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4080A - 가역성 1회용 혈관수지침 - Google Patents

가역성 1회용 혈관수지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4080A
KR20040084080A KR1020030018899A KR20030018899A KR20040084080A KR 20040084080 A KR20040084080 A KR 20040084080A KR 1020030018899 A KR1020030018899 A KR 1020030018899A KR 20030018899 A KR20030018899 A KR 20030018899A KR 20040084080 A KR20040084080 A KR 20040084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resin
metal
needle body
metal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7198B1 (ko
Inventor
송경진
송영식
송정식
송중식
채헌
송인정
Original Assignee
송경진
송영식
송정식
송중식
채헌
송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진, 송영식, 송정식, 송중식, 채헌, 송인정 filed Critical 송경진
Priority to KR10-2003-001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198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할 때 사용되는 혈관 수지침에 관한 것으로 혈관에 수지침을 꽂은 후 금속침을 빼어버리지 않고 후퇴시키게 되면 수지관을 통하여 혈액이나 수액이 혈관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가역성 1회용 혈관수지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1회용 혈관수지침에 있어서, 일측으로 수지관이 형성된 수지침 본체와, 상기 수지침 본체에 내삽되고 일측으로 수지관에 끼워지는 금속침이 설치되며 타측으로 수액줄 연결부가 형성된 것과 상기 수지침 본체와 수액줄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는 필름막원통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역성 1회용 혈관수지침{Reversible vein resin needle set for one time use}
본 발명은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할 때 사용되는 혈관 수지침에 관한 것으로, 혈관에 수지침을 꽂은 후 금속침을 빼어버리지 않고 후퇴시켜 수지침 안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지관을 통하여 혈액이나 수액이 혈관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혈관 수지침은 수지관의 내부에 끼워지고 선단이 일부 돌출된 금속침을 이용하여 혈관에 주사한 다음 금속침을 빼내고 그곳에 수액줄을 연결시켜 혈액이나 수액을 주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금속침을 이용하여 혈관에 수지관을 삽입한 뒤 즉시 금속침을 빼내야 수혈줄이나 수액줄을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결도중에 혈관에 삽입된 수지관으로부터 혈액 또는 수액이 흘러나오는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수액줄을 연결시키는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수혈 또는 수액의 주사도중에 다른 혈관으로 바꾸어 주사를 하고자 할때는 이미 금속침을 제거시켰기 때문에 새로운 수지침으로 바꿔 끼워야만 혈관을 바꾸어 주사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었고, 수혈줄이나 수액줄을 연결시킬 때 항상 AIDS(후천성면역결핍증) 또는 간염이나 다른 병들로부터 세균감염의 우려가 있었으며 특히 AIDS 환자인지를 모르고 수혈이나 수액을 환자에게 주사하게 되면 혈관에서 빼내어진 금속침(주사바늘)에 혈액이 묻어 있어 이를 취급하는 사람이 금속침에 의해 상처를 입을 경우 AIDS에 감염될 염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수지관은 수지침 몸체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지 못한 관계로 혈관에 주사 놓고 있는 도중에 수지관이 수지침 물체에서 빠져 나와 혈관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 혈관 내에서 심장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생명이 위험하게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첫째 수혈이나 수액을 주사할 때 혈관에 금속침과 수지관을 꽂은 후 금속침을 후퇴시키거나 대권축에 금속침을 감아 수지관을 개방시킴으로서 즉시 주사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주사도중 다른 혈관으로 바꾸어 주사를 놓기 위해 새로운 수지침으로 바꾸어 낄 필요 없이 금속침을 수지관 내에 복귀시키는 것만으로써 다른 혈관에 꽂아 계속해서 주사를 놓을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주사침을 취급할 때 환자나 환자보호자, 의사, 간호사 및 병원 종사자들에게 주사침으로 인한 상처를 입히지 않게 하므로써 AIDS(후천성면역결핍증)나 간염과 같은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주사도중에 수지관이 수지침 선단에서 떨어져 나와 혈관 내에서 심장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수지관의 끝부분에 테두리를 형성시켜 이것을 수지침 본체의 선단에 결합시켜서 수지관이 수지침 