임의적인 힘이 돌출부에 가해졌을 때에 링크의 분리를 허용하도록 누름 돌출부를 가진 2개 파트 링크가 제공된 제4실시예의 사시도와 2개 단면도이다.
도6은 1쌍의 슬라이더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1쌍의 링크식 슬라이더가 설치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분리형 링크 요소를 가진 1쌍의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슬라이더를 접속하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a-d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견인탭과 1쌍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10은 1쌍의 슬라이더가 없는 파스너에 결합요소를 폐쇄하는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자동차 좌석 21: 등받이 커버 22: 측부
23: 개방부 30: 에어백 100: 파스너
101: 변방 엣지 102: 스트링거 테이프 104: 결합요소
106: 제1구역 107: 제2구역 109: 단부
110: 틈 115: 링크 120: 정지부
125: 슬라이더 128: 링크 수단 130: 전방단부
131: 후방단부 140: 클립 141: 수 부분
142: 암 부분 143: 화살촉모양 결합헤드 144: 심부
145: 레그 146: 공동 147: 전방 벽
148: 장방형 결합 홀 149: 레그 150: 돌출부
152: 일 파트 154: 얇은 목부분 160: 링크 파트
162: 상보형 막힘 홈 170,171: 견인탭 172: 수 커넥터
173: 암 커넥터 180: 공통 링크요소
도1은 닫힌 파스너 상태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자동차 좌석(20)에 위치한 제1실시예의 파스너(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파스너(100)는 스트링거 테이프(102)의 내부 종방향 변방 엣지(101)에 장착된 다수의 결합요소(104)를 갖춘 2개 스트링거 테이프(102)를 포함한다. 결합요소(104)는 당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파스너를 폐쇄하도록 상호결합되어 스트링거 테이프(102)와 연결된다. 파스너가 닫혀진 상태에서, 결합요소(104)는 제1구역(106)과 제2구역(107)에서 결합된다. 제1 및 제2구역 사이에 영역은 부착 결합요소(104)를 가지지 않으며, 대신에 틈(110)이 제1 및 제2구역 사이에 형성된다. 틈(110)은 파스너의 중앙에 위치한다. 링크(115)는 틈의 중앙에 설치되어 결합요소가 벗겨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러한 지점에서 함께 2개 스트링거 테이프(102)를 연결한다. 파스너(100)의 단부(109)는 좌석 커버에 링크(도시 않음) 또는 재봉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도1b는 링크(115)의 사시도이다. 링크(115)는 테이프(102)의 대향 엣지(101)에 성형체를 삽입하여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허리부분이 형성되며, 링크는 선-결정된 힘을 받게되면 파괴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링크 반부는각각의 테이프 엣지에 형성된 다음,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으로 허리부분에서 연결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좌석(20)은 좌석모양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에어백(30)이 설치되어져 있는 등받이 커버 내측 프레임을 커버하는 등받이 커버(21)를 구비한다. 자동차 좌석(20)의 등받이 커버(21)의 측부(22)는 그를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어진 개방부(23)를 가지며, 개방부는 약 500mm 길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파스너(100)는 자동차 좌석 커버에 개방부에 봉합된 것이다. 충돌 발생 시에, 에어백(30)은 파열 또는 급팽창되어 파스너(100)에 대항하여 가압한다. 틈(110)과 링크(115)는 파열 에어백에 의해 부딪치게 되는 구역에 위치한다. 에어백(30)의 팽창으로, 링크(115)가 파열되고, 제1 및 제2구역에 결합요소(104)가 순차적으로 벗겨져 분리되어, 전체 파스너를 개방하여 에어백이 개방부(23)를 통해 팽창하게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닫혀져 있는 상태의 파스너를 다시 나타내었다. 1쌍의 스트링거 테이프(102)에는 그 엣지에 부착된 복수의 결합요소(104)가 설치되어 스트링거 테이프(102)가 접속되게 한다. 틈(110)이 결합요소의 제1 및 제2구역(106,107)사이에 형성된다. 링크(115)가 주어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링크는 용접 또는 테이프 링크를 포함한다. 용접 링크는 스트링거 테이프와 연결하도록 초음파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2개 스트링거 테이프의 인접구역을 부분적으로 용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일은 결합요소의 헤드가 상당히 짧아서 테이프 엣지가 실질적으로 함께 폐쇄될 수 있는 나선형 필라멘트 타입 파스너요소용으로 특히 적합하다. 테이프 링크는 스트링거 테이프 사이에 틈을 가교하도록 양쪽 스트링거 테이프에 접착제, 재봉 또는 용접으로 테피터(taffeta) 테이프와 같은 테이프의 일 피스를 접착하여 형성된다. 힘이 에어백에 의해 가해지면, 용접 또는 테이프 링크가 파열되어, 파스너가 개방된다.
