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688A - 기어와 폴과 회전구동모듈과 접이식 골조장치 및 이를이용한 텐트 - Google Patents

기어와 폴과 회전구동모듈과 접이식 골조장치 및 이를이용한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688A
KR20040082688A KR1020030017318A KR20030017318A KR20040082688A KR 20040082688 A KR20040082688 A KR 20040082688A KR 1020030017318 A KR1020030017318 A KR 1020030017318A KR 20030017318 A KR20030017318 A KR 20030017318A KR 20040082688 A KR20040082688 A KR 20040082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evel gear
driving bevel
rotation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516B1 (ko
Inventor
최규식
Original Assignee
최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식 filed Critical 최규식
Priority to KR102003001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51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4Fixators for body parts, e.g. skull clamps; Constructional details of fixators, e.g. pins
    • A61B90/17Fixators for body parts, e.g. skull clamps; Constructional details of fixators, e.g. pins for soft tissue, e.g. breast-ho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4Fixators for body parts, e.g. skull clamps; Constructional details of fixators, e.g. pins
    • A61B90/18Retaining sheets, e.g. immobilising masks made from a thermoplast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된 텐트와 이러한 텐트를 만들기에 적합한 접이식 골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 몸체에 설치되어 방사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고, 제자리 회전 가능한 복수의 제 1부재와 제 1부재에 결합되고 제 1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1부재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몸체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복수의 제 2부재로 된 폴 및 몸체에 설치되고 제 1부재들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부품을 분해하거나 조립하지 않고 그대로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분실의 우려가 적고, 회전동력입력부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며, 접은 상태에서 부피가 적고 작은 막대모양으로 되어 운반 및 보관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어와 폴과 회전구동모듈과 접이식 골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텐트{Gear, pole, rotation driving module, foldable frame device and tent utilizing thereof}
본 발명은 텐트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필요에 따라 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된 텐트와 이러한 텐트를 만들기에 적합한 접이식 골조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기어와 폴과 회전구동모듈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캠핑용 텐트는 그 설치 시 폴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서 골격을 형성하여 설치하도록 된 것, 한번에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된 것, 우산처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것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우산과 유사한 구조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텐트는 폴의 각 마디에 연결 탄성고무줄을 끼워 분실을 방지하였으며, 설치 시 타인의 도움을 받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하부 연결체의 폴 끝부분을 지지대에 삽입하여야 하고 각 마디별 연결부위 삽입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부피가 크고 온도와 습도가 높은 계절에 사용하는 텐트에 있어서는 섬유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폴의 길이가 맞지 않아 설치하는데 애를 먹거나 섬유가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이식 텐트 등의 제작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접이식 골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골조 등을 만드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나 접이식 골조 등을 만드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나 접이식 골조 등을 만드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회전구동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부품 분실의 우려가 적은 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골조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접이식 골조장치의 접힌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 골조장치의 회전구동수단과 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회전구동수단과 몸체 등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폴의 내부 결합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를 접은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접이식 골조장치 110 : 몸체
111 : 제 1몸체 131 : 제 2몸체
123 : 장공 130 : 폴대
131 : 제 1부재 132 : 나선홈
136 : 제 2부재 139 : 볼
140 : 연결구 150 : 접이부재
160 : 회전구동수단 161 : 구동베벨기어
166 : 종동베벨기어 163 : 회전동력입력부
170 : 연결줄 180 : 직물
200 : 텐트
