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527A - 휴대형 무선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무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527A
KR20040086527A KR1020040009503A KR20040009503A KR20040086527A KR 20040086527 A KR20040086527 A KR 20040086527A KR 1020040009503 A KR1020040009503 A KR 1020040009503A KR 20040009503 A KR20040009503 A KR 20040009503A KR 20040086527 A KR20040086527 A KR 20040086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play
pointing device
postur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6051B1 (ko
Inventor
아미타니요시코
고니시겐수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텔레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텔레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27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Abstract

2개의 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는 휴대형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이들 두 케이스를 폐쇄 상태로 설정하여도, 노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의 조작성을 종래보다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형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제 2 케이스(2)는 힌지 기구에 의하여 제 1 케이스(1)의 표면을 덮는 제 1 자세와, 상기 표면을 노출시키는 제 2 자세와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제 1 케이스(1)에 연결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5)는 제 2 케이스(2)의 이면에 배열 구비되어 있고,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는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입력 조작을 행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4)가 돌출 설치되며, 제 2 케이스(2)에는 상기 제 1 자세에서 포인팅 디바이스(4)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케이스(2)의 표면과 이면의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27)이 개설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무선 단말기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는 편평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의 표면에는 디스플레이와 키 조작부가 상하로 배열 구비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위쪽에는 수화부가 설치되고, 키 조작부의 아래쪽에는 송화부가 설치되어 있다. 키 조작부는 전화번호의 입력 조작이나 메일 작성시의 문자 입력 조작을 행하기 위한 텐 키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전환 조작이나,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복수의 메뉴 항목이 표시된 경우에, 그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을 행하기 위한 시소 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근래, 휴대 전화기는 점점 다기능화되고, 그에 따라 시소 키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하여,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종래의 시소 키에 대체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상에 표시된 포인터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채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특개2002-62984호 공보
그런데, 본체와 덮개가 힌지 기구를 통해서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폴더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덮개의 개폐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에 의한 화면 표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덮개의 표면과 배면의 양면에 디스플레이를 배열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폴더식 휴대 전화기는, 본체(91)와 덮개(92)를 힌지 기구(93)를 통해서 서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본체(91)에 대하여 덮개(92)를 개폐할 수 있다.
본체(91)의 표면에는 텐 키(94)가 배열되며, 텐 키(94)의 위쪽에는 시소 키(90)가 배열 구비됨과 동시에, 텐 키(94)의 아래쪽에는 송화부(96)가 배열 구비되어 있다. 또, 본체(91)의 측면에는 사이드 키(910)가 배열 구비되어 있다.
덮개(92)의 표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95)가 배치됨과 동시에, 메인 디스플레이(95)의 위쪽에는 수화부(97)가 배열 구비되어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92)의 이면에는 서브 디스플레이(98)가 배열 구비됨과 동시에, 서브 디스플레이(98)의 부근에는 CCD 카메라(99)가 배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폴더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도,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폴더식 휴대 전화기에서는, 시소 키(90)의 위치에 시소 키(90)에 대신하여 상술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배열 구비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더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본체(91)와 덮개(92)를 개방 상태로 설정한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95)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행할 수 있어, 종래보다도 조작성이 향상된다.
