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685B1 - 1회용 혈관 수지침 - Google Patents

1회용 혈관 수지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685B1
KR100350685B1 KR10-1999-0049824A KR19990049824A KR100350685B1 KR 100350685 B1 KR100350685 B1 KR 100350685B1 KR 19990049824 A KR19990049824 A KR 19990049824A KR 100350685 B1 KR100350685 B1 KR 10035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etal needle
resin
blood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6166A (ko
Inventor
송정식
Original Assignee
송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식 filed Critical 송정식
Priority to KR10-1999-0049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685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할 때 사용되는 혈관수지침에 관한 것으로, 혈관에 수지침을 꽂은 후 금속침을 빼어 버리지 않고 원통형 통안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혈액이나 수액이 혈관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1회용 혈관 수지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1회용 혈관 수지침에 있어서, 일측으로 수지관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액줄연결부가 형성된 원통형통과, 상기 원통형통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금속침의 일단이 고정되는 대권축과, 원통형통 외측에서 상기 대권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1회용 혈관 수지침{Vein resin needle set for one time use}
본 발명은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할 때 사용되는 혈관수지침에 관한 것으로, 혈관에 수지침을 꽂은 후 금속침을 빼어 버리지 않고 원통형 통안에 내장시킨 상태에서 혈액이나 수액이 혈관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1회용 혈관 수지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혈관수지침은 수지관에 삽입된 금속침을 이용하여 혈관에 주사한 뒤 금속침을 빼내고 그 곳에 수액줄을 연결시켜 혈액이나 수액을 주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금속침을 이용하여 혈관에 수지관을 삽입한 뒤 즉시 금속침을 빼내야 수혈줄이나 수액줄을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결도중에 혈관에 삽입된 수지관으로부터 혈액 또는 수액이 역으로 흘러나오는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수액줄을 연결시키는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수혈 또는 수액의 주사도중에 수혈이나 수액줄을 연결시킬 때 항상 간염이나 다른 병들로부터 세균감염의 우려가 있었으며, 특히, AIDS(후천성 면역결핍증)환자인지를 모르고 수혈이나 수액을 환자에게 주사하게 되면 혈관에서 빼내어진 금속침(주사바늘)에 혈액이 묻어 있어 이를 취급하는 사람이 금속침에 의해 상처를 입을 경우 AIDS에 감염될 염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첫째, 수혈이나 수액을 주사할 때 혈관에 금속침과 수지관을 꽂은 후 금속침을 원통형 통안에 감아서 내장시키면 수지관이 개방되면서 즉시 주사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주사침을 취급할 때 환자나 환자보호자, 의사, 간호사 및 병원종사자들에게 주사침으로 인한 상처를 입히지 않게 하므로써 AIDS(후천성 면역 결핍증)나 간염과 같은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1회용 혈관수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1회용 혈관 수지침에 있어서, 일측으로 수지관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액줄연결부가 형성된 원통형통과, 상기 원통형통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금속침의 일단이 고정되는 대권축과, 원통형통 외측에서 상기 대권축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1회용 혈관 수지침에 있어서, 실린더통의 일측에 수지관을 형성시키는 한편 측방향으로 수액이동홀 방향조절기가 내장된 수액줄연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액줄연결부와 고무마개를 끼워지게 형성시키며, 고무마개 후단에는 손잡이로 회전되는 대권축을 설치하되 상기 대권축에는 금속침의 후단이 연결줄로 연결되게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금속침 권취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금속침 고정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서 금속침 이탈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 연결부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금속침 이탈상태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 다른실시예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 다른실시예에서 금속침 이탈상태 단면도도 12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도 13 은 본 발명의 대권축의 금속침 고정상태를 보인 단면도도 14 는 본 발명의 대권축 사시도도 15 는 본 발명의 보호캡 사시도도 16 은 본 발명의 보호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4 : 연결구 10,30,40,50 : 수지침
11 : 원통형통 12 : 수지관 18 : 금속침
20 : 대권축 21 : 손잡이 25 : 수액줄연결부
27 : 고무마개 31 : 실린더통 33 : 스톱퍼
34 : 연결부 36 : 연결줄 41,54 : 필름막원통
42 : 마개 60 : 피스톤통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이 내장된 용기(1)에 혈액 및 수액주사를 위한 수액줄(2)이 연결되고, 수액줄(2)의 중간에 수액공급량을 조절하는 수액조절구(3)가 설치되며, 수액줄(2)선단에는 수지침(10)과 결합되는 연결구(4)가 설치된다.
