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473A -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473A
KR20040079473A KR1020030014276A KR20030014276A KR20040079473A KR 20040079473 A KR20040079473 A KR 20040079473A KR 1020030014276 A KR1020030014276 A KR 1020030014276A KR 20030014276 A KR20030014276 A KR 20030014276A KR 20040079473 A KR20040079473 A KR 20040079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interface
audio signal
networ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9473A/ko
Publication of KR20040079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4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5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72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sonic detecting means, e.g. a microphone operating in the audio frequency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이 개시된다. 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외부통신 네트워크와 홈네트워크간의 네트워크 정합을 수행하며, 외부통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홈네트워크와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기저장된 기준 오디오신호와 홈네트워크가 설치된 홈내외에서 발생하는 오디오신호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하는 오디오변환 검출부, 및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홈내외의 오디오신호의 변환여부에 기초하여 홈내외의 보안상태의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범죄나 재난 등의 발생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Home network system capable of inspecting the security condition of the ho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내외에서 발생하는 오디오신호의 변화를 검출하여,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home)에 설치되는 홈네트워크 (home network)와 외부 통신네트워크간의 네트워크 정합을 수행함으로써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하며, 이러한 네트워크화를 통해 가정내 정보자원의 공유와 개별 제품들의 효용을 극대화 시킨다.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홈기기에는, 퍼스널 컴퓨터, 팩스, 스캐너, 프린터 등과 같은 정보계 기기, TV, 셋탑박스, DVD, VCR, 오디오, 캠코더, 가정용 게임기 등과 같은 A/V 기기, 커피메이커, 전기밥솥,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카메라 등과 같은 제어계기기, 및 리모콘, 인터폰, 센서, 라이트 등과 같은 더미기기등이 있다. 이러한 홈기기들은 각각의 카테고리에 따라 전화선,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또는 전력선 등과 같은 서브망에 연결된다.
도 1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10)은, 제어부(12), 유선통신망 인터페이스부(14), 방송망 인터페이스부(Broadcasting interface part)(16), AC/DC 변환부(18), 메모리부(20), 비디오 프로세서부(22), 오디오 프로세서부(24), 유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 무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 I/O 인터페이스부(34), AV 인터페이스부(Audiovisual interface part)(36), 홈오토메이션 인터페이스부(38), 카메라 인터페이스부(Camera interface part)(40), 및 마이크 인터페이스부(Microphone interface part)(42)로 구성된다.
유선통신망 인터페이스부(14)와 방송망 인터페이스부(16)는 유선통신망이나 방송망 등의 외부통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AC/DC 변환부(18)는 외부의 AC 전원을 홈네트워크 시스템(10) 내부에서 사용되는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비디오 프로세서부(22) 및 오디오 프로세서부(24)는 각각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유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 무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 I/O 인터페이스부(34), AV 인터페이스부(Audiovisual interface part)(36), 홈오토메이션 인터페이스부(38), 카메라 인터페이스부(Camera interface part)(40), 및 마이크 인터페이스부(Microphone interface part)(42)는 홈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홈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유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는 USB, IEEE1394 등의 서브망에 접속된 홈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무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는 무선랜, 블루투스 등의 무선네트워크에 접속된 홈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O 인터페이스부(34)는 RS-232C, PCMCIA 카드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AV 인터페이스부(36)는 TV, VCR 등의 AV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홈오토메이션 인터페이스부(38)는 다양한 홈오토메이션 관련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부(40)는 현관에 설치되는 도어폰(door phone)의 카메라와, 홈내에 설치되는 감시용 카메라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마이크 인터페이스부(42)는 도어폰 등에 설치되는 마이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한 각부는 시스템버스(28)를 통해 접속되며, 제어부(12)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메모리부(20)에는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10)은 전자무인경비, 홈오토메이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그런데, 홈네트워크 시스템(10)을 홈내의 보안상태를 점검하는 보안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경우, 종래에는 카메라 등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근거하여 무단칩입자의 존재나 화재 등의 재해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점검할 수 있는 영역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홈내의 모든 구역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카메라를 여러대 설치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또한, 여러대의 카메라를 설치하더라도 눈에 잘 띄는 카메라는 무단침입자 등에 의해 쉽게 훼손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카메라를 통한보안시스템의 구축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카메라를 통한 영상신호이외에 다른 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홈내의 보안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외에 오디오신호의 변화에 의해서도 홈내의 보안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오디오변환 검출부의 상세 블럭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망구성도의 일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홈네트워크 시스템 120 : 제어부
140 : 유선통신망 인터페이스부 160 : 방송망 인터페이스부
180 : AC/DC 변환부 200 : 메모리부
220 : 비디오 프로세서부 240 : 오디오 프로세서부
260 : 오디오변환 검출부 300 : 유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320 : 무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340 : I/O 인터페이스부