도4a는 링크(115)가 클립(14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클립(140)은 제1 및 제2스트링거 테이프 각각에 접속되는 수부분(141)과 암부분(142)을 포함한다. 클립(140)의 수부분(141)과 암부분(142)은 클립(140)을 폐쇄하여 스트링거 테이프를 연결하도록 함께 결합된다. 수부분(141)은 2개 부분(141,142)을 함께 유지하도록 암부분(142)에 수용되는 화살촉 모양 결합헤드(143)를 가진다. 그러한 클립 설계는 잘 알려진 것이다. 클립(140)은 테이프에 직접 접합되거나 스트링거 테이프에 부착된 테이프의 다른 피스에 접합된다. 클립(140)은 선-결정된 힘을 받으면 개방되지만 재접속성이 있는 것이어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4b와 도4c는 도4a의 클립(140)의 구조를 일층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4b는 스트링거 테이프에 부착된 3개 개방 클립(140)을 나타내는 상부도이고, 도4c는 도4b의 A-A선을 따라 절취된 클립(14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심부(144)는 각각의 스트링거 테이프(102)의 엣지에 형성된다. 클립(140)의 암부분(142)과 수부분(141) 모두는 그 위와 밑으로부터 심부(144)를 샌드위치하는 레그(145,149)를 구비하여 스트링거 테이프(102)에 클립된 부분(141,142)을 유지한다. 클립의 암부분(142)은 스트링거 테이프(102)의 종방향으로 장길이이고레그(145)의 전방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공동(146)을 가진다. 공동(146)의 단부에 있는 전방 벽(147)은, 결합 홀(148)이 공동(146)과 소통하고 수부분(141)의 결합헤드(143)가 결합 홀(148)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장길이로 있는 장방형 결합 홀(148)을 한정한다.
수부분(141)은 레그(149)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레그(149)의 폭보다 작은 폭과 결합 홀(148)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진 얇은 목부분(154)을 구비한다. 결합헤드(143)는 목부분(154)의 단부에 장착되고, 결합헤드(143)가 암부분(142)의 전방 벽(147)을 수용하는 단면이 장방형이며 목부분(154)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원호형상의 것이다.
도5a-c는 에어백에 의해 링크 부분의 전치를 이룬 개방 파스너(1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파스너는 스트링거 테이프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개방되는 2부분 링크(115)를 포함한다. 돌출부(150)는 링크요소(115)의 일 파트(152)에 제공되고 에어백과 대면한다. 돌출부(150)는 에어백이 최대 변위를 제공하는 위치에서 에어백 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150)는 무딘 단부 핀이다.
도5a는 돌출부를 가진 링크요소의 사시도이다. 도5b는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링크요소의 단면도이고, 도5c는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링크요소의 단면도이다.
링크(115)는 제1파트(152)에 제공된 돌출부(150)를 가진 제1파트(152)와 제2파트(151)를 포함하며, 링크부분은 또한 제1파트(152)에도 제공된다. 링크 파트(160)는 테이프(102)의 평면에서 파트(151,152)의 분리를 방지하며, 링크요소의 제2파트(151)에 상보형 막힘 홈(162)에 수용되는 설부(舌部) 형태로 있다. 링크파트(160)는 스트링거 테이프(102)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파열 에어백에 의한 돌출부(150)에 압력을 받게 되면 막힘 홈(162)으로부터 변위된다.