수지침(10)은 원통형의 원통형통(11)일측에 수지관(12)을 형성시키고 타측은 연결구(4)가 끼워지는 수액줄연결부(13)를 형성시키며, 상기 원통형통(11)내부에는 대권축(20)이 설치되고 상기 대권축(20)은 원통형통(11)외측에서 손잡이(21)와 결합되어 손잡이(2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게 하며, 상기 대권축(20)에는 수지관(12)에 내삽된 금속침(18)이 끼워져 고정되게 구성한다.
금속침(18)은 도 4 와 같이 대권축(20)에 끼워지되 쐐기(22)를 이용하여 빠지지 않게 끼워지며, 도 13 과 같이 금속침(18)을 대권축(20)에 무독성 접착제 또는 용접으로 직접 접합시켜도 무방하다.
원통형통(11)에서 손잡이(21)쪽 또는 이와 반대쪽으로는 수액이나 혈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이를 위하여 도 14 와 같이 대권축(20)에 고무패킹(61)을 끼워 원통형통(11)과의 접합부위에서 수액이나 혈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그리고 대권축(20)은 두개로 수직 양분되어 있는 원통형통(11)을 무독성 접착제로 접합할 때 끼워서 결합시키게 된다.
여기서 원통형통(11)은 투명하고 경질의 재질로 형성시켜 혈액이나 수액 또는 공기 이동상태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속침(18)이 대권축(20)에 감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금속침(18)이 원통형통(11)에서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그리고 원통형통(11) 내부에는 도 12와 도 15 및 도 16과 같이 보호캡(11a)을 내삽시켜 금속침(18)이 수지관(12)에서 이탈된 후 금속침(18)의 선단에 의해 원통형통(11)의 내면이 긁히지 않도록 한다.상기 보호캡(11a)에는 상면과 저면에 대권축(20)이 끼워지는 상면 개방홈(11b)과 저면 개방홈(11c)이 형성되는 한편 금속침(18)이 끼워지는 관통홈(11d)이 형성된다.여기서 보호캡(11a)을 설치하는 이유는 금속침(18)이 감길때 원통형통(11)의 내부를 긁어 상처를 낼 수 있고 이때 긁혀진 부스러기가 혈관내로 주입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수지침(10)을 이용하여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용기(1)에 연결된 수액줄(2)선단의 연결구(4)를 수액줄연결부(13)에 꼿아 놓고 수액조절구(3)를 열어 용기(1)내의 수액이 수지침(10)으로 공급되게 하면, 수액은 원통형통(11)내로 공급된다.
금속침(18)은 원통형통(11)의 일측에 장착된 수지관(12)에 끼워져 있으며, 금속침(18)의 선단은 수지관(12)에서 1∼3㎜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수지침(10)의 원통형통(11)을 잡고 주사하려는 부위의 혈관을 찾아 금속침(18)을 꼿게 된다.
금속침(18)이 혈관을 정확히 찾게 되면 혈관내의 혈액이 금속침(18)에서 역류하게 되고 이때 역류된 혈액은 원통형통(11)으로 역류되므로 주사자는 보호캡(11a)의 상면 개방홈(11b)을 통하여 역류된 혈액을 확인하게 되고 이것으로써 금속침(18)이 혈관을 정확히 찾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금속침(18)이 혈관을 찾으면 수지관(12)도 함께 혈관내에 위치한 상태가 되며 금속침(18)이 수지관(12)을 막고 있어 극히 미량의 수액만이 금속침(18)을 통하여 공급된다.
