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053A -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053A
KR20040086053A KR1020030034833A KR20030034833A KR20040086053A KR 20040086053 A KR20040086053 A KR 20040086053A KR 1020030034833 A KR1020030034833 A KR 1020030034833A KR 20030034833 A KR20030034833 A KR 20030034833A KR 20040086053 A KR20040086053 A KR 20040086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input
high frequency
multi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968B1 (ko
Inventor
전승훈
페투코프안드리세르지비치
스비리덴코브라디미르알렉산드로비치
우디나타샤나미카일로프나
Original Assignee
스피릿 코포레이션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피릿 코포레이션,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피릿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86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 H03G9/005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 H03G9/02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03G9/025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frequency-dependent 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e.g. multiple-ba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는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반전시키는 주파수 반전기; 주파수 반전기에서 반전된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 대역 통과 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주파기 반전기에 입력된 신호와 에일리어싱이 발생하지 않을 만큼 천이시키는 변환기; 및 변환기에서 천이된 신호를 주파기 반전기에 입력된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함으로서, 원래에 근접한 청취 지각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nstructing high frequency part of signal}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및 무선 전자 공학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낮은 전송 용량을 가진 채널들에서 전송되는 동안 또는 인코딩하는 동안 소실된 고주파 부분의 특성을 회복시키는 것에 의하여, 청중에게 지각될 수 있는 오디오의 품질로 향상시키는 장치들 및 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있다. 러시아 특허 RU 2,194,361에 개시되어 있는 오디오 신호에서의 손실 정보의 재구성 방법은 특별한 인코딩 시스템 및 디지털 데이터 디코딩의 사용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디지털 데이터는 디지트 위치의 중요성이 감소하는 순서로 디지트들의 블록들로 나누어지고, 이것은 블록들의 구조를 재구성하기에 충분한 정확성을 가진다.
더 간단한 방법들은 남아있는 저주파수 부분을 처리하여 교정용 신호를 발생시키고, 원래의 신호에 이 교정용 신호를 부가하는 것에 기초를 두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US 6,335,973 및 6,023,513은 신호의 저주파수 부분으로부터 고주파수 고조파(harmonic)를 발생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비선형 변조들은 이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고주파수 잡음 발생기에 기초를 둔 고주파수 부분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미국 특허 US 5,754,666 참조). 여기에서, 잡음 파라미터들은 신호의 저주파수 부분을 분석하는 것에 의하여 선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된 방법과 가장 유사한 것은 미국 특허 US 5,893,068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는 Fourier 변환을 사용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고주파수의 부가는 스펙트럼의 저주파수 부분의 확장으로부터 획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기술에 의할 경우, 특성들을 듣기 때문에, 즉, 귀의 주파수 분석 능력(resolution)이 소리의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는 사실 때문에 단순한 확장 또는 스펙트럼 천이는 원래에 근접한 청취 지각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는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함으로서, 원래에 근접한 청취 지각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는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반전시키는 주파수 반전기; 상기 주파수 반전기에서 반전된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 상기 대역 통과 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주파기 반전기에 입력된 신호와 에일리어싱이 발생하지 않을 만큼 천이시키는 변환기; 및 상기 변환기에서 천이된 신호를 상기 주파기 반전기에 입력된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는 코사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발생기; 입력된 신호에 상기 제 1 발생기에서 발생된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제 1 곱셈기; 상기 제 1 곱셈기에서 곱해진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제 1 저역 필터; 및 상기 제 1 저역 필터에서 저역 필터링된 신호에 상기 제 1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제 3 