도6은 파스너가 폐쇄상태에 있는 것을 다시 나타낸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1쌍의 스트링거 테이프(102)가 제공되며, 각각의 스트링거 테이프는 스트링거 테이프(102)의 내부 엣지(101)를 따라서 장착된 결합요소를 가진 제1구역(106)과 제2구역(107)을 구비한다. 정지부(120)는 파스너요소 열에 틈(110)에 설치되어서, 테이프를 따라서 너무 멀리 슬라이더(125,126)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더가 파열 에어백에 의한 결합에 적합한 요망위치에서 만나게 보장한다. 그러한 정지부는 당기술분야에서는 공지된 것이며, 예를 들어 테이프에 클립을 부착하여 설치된다.
틈(110)에 스트링거 테이프와 접속하는데 제공되는 링크(115)를 대신하여, 파스너가 파스너 체인(105)에 장착된 1쌍의 슬라이더(125,126)에 의해 패쇄되어 유지된다. 각각의 슬라이더에는 전방 단부(130)와 후방 단부(131)가 있다. 당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스트링거 테이프를 따라서 슬라이더가 전진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스너를 폐쇄하고 후진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스너를 개방한다.
에어백의 팽창 시에, 에어백의 압력은 파스너(100)가 외부방향으로 불거지게 하여, 틈(110)에서 테이프(102)를 분리하며, 테이프를 따라서 슬라이더가 뒤로 이동하게 하여, 파스너를 개방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6실시예는 이러한 경우에2개 슬라이더(125,126)가 서로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5실시예와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슬라이더는 암요소와 수요소를 포함한다. 일 슬라이더의 암요소는 타 슬라이더의 수요소와 접속할 수 있으며, 역으로도 이루어져, 2개 슬라이더가 함께 접속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파열 에어백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면, 2개 슬라이더가 분리 가압되어, 그 사이에 링크를 결합해제 한다. 슬라이더 사이에 링크의 세기를 조정하여, 파스너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힘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것은 슬라이더 각각이 공통 링크요소(180)에 링크 되는, 서로 직접적으로 링크되는 2개 슬라이더(125,126)를 대신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6실시예와 유사한 것이다. 링크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최소힘으로 수정하도록 링크요소(180)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링크요소와 제1 및 제2슬라이더 사이에 사용되는 접속타입도 링크의 세기에 영향을 미친다.
도9a-d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르는 1쌍의 슬라이더와 견인탭의 사시도이다. 각각의 슬라이더(125,126)에는 견인탭(170,171)이 제공되고, 2개 견인탭(170,171)이 서로 접속되게 하는 수단이 제공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6실시예와 유사한 것이다. 도9a는 함께 접속되었을 때에 1쌍의 슬라이더(125,126)와 견인탭(170,171)의 확대도이며, 도9b는 접속해제 시에 1쌍의 슬라이더(125,126)와 견인탭(170,171)의 확대도이며, 도9c는 함께 접속 시에 2개 견인탭(170,171)의 확대도이며, 그리고 도9d는 접속해제 시에 2개 견인탭(170,171)의 확대도이다.
일 견인탭(170)에는 수 커넥터(172)가 제공되며, 타 견인탭(171)에는 암 커넥터(173)가 제공된다. 수 커넥터(172)는 암 커넥터(173)에 의해 주어진 오목 홈에 착탈식으로 끼워진다. 에어백 팽창 시에 에어백의 힘은 2개 커넥터(172,173)를 결합해제하여 파스너가 개방되게 한다. 결합 커넥터(172,173)는 분리 시에 변형되며, 변형된 경우 해당 견인탭은 제거되고 새로운 견인탭을 파스너를 재사용할 목적으로 슬라이더에 부착한다.
지퍼 파스너의 취약지점은 파스너의 제어가 이루어진 파괴 또는 파열 지점을 제공하는것과 마찬가지로 용이한 개방 및 페쇄동작을 위해 제공되는 견인탭의 접속부로 형성된다. 또한, 동일한 설계로 이루어진 2개 슬라이더 각각이 조합된 견인탭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슬라이더에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 모두가 제공된다. 도9a-d에 도시된 견인탭은 고형체이지만 다르게, 이들을 파브릭 견인탭으로 이룰 수 있다. 파브릭 견인탭(fabric pull tab)은 도9a-d에 도시된 커넥터 요소를 대신하여 YKK상표의 압압 스터드(press stud) 또는 '라인스넵(linesnap)' 파스너와 같은 스넵식 고정 버튼으로 접속될 수 있다.