그리고 나서 금속침(18)의 한쪽 끝이 쐐기(22) 또는 무독성 접착제나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대권축(20)의 손잡이(21)를 한방향으로 돌리면 대권축(20)도 회전되면서 금속침(18)이 대권축(20)에 감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금속침(18)은 수지관(12)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금속침(18)은 수지관(12)에서 이탈하더라도 대권축(20)에 감겨져 원통형통(11)에 내장되어 있게 되므로 금속침(18)에 의해서 환자나 환자보호자, 의사, 간호사 및 병원종사자들이 상처를 입을 염려가 없어 AIDS(후천성 면역 결핍증)나 간염과 같은 세균감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지관(12)에서 금속침(18)이 빠지면 수액은 원통형통(11)내부에서 수지관(12)을 통한 후 혈관내로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의 금속침(18)은 대권축(20)에 쉽게 감길 수 있어야 하고 대권축(20)과 손잡이(21)는 스테인레스 또는 강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며 보호캡(11a)은 대권축(20)에 감긴 금속침(18)에 의해 뚫리지 않도록 스테인레스재질로 제작하고 원통형통(11)은 내부확인이 가능하게 투명하고 경질의 재질로 제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7 에 의거 살펴본다.
본 발명의 수지침(30)은 실린더통(31)의 일측에 수지관(12)과 수액이동홀 방향조절기(26)가 내장된 수액줄연결부(2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액줄연결부(28)가 형성되는 한편 고무마개(27)가 설치되며, 고무마개(27)의 후단에는 손잡이(21)가 형성된 대권축(20)을 설치하되 상기 대권축(20)에는 금속침(18)에 연결된 연결줄(36)이 고무마개(27)를 관통하여 고정되게 한다.
금속침(18)은 수지관(12)내에 끼워지고 금속침(18)일측은 수지관(12)외측으로 1∼3㎜ 돌출되며 타측은 연결부(34)에 의해 연결줄(36)과 연결된다.
연결부(34)는 스톱퍼(33)의 내측에 위치되어 고정된 상태로 놓여 있고 연결부(34)는 연결줄(36)로 연결되며 연결줄(36)선단은 고무마개(27)를 관통하여 대권축(20)에 고정된다.
연결부(34)에는 금속침(18)과 관통되는 수액이동홀(35)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실린더통(31)은 투명하고 연질의 재질로 제작하고 고무마개(27)쪽으로는 반투명의 경질재질로 천공방지보호통(32)을 제작하여 실린더통(31)과 천공방지보호통(32)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금속침(18)이 수지관(12)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통(31)을 잡고 주사하고자 하는 혈관을 찾아 금속침(18)을 꼿는다.
금속침(18)이 혈관을 정확히 찾게 되면 금속침(18)으로 피가 역류하고 금속침(18)으로 역류된 피는 수액이동홀(35)에서 실린더통(31)으로 역류되어 정확히 혈관을 찾아 금속침(18)이 꼿혔는지 확인할 수 있다.
금속침(18)이 혈관을 정확히 찾으면 한손으로 실린더통(31)을 잡아 고정시킨 후 다른 한손으로 손잡이(2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대권축(20)이 회전되면서 연결줄(36)이 대권축(20)에 감기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연결부(34)가 스톱퍼(33)에서 이탈되면서 금속침(18)이 수지관(12)에서 빠져나와 천공방지보호통(32) 내부에 내장되어진다.
이때부터 수액은 정상적으로 실린더통(31)내부에서 수지관(12)을 통하여 혈관으로 주입된다.
금속침(18)은 천공방지보호통(32)내에 위치하므로 금속침(18)에 의해 환자나 보호자, 의사, 간호사 등이 상처를 입을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은 혈관주사 중 딴 종류의 수액이나 주사약을 동시에 주사하고자 할 경우 수액줄연결부(25)에 다른 종류 수액이 채워진 수액줄의 연결구를 꼿아 준 후 수액이동홀 방향조절기(26)를 열어 놓으면 된다.
