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277Y1 - 무인 경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경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277Y1
KR970003277Y1 KR2019940037343U KR19940037343U KR970003277Y1 KR 970003277 Y1 KR970003277 Y1 KR 970003277Y1 KR 2019940037343 U KR2019940037343 U KR 2019940037343U KR 19940037343 U KR19940037343 U KR 19940037343U KR 970003277 Y1 KR970003277 Y1 KR 970003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signal
receiving
imag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7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681U (ko
Inventor
류길환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37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277Y1/ko
Publication of KR960024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2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무인 경비 시스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 경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지수단 11 : 적외선 센서
12 : 마그네틱 센서 20 : 감시수단
30 : 전송수단 40 : 수신수단
50 : 모니터 60 : 영상녹화수단
본 고안은 무인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할 곳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감시장소에 외인이 출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공중전화교활망(PSTN)망을 통해 집 등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여 무인 점포의 관리, 홈 오토메이션 또는 공장 자동화시 설비 모니터링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무인 경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영상 및 음성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센서 인터페이스 없이 외인이 들어오거나 이상 발생시 정해진 키를 입력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전화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없고 벽도의 선로를 구성해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아울러 감시요원이 항상 상주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편, 일정한 장소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기 보급되어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가까운 장소, 예를들어 한 건물내 수위실이나 별도의 감시실을 구성하여 항상 사람이 모니터링 해야 하는 점과 이 역시도 시스템의 설치장소(감시장소)와 모니터링 장소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일반전화망을 이용하지 못하는 관계로 별도의 선로를 설치해야 하고, 아울러 설치비용이 많이 든다는 결정적이 단점이 있어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경비 장소 또는 관리 장소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적용될 수 있는 무인 경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은 감시장소에 설치되어 문이 열리는 것과 움직이는 물체를 센싱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입력 신호를 인터펭스하여 다음 감시수단에 동작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지정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감시장소의 발생음은 입력받고 상기 감시수단의 영상신호를 압축하여 PSTN망을 통해 모니터링장소에 출력하는 전송수단과, 상기 전송수단의 동작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감시장소를 연속 촬영하는 감시수단과, 상기 전송수단의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되며, 입력되는 영상은 복조하여 다음 모니터로 출력하고 음성은 내장 스피커와 수화기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의 복조된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에 재생하는 모니터로 구성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시스템은 모니터에 영상녹화수단, 예를 들어 비디오테입레코더(VCR 또는 비디오 램)을 연결 구성하여 감시장소의 영상을 녹화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시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경비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감지수단(10)은 감시장소의 물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적외선 센서(11)와, 감시장소의 출입문, 창문 및 셔터 등에 설치되어 문의 개폐를 센싱하는 마그네틱 센서(12)로 구성되며 이들 센서 모두는 전송수단(30)의 이터페이스 회로부에 연결되어 있다.
감시수단(20)은 전송수단(30)의 인터페이스 회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수단(10) 센싱 신호의 전송수단(30)입력에 따른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바로 작동되는 것으로, 무인 자동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송수단(30)은 감지수단(10)과 감시수단(20)이 연결된 특수 기능을 가진 전화기로, 인터페이스 회로에 입력되는 감지수단(10)의 신호에 의해 지정된 전화번호를 다이얼함과 동시에 감시수단(20)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감시수단(20)의 영상자료를 입력받아 압축하여 PSTN망을 통하여 출력하며, 아울러 감시장소의 발생음을 내장 마이크(도면에는 미도시)로 입력받아 출력하게 된다. 즉, 전송수단(30)은 PSTN망을 통하여 수신수단(40)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영상은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방식으로 압축하여 팩스용 모뎀(9600bps)으로 전송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수단(40)은 전송수단(30)의 다이얼링에 의해 작동되는 특수 기능이 있는 전화기로, 입력되는 음성과 영상을 음성/영상 네트워크에서 입력받아 내장 스피커 또는 수화기를 통해 외부 출력하고, 영상은 영상복조회로에서 복조시킨 후 모니터(50)에 출력한다.
상기의 전송수단(30)과 수신수단(40)에는 본 발명 시스템을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시키는 모니터링 키(도면에는 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50)는 상기 수신수단(40)의 음성/영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수신수단(40)의 동작시에 동시에 온되며, 복조된 영상을 화면 출력한다. 영상녹화수단(60), 예를 들어 비디오테잎레코더 또는 비디오 램 등은 모니터(50)에 연결하여 영상이 녹화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모니터(50)와 영상녹화수단(60)은 수신수단(40)이 전송수단(30)에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지정번호를 다이얼하여 작동하면 바로 구동되도록 스위치를 구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송수단(30) 및 수신수단(40)의 수화기를 들고 모니터링 키를 누른 후 수화기를 놓아 시스템을 스탠바이 상태(대기상태)가 되게 한다.
스탠바이 상태 시스템은 감시장소에 문이 열리거나 창문이 열리게 되면 감지수단(10)의 마그네트 센서(12)가 이를 센싱하여, 이 신호가 전송수단(30)에 입력되고, 만약 외인이 감시장소의 벽을 헐고 들어오게 되면 적외선 센서(11)가 물체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그 신호가 전송수단(30)에 입력되게 된다.
이때에 전송수단(30)은 감지수단(10)의 신호 입력이 있으며 이를 인터페이스 회로가 감지하여 감시수단(30), 즉 무인 자동 카메라의 작동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기 지정된 모니터링 장소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수신수단(40)을 온시키면, 수신수단(40)은 온되면서, 모니터에 온신호를 출력하여 모니터(50)가 작동하게 된다.
이렇게 수신측이 온되면, 2차적으로 감시수단(20)에서 감시장소를 찍은 영상은 전송수단(30)의 영상압축회로에서, 압축되고 전송수단(30)의 내장 마이크에서 발생음을 입력받아 영상과 음성을 자체 전송회로 및 PSTN망을 통해 수신수단(40)으로 연속적으로 전송하게 되고, 수신수단(40)은 전송된 음성과 영상을 음성/영상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받아 음성은 내장 스피커나 수화기를 통해 외부 출력하고, 영상은 영상복조회로를 거쳐 모니터(50)로 출력 화면에 재생시키게 된다.
아울러, 모니터(50)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영상녹화수단(60)에 의해 녹화되게 된다.
따라서, 감시하고자 하는 장소에 이상이 발생하면 바로 원하는 곳에서 감시장소의 화면 및 발생음을 모니터링 및 청취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고안은 감시장소의 상태를 거리에 관계없이 별도의 선로를 설치하지 아니하고도 PSTN망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7)