360 : AV 인터페이스부 380 : 홈오토메이션 인터페이스부
400 :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420 : 내부마이크 인터페이스부
440 : 외부마이크 인터페이스부 460 : 벽충격 감지센서 인터페이스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외부통신 네트워크와 홈네트워크간의 네트워크 정합을 수행하며, 상기 외부통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홈네트워크와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기저장된 기준 오디오신호와 상기 홈네트워크가 설치된 홈내외에서 발생하는 오디오신호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하는 오디오변환 검출부, 및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변환 검출부는, 상기 홈내에서 보안의 이상이 없는 경우 발생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기준 오디오신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디오변환 검출부는, 상기 홈내외의 소정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내부마이크 및 외부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필터링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신호 입력부,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및 상기 기준 오디오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디오신호 저장부,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 오디오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하는 오디오신호 처리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부는, 상기 내부마이크 및 외부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각각 필터링 및 증폭하는 필터/증폭부, 및 상기 필터/증폭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디오신호 처리부는, 상기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는 DSP, 및 상기 DSP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DSP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유선접근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선통신망 인터페이스부, 및 방송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송망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유선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선네트워트 인터페이스부, 무선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I/O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I/O 인터페이스부, AV 홈기기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AV 인터페이스부, 홈오토메이션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홈오토메이션 인터페이스부, 상기 홈내외에 설치되는 카메라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상기 내부마이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내부마이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마이크와의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마이크 인터페이스부, 및 벽 충격 여부를 감지하는 벽충격 센서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병충격 감지 센서 인터페이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내부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AC/DC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방법은, 외부통신 네트워크와 홈네트워크간의 네트워크 정합을 수행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기준값으로 사용되는 기준 오디오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홈네트워크가 설치된 홈내외에서 발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기준 오디오신호와 비교하는 단계,및 상기 비교 단계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홈내외에서 보안의 이상이 없는 경우 발생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기준 오디오신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은, 제어부(120), 유선통신망 인터페이스부(140), 방송망 인터페이스부(160), AC/DC 변환부(180), 메모리부(200), 비디오 프로세서부 (220), 오디오 프로세서부(240), 오디오변환 검출부(260), 유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0), 무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 I/O 인터페이스부(340), AV 인터페이스부(360), 홈오토메이션 인터페이스부(380), 카메라 인터페이스부(400), 내부마이크 인터페이스부(420), 외부 마이크 인터페이스부(440), 및 벽충격 감지센서 인터페이스부(460)로 구성된다.
유선통신망 인터페이스부(140) 및 방송망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통신 네트워트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유선통신망 인터페이스부(140)는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wired access netwotk)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방송망 인터페이스부(160)는 지상파방송, 위성방송, 케이블방송 등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AC/DC 변환부(180)는 외부의 AC 전원을 변환하여 홈네트워크 시스템(100)내에서 필요한 DC 전원을 공급한다. 비디오 프로세서부(220)는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 H.26X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며, 오디오 프로세서부(240)는 오디오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오디오변환 검출부(260)는 기저장된 오디오신호와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비교하여, 홈내의 보안상태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한다. 오디오변환 검출부(26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유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0), 무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20), I/O 인터페이스부(340), AV 인터페이스부(360), 홈오토메이션 인터페이스부(380), 카메라 인터페이스부(400), 내부 마이크 인터페이스부(420), 외부 마이크 인터페이스부(440), 및 벽충격 감지센서 인터페이스부(460)는 홈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유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0)는 USB, IEEE 1394, HomePNA, PLC, 인더넷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무선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320)는 무선랜, 블루투스, UWB 등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O 인터페이스부(340)는 RS-232C,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face Association), 적외선 통신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AV 인터페이스부(360)는 TV, VCR, DVD 플레이어 등의 AV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홈오토메이션 인터페이스부(380)는 홈오토메이션 관련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400)는 홈내에 설치되는 감시용 카메라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내부 마이크 인터페이스부(420)과 외부 마이크 인터페이스부(440)는 홈내외에 설치되는 마이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내의 보안점검을 위해, 홈내의 각 방마다 내부마이크(미도시)가 설치되며, 홈내외의 오디오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홈외에 외부마이크(미도시)가 설치된다.