그러면 수액줄연결부(25)로부터 공급된 수액이 혈관내로 주사되어 두종류의 수액을 동시주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9 에 의거 살펴본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수지침(40)은 손잡이(21)가 형성된 대권축(20)대신에 필름막원통(41)이 연결된 마개(42)를 형성시킨 것으로, 금속침(18)에 연결된 연결줄(36)이 고무마개(27)를 관통하여 마개(42)에 고정되고 상기 마개(42)와 고무마개(27)사이에는 필름막원통(41)을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금속침(18)이 수지관(12)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통(31)을 잡고 주사하고자 하는 혈관을 찾아 금속침(18)을 꼿는다.
금속침(18)으로 역류되는 혈액은 수액이동홀(35)에서 실린더통(31)으로 역류되므로 혈관이 정확히 찾아졌는지 학인할 수 있다.
금속침(18)이 혈관을 정확히 찾으면 한손으로 실린더통(31)을 잡아 고정시킨 후 다른 손으로 마개(42)를 잡아 후퇴시키면 연결부(34)가 스톱퍼(33)에서 이탈되면서 연결줄(36)이 고무마개(27)를 통하여 마개(42) 이동거리 만큼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금속침(18)은 도 9 과 같이 금속침(18)의 선단이 고무마개(42)에 박혀 있는 상태까지만 빼낼 수도 있고 고무마개(42)외측으로 완전히 빼낼 수도 있다.
이때부터 수액은 수지관(12)을 통하여 혈관내로 주입되며, 혈관주사중 딴종류의 수액이나 주사약을 동시에 주사하고자 할 경우 수액줄연결부(25)에 다른종류의 수액이 공급되는 연결구를 꼿은 후 수액줄연결부(25)내의 수액이동홀 방향조절기(26)를 열어 수액이 수지관(12)을 통해 주사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10 및 도 11 에 의거 살펴본다.
수지침(50)은 원통형의 실린더통(51)일측에 수지관(12)과 수액줄연결부(25)를 형성시키고 타측은 내측으로 돌출된 스톱퍼(52)를 형성시키며, 상기 실린더통(51)내부에는 피스톤통(60)을 내삽시키되 상기 피스톤통(60)일측에는 실린더통(51)외부로 돌출되고 연결구(4)가 끼워지는 수액줄연결부(61)를 형성시키고 타측에는 수지관(12)에 내삽되는 금속침(18)을 고정시키되 수액이동홀(62)을 형성시키며, 피스톤통(60)외측에는 실린더통(51)과 피스톤통(60)사이를 밀봉하는 고무패킹(63)을 끼워 피스톤통(60)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게 한다.
피스톤통(60)의 상,하부외측에는 돌기(64)(65)를 형성시키고 스톱퍼(52)쪽 실린더통(51)의 선단과 수액줄연결부(61)사이는 필름막원통(55)을 설치하며 실린더통(51)외측에는 천공방지보호통(55)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실린더통(51)의 선단부는 투명의 경질재질로 형성시키고, 천공방지보호통(55)은 반투명의 경질재질로 형성시키며 나머지 부분은 투명하고 후렉시블하게 형성시킨다.
피스톤통(60)도 선단부는 투명하고 경질의 재질로 형성시키고 수액줄연결부(61)도 투명의 경질재질로 형성시키며 나머지 부분을 투명하고 후렉시블하게 형성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 수지침(50)을 이용하여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용기(1)에 연결된 수액줄(2)선단의 연결구(4)를 수액줄연결부(22)에 꼿아 놓고 수액조절구(3)를 열어 용기(1)내의 수액이 수지침(50)으로 공급되게 하며, 수액은 피스톤통(60)내로 공급된다.
이때 피스톤통(60)은 실린더통(51)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고, 피스톤통(60)선단에 고정된 금속침(18)은 실린더통(51)일측에 장착된 수지관(12)에 끼워져 있으며, 금속침(18)의 선단은 수지관(12)에서 1∼3㎜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통(60)외측에 형성된 돌기(65)가 스톱퍼(52)에 걸려 강제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피스톤통(60)은 실린더통(51)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상태에서 실린더통(51)을 잡고 주사하려는 부위의 혈관을 찾아 금속침(18)을 꼿게 된다.