본 발명의 접이식 골조장치는 몸체, 몸체에 설치되어 방사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고, 제자리 회전 가능한 복수의 제 1부재와 제 1부재에 결합되고 제 1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부재를 따라 이동되면서 몸체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복수의 제 2부재로 된 폴 및 몸체에 설치되고 제 1부재들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회전구동수단은 제자리 회전 가능케 장착되는 구동베벨기어, 구동베벨기어 주위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구동베벨기어에 맞물려 구동베벨기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복수의 제 1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종동베벨기어 및 구동베벨기어에 연결되고 구동베벨기어에 회전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동력입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동베벨기어는 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기어이를 갖고 반구형상을 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몸체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 1기어홈과 제 1기어홈 주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 2기어홈을 갖는 제 1몸체, 제 1몸체와 마주보고 결합되고 제 2기어홈과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제 3기어홈과 제 1부재들이 접혀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형성된 복수의 장공을 구비하는 제 2몸체, 제 1몸체와 제 1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이 형성된 원형의 핀형태로 되고, 제 2부재는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어 나선홈에 물리는 볼이 설치된 원형의 관모양으로 되어 제 1부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제 1부재는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 되는 볼이 설치된 원형의 관모양으로 되고, 제 2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볼에 물리는 나선홈을 구비하여 제 1부재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제 2부재 끝단에는 일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텐트에 있어서, 몸체, 몸체에 설치되어 방사상으로펼치거나 접을 수 있고 제자리 회전 가능한 복수의 제 1부재와 제 1부재에 결합되고 제 1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부재를 따라 이동되면서 몸체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복수의 제 2부재를 갖는 폴, 몸체에 설치되고 제 1부재들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 몸체, 제 1부재, 제 2부재의 동일측면에 설치되고 제 2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며 펼쳐진 상태에서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직물 및 제 2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 경우에도 회전구동수단은 제자리 회전 가능케 장착되는 구동베벨기어, 구동베벨기어 주위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구동베벨기어에 맞물려 구동베벨기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복수의 제 1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종동베벨기어 및 구동베벨기어에 연결되고 구동베벨기어에 회전동력을 가하기 위한 회전동력입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부재 하단에는 일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는 기어에 있어서, 단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기어이가 형성되고, 반구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은 폴에 있어서,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이 형성된 제 1부재, 제 1부재를 수용할 수 있고 내부에는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어 나선홈에 물리는 볼을 구비하여 제 1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부재가 출입되도록 하는 중공의 관모양의 제 2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제 2부재는 외경이 작은 제 1관부와 제 1관부의 일단에 설치되고 두께와 외경이 제 1관부보다 크고 볼이 2개 이상 설치되는 제 2관부로 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구동모듈은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 1기어홈과 제 1기어홈 주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 2기어홈을 갖는 제 1몸체, 제 1몸체와 마주보고 결합되고 제 2기어홈과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제 3기어홈과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형성된 복수의 장공을 구비하는 제 2몸체, 제 1몸체와 제 1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몸체; 및
제 1기어홈에 제자리 회전 가능케 장착되는 구동베벨기어, 구동베벨기어 주위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구동베벨기어에 맞물려 구동베벨기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장공의 형성방향으로 스윙운동 가능한 복수의 종동베벨기어 및 구동베벨기어에 연결되고 구동베벨기어에 회전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동력입력부를 구비하는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경우에 따라 몸체나 회전동력입력부 등에 구동베벨기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설치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골조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접이식 골조장치의 접힌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골조장치(100)는 몸체(110)를 구비한다. 이 몸체(110)에는 복수의 폴(130, pole)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폴(130)들은 몸체(110)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상하로 약 90도의 각도 범위에서 스윙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즉, 폴(130)들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옆으로 펼쳐져 방사상으로 배치되거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접혀져 서로 동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폴(130)은 몸체(110)에 연결되고 제자리 회전 가능한 제 1부재(131)와 제 1부재(131)에 결합되어 제 1부재(1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부재(131)를 따라 이동되면서 몸체(11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제 2부재(136)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부재(131)는 핀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외주면을 따라서는 나선홈(132)을 구비한다.
제 1부재(131)에 결합되는 제 2부재(136)는 제 1부재(131)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관형상을 하고 있다. 이 제 2부재(136)는 그 외경과 두께가 작은 제 1관부(137)와 제 1관부(137)의 일단에 설치되고 그 외경과 두께가 제 1관부(137)보다 큰 제 2관부(138)를 구비한다. 물론, 제 1관부(137)와 제 2관부(138)의 내경은 동일하거나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부재(136)의 제 2관부(138)에는 제 1부재(131)의 나선홈(132)에 물리는 볼이 설치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볼 대신 나선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 1부재(1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 2부재(136)는 제 1부재(131)를 타고 이동되면서 몸체(11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진다.