그렇지만, 본체(91)에 대하여 덮개(92)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포인팅 디바이스와 텐 키(94)는, 메인 디스플레이(95)와 함께 본체(91)와 덮개(92)의 사이에 숨겨져 버리기 때문에, 서브 디스플레이(98)의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은, 사이드 키(910)에 의해서만 행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폴더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배열 구비에 의해서도, 폐쇄 상태에서의 서브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에 대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는 휴대형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이들 두 케이스를 폐쇄 상태로 설정하여도, 노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의 조작성을 종래보다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폴더식 휴대 전화기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폴더식 휴대 전화기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폴더식 휴대 전화기를 폐쇄 상태로 설정하여 게임의 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다른 폴더식 휴대 전화기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상기 폴더식 휴대 전화기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폴더식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
도 9는 상기 폴더식 휴대 전화기의 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케이스 2 : 제 2 케이스
27 : 관통공 28 : 노치
3 : 힌지 기구 4 : 포인팅 디바이스
5 : 디스플레이 50 : 메인 디스플레이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형 무선 단말기는, 표면 및 이면을 갖는 제 1 케이스(1)와, 표면 및 이면을 갖는 제 2 케이스(2)와, 이들 두 케이스(1, 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제 2 케이스(2)에는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2)는,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하여 적어도 제 1 케이스(1)의 표면의 일부의 영역을 덮는 제 1 자세와, 이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 2 자세와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제 1 케이스(1)에 연결되어 있고, 디스플레이(5)는 제 2 케이스(2)를 상기 제 1 자세와 제 2 자세 중 어느 자세로 설정해도 노출되게 하는 위치에 배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영역에는,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입력 조작을 행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4)가 제 1 케이스(1)의 표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제 2 케이스(2)에는 상기 제 1 자세에서 포인팅 디바이스(4)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케이스(2)의 표면과 이면의 사이를 관통하는 개구부가 개설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4)는 봉(棒)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단(基端)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하 좌우로 변위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형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는, 제 2 케이스(2)를 제 1 자세로 설정한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4)는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고, 그 선단부는 디스플레이(5)의 설치면을 향하여 돌출한다.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두 케이스(1, 2)를 폐쇄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의 조작성이 종래보다 향상된다.
또,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제 1 케이스(1)와 제 2 케이스(2)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기구(3)에 의하여 구성되고, 제 2 케이스(2)의 표면은 상기 제 1 자세일 때에 제 1 케이스(1)의 표면과 대향하는 한편, 상기 제 2 자세일 때에는 제 1 케이스(1)의 표면으로부터 이간된다. 제 2 케이스(2)의 이면에는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되는 한편, 제 2 케이스의 표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5O)가 배열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는 포인팅 디바이스(4)를 포위해야 할 내주벽을 갖는 관통공(27)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4)는 상기 제 1 자세일 때에는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기능하는 한편, 상기 제 2 자세일 때에는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기능한다.
이러한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두 케이스(1, 2)를 열어서 제 2 케이스(2)를 제 2 자세로 설정한 경우, 제 2 케이스(2)의 표면에 배열 구비된 메인 디스플레이(5O)가 노출됨과 동시에 포인팅 디바이스(4)가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포인팅 디바이스(4)는 메인 디스플레이(5O)와 동일한 면에 노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표시 화면에 대한 조작을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또, 두 케이스(1, 2)를 닫아서 제 2 케이스(2)를 제 1 자세로 설정한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4)는 상기 관통공(27)을 관통하고, 그 선단부는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된 제 2 케이스(2)의 이면을 향하여 돌출한다. 이에 따라, 이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케이스(1, 2)를 개방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의 조작성이 종래보다 향상됨과 동시에, 두 케이스(1, 2)를 폐쇄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의 조작성도 종래보다 향상된다.