곱셈기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은 (a)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반전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반전된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필터링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a) 단계에 입력된 신호와 에일리어싱이 발생하지 않을 만큼 천이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천이된 신호를 상기 (a) 단계에 입력된 신호에 가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은 (a) 코사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b) 입력된 신호에 상기 (a) 단계에서 발생된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곱해진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저역 필터링된 신호에 상기 (a) 단계에서 발생된 코사인 신호를 곱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오디오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는 주파수 반전기(1), 대역 통과 필터(2), 변환기(3), 및 가산기(4)로 구성된다. (a)-(e)는 다른 처리 단계들의 신호 스펙트럼들을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손실된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스펙트럼 반전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보여주고 있다. 입력된 오디오 신호(a)는 주파기 반전기(1)로 입력된다. 여기에서,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매초마다의 샘플의 부호는 반전된다. (a)는 입력된 이산적인(discrete) 오디오 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오디오 신호의 진폭은 축 A에 표시되었고,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는 축 F에 표시되었다. 점선은 재구성하는 것이 요구되는 빈(absent) 고주파수 부분을 나타낸다. 주파수 반전기(1)의 출력 신호의 스펙트럼은 (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신호는 교정용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된다. 원칙적으로, 오디오 신호 에너지는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그러나, 반전된 스펙트럼을 가진 신호에 대해서는 이 이론이 전용되지 않으며, 신호 스펙트럼이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해서 이 신호는 교정을 필요로 한다. 즉, 고주파수 부분의 결손(depletion)을 교정하여야 한다. 대역 필터(2)는 고주파수 부분의 결손에 대해서 사용된다. 입력 신호의 반전 후에 형성되는 매우 예리한 고주파수 부분의 신호에서 현재의 차단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 필터는 가변적인 대역폭을 가진다. 대역 필터(2)의 출력 신호의 스펙트럼은 (c)에 도시되어 있다. 점선은 신호 스펙트럼의 필터링된 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용 신호와 재구성 신호간의 에일리어싱(aliasing)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역 필터(2) 이후의 신호는 변환기(3)를 사용하여 그 주파수에 따라 천이된다. 변환기(3)의 출력 신호는 교정용 신호이고, 이 신호는 가산기(4)에 의하여 입력 신호 (a)에 가산된다. 완성된 신호는 (e)에 도시되어 있다. 주파수 대역이 어느 시점에서만 알려져 있다고 가정하자 : 그런 정보는 입력 신호를 디코딩할 때, 디코더(도시되어 있지 않다)로부터 즉시 얻을 수 있다. 반전기(1)와 대역 필터(2)가 그런 상황들 하에서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지 고려해보자. 아래 도 2에 그런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오디오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는 제 1 발생기(20), 제 1 곱셈기(21), 제 2 곱셈기(22), 제 2 발생기(23), 제 1 저역 필터(24), 제 2 저역 필터(25), 제 3 곱셈기(27), 제 4 곱셈기(28), 가산기(30), ?? 합산기(31)로 구성된다.
이것은 주파수 반전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재구성된 헤테로다인(heterodyne) 필터의 수정된 도면이다. 작동들의 그런 조합은 헤테로다인 필터가 입력 신호를 복소수 신호(복소수 지수)로 모의(simulate)한다는 사실과, 알려진 바와 같이, 스펙트럼 반전은 변조 결과로서 추정(estimate)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가능하다. 신호 스펙트럼이 이 장치 내에서 어떻게 변화되는 지를 살펴보자. 이와 같이. 이 장치는 복소수 신호 표시를 실시하고, 복소수 스펙트럼은 모든 곳에서 조사될 것이다. 입력 신호의 진폭 스펙트럼의 형태는 도 1의 (a)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스펙트럼의 대칭적인 부분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입력 신호는 제 2 곱셈기(multiplier, 22)의 입력단으로 전송되고, 제 2 발생기(generator, 23)에 의해 생성된 sin(ωt)이 곱하여진다. 여기에서,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입력 신호의 시간은 t이고, ω= 2πf이고, 차단 주파수는 f이다. 오일러(Euler) 방정식에 따라 이 위상은 실수 신호에 복소수 지수를 곱하는 것을 실시한다.
= cos(ωt) + jㆍsin(ωt)
여기에서, j는 허수 유닛이다.
이어서, 수신된 신호의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은 각각 제 1 저역 필터(low-pass filter, 24)와 제 2 저역 필터(25)에 입력된다. 필터 24와 25는 동일한 것이다. 제 1 곱셈기(21)에서 신호의 실수 부분에는 제 1 발생기(20)에 의해 생성된 cos(ωt)가 곱하여지고, 신호의 허수 부분은 제 4 곱셈기(28)의 입력단으로 전송된다. 여기에서, 허수 정보 퇴출(withdrawal)을 실행하는 제 3 발생기(29)에서 생성된 -sin(ωt)이 곱하여진다. 곱셈기 27과 28의 출력들로부터의 신호들은 합산기(31)에서 합산된다. 블록 27, 28, 31은 복소수 신호에 복소수 지수을 곱하고, 생성된 복소수 신호로부터 실수 부분을 얻는 것을 실시한다.