위와 같은 제 1부재(131)와 제 2부재(136)는 경우에 따라 그 설치위치를 바꾸어도 된다. 또, 폴(130)의 설치 개수는 필요에 따라 5개 미만이나 6개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부재(136)의 끝단에는 연결구(140)를 통해 접이부재(150)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구(140)로는 접이부재(150)를 제 2부재(136)에 한쪽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이라면 다른 어떤 형태의 것이라도 이용이 가능하다. 접이부재(150)는 펼쳐진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즉, 위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접이부재(150)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나 접은 상태에서의 골조장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접이부재(150)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 접이부재(150)의 끝단에 고리(152)가 설치된다. 이 고리(15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골조장치(100)가 텐트 등의 골조 이용될 경우 필요한 부위에 결속하여 제 2부재(136)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고리(152) 대신 제 2부재(136)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어떤 형태의 것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부재(131)와 제 2부재(136) 및 접이부재(150)는 알루미늄합금이나 합성수지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몸체(110)에는 제 1부재(131)를 제자리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16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 골조장치의 회전구동수단과 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회전구동수단과 몸체 등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제 1몸체(111)를 구비한다. 이 제 1몸체(111)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 1기어홈(112)과 제 1기어홈(112) 주위에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기어홈(113)들을 구비한다. 이 제 1몸체(111)의 중앙 부위에는 통공(1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뒤에서 설명되는 구동베벨기어(161)의 회전축을 지지하며, 외부에서 필요한 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 1몸체(111)에는 제 2몸체(121)가 마주보고 결합되어 있다. 이 제 2몸체(121)에는 제 2기어홈(113)과 마주보는 부분에 제 2기어홈(113)과 같은 형태로 제 3기어홈(12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몸체(121)에는 제 1부재(131)들이 접혀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형성된 복수의 장공(123)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몸체(111)와 제 2몸체(121)는 결합수단(124)에 의해 결합된다. 결합수단(124)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나, 자체에 걸림턱 등을 형성하여 결합하거나 다른 결합수단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몸체(110)에는 회전구동수단(160)이 장착된다. 이 회전구동수단(160)은 폴(130)의 제 1부재(131)들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기어홈(112)에 장착되는 구동베벨기어(161)를 구비한다. 이 구동베벨기어(161)는 그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기어이(164)들을 구비하며, 그 저면 중앙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회전축(162)은 관통공(114)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고, 그 회전축(162)에는 회전동력입력부(163)가 결합되어 나사부재(165)를 통해 회전동력입력부(163)와 일체로 고정된다. 여기에서의 회전동력입력부(163)는 수동으로 구동베벨기어(16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형태로 되어 있다. 이는 경우에 따라 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해 회전력을 입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회전동력입력부(163)에는 나사공(163a)을 통해 스토퍼(163b)가 결합된다. 이 스토퍼(163b)는 제 1몸체(111)의 저면에 형성되는 홈이나 구멍(112a)에 결합되어 텐트를 설치한 상태 등 특정상태에서 구동베벨기어(16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스토퍼(163b)는 폴(130)의 반력이 작거나 다른 부분에 역회전방지 기능이 있는 경우 등에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 설치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토퍼(163b)는 볼펜의 누름버튼방식 등 여타의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 2기어홈(113)과 제 3기어홈(122)에는 종동베벨기어(166)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종동베벨기어(166)들은 구동베벨기어(161)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반구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단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어이(16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종동베벨기어(166)에 폴(130)의 일 구성요소인 제 1부재(131)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종동베벨기어(166)와 제 1부재(131)의 연결형태는 다른 형태로 바뀔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1부재(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종동베벨기어(166)를 반구형상으로 형성한 것은 여기에 연결되는 폴(130)과 함께 90도 정도의 범위 내에서 흔들림 없이 부드럽게 스윙운동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 종동베벨기어(166)는 그대로 두고 제 1부재(131)를 절첩 가능케 연결하여도 되나 그렇게 하는 경우 접힌 상태에서의 폴(130)들의 배치직경이 커진다. 이는 일반 베벨기어와 유니버셜 조인트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회전구동수단(160)과 몸체(110)는 종동베벨기어(166)에 연결되는 것들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기능을 갖는하나의 회전구동모듈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회전구동모듈은 다른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폴의 내부 결합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130)은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132)이 형성되어 있는 핀형태의 제 1부재(131)와 제 1부재(13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관형태의 제 2부재(136)를 구비한다. 제 2부재(136)는 외경이 작은 제 1관부(137)와 제 1관부(138)의 일단에 설치되고 두께와 외경이 제 1관부(137)보다 크고 볼(139)이 설치되는 제 2관부(138)로 되어 있다. 볼(139)은 제 2관부(138)에 내부와 연통되는 구멍(139a)을 형성하고, 여기에 볼(139)과 스프링(139b)을 차례대로 삽입 후 외부에서 나사부재(139c)로 구멍(139a)을 막은 형태로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볼(139)은 2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기로는 나선홈의 크기, 회전구동수단의 작동의 원활성, 폴의 반력에 의한 구동베벨기어의 역회전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개수로 설치하는 것이다.