벽충격 감지센서 인터페이스부(460)는 벽충격 감지센서(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벽충격 감지센서(미도시)는 벽을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센서이다.
상기한 각부는 시스템버스(280)를 통해 접속되어, 필요한 데이터 및 제어신호 등이 송수신되며, 제어부(120)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은 메모리부(200)에 저장된다. 메모리부(200)는 HDD(Hard Disk Drive), DVD ROM, 메모리 스틱, E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DRAM(Synchronous 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오디오 변화 검출부(260)의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오디오변환 검출부(260)는 전원공급부 A(261), 필터/증폭부 A(263), 오디오 코덱 A(265), 전원공급부 B(267), 필터/증폭부 B(269), 오디오 코덱 B(271), 벽충격감지 버퍼부(273), DSP(275), 오디오 코덱 C(277), DSP 메모리부(279), 및 오디오 메모리부(280)로 구성된다.
오디오 메모리부(280)는 오디오변환 메모리부(281), 벽충격감지 메모리부(282), 정규오디오 메모리부(283), 외부오디오 입력메모리부(284), 내부 오디오 입력메모리부(285), 정규참조 메모리부(286), 및 비정규참조 메모리부(287)로 구성된다. 전원공급부 A(261) 및 전원공급부 B(267)는 각각 홈내외에 설치되는 내부 마이크 및 외부마이크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필터/증폭부 A(263) 및 필터/증폭부 B(269)는 각각 내부마이크 및 외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한다. 오디오 코덱 A(265) 및 오디오 코덱 B(271)은 각각 필터/증폭부 A(263) 및 필터/증폭부 B(269)를 통과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형태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DSP(275)에 전달한다
벽충격 감지 버퍼부(273)는 벽충격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버퍼링하여 DSP(275)에 전달한다. DSP(275)는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고, 그밖에 오디오신호의 변환을 검출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처리를 담당하며, 오디오신호의 변환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120)에 통보한다.
오디오 코덱 C(277)는 DSP(275)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화하여 오디오프로세서부(240)로 전달한다. 오디오 메모리부 (280)의 오디오변환 메모리부(281)는 오디오 변화된 신호를 저장하며, 벽충격감지 메모리부(282)는 벽충격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저장한다. 정규오디오 메모리부(283)는 정규 오디오신호를 설정시간 동안 저장한다.
외부오디오 입력메모리부(284)는 외부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DSP(275)의 분석이 끝날때까지 임시 저장하며, 내부오디오 입력메모리부(285)는 홈내에 설치된 내부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DSP(275)의 분석이 끝날때까지 임시 저장한다.
정규참조 메모리부(286) 및 비정규참조 메모리부(287)는 오디오변환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값으로 사용되는 정규 오디오신호 및 비정규 오디오신호가 각각 저장된다.
도 4 내지 도 6는 도 2의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4의 흐름도는, 정규참조 메모리부(286)에 저장되어 기준값으로 사용되는 정규 오디오신호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흐름도를 참조하면, 먼저 홈내의 각방이나 기타 구역에 설치되는 내부마이크를 통해 보안이 이상없는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입력되는 정규 오디오신호를 정규참조 메모리부(286)에 저장하여 초기 기준값으로 사용한다(S600). 다음으로 정규오디오 메모리부(283)에 대한 기록카운터를 소정의 설정값으로 설정한다(S605). 기록카운터의 설정이 끝나면, 정규오디오 메모리부(283)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횟수가 기록카운터의 설정값발생할때까지 대기하고(S610,S615,S620), 이것이 끝나면, 정규오디오 메모리부 (283)에 각 뱅크별로 저장된 데이터값을 분석하여(S625), 중간값을 정규참조 메모리부(286)에 저장하여 기준값으로 사용한다(S63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주기적으로 정규참조 메모리부(286)에 저장되는 기준값이 재설정된다.