또한,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3)는 제 1 케이스(1)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팁(tip)부(13)와 제 2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 2 팁부(23)를, 동축상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4)는 제 1 팁부(13)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힌지 기구(30)를 구성하는 제 1 팁부(13)에 포인팅 디바이스(4)가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 포인팅 디바이스(4)의 스페이스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상기 영역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 1 케이스(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제 1 케이스(1)와 제 2 케이스(2)를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기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두 케이스(1, 2)는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 제 2 케이스(2)의 이면을 대향시켜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겹쳐져 있고, 상기 제 1 자세일 때에 서로의 겹침이 최대로 되는 한편, 상기 제 2 자세일 때에 서로의 겹침이 최소로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5)는 제 2 케이스(2)의 표면에 배열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27)는 포인팅 디바이스(4)와의 대향부가 개구된 U자 형상의 노치(28)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두 케이스(1, 2)를 열어서 제 2 케이스(2)를 제 2 자세로 설정한 경우, 제 2 케이스(2)의 표면에 배열 구비된 디스플레이(5)가 노출됨과 동시에, 포인팅 디바이스(4)가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포인팅 디바이스(4)는 디스플레이(5)와 동일한 면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이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한 조작을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또, 두 케이스(1, 2)를 닫아서 제 2 케이스(2)를 제 1 자세로 설정한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4)는 상기 노치(28)에 수용되며, 그 선단부는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된 제 2 케이스(2)의 표면을 향하여 돌출한다. 이에 따라, 이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케이스(1, 2)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행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5)에 대한 입력 조작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폴더식 휴대 전화기와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에 실시한 형태에 대해,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폴더식 휴대 전화기
본 발명에 관련된 폴더식 휴대 전화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편평한 제 1 케이스(1)와 제 2 케이스(2)를 힌지 기구(3)를 통해서 서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힌지 기구(3)는, 제 1 케이스(1)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팁부(13)와, 제 2 케이스(2)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 2 팁부(23)를, 동축상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두 케이스(1, 2)는, 도 1과 같이 두 케이스(1, 2)의 표면이 노출된 개방 상태와, 도 2와 같이 두 케이스(1, 2)의 표면을 대향시킨 폐쇄 상태와의 사이에서 개폐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는 텐 키(11)가 배열됨과 동시에, 이 텐 키(11)의위쪽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 포인팅 디바이스(4)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포인팅 디바이스(4)는 기단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좌우로 변위 가능하다. 또, 텐 키(11)의 아래쪽에는 송화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2)의 표면에는 중앙부에 메인 디스플레이(5O)가 배치됨과 동시에, 이 메인 디스플레이(5O)의 위쪽에는 수화부(22)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케이스(2)의 이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중앙부에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되며, 이 디스플레이(5)의 부근에는 CCD 카메라(25) 및 플래시(26)가 배열 구비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메인 디스플레이(5O)의 아래쪽에는, 두 케이스(1, 2)를 폐쇄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포인팅 디바이스(4)와 대향하게 되는 위치에, 제 2 케이스(2)의 표면과 이면의 사이를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27)이 개설되어 있다. 이 관통공(27)의 내주벽은,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 2 케이스(2)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구멍의 직경이 커지는 절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포인팅 디바이스(4)는 두 케이스(1, 2)를 폐쇄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관통공(27)을 관통하고, 그 선단부는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된 제 2 케이스(2)의 이면을 향하여 돌출하게 된다.
상기 폴더식 휴대 전화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케이스(1, 2)를 폐쇄한 상태로 가방이나 의류의 포켓에 수용하여 휴대한다. 이 때, 메인 디스플레이(5O)는 제 1 케이스(1) 및 제 2 케이스(2)의 내측에 숨겨져 있기 때문에, 외력의 작용에 의한 파손의 염려는 없다. 또, 텐 키(11)도 제 1 케이스(1) 및 제 2케이스(2)의 내측에 숨겨져 있기 때문에, 텐 키(11)가 눌려지는 것에 의한 오작동의 우려는 없다.
이 상태로부터, 도 1과 같이 제 1 케이스(1)에 대하여 제 2 케이스(2)를 여는 것에 의하여,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 배열 구비된 텐 키(11)와 포인팅 디바이스(4)가 노출됨과 동시에, 제 2 케이스(2)의 표면에 배열 구비된 메인 디스플레이(5O)가 노출된다. 이와 같이 두 케이스(1, 2)를 개방 상태로 설정한 경우에는, 메인 디스플레이(50)에 의한 화면 표시가 가능해지고, 이 메인 디스플레이(50)를 표시 화면으로 하여 텐 키(11)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한 입력 조작이 가능해진다(제 2 자세).