나선홈(132)의 피치는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데, 피치를 크게 하는 경우 회전동력입력부(163)를 1회전시키는데 힘이 많이 들어가는 대신에 그 1회전에 의한 제 2부재(136)의 이동거리는 커진다. 반면에, 나선홈(132)의 피치를 작게하는 경우 회전동력입력부(163)를 회전시키는데 힘은 적게 소요되지만 그 1회전에 의한 제 2부재(136)의 이동거리는 작아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를 접은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텐트(200)는 앞에서 설명한 회전구동수단(160)이 구비된 몸체(110)와 이 몸체(110)에 소정 각도 간격으로 설치된 폴(130)을 구비하고 있다. 폴(130)은 몸체(110) 내부의 종동베벨기어(166)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선홈(132)을 갖는 제 1부재(131)와 제 1부재(131)를 수용할 수 있는 관형태로 되고, 그 내부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홈(132)에 물리는 볼(139)을 갖는 제 2부재(136)로 된다. 제 2부재(136)의 하단에 접이부재(140)가 설치된다. 접이부재(150)는 연결구(140)를 통해 제 2부재(136)에 연결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위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접이부재(150)의 끝단에는 고리(1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152)에는 연결줄(170)이 삽입되어 있다. 이는 텐트(200)의 바닥직경을 제한하며 제 2부재(136)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2부재(136)와 접이부재(15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형태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폴(130)과 접이부재(150)의 안쪽으로 대략 폴(130)이 형성하는 형태의 공간을 둘러싸는 직물(180)이 고리부(182)를 통해 폴(130)과 접이부재(150) 및 몸체부(110)에 연결되어 있다. 고리부(182)는 튜브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텐트(200)의 접혀진 상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텐트(200)는 작은 막대형태로 접을 수 있으며, 접혀진 상태에서 회전동력입력부(163)만 외부로 드러나고, 나머지는 직물(180)의 바닥부에 의해 가려진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텐트(200)를 치는 과정과 접는 과정을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폴(130)과 접이부재(150)를 펼친다. 이에 따라 세워져 있던 종동베벨기어(166)도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그 단면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이(167)가 구동베벨기어(161)의 기어이(164)에 물린다. 이 때 폴(130)과 접이부재(150)는 자체의 무게 및 직물(180)의 무게에 의해 활처럼 휘어져 접이부재(150) 끝단 쪽은 아래쪽으로 처진다. 그 상태에서 회전동력입력부(16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베벨기어(161)가 회전되고, 구동베벨기어(161)에 물려있던 종동베벨기어(166)들도 모두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된다. 이에 따라 각 종동베벨기어(166)에 연결되어 있던 제 1부재(131)들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2부재(136)와 접이부재(150)는 접이부재(150)의 끝단에 연결된 연결줄(17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 2부재(136)는 제 1부재(131)를 따라 몸체(110)에서 멀어져, 폴(130)의 길이는 점점 길어진다. 접이부재(150)의 끝단은 연결줄(170)에 의해 그 직경이 제한되므로 폴(130)과 접이부재(150)는 점점 휘게 되어 종국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텐트(200)를 완전히 펼친 후에는 필요에 따라 스토퍼(163b)를 작동시켜 구동베벨기어(16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텐트(200)에서는 폴(130)과 접이부재(150)를 펼친 후 회전동력입력부(163)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텐트(20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텐트(200)를 접는 과정은 텐트(200)를 치는 과정의 역과정으로 이루어진다.즉, 도 6 상태에서 스토퍼(163b)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회전동력입력부(163)를 처음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베벨기어(161), 종동베벨기어(166)들은 처음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부재(131)도 처음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1부재(131)와 접이부재(150)는 연결줄(17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이므로 제 2부재(136)는 제 1부재(131)를 타고 몸체(110)쪽으로 이동하여 폴(130)의 길이는 점점 줄어든다. 풀(130)의 길이가 충분히 줄어든 상태에서 접이부재(150)를 접고, 각 폴(130)을 세우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가방에 넣거나 끈으로 그 상단을 묶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텐트(200)는 부속품을 연결하거나 분해하는 것이 없어 부품분실의 우려가 없고 텐트(200)를 치거나 접기가 매우 용이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구형 기어는 몸체에 형성되는 제 2기어홈 및 제 3기어홈에 면접촉되면서 제자리 회동되거나 스윙운동 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폴을 접거나 펼치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반구형 기어는 종동베벨기어 자체가 스윙운동함으로써 폴이 동일방향으로 배치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폴들이 배치되는 직경을 최대한으로 줄여줄 수 있도록 해주어 접이식 골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텐트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폴은 제 1부재의 회전동작에 의해 자체의 길이가 조정되므로텐트 등을 치거나 철거할 때 폴을 분리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주며, 복수의 폴의 길이를 동시에 조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은 내부에 볼을 설치하는 경우 그 동작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골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텐트는 부품을 분해하거나 조립하지 않고 그대로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분실의 우려가 적고, 회전동력입력부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또, 접은 상태에서 부피가 적고 작은 막대모양으로 되어 운반 및 보관이 쉽다.

