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0089A -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0089A
KR20040080089A KR1020030014934A KR20030014934A KR20040080089A KR 20040080089 A KR20040080089 A KR 20040080089A KR 1020030014934 A KR1020030014934 A KR 1020030014934A KR 20030014934 A KR20030014934 A KR 20030014934A KR 20040080089 A KR20040080089 A KR 20040080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unit
dust collecting
vacuum cleaner
handl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936B1 (ko
Inventor
하건호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4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9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수집하는 집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수집할 수 있는 집진유니트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니트(100)에서 후방에 성형되며, 일측에 착탈홈(122b)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수평면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리브(222,224)를 구성하는 전방연결부(220)와, 상기 전방연결부(220)에 부착되는 후방커버(260)와, 상기 전방연결부(220)와 후방커버(260)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착탈홈(122b)에 착탈가능한 지지돌기(244)가 형성되는 착탈부재(240)를 구비하는 손잡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본체 후방에 집진유니트가 설치되는 경우 진집유니트의 손잡이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보관시 청소기의 본체의 점유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2)와,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연결호스(4), 상기 연결호스(4)와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연장관(6), 그리고 상기 연장관(6)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본체(2)의 하측에는 한쌍의 바퀴(2a)가 설치되어 있어서, 청소기 본체(2)를 원하는 부분으로 이끌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소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흡입노즐(8)은 피청소면의 오염된 공기와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연장관(6) 및 연결호스(4)를 통하여 본체(2)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2) 내부에서는 필터링장치에 의하여 이물질은 필터링되어 일측에모이게 되고, 필터링된 공기는 내부의 모터를 방열시킨 후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를 세운 상태로 보관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진공청소기 본체의 저면(2b) 보다는 후면(2c)의 면적이 더 작기 때문에, 후면(2c)을 바닥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세워서 보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다른 청소기에 의하면, 진공청소기 본체(20)의 후방에 집진유니트(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집진유니트(10)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노즐(22)을 통하여 흡입되어, 연장관(24) 및 연결호스(26)를 통하여 진공청소기의 본체(20) 내부로 유입되면, 이물질만을 필터링한 후 깨끗한 공기를 본체(2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분이다.
즉, 상기 집진유니트(10)는, 흡입된 이물질을 모아두는 부분이다. 따라서 일정 시간 이상 청소기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집진유니트(10)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가득차게 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을 버릴 때, 사용자가 상기 집진유니트(10)를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12)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의 편의상 상기 손잡이(12)는, 집진유니트(10)의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집진유니트(10)가 본체(20)의 후방에 설치된 타입의 진공청소기에 있어서는, 상기 집진유니트(10)에서 후방으로 돌출 성형된 손잡이(12)에 의하여, 본체(20)를 세운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본체(20)의 저면이 바닥면을 향한 상태로 보관할 수 밖에 없는데 이렇게 되면, 보관 공간의 점유가 많아져서 불편한 단점이 지적될 수 밖에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유니트가 청소기의 본체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도, 본체를 세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진공청소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집진유니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집진유니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집진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집진유니트의 변화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집진유니트 110 ..... 커버
112 ..... 필터 114 ..... 집진통
122,124 ..... 지지부 200 ..... 손잡이
220 ..... 전방연결부 222,224 ..... 연결리브
240 ..... 착탈부재 242 ..... 버튼
260 ..... 후방커버 262 ..... 버튼삽입홈
264 ..... 힌지공 280 .....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수집할 수 있는 집진유니트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니트에서 후방에 성형되며, 일측에 착탈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수평면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리브를 구성하는 전방연결부와, 상기 전방연결부에 부착되는 후방커버와,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커버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착탈홈에 착탈가능한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착탈부재를 구비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집진유니트의 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집진유니트에 근접하게 젖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유니트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를, 일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접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를 후면을 기준으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보관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한 집진유니트(100)는, 이물질을 수집하는 집진통(114)과, 상기 집진통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110), 그리고 상기 커버(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집진유니트(100)는, 진공청소기의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집진통(114)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싸이클론 집진 방식에 의하여 필터링한 후, 상기 집진통(114)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모이게 