부가적인 실시예에서, 재사용 링크에 의해 링크되는 대신에, 2개 슬라이더가 에어백의 힘으로 파열되는 고형체 클립으로 링크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일회성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클립은 자유로와서 임의 방향으로 이탈하지만, 양호하게는 클립의 일측이 슬라이더의 일측에 영구 고정되어서 클립이 완전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10은 슬라이더 부재(不在) 상태에서 파스너가 개방되어진 후에 스트링거 테이프에 결합요소를 재-폐쇄하는데 사용되는 지그(jig)를 나타낸 도면이다. 지그는 파스너 요소의 치부(齒部) 둘레를 폐쇄하며, 스트링거 테이프의 길이부를 따라서 활주하는 이동으로 결합요소를 폐쇄한다. 그러한 지그는 지퍼 파스너 제조분야에서는 널리 공지된 사실이다. 특정적으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에는 곡선진 프레임부재(200)와, 프레임부재(20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장착된 1쌍의 상부 날개와 하부 날개(202,204)가 포함된다. 상부 날개(202)는 그 하부측에 장착된 안내 포스트(206)를 구비한다. 상부 날개(202)와 하부 날개(204)는 서로를 향하여 원격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부 날개(202)의 안내 포스트(206)가 하부 날개(204)의 부분과 접하게 동작하면, 상부 날개(202)과 하부 날개(204)는 결합요소(104)의 열이 그를 통해 지나가는 Y형상 채널을 그 사이에 형성한다. 지그가 Y형상 채널을 통해 지나가는 결합요소 열로서 스트링거 테이프의 길이방향으로의 활주로, 지그는 슬라이더가 행하는 것과 같이 결합요소를 폐쇄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사용은 셔터 도어와 같은 도어용 닫힘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창고 또는 공장에서, PVC도어와 같은 셔터 도어는 분할 구역을 분리하거나 외부 날씨 또는 외부요소로부터 상품이나 차량의 개방부를 보호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재사용 가능한 파스너가 셔터 도어의 엣지의 닫힘부용으로 제공되면, 도어 내로 잘못 운전되는 차량이 파스너를 개방하여, 도어에 대한 상해를 피할 수 있다. 그 후, 파스너는 재-폐쇄 된다. 파스너에는 슬라이더가 재-폐쇄를 용이하게 하는 그러한 목적에 적합한 슬라이더를 제공한다. 파스너는 개방용 단일 틈을 포함할 수 있거나 각각의 스트링거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서 복수의 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스너는 상술된 문제를 극복하는 에어백이 개방작용하는 부분의 닫힘부를 제공하며, 특히 파스너의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힘을 받을 시에 파스너의 개방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과 지퍼 파스너를 포함하는 에어백 개방동작이 매우 신뢰성 있는 에어백 개방작용 닫힘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설명이 여러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고는 있지만, 이러한 사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여 구속하는 것은 아니며, 그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일 예로서 기술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 청구범위로 한정되는 것이다.

Claims (21)

  1. 각각의 테이프에 장착된 결합요소 열로 연결된 1쌍의 테이프를 구비한 지퍼 파스너에 있어서, 결합요소가 선-결정된 힘이 파스너에 가해지면 취약지점에서 분리되도록, 파스너를 따라서 선-결정된 위치에 일 취약지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취약지점을 파스너를 따라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일 취약지점을 파스너의 결합요소 구역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파스너.