Claims (12)

  1.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방사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고, 제자리 회전 가능한 복수의 제 1부재와 상기 제 1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 1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부재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몸체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복수의 제 2부재로 된 폴;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부재들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골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제자리 회전 가능케 장착되는 구동베벨기어, 상기 구동베벨기어 주위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맞물려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제 1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종동베벨기어 및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회전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동력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골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베벨기어는 단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기어이가 형성되고, 반구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골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 1기어홈과 제 1기어홈 주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 2기어홈을 갖는 제 1몸체, 상기 제 1몸체와 마주보고 결합되고 상기 제 2기어홈과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제 3기어홈과 상기 제 1부재들이 접혀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형성된 복수의 장공을 구비하는 제 2몸체, 상기 제 1몸체와 제 1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동력입력부에는 필요에 따라 구동베벨기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골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이 형성된 원형의 핀형태로 되고, 상기 제 2부재는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나선홈에 물리는 볼이 설치된 원형의 관모양으로 되어 상기 제 1부재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골조장치.
  6. 텐트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방사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고, 제자리 회전 가능한 복수의 제 1부재와 상기 제 1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 1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부재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몸체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복수의 제 2부재를 구비하는 폴;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부재들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
    상기 몸체, 제 1부재, 제 2부재의 동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며 펼쳐진 상태에서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직물; 및
    상기 제 2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제자리 회전 가능케 장착되는 구동베벨기어, 상기 구동베벨기어 주위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맞물려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제 1부재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종동베벨기어 및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회전동력을 가하기 위한 회전동력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재 하단에는 일측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 또는 회전동력입력부에는 필요에 따라 구동베벨기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9. 기어에 있어서,
    단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기어이가 형성되고, 반구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10. 폴에 있어서,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이 형성된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를 수용할 수 있고 내부에는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나선홈에 물리는 볼을 구비하여 상기 제 1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부재가 출입되도록 하는 중공의 관모양의 제 2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재는 외경이 작은 제 1관부와 상기 제 1관부의 일단에 설치되고 두께와 외경이 상기 제 1관부보다 크고 상기 볼이 2개 이상 설치되는 제 2관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12.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 1기어홈과 제 1기어홈 주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 2기어홈을 갖는 제 1몸체, 상기 제 1몸체와 마주보고 결합되고 상기 제 2기어홈과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된 제 3기어홈과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형성된 복수의 장공을 구비하는 제 2몸체, 상기 제 1몸체와 제 1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제 1기어홈에 제자리 회전 가능케 장착되는 구동베벨기어, 상기 구동베벨기어 주위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맞물려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장공의 형성방향으로 스윙운동 가능한 복수의 종동베벨기어 및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회전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동력입력부를 구비하는 회전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동모듈.