이 상태에서, 송수화, 송신 메일의 작성, 수신 메일의 열람, 게임의 조작,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 및 카메라(42)에 의한 촬영이 행해진다. 이 때, 유저는 텐 키(11)를 눌러서 단순한 입력 조작을 행하고,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이나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화면의 표시를 차례로 전환하는 화면 전환 조작을 포인팅 디바이스(4)를 조작함으로써 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송신 메일 작성시의 문자 입력에 있어서, 유저는 메인 디스플레이(5O)의 화면에 복수의 도형을 표시하고, 포인팅 디바이스(4)를 조작하여 화면상의 커서를 움직임으로써, 그 중에서 원하는 도형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수신 메일을 읽는 경우에 있어서, 유저는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화면에 내장 메모리에 기억시켜둔 복수의 수신 메일을 표시하고, 포인팅 디바이스(4)를 조작하여 화면상의 커서를 움직임으로써, 그 중에서 원하는 메일을 선택하여 읽을 수 있다.
또, CCD 카메라(25)에 의한 카메라 촬영 및 무비 촬영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CCD 카메라(25)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되고, 그 영상은 메인 디스플레이(5O)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 때, 유저는 포인팅 디바이스(4)를 조작하여, CCD 카메라(25)의 줌의 조절, 프레임의 조절 및 밝기의 조정이나,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의 반전 영상으로의 전환이나 모자이크 영상으로의 전환 등, 영상에 특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홈 페이지를 보는 경우에 있어서, 유저는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화면에 그 홈 페이지를 표시하고, 포인팅 디바이스(4)를 조작하여 다음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내장 메모리에 기억시켜둔 게임을 플레이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저는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화면에 게임을 표시하고, 포인팅 디바이스(4)를 조작키로 하여 메인 디스플레이(5O)의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사이트로부터 유저의 위치의 주변 지도를 다운로드한 경우에 있어서, 유저는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화면에 유저가 있는 장소의 주변 지도를 표시하고, 포인팅 디바이스(4)를 조작하여 화면상의 포인터를 움직임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화면에 전개된 지도상에 산재하는 목표물을 선택하고, 그 목표물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다시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케이스(1)의 표면과 제 2 케이스(2)의 표면을 대향시켜 닫음으로써,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 배열 구비된 텐 키(11)와 제 2 케이스(2)의 표면에 배열 구비된 메인 디스플레이(50)가 제 1 케이스(1)와 제 2 케이스(2)의 사이에 숨겨지게 되는 한편, 포인팅 디바이스(4)는 제 2 케이스(2)의 관통공(27)을 관통하고, 그 선단부는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된 제 2 케이스(2)의 이면을 향하여 돌출한다. 이와 같이 두 케이스(1, 2)를 폐쇄 상태로 설정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5)에 의한 화면 표시가 가능해지고, 이 디스플레이(5)를 표시 화면으로 하여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한 입력 조작이 가능해진다(제 1 자세).
따라서 두 케이스(1, 2)를 폐쇄 상태로 설정하여도, 상술한 것과 같은 수신 메일의 열람, 게임의 조작,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 및 카메라(42)에 의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에 기억시켜둔 게임을 플레이하는 경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5)는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두 케이스(1, 2)를 폐쇄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화면에 대한 화상의 표시 방향이 90도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어, 옆으로 긴 화면을 정상적인 방향으로 하여 화상의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유저는, 화면의 표시 설정이 전환된 디스플레이(5)의 화면에 게임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5)의 좌측에 위치하게 되는 포인팅 디바이스(4)를 조작키로 하여 디스플레이(5)의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폴더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두 케이스(1, 2)를 개방 상태로 설정한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화면의 표시에 대하여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하여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방 상태에서 노출되는 메인 디스플레이(50)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의 조작성이 종래보다 향상된다.
또, 두 케이스(1, 2)를 폐쇄 상태로 설정한 경우, 디스플레이(5)의 화면의 표시에 대하여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하여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폐쇄 상태에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의 조작성이 종래보다 향상된다.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
본 발명에 관련된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편평한 제 1 케이스(1)와 제 2 케이스(2)를 서로 겹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시킨 것으로서, 도 5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와 도 4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조작이 가능하다.