  4. 파스너 폐쇄 시에, 스트링거 테이프가 상기 결합요소에 의해 서로 접속되도록, 그 위에 장착된 결합요소 열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스트링거 테이프를 포함하는 파스너에 있어서, 각각의 결합요소 열은, 파스너 폐쇄 시에 제1 및 제2테이프에 결합요소가 결합하는 제1구역과 제2구역 및; 제1 및 제2구역 중간에 선-결정된 위치에서 함께 테이프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수단은, 제1 및 제2구역 내에 결합요소가 결합해제 되도록, 유지수단에 선-결정된 값보다 더 큰 힘이 가해지면 해체(releas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1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그리고 정지부는 선-결정된 위치에서 슬라이더를 정지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쌍의 슬라이더를 함께 접속하는 링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은 각각의 슬라이더로 요소를 분할하고, 상기 링크수단은 제1슬라이더와 결합하는 제1결합수단과 제2슬라이더와 결합하는 제2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파스너 폐쇄 시에 스트링거 테이프와 접속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힘에 의해 결합해제되어진 후에 링크를 재형성하도록 재결합되고 파스너를 개방하도록 결합해제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암요소와 수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암요소는 수요소와 결합되어 링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스트링거 테이프의 표면으로부터 원격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힘이 상기 돌출부에 가해졌을 때에 결합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링크를 결합해제 하도록 파열될 수 있는 부서지기 쉬운 요소(frangible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스트링거 테이프의 접합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스트링거 테이프에 접합되는 테이프의 부가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을 해체하거나 변위하는데 필요한 힘은 400N미만이며, 상기 힘은 유지수단에 인접하여 있는 스트링거 테이프의 표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적인 방향으로 유지수단에 인접하여 있는 파스너구역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을 해체하는데 필요한 힘은 300N 보다 크고,상기 힘은 유지수단에 인접하여 있는 스트링거 테이프의 평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적인 방향으로 유지수단에 인접하여 있는 파스너구역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7. 파스너는 청구범위 제4항에서 청구된 파스너이며, 에어백 커버 폐쇄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18. 자동차 좌석용 커버는 청구범위 제4항에 청구된 파스너와, 에어백용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스너는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개방부에서 상기 커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용 커버.
  19. 프레임, 프레임 위에 장착된 커버, 및 프레임 내에 에어백을 구비하는 차량용 좌석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에어백의 팽창 시에 그를 통해서 팽창하는 에어백용 개방부를 구비하고, 청구범위 제4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파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파스너는 정상 사용에서는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고 그리고 에어백 팽창 시에 에어백이 개방부를 통해 지나가게 에어백의 충격 힘을 받아서 개방하도록 상기 개방부에 커버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20. 에어백 커버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각각이 개별성 스트링거 테이프의 엣지에 장착된 결합요소 열을 구비하는, 2개 스트링거 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백 개방부의 엣지를 따라서 각각의 스트링거 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테이프를 함께 연결하도록 결합요소를 폐쇄하는 단계 및;
    팽창 에어백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테이프가 분리되는 취약지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지점에 부서지기 쉬운 또는 해체성이 있는 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16805A 2003-03-31 2004-03-12 파스너 KR100540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307401.0A GB0307401D0 (en) 2003-03-31 2003-03-31 A fastener
GB0307401.0 2003-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567A true KR20040086567A (ko) 2004-10-11
KR100540726B1 KR100540726B1 (ko) 2006-01-10

Family

ID=995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805A KR100540726B1 (ko) 2003-03-31 2004-03-12 파스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40187277A1 (ko)
EP (1) EP1468622B1 (ko)
JP (1) JP2004298641A (ko)
KR (1) KR100540726B1 (ko)
CN (1) CN1259010C (ko)
DE (1) DE602004017533D1 (ko)
ES (1) ES2315620T3 (ko)
GB (1) GB0307401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6680D0 (en) * 2005-04-01 2005-05-11 Ykk Europ Ltd A readily burstable slide fastener
DE102005019450A1 (de) * 2005-04-25 2007-06-06 Werner Sand Verschlusssystem an einem Sitzbezug
EP1941810B1 (en) * 2005-06-21 2010-04-14 YKK Corporation Device for article, used for changing string-end securing portion
