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847A - 풋 레스트 구조 - Google Patents

풋 레스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847A
KR20040085847A KR1020030020672A KR20030020672A KR20040085847A KR 20040085847 A KR20040085847 A KR 20040085847A KR 1020030020672 A KR1020030020672 A KR 1020030020672A KR 20030020672 A KR20030020672 A KR 20030020672A KR 20040085847 A KR20040085847 A KR 20040085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rod
foot rest
fixing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686B1 (ko
Inventor
정현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6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 heating or cooling apparatus in the supply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풋 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풋 레스트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가변식 풋 레스트 구조로 함으로써 운전자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장시간의 운전에 따른 피로감을 덜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풋 레스트 구조는 상부면이 일정 크기의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발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의 배면부에 결착되어 페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페달의 배면측 하부에 일측단이 연결되어 일정거리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에 의해 페달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와, 상기 위치 조정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페달과 연결되어 있는 위치 조정부를 소정 지점에서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와, 상기 페달의 배면측 상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위치 고정부에 연결되어 페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위치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풋 레스트 구조{Foot rest structure}
본 발명은 풋 레스트(foot rest)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가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한 풋 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풋 레스트 구조는 운전자의 체형이나 다리 길이 등을 고려하지 않은 고정식 풋 레스트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차체에 풋 레스트를 포밍하거나 별도의 피스를 제작하여 부착시키는 형태의 고정식 풋 레스트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a 와 도 1b 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풋 레스트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풋 레스트(10)는 발을 안착시켜 두는 페달(11)면상에 페달(11)을 차체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13a)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식 풋 레스트 구조에서는 장시간 운전시 운전자의 다리에 피로를 가중시킬 수 있으며, 풋 레스트의 페달 경사각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없어 사용상의 불편이 있으며, 이로 인해 아예 발을 풋 레스트에 두지 않고 차량 실내의 바닥에 두고 운전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 및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가변식 풋 레스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와 도 1b 는 종래의 풋 레스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풋 레스트의 구조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2c 는 페달의 배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d 는 본 발명의 페달이 조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50 : 풋 레스트 11,31 : 페달
33 : 리턴로드 34 : 슬라이딩 로드
38 : 포지션 로드 39 : 실린더
40a : 위치 조정부 40b : 위치 고정부
40c : 위치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풋 레스트 구조는 발을 얹어 놓는 페달을 구비한 풋 레스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페달의 위치를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풋 레스트 구조는,
상부면이 일정 크기의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발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의 배면부에 결착되어 페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페달의 배면측 하부에 일측단이 연결되어 일정거리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에 의해 페달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와,
상기 위치 조정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페달과 연결되어 있는 위치 조정부를 소정 지점에서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와,
상기 페달의 배면측 상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위치 고정부에 연결되어 페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위치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치 조정부는 일측단이 상기 페달의 배면부측 하단에 결착되는 포지션 로드와, 상기 포지션 로드의 저부에 일정길이 하부로 돌출되어 나온 고정구와, 상기 포지션 로드의 타측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내측에 탄성부재가 설치된 실린더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포지션 로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면에 상기 고정구의 하측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의 일측단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전방측 단부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정판의 상,하 운동을 유도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지션 로드의 위치 제어부는 상기 페달의 배면측 상단에 일측이 연결된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을 중앙에서 결착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의 양측단부에서 상기 고정판의 양측단부간을 연결하는 리턴로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풋 레스트 구조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풋 레스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a 는 풋 레스트(50)의 전면에서, 도 2b 는 풋 레스트(50)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풋 레스트(50) 구조는 상부면이 일정 크기의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발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는 페달(31)과, 상기 페달(31)의 배면부에 결착되어 페달(3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몸체(41)와, 상기 페달(31)의 배면측 하부에 일측단이 연결되어 일정거리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에 의해 페달(31)의 이동 및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40a)와, 상기 위치 조정부(40a)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위치 조정부(40a)를 소정 지점에서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40b)와, 상기 페달(31)의 배면측 상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위치 고정부(40b)에 연결되어 페달(31)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위치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c)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페달(31)은 그 상부면이 평탄하고 그 배면부에는 슬라이딩몸체(41)가 결착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딩몸체(41)의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 조정부(40a)는 일측단이 상기 페달(31)의 배면부측 하단에 결착되는 포지션 로드(38)와, 상기 포지션 로드(38)의 저부에 일정길이 하부로 돌출되어 나온 고정구(43)와, 상기 포지션 로드(38)의 타측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실린더(39)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39)의 내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탄성부재는 상기 포지션 로드(38)를 페달(31)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용시킨다. 또한 상기 실린더(39)는 차체내의 소정 구조물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포지션 로드(38)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구(43)는 그 하부에 놓여지는 고정판(35)의 홈(35a)에 결착되어 포지션 로드(38)의 위치를 임의 지점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포지션 로드(38)의 후방측 상부에는 제1 힌지부(38a)가 형성되어 있고, 포지션 로드(38)의 전방측 단부는 페달(31)의 배면부와 결착되는데, 이때 상기 결착부(46)는 포지션 로드(38)의 전방측 단부와 페달(31) 상호간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페달(31)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후방측 상부에페달(31)의 배면부측과 결합되는 부분에는 회전 연결부(38b)가 결착상다.