도 4와 같이,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는 복수의 조작키(11)가 배열됨과 동시에, 하단부에는 송화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송화부(12)의 위쪽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 포인팅 디바이스(4)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포인팅 디바이스(4)는 기단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좌우로 변위 가능하다. 또, 제 1 케이스(1)의 양측면에는 제 2 케이스(2)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17, 17)이 오목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2O)의 표면에는, 중앙부에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5)의 위쪽에는 수화부(22)가 배열 구비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2)의 양측부에는, 제 1 케이스(1)를 끼워 지지해야 할 한 쌍의 레일부(24, 24)가 돌출설치되며, 이들 두 레일부(24, 24)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의 슬라이드 홈(17, 1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해야 할 한 쌍의 돌출편(도시 생략)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디스플레이(5)의 아래쪽에는, 포인팅 디바이스(4)와의 대향부가 개구된 U자 형상양의 노치(28)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28)의 주벽(周壁)은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 2 케이스(2)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단면 형상이 커지는 절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포인팅 디바이스(4)는 도 5와 같이 두 케이스(1, 2)를 폐쇄 상태로 설정했을 때에 노치(28)에 수용되며, 그 선단부는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된 제 2 케이스(2)의 표면을 향하여 돌출하게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로부터 제 2 케이스(2)를 위쪽으로 가압하면, 제 2 케이스(2)의 레일부(24)에 돌출 설치된 돌출편이 제 1 케이스(1)의 가이드홈(17)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제 2 케이스(2)의 이동이 안내되며, 두 케이스(1, 2)는 도 4와 같이 서로의 겹침이 최소로 되는 개방 상태로 설정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부터 제 2 케이스(2)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면, 제 2 케이스(2)의 레일부(24)에 의하여 제 2 케이스(2)의 이동이 안내되고, 두 케이스(1, 2)는 도 5와 같이 서로의 겹침이 최대로 되는 폐쇄 상태로 설정된다.
상기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케이스(1, 2)를 폐쇄한 상태로 가방이나 의류의 포켓에 수용하여 휴대한다. 이 때, 텐 키(11)는 제 2 케이스(2)에 덮여서 숨겨져 있기 때문에, 텐 키(11)가 눌려지는 것에 의한오작동의 우려는 없다.
이 상태로부터, 도 4와 같이 제 1 케이스(1)에 대하여 제 2 케이스(2)를 여는 것에 의하여,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 배열 구비된 텐 키(11)와 포인팅 디바이스(4)가 노출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5)를 표시 화면으로 하여 텐 키(11)에 의한 키 입력 조작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한 입력 조작이 가능해진다(제 2 자세).
이 상태에서, 상술한 폴더식 휴대 전화기의 실시예와 같이, 송수화, 송신메일의 작성, 수신 메일의 열람, 게임의 조작, 및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 때, 유저는 텐 키(11)를 눌러서 단순한 입력 조작을 행하고, 디스플레이(5)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이나 디스플레이(5)의 화면의 표시를 차례로 전환하는 화면 전환 조작을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부터, 도 5와 같이 제 2 케이스(2)를 제 1 케이스(1)에 대하여 슬라이딩시켜서 두 케이스(1, 2)를 겹쳐지게 한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 배열 구비된 텐 키(11)가 제 2 케이스(2)에 덮여 숨겨지게 된다. 한편, 포인팅 디바이스(4)는 제 2 케이스(2)의 노치(28)에 수용되게 되며, 그 선단부는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된 제 2 케이스(2)의 표면을 향하여 돌출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5)를 표시 화면으로 하여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한 입력 조작이 가능해진다(제 1 자세).