] = Re[(x + jㆍy)ㆍ(cos(ωt) + jㆍsin(ωt))] = xㆍcos(ωt) - yㆍsin(ωt)
발생된 신호는 가산기(30)에서 원래의 신호에 가산된다.
이와 같이 제안된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하는 방법의 실시 장치는 가산기(30)를 포함하고, 가산기(30)의 출력은 이 장치의 출력이 된다. 가산기(30)의 첫 번째 입력단은 신호 조정을 요구하는 소스, 즉 시스템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두 번째 입력단은 합산기(31)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곱셈기 27과 28은 저역 필터 24와 25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제 1 저역 필터(24)의 입력단은 제 1 곱셈기(21)의 출력단으로 연결되고, 제 2 저역 필터(25)의 입력단은 제 2 곱셈기(22)의 출력단으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곱셈기 21과 22의 입력단은 시스템의 입력단으로 연결된다. 곱셈기 21과 27의 두 번째 입력단은 제 1 발생기(2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두 번째 곱셈기 22와 28의 입력단은 제 2 발생기 23과 제 3 발생기 29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제안된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디자인의 단순함은 협 대역의 채널들을 경유하여 수신된 디지털 기록에 대한 고 품질의 재생을 제공하는 가전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디오 신호 주파수 스펙트럼의 다른 범위에 대한 청취자들에 의한 인식의 생리적 특성들도 고려되었다. 수행된 실험들은 완전히 기계적인 즉, 원래와 동일한 노이즈 스펙트럼의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은 원칙적으로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지각될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재구성하는 주파수들의 정확도는 더 작은 값을 가지고, 실제 소리 전송에서는 에너지가 강한(energetic) 부분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원 신호에 거의 적절한 고주파수들 상의 에너지 레벨을 가진 교정용 신호를 충분히 획득할 수 있다. 게다가 거의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들의 에너지들은 서로 연관된다. 그러므로, 지각의 면에서 원 신호에 근접한 오디오 신호를 재구성하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간 도메인에서 원 신호의 스펙트럼을 반전시킴으로서 고주파수 부분은 나머지 저주파수 부분으로부터 생성된다. 선행 US 5,893,068과 비교할 때, 제안된 방법의 두드러진 특징은 입력 디지털 신호의 스펙트럼 반전으로 고주파수 부분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디지털 신호에서의 스펙트럼 반전은 매초 샘플마다의 부호를 변환하는 것에 의하여 실행된다.
원 신호 및 교정용 신호를 차폐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반전된 스펙트럼을 가진 신호는 필터링되고, 그 주파수만큼 천이된다. 이것으로 인해, 입력 신호의스펙트럼의 주요 부분이 변경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반전시킨다(301). 여기에서, 입력된 신호에 입력된 신호의 차단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외부에서 발생된 사인 신호 및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것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반전시킨다. 이어서, 반전된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필터링한다(302). 이어서,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입력된 신호와 에일리어싱이 발생하지 않을 만큼 천이시킨다(303). 여기에서, 입력된 신호에 입력된 신호의 차단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외부에서 발생된 사인 신호 및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것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천이시킨다. 이어서, 천이된 신호를 입력된 신호에 가산한다(304). 여기에서, 신호는 일반적으로 오디오 신호가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코사인 신호를 발생시킨다(401). 이어서, 입력된 신호에 발생된 코사인 신호를 곱한다(402). 이어서, 곱해진 신호를 저역 필터링한다(403). 이어서, 저역 필터링된 신호에 발생된 코사인 신호를 곱한다(404). 또한, 사인 신호를 발생시킨다(405). 이어서, 입력된 신호에 발생된 사인 신호를 곱한다(406). 이어서, 곱해진 신호를 저역 필터링한다(407). 또한, 음 부호의 사인 신호를 발생시킨다(408). 이어서, 저역 필터링된 신호에 발생된 음 부호의 사인 신호를 곱한다(409). 이어서, 404 단계에서 곱해진 신호와 409 단계에서 곱해진 신호를 합산한다(410). 이어서, 입력된 신호에 합산된 신호를 가산한다(411). 여기에서, 신호는 일반적으로 오디오 신호가 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함으로서, 원래에 근접한 청취 지각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US 5,893,068에서처럼 스펙트럼의 나머지 저주파수 부분으로부터 소실된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하지만, US 5,893,068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 전송(Fourier 변환 등)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는 효과가 있으며, 이것으로 인해 재구성된 신호의 비교적 높은 품질을 제공하면서도, 복잡하지 않은 장치들에 의하여 위의 방법을 설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반전시키는 주파수 반전기;