FR2889493B1 (fr) * 2005-08-05 2008-10-17 Faurecia Sieges Automobile Element de siege integrant un dispositif de securite a coussin gonflable, muni d'une fermeture a glissiere
JP2009028131A (ja) * 2007-07-25 2009-02-12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及び車両用シート
JP5043688B2 (ja) * 2008-01-08 2012-10-10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5571652B2 (ja) * 2008-03-25 2014-08-13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縫合の代わりに接着剤を使用する車両トリムの応用
JP5132761B2 (ja) * 2008-03-26 2013-01-30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8695178B2 (en) * 2008-06-30 2014-04-15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WO2010106620A1 (ja) * 2009-03-16 2010-09-23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US8770662B2 (en) * 2010-05-27 2014-07-08 Auto Expressions, Llc Vehicle seat cover
US9039092B1 (en) * 2011-01-04 2015-05-26 Bell Automotive Products, Inc. Air bag enabling car seat cover
DE102013003638B4 (de) 2013-03-05 2017-03-23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abdeckung
US9915500B2 (en) 2014-12-08 2018-03-13 Josh Ralph Portable firearm carrier
US20160302497A1 (en) * 2015-04-20 2016-10-20 Dignity Garments, Llc Privacy medical garment for access to a buttocks region
US11013298B2 (en) * 2018-07-18 2021-05-25 Nike, Inc. Releasable fastener
US10646005B2 (en) * 2018-08-31 2020-05-12 Ykk Corporation Of America Slide fastener with blocking element
CN112385941B (zh) * 2019-08-16 2022-11-22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双头拉链
GB2595658A (en) * 2020-06-01 2021-12-08 Ykk Europe Ltd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7825A (en) * 1939-04-21 1940-10-16 Carr Fastener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liding clasp fasteners
US2701903A (en) * 1946-02-01 1955-02-15 Harvey L Williams Slide fastener
GB678755A (en) * 1950-05-02 1952-09-10 Rfd Co Ltd Improvements in means for packing inflatable dinghies and other pneumatic equipment, parachutes and other objects
US3122808A (en) * 1962-01-09 1964-03-03 Angelo P Maschi Slide fastener and quick release
GB1053882A (ko) * 1964-02-03
JPS4841659B1 (ko) * 1970-07-08 1973-12-07
JPS5147843A (en) * 1974-10-22 1976-04-23 Yoshida Kogyo Kk Suraidofuasunaano kinkyukaihobu
JPS5620843B2 (ko) * 1974-10-22 1981-05-15
JPS5175886A (en) * 1974-12-28 1976-06-30 Fuji Electric Co Ltd Ondochosetsukino dejitarusetsuteikairo
US5588671A (en) * 1995-09-21 1996-12-31 Takata, Inc. Resealable tear seam for seat deployed side impact air bag
CA2207022A1 (en) * 1997-06-17 1998-12-17 Imre Jack Smith Side-entry fastener
LU90330B1 (de) * 1998-12-16 2000-06-19 Imeco Einwegprodukte Gmbh & Co Verschlusssystem fuer Airbaghuelle
LU90431B1 (de) * 1999-08-31 2001-03-01 Iee Sarl Vorrichtung zum gesteuerten Entlueften eines Gassa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726B1 (ko) 2006-01-10
JP2004298641A (ja) 2004-10-28
EP1468622B1 (en) 2008-11-05
EP1468622A1 (en) 2004-10-20
CN1259010C (zh) 2006-06-14
US20040187277A1 (en) 2004-09-30
DE602004017533D1 (de) 2008-12-18
CN1533726A (zh) 2004-10-06
ES2315620T3 (es) 2009-04-01
GB0307401D0 (en)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726B1 (ko) 파스너
EP1611812B1 (en) Zip fastener with emergency opening facility
US5335936A (en) Separable connection for an air bag cover assembly
US10005419B2 (en) Head-protecting airbag device
US8590117B2 (en) Slide fastener
EP2095734B1 (en) A readily burstable slide fastener
KR101203366B1 (ko) 슬라이드 파스너
US20080061535A1 (en) Airbag sleeve
CN110027496B (zh) 具有被动通气控制的气囊系统
EP1885211B1 (en) A readily burstable slide fastener
EP2017141A2 (en) Airbag and airbag system
WO2011004462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0089870A1 (ja)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の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
WO2010106620A1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JP511212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9028131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及び車両用シート
GB2596589A (en) Slide 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