따라서, 두 케이스(1, 2)를 폐쇄 상태로 설정하여도, 유저는 상술한 폴더식휴대 전화기의 실시예와 같이, 수신 메일의 열람, 게임의 조작, 및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두 케이스(1, 2)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에, 디스플레이(5)의 화면에 대하여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하여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두 케이스(1, 2)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5)의 화면에 대하여 포인팅 디바이스(4)에 의하여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케이스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의 조작성이 종래보다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부분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힌지 기구(3)를 구성하는 제 1 팁부(13)에 포인팅 디바이스(4)를 돌출 설치하고, 제 2 케이스(2)의 개구부를 힌지 기구측에 개구한 U자 형상의 노치(29)에 의하여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폴더식 휴대전화기의 제 2 케이스(2)의 이면에 복수의 조작키를 배열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의 제 2 케이스(2)의 표면에 복수의 조작키를 배열 구비하는 구성, 또는 제 2 케이스(2)의 표면에 CCD 카메라를 배열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형 무선 단말기에 의하면, 2개의 케이스를 폐쇄 상태로 설정해도, 노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화면에 대한 입력 조작을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조작성이 향상된다.

Claims (5)

  1. 표면 및 이면을 갖는 제 1 케이스(1)와, 표면 및 이면을 갖는 제 2 케이스(2)와, 두 케이스(1, 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구비하고, 제 2 케이스(2)에는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되어 있는 휴대형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2)는,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하여 적어도 제 1 케이스(1)의 표면의 일부의 영역을 덮는 제 1 자세와, 상기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 2 자세와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제 1 케이스(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5)는 제 2 케이스(2)를 상기 제 1 자세와 제 2 자세 중 어느 자세로 설정해도 노출되게 하는 위치에 배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영역에는,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입력 조작을 행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4)가 제 1 케이스(1)의 표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제 2 케이스(2)에는 상기 제 1 자세에서 포인팅 디바이스(4)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케이스(2)의 표면과 이면의 사이를 관통하는 개구부가 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4)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단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좌우로 변위 가능한 휴대형 무선 단말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제 1 케이스(1)와 제 2 케이스(2)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기구(3)에 의하여 구성되고,
    제 2 케이스(2)의 표면은, 상기 제 1 자세일 때에 제 1 케이스(1)의 표면과 대향하는 한편, 상기 제 2 자세일 때에 제 1 케이스(1)의 표면으로부터 이간하며,
    제 2 케이스(2)의 이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5)가 배열 구비되는 한편, 제 2 케이스의 표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5O)가 배열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는 포인팅 디바이스(4)를 포위해야 할 내주벽을 갖는 관통공(27)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4)는 상기 제 1 자세일 때에는 디스플레이(5)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기능하는 한편, 상기 제 2 자세일 때에는 메인 디스플레이(5O)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기능하는
    휴대형 무선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3)는, 제 1 케이스(1)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팁부(13)와, 제 2 케이스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 2 팁부(23)를, 동축상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4)는 제 1 팁부(13)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휴대형 무선 단말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제 1 케이스(1)와 제 2 케이스(2)를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기구에 의하여 구성되며,
    두 케이스(1, 2)는 제 1 케이스(1)의 표면에 제 2 케이스(2)의 이면을 대향시켜서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겹치도록 되며, 상기 제 1 자세일 때에 서로의 겹침이 최대로 되는 한편, 상기 제 2 자세일 때에 서로의 겹침이 최소로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5)는 제 2 케이스(2)의 표면에 배열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는 포인팅 디바이스(4)와의 대향부가 개구된 U자 형상의 노치(28)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휴대형 무선 단말기.