    상기 주파수 반전기에서 반전된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필터링하는 대역 통과 필터;
    상기 대역 통과 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주파기 반전기에 입력된 신호와 에일리어싱이 발생하지 않을 만큼 천이시키는 변환기; 및
    상기 변환기에서 천이된 신호를 상기 주파기 반전기에 입력된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오디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반전기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상기 입력된 신호의 차단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외부에서 발생된 사인 신호 및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상기 입력된 신호의 차단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외부에서 발생된 사인 신호 및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천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
  5. 코사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발생기;
    입력된 신호에 상기 제 1 발생기에서 발생된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제 1 곱셈기;
    상기 제 1 곱셈기에서 곱해진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제 1 저역 필터; 및
    상기 제 1 저역 필터에서 저역 필터링된 신호에 상기 제 1 발생기에서 발생된 양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제 3 곱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발생기;
    상기 입력된 신호에 상기 제 2 발생기에서 발생된 사인 신호를 곱하는 제 2 곱셈기;
    상기 제 2 곱셈기에서 곱해진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제 2 저역 필터;
    음 부호의 사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3 발생기;
    상기 제 2 저역 필터에서 저역 필터링된 신호에 상기 제 3 발생기에서 발생된 음 부호의 사인 신호를 곱하는 제 4 곱셈기;
    상기 제 3 곱셈기에서 곱해진 신호와 상기 제 4 곱셈기에서 곱해진 신호를 합산하는 합산기; 및
    상기 입력된 신호에 상기 합산기에서 합산된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오디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
  8. (a)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반전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반전된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필터링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a) 단계에 입력된 신호와 에일리어싱이 발생하지 않을 만큼 천이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천이된 신호를 상기 (a) 단계에 입력된 신호에 가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오디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상기 입력된 신호의 차단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외부에서 발생된 사인 신호 및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상기 입력된 신호의 차단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외부에서 발생된 사인 신호 및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를 천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
  12. (a) 코사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b) 입력된 신호에 상기 (a) 단계에서 발생된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곱해진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저역 필터링된 신호에 상기 (a) 단계에서 발생된 코사인 신호를 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e) 사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f) 상기 입력된 신호에 상기 (e) 단계에서 발생된 사인 신호를 곱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에서 곱해진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단계;
    (h) 음 부호의 사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i) 상기 (g) 단계에서 저역 필터링된 신호에 상기 (h) 단계에서 발생된 음 부호의 사인 신호를 곱하는 단계;
    (j) 상기 (d) 단계에서 곱해진 신호와 상기 (i) 단계에서 곱해진 신호를 합산하는 단계; 및
    (k) 상기 입력된 신호에 상기 (j) 단계에서 합산된 신호를 가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오디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신호 고주파수 부분 재구성 장치.