본체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수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1회용 혈관수지침에 있어서 일측으로 수지관이 형성된 수지침 본체와, 상기 수지침 본체에 내삽되고 일측으로 수지관에 끼워지는 금속침이 설치되며 타측으로 수액줄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과 수지침 본체 내부에 금속침을 연결시킨 대권축을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지침 본체의 선단에 수지관을 결합시킬 때 수지관의 선단에 테두리를 형성시켜 이 테두리와 수지침 본체 선단과 결합되게 하므로써 수지관이 수지침 본체 선단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조립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금속침 후퇴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천공방지 보호통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천공방지 보호통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조립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금속침 후퇴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금속침 절곡(折曲)시킨 상태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 조립상태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 금속침 후퇴상태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 조립상태
도 12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금속침 후퇴상태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금속침 선단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지침 11 : 수지침 본체 12 : 수지관
16 : 고정돌기 17 : 스톱퍼 20 : 수액줄 연결부
21 : 금속침 22 : 수액이동홀 25 : 필름막 원통
26 : 고정돌기 27 : 나선줄 28 : 고정돌기
30 : 천공방지 보호통 31,32 : 구멍 33 : 금속통
35 : 대권축 36 : 손잡이 40 : 대권축
41 : 손잡이 42 : 가름통 43 : 고무패킹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이 내장된 용기(1)에 혈액 및 수액주사를 위한 수액줄(2)이 연결되고 수액줄(2)의 중간에 수액공급량을 조절하는 수액조절구(3)가 설치되며 수액줄(2) 선단에 형성된 연결구(4)에 연결되고 혈관에 끼워져 수액을 공급하는 수지침(10)에 관한 것이다.
상기된 수지침(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또는 약간의 원통형을 갖는 수지침 본체(11) 일측에 가늘은 수지관(12)을 결합시키되 수지관(12)쪽의 수지침본체(11) 벽을 두껍게 만들고, 거기에 수지관(12)을 고정시키되 상기 수지관(12)의 선단에 수지관(12)보다 넓게 형성된 테두리(13)가 끼워지게 하여 수지관(12)이 수지관 본체(11)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지침 본체(11)의 내측에는 천공방지 보호통(30)을 밀착되게 설치하고, 상기 천공방지 보호통(30)은 금속으로 제작되며, 상하부에 대권축(35)이 끼워지는 구멍(31)(32)이 형성되며, 천공방지 보호통(30)의 후단은 개방시켜 수액줄 연결부(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천공방지 보호통(30)의 구멍(31)(32)에는 대권축(35)을 끼워 수지침 본체(11)의 외측에서 끼워지는 손잡이(36)에 의해 대권축(3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대권축(35)에는 수지관(12)에 내삽되는 금속침(21)의 일단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한편 대권축(35)의 결합부위에서 수액이나 혈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즉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침본체(11)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금속침(21)의 일단을 고정시킨 대권축(35)을 설치하고, 상기 대권축(35)을 회전시키는 손잡이(36)를 형성시켜 손잡이(36)로 대권축(35)을 회전시킬 경우 금속침(21)이 대권축(35)에 감기면서 수지관(12)에서 빠지게 하며, 상기 수지침 본체(11)의 내부에는 금속으로 된 천공방지 보호통(30)을 수지침 본체(11)의 내측에 밀착되게 설치하여 금속침(21)에 의해 수지침 본체(11)의 내부가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금속침(21)의 선단 뾰족한 부분은 대권축(35)의 회전시 수지관(12)에서 빠지게 되나 금속통(33)안에서 위치되게 하여 수액은 수지관(12)으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속침(21)의 선단이 수지침 본체(11)의 내부로 후퇴하여 몸체의 내부를 긁거나 흠집을 내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천공방지 보호통(30)은 금속을 이용하여 프레싱한 후 금형으로 한번에 말아서 형성시키게 되므로 제작에 무리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관(12)이 일측에 고정된 수지침 본체(11)의 타측 내부는 금속침(21)을 고정시킨 수액줄 연결부(20)를 내삽시키고, 수액줄 연결부(20)에는 수액줄(2)에 고정된 연결구(4)가 끼워지는데 금속침(21)은 수액줄 연결부(20)의 선단에 고정시킨다.