금속침(18)이 혈관을 정확히 찾게 되면 혈관의 피가 금속침(18)에서 역류하게 되고 이때 역류된 피는 수액이동홀(62)을 통하여 피스톤통(60)으로 역류되므로 주사자는 수액이동홀(62)에서 피가 역류될 경우 금속침(18)이 혈관을 정확히 찾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금속침(18)이 혈관을 찾으면 수지관(12)도 함께 혈관내에 위치한 상태가 되며 금속침(18)이 수지관(12)을 막고 있어 극히 미량의 수액만이 금속침(18)을 통하여 공급된다.
그리고 나서 실린더통(51)을 한손으로 잡아 고정시키는 동시에 다른 손으로 수액줄연결부(61)를 잡아 당기게 되면 피스톤통(60)은 실린더통(51)에서 후퇴하게 된다.
피스톤통(60)은 고무패킹(63)이 스톱퍼(52)에 걸려 더 이상 빠져나오지 않게 되고 돌기(64)부분까지 스톱퍼(52)를 빠져나온 후 이동이 정지되며, 돌기(64)가 스톱퍼(52)에 걸려 강제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피스톤통(60)은 실린더통(51)내부로 복귀되지 않는다.
그리고 피스톤통(60)의 이동과 함께 금속침(18)도 수지관(12)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상기 금속침(18)은 천공방지보호통(55)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수지침(50)이 휘더라도 금속침(18)이 실린더통(51)을 뚫지 못하게 한다.
수지관(12)에서 금속침(18)이 빠지면 수액은 피스톤통(60)내부에서 수액이 동홀(62)을 빠져 나온 후 실린더통(51)을 거쳐 수지관(12)을 통한 후 혈관내로 공급되게 된다.
이상태로 수액을 공급하는 도중에 다른 혈관으로 옮겨서 주사하고자 할 경우를 살펴본다.
이때에는 수액조절구(3)로 수액공급을 중단시킨 후 수지관(12)을 혈관에서 빼낸 다음 강제로 힘을 가하여 피스톤통(60)을 실린더통(51)내부로 밀어 넣으면 피스톤통(60)이 원위치되면서 다시 금속침(18)이 수지관(12)내에 끼워진 형태로 복귀되므로써 다른 혈관을 찾아 금속침(18)으로 주사한 후 전술된 바와 같이 수액공급을 할 수 있다.
이때 수지침(50)을 재사용하는 경우 동일환자에 국한된다.
한편 두종류 이상을 수액하고자 할 경우 수액줄연결부(25)에 다른 종류의 수액줄을 연결한 후 수액줄연결부(25)내의 수액이동홀 방향조절기(26)를 수액이 통과되도록 열어 놓으면 된다.
그러면 두종류의 수액이 수지관(12)을 통하여 동시 주사되어진다.
본 발명은 필름막원통(54)이 피스톤통(60)을 감싸서 보호하게 되므로 피스톤통(60)외측에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피스톤통(60)이 실린더통(51)내부에 삽입되면 필름막원통(54)은 접혀져 있게 되고 피스톤통(50)이 후퇴하면 펼쳐진 상태로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금속침이 대권축에 고정되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수지관에서 이탈되어 내장된 상태로 놓이게 되므로써 금속침은 항상 실린더통 또는 원통형통 내에서 보호되며 필름막원통이 외부와의 감염을 차단시키므로 금속침 사용시에도 세균의 침투를 방지하고 사용후에는 금속침이 실린더통 내에 들어 있는 상태로 폐기시키므로 종래와 같이 주사도중 투출되는 혈액이나 주사 후 금속침에 의해 취급자의 피부상처로 인해서 발생하는 AIDS 감염 및 질병의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도중에 다른 종류의 수액을 동시 주사하고자 할 경우 간단히 수액줄을 연결시켜 두종류의 수액을 동시 주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1회용 혈관 수지침에 있어서,
    일측으로 수지관(12)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액줄연결부(13)가 형성된 원통형통(11)과,
    상기 원통형통(11)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권축(20)과,
    상기 대권축(20)을 원통형통(11)외부에서 회전시키는 손잡이(21)와,
    상기 수지관(12)에 삽입되고 일측이 대권축(20)에 고정되는 금속침(1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혈관 수지침.