상기 페달(31) 배면부측의 슬라이딩몸체(41)와 상기 포지션 로드(38)상의 제1 힌지부(38a)와의 사이에는 슬라이딩 로드(34)가 설치되며, 이 슬라이딩 로드(34)의 일측단은 상기 슬라이딩몸체(41)의 내측 공간부로 삽착되어 페달(31)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페달(31)에 인가되는 외부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위치 조정부(40a)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40b)는 상기포지션 로드(38)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면에 상기 고정구(43)의 하측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35a)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의 일측단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전방측 단부에 회전축(36)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35)과, 상기 고정판(35)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정판(35)의 상,하 운동을 유도하는 탄성부재(37)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포지션 로드의 위치 제어부(40c)는 상기 페달(31)의 배면측 상단에 일측이 연결된 크랭크축(45)과, 상기 크랭크축(45)을 중앙에서 결착하는 연결봉(32)과, 상기 연결봉(32)의 양측단부에서 상기 고정판의 양측단부간을 연결하는 리턴로드(33)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페달(31)의 배면측과 크랭크축(45), 상기 크랭크축(45)과 상기 연결봉(32), 상기 연결봉(32)과 상기 리턴로드(33), 상기 리턴로드(33)와 고정판(35)의 양측단부간의 각 결합부는 그 연동에 의하여 회전/회동이 이루어지는 관계를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포지션 로드(38)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구(43)는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31)의 일측면부를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하여 포지션 로드(38)의 이동에 따라 결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데, 페달(31)이 위치한 방향의 전면부에는 일직선 형상으로 하고, 그 후면부에는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하여 포지션 로드(38)의 이동에 따라 고정구(43)가 그 하부 고정판(35)의 홈(35a)으로부터의 인출 및 결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풋 레스트(50) 구조에 있어서, 동작 상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페달(31)의 저부를 발 뒤꿈치를 이용하여 밀면, 페달(31)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페달(31)의 저부를 밀게 되면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션 로드(38)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실린더(39)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페달(31)의 상측부위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나온다.
포지션 로드(38)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포지션 로드(38)의 상측에 형성된 제1 힌지부(38a)에 일측단이 결착되어 있는 슬라이딩 로드(34)가 움직이게 되고, 이 슬라이딩 로드(34)의 타측단부는 또한 가이드몸체(4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이 공간부를 따라 움직이면서 페달(31)의 상측부위를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페달(31)의 상측부위가 상부로 들려 올려지므로 이와 결합되어 있는 크랭크축(45)도 상부로 함께 올라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크랭크축(45)과 결합되어 있는 리턴로드(33)도 함께 움직여 수직방향으로의 전체 길이는 늘어나게 된다.
상기 포지션 로드(38)가 후방으로 일정지점까지 밀려나게 되면, 포지션 로드(38) 하부에 형성된 고정구(43)가 그 하부 고정판(35)의 결착홈(35a) 내부에 삽입되어 들어감으로써 포지션 로드(38)는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페달(31)의 증가된 각도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동안 운전을 계속하게 되면, 발의 위치(각도)를 변경시켜 자세를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게 되는데, 이 경우에 페달(31)의 상부를 발끝으로 밀어 주면 각도가 변하게 된다. 즉, 페달(31)의 상부부위를 눌러주게 되면, 페달(31)의 배면측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크랭크축(45)과 리턴로드(33)가 아랫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리턴로드(33)의 하측단부에 연결된 고정판(35)이 그 하부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5)의 저부에는 탄성부재(37)가 설치되어 있어 힘이 작용하는 동안에는 고정판(35)이 아래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고정판(35)의 단부가 상기 페달(31)의 누르는 힘에 의해 눌러지게 되면 탄성부재(37)의 이동거리 범위 내에서 그 전방의 회전축(36)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판(35)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판(35)의 상부홈(35a)에 삽착되어 있는 고정구(43)가 이탈하게 되고, 이탈된 상태에서는 포지션 로드(38)가 실린더(39)의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다시 밀려 나오게 된다. 즉, 상기 포지션 로드(38)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페달(31)의 하단부가 위로 떠오르고, 페달(31)의 경사각도는 그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만큼 줄어들게 된다.
경사각이 줄어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포지션 로드(38)의 위치를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는 그 하부의 고정구(43)가 고정판의 홈(35a)에 삽착됨으로써 달성된다.