금속침(21)이 고정된 수액줄 연결부(20)의 선단에는 수액이동홀(22)을 형성시켜 수액줄 연결부(20)로 유입된 수액이 수지침 본체(11)의 내부를 통하여 수지관(12)으로 유입되게 하며, 수지침 본체(11)와 수액줄 연결부(20)사이에는 접철이 가능한 필름막원통(25)을 형성시켜 수지침 본체(11)내부로 외부의 세균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수지침 본체(11)와 수액줄 연결부(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여 금속침(21)의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지침 본체(11)의 타측 외측과 수액줄 연결부(20)의 일측 외측에는 각각 고정돌기(16)(26)를 형성시켜 수액줄 연결부(20)가 수지침 본체(11)에 끼워졌을 경우 고정돌기(16)(26)가 서로 결합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고, 힘을 가하여 수액줄 연결부(20)를 잡아 당길 경우만 고정돌기(16)(26)가 서로 분리되어 빠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필름막원통(25)은 수액줄 연결부(20)가 수지침 본체(11)에 결합될 때 접혀지고 빠질 때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지관(12)을 혈관에 삽입한 뒤 금속침(21)을 최대한으로 후진시켜수액이 혈관 내로 주입되도록 해 놓았을 때 금속침(21)이 다시는 혈관 쪽으로 전진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침(21)을 수지침 본체(1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손으로 잡고 완전히 90°이하로 굴곡시키도록 하므로서 금속침(21)이 전,후진을 못하게 되고, 동시에 수지침(10)의 거리가 짧아져 여러모로 장점을 갖게 된다.
위와는 다른 방법으로는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침 본체(11)의 외측에 스톱퍼(17)를 형성하고, 수액줄 연결부(20)의 외측에는 나선줄(27)을 형성시키되 상기 나선줄(27)은 스톱퍼(17)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나선줄(27)은 탄력을 갖게 하여 나선형으로 말려 있도록 하는 한편 선단에 고정돌기(28)를 형성시켜 수액줄 연결부(20)를 당겨 수지침 본체(11)에서 빠질 때 나선줄(27)의 고정돌기(28)가 스톱퍼(17)를 통과할 때까지 당기게 되면 나선줄(27)이 고정돌기(28)에 의해 걸리게 되어 나선줄(27)이 다시 감기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여 수액줄 연결부(20)는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나선줄(27)의 선단에는 이탈 방지구(29)를 형성시켜 아무리 힘을 가해도 이탈방지구(29)가 스톱퍼(17)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과도하게 수액줄 연결부(20)가 후퇴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침 본체(11)를 두껍게 하여 형성하고 내부에 대권축(40)을 설치하되 상기 대권축(40)은 가름통(42)의 내부에 설치되게 하고 대권축(40)에는 금속침(21)의 선단을 고정시키되 상기 금속침(21)은 가름통(42)의 외측에 고정된 고정패킹(43)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며,상기 가름통(42)과 수지침 본체(11)는 서로 다른 공간을 갖도록 구성하여, 수액이 가름통(42)의 외측과 수지침 본체(11)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수지관(12)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대권축(40)에 결합된 손잡이(41)를 회전시켜 대권축(40)을 회전시키게 되면 금속침(21)이 대권축(40)에 감기면서 수지관(12)에서 