KR1020030017318A 2003-03-20 2003-03-20 접이식 골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텐트, 텐트에 이용되는 폴 및 회전구동모듈 KR100561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318A KR100561516B1 (ko) 2003-03-20 2003-03-20 접이식 골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텐트, 텐트에 이용되는 폴 및 회전구동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318A KR100561516B1 (ko) 2003-03-20 2003-03-20 접이식 골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텐트, 텐트에 이용되는 폴 및 회전구동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688A true KR20040082688A (ko) 2004-09-30
KR100561516B1 KR100561516B1 (ko) 2006-03-16

Family

ID=3736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318A KR100561516B1 (ko) 2003-03-20 2003-03-20 접이식 골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텐트, 텐트에 이용되는 폴 및 회전구동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5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710B1 (ko) * 2011-06-13 2012-04-02 (주)우교 텐트 및 텐트 결합봉 조절장치
WO2019098412A1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용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105B1 (ko) * 2014-09-30 2016-04-25 (주)디자인다다어소시에이츠 차양 장치
KR102053984B1 (ko) * 2018-02-08 2019-12-12 소프트상추 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710B1 (ko) * 2011-06-13 2012-04-02 (주)우교 텐트 및 텐트 결합봉 조절장치
WO2012173346A2 (ko) * 2011-06-13 2012-12-20 주식회사 우교 텐트 및 텐트 결합봉 조절장치
CN102852379A (zh) * 2011-06-13 2013-01-02 株式会社友桥 帐篷及帐篷连杆调节装置
WO2012173346A3 (ko) * 2011-06-13 2013-03-28 주식회사 우교 텐트 및 텐트 결합봉 조절장치
WO2019098412A1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소셜빈 유아용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516B1 (ko)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316B1 (en) Skeleton for umbrella tent
US4074682A (en) Collapsible tent frame
US8485208B2 (en) Canopy tent
US6196242B1 (en) Hanging sun umbrella
US8893737B2 (en) Tent skeleton and tent
US8534304B1 (en) Tiltable sunshade
US4069832A (en) Collapsible rod and joint structure forming a tetrahedral or similar frame
US20020074032A1 (en) Frame assembly for folding tents
US20040036222A1 (en) Foldable joint of a sports goal
US4063830A (en) Lockable and separable pivotal connector joint
US8978680B2 (en) Removably mountable roof frame for use with an expandable canopy
EP0413507A1 (en) Tent positionable between collapsed and erect conditions
JP2008516114A (ja) テントフレーム
CN100472314C (zh) 多功能相机快速随意固定卡架
KR100561516B1 (ko) 접이식 골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텐트, 텐트에 이용되는 폴 및 회전구동모듈
WO2007123314A1 (en) Auto umbrella-type canopy tent
JPH09508046A (ja) フレーム
US6561931B1 (en) Joint for facilitating fabrication of collapsible assemblies
CN205012751U (zh) 一种快速折叠的篷架
CN106437286A (zh) 帐篷
RU2019132818A (ru) Складная палатка, содержащая две зонтовые конструкции
US7644720B2 (en) Retractable rod and tent
CN202588579U (zh) 伞布可倾斜的遮阳伞
CN102011921A (zh) 三脚架
KR200409540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