KR1020040009503A 2003-03-27 2004-02-13 휴대형 무선 단말기 KR100656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86657 2003-03-27
JP2003086657A JP2004297417A (ja) 2003-03-27 2003-03-27 携帯型無線端末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527A true KR20040086527A (ko) 2004-10-11
KR100656051B1 KR100656051B1 (ko) 2006-12-08

Family

ID=3298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503A KR100656051B1 (ko) 2003-03-27 2004-02-13 휴대형 무선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189597A1 (ko)
JP (1) JP2004297417A (ko)
KR (1) KR100656051B1 (ko)
CN (1) CN15349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2024B2 (ja) * 2003-04-17 2008-12-03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用取付装置
US20060139328A1 (en) 2004-12-29 2006-06-29 Nina Maki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a method therefor
US7680404B2 (en) 2006-07-10 2010-03-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mpressible zoom camera
JP5192668B2 (ja) * 2006-07-28 2013-05-0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端末
KR20080044728A (ko) * 2006-11-17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20080044729A (ko) * 2006-11-17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US20090186662A1 (en) * 2008-01-18 2009-07-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pivotally coupled interconnector
US8489157B2 (en) * 2008-01-18 2013-07-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extended dual-hinged interconnector
US8611971B2 (en) * 2008-01-18 2013-12-17 Blackberry Limited Hinging interconnector for a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EP2081366A1 (en) * 2008-01-18 2009-07-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inging interconnector for a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JP5041372B2 (ja) * 2008-10-20 2012-10-0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外部装置
US8078105B2 (en) * 2009-03-31 2011-12-13 Kyocera Corporation Scroll wheel on hinge
CN103324289A (zh) * 2013-06-25 2013-09-25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屏幕控制方法
US10395428B2 (en) * 2016-06-13 2019-08-2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HMD transitions for focusing on specific content in virtual-reality environment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7089A (en) * 1995-09-07 1998-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ersonal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switches which independently energize a mobile tele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GB2334850A (en) * 1998-02-27 1999-09-01 Nokia Mobile Phones Ltd A communication device with a keyboard cover mounted upon sliding rods
FI109732B (fi) * 1998-06-02 2002-09-30 Nokia Corp Elektroniikkalaite ja ohjauselin
GB2340333B (en) * 1998-08-04 2002-07-31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telephone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US6249672B1 (en) * 1999-03-19 2001-06-19 Mobile Communications Holdings, Inc. Portable telephone
GB2359963B (en) * 1999-10-15 2004-02-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1119457A (ja) * 1999-10-15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
FI20010681A (fi) * 2001-04-02 2002-10-03 Nokia Corp Kokoontaitettava elektroniikkalaite
TW507981U (en) * 2001-04-13 2002-10-21 Huo-Sheng Wang Joystick of mobile phone
KR100470172B1 (ko) * 2001-06-22 2005-02-04 주식회사 임팩트라 디스플레이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변환가능한 이동단말기
KR100810300B1 (ko) * 2002-10-15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US7123240B2 (en) * 2003-05-13 2006-10-17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with joystick
US7129928B2 (en) * 2003-08-28 2006-10-31 Motorola Inc. Joystick controller for cellular telephone
US7505582B2 (en) * 2003-12-31 2009-03-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mechanism having multiple axes of rotation for position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369119B2 (en) * 2004-06-24 2008-05-06 Motorola, Inc.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CN100394763C (zh) * 2004-09-15 2008-06-11 索尼株式会社 作为遥控器的输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051B1 (ko) 2006-12-08
US20040189597A1 (en) 2004-09-30
CN1534965A (zh) 2004-10-06
JP2004297417A (ja)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3411B2 (ja) 携帯電話機
KR100656051B1 (ko) 휴대형 무선 단말기
KR100810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슬라이딩 모듈 및 그의 연성 회로
US657108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rol means
KR100304484B1 (ko) 정보통신단말장치
KR100678200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US20100248778A1 (en) Scroll wheel on hinge
KR20070075244A (ko)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싱장치
JP2004235687A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100810763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US20100311477A1 (en) Biasing component for raising and lowering a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JP4210288B2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20050117204A (ko) 이동성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040209577A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moveable camera lens unit
US7899504B2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display area widening mechanism
KR20060081875A (ko) 키패드가 슬라이드 커버에 대해 수평하게 상승되는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30155216A1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 terminal
CA2705660C (en) A biasing component for raising and lowering a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KR100871248B1 (ko) 회전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쿼티 키패드를 구비하는이동통신 장치
KR101545571B1 (ko) 휴대 단말기
KR100726469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1351488B1 (ko) 이동통신단말기
KR100467900B1 (ko) 슬라이드타입의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042818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
KR100874765B1 (ko) 회전과 슬라이딩이 가능한 일체형 휴대폰의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