되는 구성예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 이외에도, 다른 필터에 의한 집진방식을 적용하는 집진유니트(100)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집진유니트(100)는, 종래의 기술을 보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 본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집진유니트(100)에는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손잡이(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통(114)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거나, 집진통(114) 이외에도 커버(1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집진유니트(100)의 후방에 설치되는 손잡이(200)는, 실질적으로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 본체를 후면을 기준으로 세울 때에는, 상기 손잡이(200)를 좌우의 일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손잡이(200)가 후방으로 돌출하지 않고 일측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렇게 손잡이(200)가 일측으로 젖혀진 상태는, 상기 손잡이(200)가 집진유니트(100)에 거의 근접한 상태 또는 접촉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가 도 6에 도시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유니트(100)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는 손잡이(200)를 좌우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진공청소기 본체를 후면을 기준으로 세울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상기 집진통(114)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부(122,124)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집진통(114)의 상부에는 한쌍으로 형성된 두개의 지지부(122)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며 돌출된다. 그리고 집진통(114)의 하부에는 하나의 지지부(124)가 상부 지지부(122)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으로 형성된 상부 지지부(122)의 후면과 측면에는 후술하는 착탈부재(240)의 지지돌기(244)가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도록 착탈홈(12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00)는 상기 집진통(114)의 지지부(122,124)와 연결되는 연결리브(222,224)가 일체로 성형된 전방연결부(220)와, 상기 전방연결부(220)와 결합하여 손잡이(200)를 형성하는 후방커버(260), 그리고 상기 전방연결부(220)와 후방커버(260)의 사이에 삽입되어 손잡이(200)를 좌우 일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착탈부재(240)로 구성된다.
상기 착탈부재(240)의 버튼부(242)가 상기 후방커버(260)의 버튼삽입홈(262)에 삽입된 상태로 후방커버(260)의 상단부가 상기 전방연결부(220)의 상단부에 올려진 상태로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전방연결부(220)와 후방커버(260)의 결합은 나사 등의 부품을 별도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외에 여러가지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부(220)의 연결리브(222,224)는 전방연결부(220)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집진통(114)에 형성된 지지부(122,124)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전방연결부(220)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리브(222)는 3부분이 돌출되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그리고 전방연결부(22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리브(224)는 2부분이 한쌍으로 상기 상부 연결리브(222)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연결부(220)로 돌출된 연결리브(222)는 상기 집진통(114)에 돌출 성형된 지지부(122,124)와 서로 결합한다. 즉 한 쌍의 상부 지지부(122)는 3부분으로 구성된 연결리브(222)의 사이에 삽입되며, 하부 지지부(124)는 2부분으로 구성된 연결리브(224)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리브의 결합시 두 부분의 사이에는 일정하게 간격이 형성되어 착탈이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200)는, 상기 지지부(122,124)와 연결리브(222,224)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집진유니트(100)의 후방에서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힌지연결을 위한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전방연결부(220)의 연결리브(222)에 힌지공(222a,224a)이 형성되며, 후방커버(260)의 상단에 또한 힌지공(264)이 성형된다. 그리고 집진유니트(100)의 지지부(122,124)에도 힌지공(122a,12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힌지축(270a,270b)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부품의 힌지공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200)는 집진유니트(10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이외에도, 상기 손잡이(200)를 집진유니트(10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하는 구성에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을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힌지축(270a,270b)을, 손잡이(200)의 연결리브(222,224)에 형성하거나 지지부(122,124)에 형성하여 대응하는 지지부 또는 연결리브의 힌지공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힌지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200)를 좌우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함으로써, 진공청소기 본체를 후면을 기준으로 세울 때, 상기 손잡이(200)를 일측으로 회동시켜서 집진유니트(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진공청소기 본체를 세울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 손잡이(200)가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 또는 일측으로 회동하여 젖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00)의 전방연결부(220)와 후방커버(260)의 내부에는 착탈부재(2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착탈부재(240)는 상단에 일체로 버튼부(242)가 형성되고 상측면에는 한쌍의 지지돌기(244)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244)는 상기 지지부(122,124)와 연결리브(222,224)가 서로 결합된 후 한쌍의 지지부(122)에 형성된 착탈홈(122b)에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착탈홈(122b)에 상기 지지돌기(244)가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200)는 좌우로 회동할 수 없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부재(240)가 상기 전방연결부(220)와 후방커버(260)의 사이에서 일정한 탄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착탈부재(240)와 후방커버(260)의 사이에 스프링(280)이 결합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재(240)에 형성된 돌기(246)와 후방커버(260) 형성된 지지축(266)의 사이에 스프링(280)이 삽입되어 상기 착탈부재(240)는 탄성을 가지면서 상하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00)를 90도 회전시키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착탈부재(240)에 