한편, 페달(31)의 배면측에 있어서, 페달(31)과 포지션 로드(38)가 결착되는 부위는 고정상태로 결착시키기보다는 가능한 두 구성부재가 회전이 이루어지는 결합구조로 형성하여 페달(31)의 움직임에 따른 포지션 로드(38)의 운동이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지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d 는 본 발명의 풋 레스트 구조에 있어서, 페달(31)의 하부를 후방으로 밀어 페달(31)의 경사각을 크게 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포지션 로드(38)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구(43)는 다수개의 고정판상의 홈(35a)에서 후방의 홈으로 이동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페달(31)의 경사각을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페달(31)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밀어 포지션 로드(38) 상의 제1힌지부(38a)에 그 하단이 결착되어 있는 슬라이딩 로드(34)를 상부로 움직임으로써 가능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페달(31)의 상측부위를 누르면, 리턴로드(33)를 통해 고정판(35)이 하향하면서 고정판(35)의 삽입홈(35a)에 결착되어 있던 고정구(43)가 이탈되면서 포지션 로드(38)가 뒤로 밀려 나와 페달(31)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밀려 나오게 되어 페달(31)의 경사각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풋 레스트 구조는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풋 레스트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가변식 풋 레스트 구조로 함으로써 운전자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장시간의 운전에 따른 피로감을 덜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4)

  1. 발을 얹어 놓는 페달의 위치를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풋 레스트 구조로서,
    상기 풋 레스트 구조는,
    상부면이 일정 크기의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발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의 배면부에 결착되어 페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페달의 배면측 하부에 일측단이 연결되어 일정거리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에 의해 페달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부와,
    상기 위치 조정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페달과 연결되어 있는 위치 조정부를 소정 지점에서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와,
    상기 페달의 배면측 상단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위치 고정부에 연결되어 페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위치 고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레스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는 일측단이 상기 페달의 배면부측 하단에 결착되는 포지션 로드와, 상기 포지션 로드의 저부에 일정길이 하부로 돌출되어 나온 고정구와, 상기 포지션 로드의 타측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내측에 탄성부재가 설치된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레스트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포지션 로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면에 상기 고정구의 하측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의 일측단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전방측 단부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정판의 상,하 운동을 유도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레스트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로드의 위치 제어부는 상기 페달의 배면측 상단에 일측이 연결된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을 중앙에서 결착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양측단부에서 상기 고정판의 양측단부간을 연결하는 리턴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 레스트 구조.
KR10-2003-0020672A 2003-04-02 2003-04-02 풋 레스트 구조 KR10051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672A KR100513686B1 (ko) 2003-04-02 2003-04-02 풋 레스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672A KR100513686B1 (ko) 2003-04-02 2003-04-02 풋 레스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847A true KR20040085847A (ko) 2004-10-08
KR100513686B1 KR100513686B1 (ko) 2005-09-08

Family

ID=3736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672A KR100513686B1 (ko) 2003-04-02 2003-04-02 풋 레스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17B1 (ko) * 2005-10-20 2007-07-03 비스티온 인테리어스 코리아 주식회사 풋 레스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994B1 (ko) 2007-04-10 2009-02-17 경종만 운전자 다리 받침대가 있는 자동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17B1 (ko) * 2005-10-20 2007-07-03 비스티온 인테리어스 코리아 주식회사 풋 레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3686B1 (ko)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5041B2 (en) Chair arm assembly
US6360629B2 (en) Adjustable pedal apparatus
US5827205A (en) Foot vibrator massager having a pair of solinoids
JP5722580B2 (ja) 自転車のサドル角度調節装置
CN106235713B (zh) 椅子臂组件
WO2000005099A1 (en) Adjustable foot support
US20220369817A1 (en) Chair arm assembly
GB2295189A (en) Pulling handle for a baggage cart
JPS5934278A (ja) つま先逃し装置
KR20160027599A (ko)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
CN218046362U (zh) 一种摆动中心可调的踝泵运动装置
KR100513686B1 (ko) 풋 레스트 구조
US6921134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inclination of chair backs
CN209012708U (zh) 一种可滑动的显示屏底座
US6517158B1 (en) Height-adjustable armrest assembly
FR2689081A1 (fr) Dispositif d&#39;ajustement d&#39;un plancher secondaire de véhicule automobile.
KR100249547B1 (ko) 자동차의 가속페달 로드레버 장력조절장치
CN113668146B (zh) 一种缝纫机
CN212389953U (zh) 底支撑组件以及具有其的家用电器
KR100428475B1 (ko) 적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장치
KR200415274Y1 (ko) 차량의 다리받침장치
JP2005297665A (ja) 車両用フットレスト装置
CN113324132A (zh) 底支撑组件以及具有其的家用电器
CN108843931A (zh) 一种可滑动的显示屏底座
KR200147916Y1 (ko) 자동차의 이동식 발받침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