빠지게 되고, 금속침(21)의 선단이 고무패킹(43)을 통과하여 가름통(42)의 내부에 위치하게 하므로서 금속침(21)에 의해 가름통(42)이 손상되더라도 부스러기가 수액에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대권축(35)(40)을 사용하여 금속침(21)을 감아주는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필름막원통(25)을 사용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금속침(21)의 첨단부위에서 최상단 부위 양측의 예리한 날(21a)은 무디게 하여 형성시킴으로서 금속침(21)에 의해 수지침 본체(11)의 내부가 긁히거나 뚫리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수지침(10)을 이용하여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도 2 내지 도 5 에 의하여 수액을 공급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수지침(10)의 수액줄연결부(20)에는 용기(1)에 연결된 수액줄(2)의 선단이 연결구(4)를 통하여 결합되게 되고, 수액 조절구(3)를 개방시키면 수액은 용기(1)에서 수지침(10)쪽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수지관(12)의 내부에는 대권축(35)에 선단이 고정된 금속침(21)이 끼워져 있게 되고, 금속침(21)은 수지관(12)의 선단에서 1~2mm 정도 돌출 된 상태로 끼워져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수지침(10)을 잡고 혈관을 ??아 꼿아 주게 되고, 금속침(21)이 내장된 수지관(12)이 혈관에 꼿히게 되면, 손잡이(36)를 회전시켜 대권축(35)을 회전시킴으로서 대권축(35)에서 금속침(21)을 감아주도록 하고, 금속침(21)은 대권축(35)에 감기면서 수지관(12)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금속침(21)은 수지관(12)에서 완전히 빠져 나오도록 대권축(35)을 회전시키되 금속침(21)의 선단이 천공방지 보호통(30)내로 완전히 빠져 나오도록 금속침(21)을 대권축(35)에 감는다.
이때 금속침(21)이 완전히 빠지게 되더라도 수지침 본체(11)의 내부에 천공방지 보호통(30)이 설치되어 있어 금속침(21)에 의해 수지침 본체(11)가 손상을 입지는 않게 된다.
이같이 수지관(12)에서 금속침(21)이 빠지게 되면 정상적으로 수액이나 혈액을 주사할 수 있으며, 탄력을 갖는 금속의 금속침(21)은 대권축(35)에 감겨져 있는 상태이므로 대권축(35)의 손잡이(36)를 반대로 돌리더라도 금속침(21)이 원위치 되지 않아 주사를 하는 도중에 금속침(21)이 수지관(12)쪽으로 다시 들어가게 되는 경우는 없게 된다.
이 경우 금속침(21)을 수지침(10)에서 분리 이탈시키지 않아 금속침(21)의 선단에 찔리게 되어 이차 감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를 없애게 되며, 외부 세균이 침투할 우려도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8 에 의거 살펴본다.
먼저 수액줄 연결부(20)에 형성된 돌기(26)는 수지침 본체(11)에 형성시킨 돌기(16)에 걸려 강제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수액줄 연결부(20)는 수지침본체(11)에서 빠져 나오지 않게 되므로 약간의 강제적 힘을 가하여 수지침 연결부(20)를 후진시키면 금속침(21)도 따라서 후진되며 수지관(12)에서 완전히 빠져 나오게 된다.
이 때 필름막 원통(25)내에는 공기가 차 있음으로 수액을 필름막 원통(25)내에 완전히 채우므로 해서 공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후 금속침(21)을 다시 전진시켜 금속침(21)의 선단이 수지관(12)의 전방으로 약 1~2mm 나오도록 금속침(21)을 완전히 전진시키고, 이 상태에서 수지침 본체(11)를 잡고 주사하려는 부위의 혈관을 찾아 금속침(21)을 꽂게 된다.