형성된 버튼부(242)를 눌러 착탈부재(240)를 하부로 이동시키며, 이때 상기 지지돌기(244)는 착탈홈(122b)으로 부터 이탈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버튼(242)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고, 지지돌기(244)가 지지부(122)의 측면에 형성된 착탈홈(122b)에 도달하면 착탈부재(24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는 상기 지지돌기(244)가 상기 측부에 형성된 착탈홈(122b)에 결합되어 손잡이(200)는 90도로 회전되어 고정된다. 90도로 회전되어 고정된 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유니트(100)와 손잡이(200)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00) 내부에는 먼지 및 이물질이 수집되고 있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에서 집진유니트(100)를 분리하여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버려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00)를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즉 힌지축(250)을 기준으로 손잡이(200)를 직후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지지돌기(244)가 직후방의 착탈홈(122b)에 끼워진다.
이 때 상기 지지돌기(244)가 착탈홈(112b)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토션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하여, 상기 착탈홈(112b)에 끼워질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별도의 외력 없이 고정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끝난 후, 진공청소기를 후면을 기준으로 세워서 보관하는 것이 편리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 때에는, 상기 착탈부재(240)의 버튼(242)을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지지돌기(244)가 착탈홈(122b)에서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200)는 힌지축(270a,270b)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손잡이(200)를 일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착탈부재(240)의 지지돌기(244)는 지지부(12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홈(122b)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손잡이(200)는 집진유니트(100)에 대하여 거의 직각에 가까운 각도를 가지고 일측으로 회동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00)는 집진유니트(100)의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가 아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진공청소기의 본체를, 그 후면을 기준으로 충분히 세워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200)를 집진유니트(10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손잡이(200)가 일측으로 회동한 상태 또는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손잡이는, 집진유니트의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 또는 일측으로 젖혀져서 후방으로 돌출하지 않은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집진유니트를 청소기 본체서 후방으로 분리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후방으로 돌출 시킨 상태로 하여 사용하고, 진공청소기 본체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일측으로 젖힘으로써, 진공청소기 본체를 후면을 기준으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수집할 수 있는 집진유니트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니트에서 후방에 성형되며, 일측에 착탈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수평면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리브를 구성하는 전방연결부와, 상기 전방연결부에 부착되는 후방커버와,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커버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착탈홈에 착탈가능한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착탈부재를 구비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집진유니트의 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집진유니트에 근접하게 젖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20030014934A 2003-03-10 2003-03-10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548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934A KR100548936B1 (ko) 2003-03-10 2003-03-10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934A KR100548936B1 (ko) 2003-03-10 2003-03-10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089A true KR20040080089A (ko) 2004-09-18
KR100548936B1 KR100548936B1 (ko) 2006-02-02

Family

ID=3736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934A KR100548936B1 (ko) 2003-03-10 2003-03-10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9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8936B1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008B2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EP2389849A2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hand-held cleaner having the same
US20080263813A1 (en) Vacuum cleaner for using as both canister form and stick form
KR20060068792A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US8220108B2 (en) Cleaner apparatus
KR101187077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2005006691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KR100968335B1 (ko) 청소기
JP2019170664A (ja) 集塵装置
KR100548936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578337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US7571512B2 (en) Vacuum cleaner
KR100583976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JP2006280424A (ja) 電気掃除機
TWI825624B (zh) 清掃機
KR101153204B1 (ko) 먼지수집봉투 및 먼지수집통을 선택 사용할 수 있는진공청소기
KR2005010855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7291574B2 (ja) 電気掃除機用の吸引ノズ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0353554Y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299426B1 (ko) 진공청소기용보조브러쉬홀더
KR100598899B1 (ko) 핸디형 청소기의 필터 어셈블리
KR101052170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JPH114786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KR200344840Y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고정구조
KR20230086156A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