  15. 제 8 항 내지 제 14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34833A 2003-03-28 2003-05-30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11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03108508/09A RU2244386C2 (ru) 2003-03-28 2003-03-28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высокочастотной составляющей аудиосигн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RU2003108508 2003-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053A true KR20040086053A (ko) 2004-10-08
KR100611968B1 KR100611968B1 (ko) 2006-08-11

Family

ID=3413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833A KR100611968B1 (ko) 2003-03-28 2003-05-30 신호의 고주파수 부분을 재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440576B2 (ko)
KR (1) KR100611968B1 (ko)
RU (1) RU2244386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638B1 (ko) * 2008-07-15 2011-07-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화상 대역 분할 장치 및 화상 대역 합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30790B1 (en) * 2003-05-20 2008-09-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tending the audio signal band
GB2404257B (en) * 2003-07-24 2006-07-19 Univ Cardiff High frequency circuit analyser
GB0325055D0 (en) * 2003-10-27 2003-12-03 Smithkline Beecham Corp New process
KR101413967B1 (ko) * 2008-01-29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 매체,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
ES2901735T3 (es) 2009-01-16 2022-03-23 Dolby Int Ab Transposición armónica mejorada de productos de cruce
RU2409897C1 (ru) 2009-05-18 2011-01-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Кодер,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и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объектов
EP2830065A1 (en) 2013-07-22 2015-01-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an encoded audio signal using a cross-over filter around a transition frequency
TWI702594B (zh) * 2018-01-26 2020-08-21 瑞典商都比國際公司 用於音訊信號之高頻重建技術之回溯相容整合
US11051115B2 (en) * 2019-06-27 2021-06-29 Olga Sheymov Customizable audio signal spectrum shifting system and method for telephones and other audio-capab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2489A (en) * 1987-02-19 1990-1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US5893068A (en) 1993-06-03 1999-04-06 Nec Corporation Method of expanding a frequency range of a digital audio signal without increasing a sampling rate
ATE284121T1 (de) 1994-10-06 2004-12-15 Fidelix Y K Verfahren zur wiedergabe von audiosignalen und vorrichtung dafür
US6335973B1 (en) 1996-01-11 2002-01-01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larity of audio systems
US6023513A (en) 1996-01-11 2000-02-08 U S West,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larity of low bandwidth audio systems
US5917917A (en) * 1996-09-13 1999-06-29 Crystal Semiconductor Corporation Reduced-memory reverberation simulator in a sound synthesizer
JPH10117220A (ja) * 1996-10-11 1998-05-06 Hitachi Denshi Ltd ディジタル復調器
SE512719C2 (sv) * 1997-06-10 2000-05-02 Lars Gustaf Liljeryd En metod och anordning för reduktion av dataflöde baserad på harmonisk bandbreddsexpansion
US7184556B1 (en) * 1999-08-11 2007-02-27 Microsoft Corporation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reproduction
US6711214B1 (en) * 2000-04-07 2004-03-23 Adc Broadband Wireless Group, Inc. Reduced bandwidth transmitter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638B1 (ko) * 2008-07-15 2011-07-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부호화 장치, 화상 복호 장치, 화상 대역 분할 장치 및 화상 대역 합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244386C2 (ru) 2005-01-10
US7702115B2 (en) 2010-04-20
US7440576B2 (en) 2008-10-21
US20060115098A1 (en) 2006-06-01
US20050036633A1 (en) 2005-02-17
KR100611968B1 (ko) 200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211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construct high-frequency components of an audio signal
Rife et al. Transfer-function measurement with maximum-length sequences
US7715573B1 (en) Audio bandwidth expansion
US50758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domain interpolation of digital audio signals
Esqueda et al. Aliasing reduction in clipped signals
US20070100610A1 (en) Information Signal Processing by Modification in the Spectral/Modulation Spectral Range Representation
KR102545961B1 (ko) 오디오 처리를 위한 다중 레이트 시스템
US2007029965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Low Frequency Expansion of Speech
JP5908472B2 (ja) 信号を解析し、瞬時周波数および短時間フーリエ変換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信号を解析するためのデバイス
RU2010139018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звукового сигнала в параметрическое представлени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модификации параметрическо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интеза параметрическо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звукового сигнала
Välimäki et al. Perceptually informed synthesis of bandlimited classical waveforms using integrated polynomial interpolation
JPS62289900A (ja) 音声分析合成装置
JP4701392B2 (ja) 高域信号補間方法及び高域信号補間装置
Vanderkooy et al. Harmonic distortion measurement for nonlinear system identification
Franck et al. Higher-order integrated wavetable and sampling synthesis
JP2006505818A (ja) オーディオ成分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3612522A (zh) 一种频域偏离的处理方法及装置
Isen DSP for MATLABTM and LabVIEWTM I: Fundamentals of Discrete Signal Processing
Schörkhuber et al. Pitch shifting of audio signals using the constant-q transform
Bauck Generating continuous deterministic band-limited test signals with nearly laplace distribution
Özhan The Fourier Transform
US72513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noise signal
Polotti et al. Analysis and Synthesis of Pseudo-Periodic-Like Noise by Means of Wavelets with Applications to Digital Audio
JPWO2008081777A1 (ja) 高域信号補間装置及び高域信号補間方法
RU273160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андирования с предыскажением звуковых вещательных сигн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