금속침(21)이 혈관을 정확히 찾게 되면 혈관의 혈액이 금속침(21)에서 역류하게 되고 이때 역류된 혈액은 수액 이동홀(22)을 통하여 나오기도 하고 또는 수액줄 연결부(20) 쪽으로 역류되므로 주사자는 금속침(21)이 혈관을 정확히 찾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때 금속침(21)이 혈관을 찾으면 수지관(12)도 함께 혈관 내에 위치한 상태가 되며 금속침(21)이 수지관(12)을 막고 있어 극히 미량의 수액만이 금속침(21)을 통하여 공급되므로, 수지침 본체(11)를 한 손으로 잡아 고정시키는 동시에 다른 손으로 수액줄 연결부(20)를 잡아 당겨 수지침본체(11)에서 후퇴하게 되나 필름막 원통(25)의 길이 때문에 후퇴하는 거리가 제한되게 된다.
수지관(12)에서 금속침(21)이 빠지면 도 8 과 같이 금속침(21)을 꺽어 주어금속침(21)이 수지관(12)쪽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수액은 수액줄 연결부(20)에서 수액 이동홀(22)을 통해 미리 혈관에 주사 놓기 전에 수액을 가득히 채워놓은 필름막 원통(25)을 거처 수지관(12)을 통한 후 혈관 내로 공급되게 된다.
이 때 수액줄 연결부(20)의 이동과 함께 금속침(21)도 수지관(12)에서 빠져 나오게 되나 상기 금속침(21)의 선단은 수지침 본체(11)의 좁은 중간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금속침(21)을 굴곡시키더라도 금속침(21)이 수지침 본체(11) 벽을 뚫거나 긁어서 미세한 부스러기를 만들어 낼 수가 없다.
이 상태로 수액을 공급하는 도중에 다른 혈관으로 옮겨서 주사하고자 할 경우를 살펴본다.
이 경우에는 금속침(21)을 굴곡시키지 않은 상태의 경우를 말하며 금속침(21)을 굴곡시킨 경우는 다른 혈관으로 옮겨서 주사를 할 수 없다.
금속침(21)을 굽히지 않은 상태로 주사를 하고 있는 도중에 다른 혈관으로 옮겨서 주사를 ?? 경우에는 수액 조절구(3)로 수액공급을 중단시킨 후 수지관(12)을 혈관에서 빼낸 다음 수액줄 연결부(20)를 잡고 힘을 가하여 전진시키면 금속침(21)도 전진하게 되어 다시 금속침(21)이 수지관(12)내에 끼워진 형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다른 혈관을 찾아 금속침(21)으로 주사한 후 전술된 바와 같이 수액을 공급할 수 있으나 이 때 수지침(10)을 재 사용하는 경우는 동일 환자에 국한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필름막 원통(25)의 양측 끝이 수지침 본체(11)와 수액줄 연결부(20)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게 되므로 외부에서부터 세균이 수액으로 침투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즉 수액줄 연결부(20)가 수지침 본체(11)내부에 삽입되면 필름막 원통(25)은 접혀져 있게 되고 수액줄 연결부(20)가 후퇴하면 펼쳐진 상태로 있게 되므로 외부에서 수지침 본체(11)의 내부로 세균이 침투할 염려가 없게 된다.
이 때 필름막 원통(25)은 첫째로 길이가 일정해서 금속침(21)을 후퇴시켰을 때 금속침(21)의 선단이 수지침 본체(11)의 좁은 중간부위에 위치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둘째로는 수액이 수액줄 연결부(20)에서 수지관(12)쪽으로 흘러갈 때 필름막 원통(25)은 수액 이동통로로 역할을 하게 되고 셋째로 수액줄 연결부(20)와 금속침(21)이 수지침 본체(11)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넷째로는 세균이나 오물이 수액 쪽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침본체(11)의 외측에 스톱퍼(17)를 형성하고 수액줄 연결부(20)의 외측에는 나선줄(27)을 형성시키되 상기 나선줄(27)이 스톱퍼(17)를 관통하여 끼워지고 나선줄(27)은 상당한 탄력을 갖고 나선형으로 말려있게 한다.