  2. 혈액이나 수액을 혈관에 주사하는 1회용 혈관 수지침에 있어서,
    실린더통(31)의 일측에 수지관(12)과 수액이동홀 방향조절기(26)가 내장된 수액줄연결부(2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액줄연결부(28)가 형성되는 한편 고무마개(27)가 설치되며,
    고무마개(27)의 후단에는 손잡이(21)가 형성된 대권축(20)을 설치하되 상기 대권축(20)에는 금속침(18)에 연결된 연결줄(36)이 고무마개(27)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며,
    금속침(18)은 수지관(12)입구에 형성된 스톱퍼(33)에 연결부(34)로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34)에는 수액이동홀(35)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혈관 수지침.
  3. 제 2 항에서, 대권축(20)이 연결줄(36)을 감으면 금속침(18)은 천공방지보호통(32)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혈관 수지침.
  4. 제 2 항에서, 고무마개(27)의 후단에는 연결줄(36)이 고정된 마개(42)를 설치하되 상기 마개(42)와 고무마개(27)사이에는 필름막원통(4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혈관 수지침.
KR10-1999-0049824A 1999-11-11 1999-11-11 1회용 혈관 수지침 KR10035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824A KR100350685B1 (ko) 1999-11-11 1999-11-11 1회용 혈관 수지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824A KR100350685B1 (ko) 1999-11-11 1999-11-11 1회용 혈관 수지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166A KR20010046166A (ko) 2001-06-05
KR100350685B1 true KR100350685B1 (ko) 2003-01-24

Family

ID=1961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824A KR100350685B1 (ko) 1999-11-11 1999-11-11 1회용 혈관 수지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6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893A (ko) * 1990-10-25 1992-05-28 프레데릭 얀 스미트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
JPH06261944A (ja) * 1993-03-12 1994-09-20 San Raifu:Kk 留置針
US5355871A (en) * 1992-09-11 1994-10-18 Dexide, Inc. Elastomeric controller for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s
KR19990073087A (ko) * 1999-04-22 1999-10-05 송정식 가역성1회용혈관수지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893A (ko) * 1990-10-25 1992-05-28 프레데릭 얀 스미트 방전 램프 동작용 회로 장치
US5355871A (en) * 1992-09-11 1994-10-18 Dexide, Inc. Elastomeric controller for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s
JPH06261944A (ja) * 1993-03-12 1994-09-20 San Raifu:Kk 留置針
KR19990073087A (ko) * 1999-04-22 1999-10-05 송정식 가역성1회용혈관수지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166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14779T3 (es) Conjunto de proteccion para aguja.
US5501674A (en) Intravenous catheter with needle cover and blood collection tube
CA2038718C (en) Bloodless catheter with self-shielding needle
US7291135B2 (en) Winged angled needle assembly
BRPI0510480B1 (pt) dispositivo de injeção
CA23718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catheter insertion device
KR960015616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US20070250011A1 (en) Winged venous catheter
JPH10501996A (ja) カテーテル装置
CN110418656A (zh) 针安全系统
CN112689522A (zh) 针头安全系统
KR100350685B1 (ko) 1회용 혈관 수지침
KR100780407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및 스포이드부를 갖는수액공급장치
JP4809707B2 (ja) カテーテル導入用具および薬液注入システム
JP3744985B2 (ja) カテーテル導入用穿刺針
JP4066222B2 (ja) 自動開閉弁付コネク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具
KR19990073087A (ko) 가역성1회용혈관수지침
KR100517198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수지침
US20020161338A1 (en) Catheters and catheter safety guards
JPH0511874Y2 (ko)
KR100517199B1 (ko) 1회용 혈관 수지침
KR100517200B1 (ko)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CN211096650U (zh) 一种能释放残留封管液防血栓防逆流的留置针
KR200195392Y1 (ko) 나비 손잡이를 갖는 안전주사기
JP2002272853A (ja) 留置針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