도 5의 흐름도는, 비정규참조 메모리부(287)에 저장되어 기준값으로 사용되는 비정규 오디오신호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흐름도를 참조하면, 내부 마이크를 통해, CASE 1 부터 CASE M 까지 설정된 비정규 오디오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비정규 오디오신호를 각각 비정규참조 메모리부(287)에 저장하여 비정규 오디오신호에 대한 기준값으로 사용한다. 비정규 오디오신호는 전화벨, 현관벨 등 오디오신호의 변환은 있으나, 보안상태의 이상여부와는 관계없는 오디오신호로서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흐름도를 참조하면, 먼저 동일구역내에 설치되는 내부마이크와 외부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각각 내부오디오 입력메모리부(285) 및 외부오디오 입력 메모리부(284)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한다(S700). 비교결과, 주파수변화가 같고, 크기가 소정 오차범위이내이면 벽의 일부가 파괴되는 등의 벽에 이상이 생긴것으로 판단한다(S705,S710).
이와 달리, 주파수변화가 같지 않거나, 주파수가 변화가 같더라도 크기가 오차 범위 이상이면, 내부오디오 입력메모리부(285)에 저장된 데이터와 정규참조 메모리부(286)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한다(S705, S710, S715). 비교결과, 오차범위 이내이면 오디오신호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내부오디오 입력메모리부 (285)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규오디오 메모리부(283)에 저장하고 종료한다(S720, S725).
이와 달리, 오차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내부오디오 입력메모리부(285)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정규참조 메모리부(287)에 저장된 CASE 1 ~ CASE M 까지의 비정규신호와 비교하여(S730), 발생한 오디오신호가 비정규 오디오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설정된 CASE 1 부터 CASE M 까지 중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비정규 오디오신호인 경우에는, 그 발생시간 관련정보를 저장하고, 종료한다(S735, S740). 저장된 발생시간 등의 정보는 필요시 인출되어 사용된다.
설정된 CASE 1 부터 CASE M 까지 중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일구역에서 벽충격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745). 벽충격 신호가 아니거나 벽충격 범위 이상이라면, 내부오디오 입력메모리부(285)에 저장된 데이터를 오디오 변화 메모리부(281)에 저장한다(S755). 연속하여 오디오신호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오디오신호의 변환이 감지된 것을 제어부(120)에 통보하고(S765), 영상정보, 오디오신호 정보 등의 관련정보를 저장한다(S770). 그리고, 저장된 관련정보를 경비실이나, 경찰서 파출서 등의 주요기관헤 전송한다(S775).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홈내외의 보안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통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사용한 망구성도이다.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은 외부통신 네트워크(800)를 통해 경비실이나 보안회사 등의 보안시스템(900), 및 경찰서나 소방서 등의 주요기관의 시스템(950)에 접속된다. 홈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음성신호의 변환을 검출하여 보안상태에 이상이 있음을 검출하는 경우, 이를 외부통신 네트워크(800)를 통해 보안시스템(900)이나 주요기관 시스템(950)에 자동으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홈내에 무단칩입자 등이 존재하거나 화재 등의 긴급재난 등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홈내외의 오디오신호의 변환을 검출하여 홈내의 보안상태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출된 보안상태의 이상여부에 대한 관련정보는, 외부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경비실, 보안회사, 주요기관 등에 전달되어, 홈내에서 발생하는 범죄나 재난 등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외부통신 네트워크와 홈네트워크간의 네트워크 정합을 수행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통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홈네트워크와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홈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기저장된 기준 오디오신호와 상기 홈네트워크가 설치된 홈내외에서 발생하는 오디오신호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하는 오디오변환 검출부; 및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변환 검출부는, 상기 홈내외에서 보안의 이상이 없는 경우 발생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기준 오디오신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변환 검출부는,
    상기 홈내외의 소정구역에 각각 설치되는 내부마이크 및 외부마이트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필터링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신호 입력부;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및 상기 기준 오디오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디오신호 저장부; 및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 오디오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하는 오디오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부는,
    상기 내부마이크 및 외부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각각 필터링 및 증폭하는 필터/증폭부; 및
    상기 필터/증폭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 처리부는,
    상기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신호처리하는 DSP; 및
    상기 DSP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DSP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유선접근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선통신망 인터페이스부; 및
    방송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송망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유선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선네트워트 인터페이스부;
    무선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무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I/O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I/O 인터페이스부;
    AV 홈기기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AV 인터페이스부;
    홈오토메이션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홈오토메이션 인터페이스부;
    상기 홈내외에 설치되는 카메라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상기 내부마이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내부마이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마이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마이크 인터페이스부; 및
    벽 충격 여부를 감지하는 벽충격 센서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병충격 감지 센서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내부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AC/DC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9. 외부통신 네트워크와 홈네트워크간의 네트워크 정합을 수행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기준값으로 사용되는 기준 오디오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홈네트워크가 설치된 홈내외에서 발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기준 오디오신호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홈내외에서 보안의 이상이 없는 경우 발생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기준 오디오신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방법.