이러한 수지침(10)을 이용하여 혈관 내에 수액을 주사할 때 금속침(21)을 최대한으로 후진시키면 나선줄(27)이 펼쳐지면서 스톱퍼(17)에서 빠지게 되고 고정돌기(28) 부위까지 빠지게 한 상태로 수액을 주사하면, 적은 힘으로 금속침(21)이 다시 전진하여 수지관(12)내로 다시 진입하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 11 및 도 12 에 의거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수지침본체(11)의 내부에 가름통(42)을 설치하고 상기 가름통(42)의 내부에 손잡이(41)에 의해 회전하는 대권축(40)을 설치하되 상기 대권축(40)에는 금속침(21)의 일단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수지침 본체(11)와 가름통(42)사이로 수액이 흐르게 하고 금속침(21)은 가름통(42)의 외측에 설치된 고무패킹(43)을 통하여 설치되게 한다.
수액을 혈관에 주입할 때는 먼저 수지침본체(11)의 내부에 미리 수액을 채워놓은 다음 금속침(21)으로 혈관 내에 내삽시키면 따라서 동시에 수지침(12)도 내삽 되어 있게 되므로 이 때 대권축(40)을 손잡이(41)로 회전시켜 금속침(21)을 대권축(40)에 완전히 감는다.
그러면 금속침(21)이 수지관(12)에서 완전히 빠지게 되어 수액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고 금속침(21)은 가름통(4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금속침(21)이 손상을 주더라도 가름통(42)의 내부가 되며, 이때 손상에 의해 발생된 부스러기는 혈관 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가름통(42)의 외부에 부착된 고무패킹(43)은 금속침(21)이 빠진 후 그 구멍으로 수액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혈액이나 수액의 주사시 금속침을 이용해 혈관에 정확히 꽂은 후 금속침을 후퇴시키면 즉시 주사되므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빠른 시간 내에 주사할 수 있는 것이며 주사 도중 다른 혈관으로 바꿔 주사할 수 있는데 이 때는새로운 금속침을 바꾸어 끼울 필요 없이 금속침을 전진시켜 혈관을 찾은 후 다시 후퇴시키면 다시 계속해서 주사가 되므로 금속침 교체에 따른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금속침은 항상 수지침 본체 내에서 보호되며 필름막 원통이 외부에서 오는 감염을 차단시키므로 금속침 사용시에도 세균의 침투를 방지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은 대권축에 금속침을 감으면 수지관이 개방되어 수액을 수지관을 통해 혈관 내로 주입시킬 수가 있으며 사용 후에는 금속침의 수지침 본체에 들어있는 상태로 폐기시키므로 종래와 같이 주사도중 투출 되는 혈액이나 주사 후 금속침에 의해 취급자의 피부상처로 인해서 발생하는 ADIS, 장티부스, 매독, 간염감염 및 기타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으며, 또한 환자 자신도 주사시 외부에서 오는 세균감염을 미연에 예방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10)에 있어서,
    일측으로 수지관(12)이 결합되는 수지침 본체(11)의 내부에 금속으로 된 천공방지 보호통(30)을 설치하되 상기 천공방지 보호통(30)에는 수지관(12)쪽으로 끼워지는 금속통(33)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방지 보호통(30)의 상,하부에는 구멍(31)(32)을 형성시켜 대권축(35)을 끼우되 상기 대권축(35)은 수지침 본체(11)의 상,하부로 돌출 되게 설치하며,
    상기 대권축(35)의 상부에는 손잡이(36)를 결합시키되 대권축(35)과 수지침 본체(11)사이는 실링 처리하고,
    상기 대권축(35)에는 수지관(12)에 끼워진 금속침(21)의 일단을 고정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2.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10)에 있어서,
    수지관(12)이 일측에 결합된 수지침 본체(11)의 내측에 수액줄 연결부(20)를 끼우되 상기 수액줄 연결부(20)의 선단에 금속침(21)을 고정시켜 수지관(12)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 수지침 본체(11)와 수액줄 연결부(20)의 외측에는 필름막 원통(25)을 설치하되 수지침 본체(11)의 내측과 수액줄 연결부(20)의 외측에는 서로 결합되는고정돌기(16)(26)를 형성시키며,
    상기 필름막 원통(25)은 수액줄 연결부(20)의 최대 후퇴거리 만큼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침본체(11)의 외측에 스톱퍼(17)를 형성하고, 수액줄 연결부(20)의 외측에는 나선줄(27)을 형성시키되 상기 나선줄(27)은 스톱퍼(17)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나선줄(27)의 선단에는 돌기(28)를 형성시켜 나선줄(27)의 돌기(28)가 스톱퍼(17)에서 이탈하면 다시 원위치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4.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10)에 있어서,
    일측에 수지관(12)이 결합된 수지침 본체(11)를 두껍게 형성하고, 상기 수지침 본체(11)의 내부에 가림통(42)을 설치하되 수액줄 연결부(20)에서 공급되는 수액이 수지침 본체(11)의 내부와 가림통(42)의 외부사이를 통과하여 흐르게 하며, 상기 가림통(42)의 내부에는 대권축(40)을 설치하되 상기 대권축(40)은 손잡이(41)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대권축(40)에는 금속침(21)의 선단을 고정시키되 상기 금속침(21)은 가림통(42)의 외측에 설치된 고무패킹(43)을 통하여 연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5. 제 1 항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침(21)의 첨단부위에서 최상단 부위 양측의 예리한 날(21a)은 무디게 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성 1 회용 혈관 수지침.
KR10-2003-0018899A 2003-03-26 2003-03-26 가역성 1회용 혈관수지침 KR100517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899A KR100517198B1 (ko) 2003-03-26 2003-03-26 가역성 1회용 혈관수지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899A KR100517198B1 (ko) 2003-03-26 2003-03-26 가역성 1회용 혈관수지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080A true KR20040084080A (ko) 2004-10-06
KR100517198B1 KR100517198B1 (ko) 2005-10-28

Family

ID=3736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899A KR100517198B1 (ko) 2003-03-26 2003-03-26 가역성 1회용 혈관수지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319A (zh) * 2014-06-23 2014-09-24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可避免交叉感染的医用加药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319A (zh) * 2014-06-23 2014-09-24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可避免交叉感染的医用加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7198B1 (ko) 200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02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catheter insertion device
US5084023A (en) Bloodless catheter with self-shielding needle
US8491527B2 (en) Safety needle with positive flush
AU737080B2 (en) Single-use safety syringe
JP2012200425A (ja) カテーテル組立体
US6533759B1 (en) Flash chamber with a self closing valve for use with a catheter
JP2003339857A (ja) 針アセンブリ
US6605075B1 (en) Flushable hub
KR100517198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수지침
KR100780407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및 스포이드부를 갖는수액공급장치
KR100517200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JP2009201539A (ja) 留置針装置
JP2004248987A (ja) ガイドワイヤ挿入具
JP3121840U (ja) 血液透析用留置針
KR100350685B1 (ko) 1회용 혈관 수지침
KR19990073087A (ko) 가역성1회용혈관수지침
JP2007275304A (ja) カテーテル導入用具および薬液注入システム
KR100517199B1 (ko) 1회용 혈관 수지침
CN211096650U (zh) 一种能释放残留封管液防血栓防逆流的留置针
CN108926752B (zh) 一种软管安全输液针
KR20200022157A (ko) 카테터 겸용 스틱 인저리 방지 기능을 갖는 채혈, 약물 주입용 기구 및 카테터 겸용 스틱 인저리 방지기능을 갖는 채혈침 유닛
KR200201491Y1 (ko) 금속 가이드 바늘이 필요 없는 혈관주사용 바늘
JP2001245981A (ja) 安全留置針
CA24751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mproved intravenous cannulas that solve the problem of blood spillage
JP2004097499A (ja) 側注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