KR1020030014276A 2003-03-07 2003-03-07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KR20040079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276A KR20040079473A (ko) 2003-03-07 2003-03-07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276A KR20040079473A (ko) 2003-03-07 2003-03-07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473A true KR20040079473A (ko) 2004-09-16

Family

ID=3736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276A KR20040079473A (ko) 2003-03-07 2003-03-07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94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898B1 (ko) * 2006-04-26 2007-09-04 홍상기 유, 무선 통신을 통해 음성통화 및 영상전송이 가능한비상호출 시스템
KR100809537B1 (ko) * 2005-07-29 2008-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380A (ko) * 1994-10-27 1996-05-22 구자홍 무선 전화기의 집안 자동점검방법
JPH08329373A (ja) * 1995-05-29 1996-12-13 Yamato Protec Co セキュリティ方法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H09138894A (ja) * 1995-11-14 1997-05-27 Neikusu:Kk 防犯防災装置
JPH10283577A (ja) * 1997-03-31 1998-10-23 Denso Corp 侵入検出装置
KR20000002374U (ko) * 1998-07-03 2000-02-07 서평원 전화기에서의 룸 모니터링 장치
JP2000268265A (ja) * 1999-03-15 2000-09-29 Chuo Joho Kaihatsu Kk マイクを使用した監視装置
KR20020032164A (ko) * 2000-10-26 2002-05-03 김대위 인터넷을 이용한 주택의 원격감시제어 장치
JP2002312860A (ja) * 2001-04-17 2002-10-25 Nec Corp 異常状態確認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380A (ko) * 1994-10-27 1996-05-22 구자홍 무선 전화기의 집안 자동점검방법
JPH08329373A (ja) * 1995-05-29 1996-12-13 Yamato Protec Co セキュリティ方法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H09138894A (ja) * 1995-11-14 1997-05-27 Neikusu:Kk 防犯防災装置
JPH10283577A (ja) * 1997-03-31 1998-10-23 Denso Corp 侵入検出装置
KR20000002374U (ko) * 1998-07-03 2000-02-07 서평원 전화기에서의 룸 모니터링 장치
JP2000268265A (ja) * 1999-03-15 2000-09-29 Chuo Joho Kaihatsu Kk マイクを使用した監視装置
KR20020032164A (ko) * 2000-10-26 2002-05-03 김대위 인터넷을 이용한 주택의 원격감시제어 장치
JP2002312860A (ja) * 2001-04-17 2002-10-25 Nec Corp 異常状態確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537B1 (ko) * 2005-07-29 2008-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100754898B1 (ko) * 2006-04-26 2007-09-04 홍상기 유, 무선 통신을 통해 음성통화 및 영상전송이 가능한비상호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7389B2 (en) Audio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009609A1 (en) Video door monitor using smarttv with voice wakeup
KR10122088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 관제 시스템
JP438025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105408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remote presence security
US20160269691A1 (en) System for monitoring door using door phone
WO2003049379A1 (en) Internet-based home automation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125678A1 (en) Electronic device and related method for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KR20040079473A (ko) 홈내외의 보안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CN111435562A (zh) 处理环境射频数据以用于活动识别的方法
US20050071883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99505A (ko) Dvr을 이용한 제어기기
KR101561946B1 (ko) 실시간 지능형 보안 감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2653821Y (zh) 门禁视讯保安系统
KR100549214B1 (ko)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351090B1 (ko) 아날로그/디지털정보 변환기능을 갖춘 홈오토메이션 관리시스템
KR200366600Y1 (ko) 보안용 도어락 시스템
KR20060009887A (ko)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상의 키를 재 매핑함으로써 외부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970003277Y1 (ko) 무인 경비 시스템
KR102212531B1 (ko) Lte 및 5g망과 연동되는 로비폰과 스마트폰의 연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783896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방범 방법, 방범 장치 및 방범 시스템
KR20080016164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원격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265738B1 (ko) 가전기기제어기능을가지는셋탑박스
KR200326378Y1 (ko) 집단 방범 시스템
KR20090100138A (ko) 디지털 보안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