  1. 감시장소에 설치되어 문이 열리는 것과 움직이는 물체를 센싱하는 감지수단(10)과, 상기 감지수단(10)의 입력 신호를 인터페이스하여 감시수단(20)의 동작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지정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감시장소의 발생음 입력받고 상기 감시수단(20)의 영상신호를 압축하여 PSTN망을 통해 모니터링 장소에 출력하는 전송수단(30)과, 상기 전송수단(30)의 동작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감시장소를 연속 촬영하는 감시수단(20)과, 상기 전송수단(30)의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되며, 입력되는 영상은 복조하여 다음 모니터(40)로 출력하고 음성은 내장 스피커와 수화기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수단(40)과, 상기 수신수단(40)의 복조된 영상을 입력받아 화면에 재생하는 모니터(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모니터(50)에 연결하여 영상이 녹화되는 영상녹화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녹화수단(60)은 비디오테입레코더(VCR)와 비디오 램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10)은 문에 열리는 것을 센싱하는 마그네틱 센서(12)와 물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적외선센서(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20)은 무인 자동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30)은 특수 기능을 가진 전화기로 감지수단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인터페이스 회로부와, 감시수단의 영상을 입력받아 압축하는 영상압축회로와, 변환디지털 신호에 따라 모니터링 장소에 전화를 다이얼링하고 압축영상과 내장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STN망을 통해 출력하는 전송회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40)은 특수 기능을 가진 전화기로, 전송수단(30)의 신호의 입력에 의해 "온"되어 압축영상과 음성신호를 입력 받게 되는 음성/영상 네트워크와, 입력 영상을 복조시켜 모니터로 출력시키는 영상복조회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경비 시스템.
KR2019940037343U 1994-12-29 1994-12-29 무인 경비 시스템 KR970003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343U KR970003277Y1 (ko) 1994-12-29 1994-12-29 무인 경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343U KR970003277Y1 (ko) 1994-12-29 1994-12-29 무인 경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681U KR960024681U (ko) 1996-07-22
KR970003277Y1 true KR970003277Y1 (ko) 1997-04-14

Family

ID=1940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7343U KR970003277Y1 (ko) 1994-12-29 1994-12-29 무인 경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2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31B1 (ko) * 2004-08-17 2006-05-03 (주)아이트로닉스 침입 감지 경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763A (ko) * 1997-01-14 1998-10-15 김광호 동화상단말기에서 감시 상황 전송 방법
KR100483456B1 (ko) * 2002-09-24 2005-04-15 학교법인 동원육영회 자기저항 센서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31B1 (ko) * 2004-08-17 2006-05-03 (주)아이트로닉스 침입 감지 경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681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3774B2 (en) Antitheft system with signals transmitted by mobile phone network
US5164979A (en) Security system using telephone lines to transmit video images to remote supervisory location
KR100491708B1 (ko) 원격지 전자동 무인 영상보안 관리시스템 및 침입자 대응프로그램
US6134303A (en) United home security system
CN201489650U (zh) 手机监控的居家安防系统
EP0789493A1 (en) Audio-video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cess to houses and the like
KR100313702B1 (ko) 감시시스템의영상저장장치
KR970003277Y1 (ko) 무인 경비 시스템
JPH11234432A (ja) 警備システム
KR20030012950A (ko) 인터넷-유,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네트워크 출입통제시스템
US20050071883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10019901A (ko) 부재중 방문자와 통화가능한 도어폰시스템
KR20010064587A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379866B1 (ko) 영상편집 기능을 가진 원격감시장치
KR19990053611A (ko) 가정자동화시스템의경보장치및방법
KR19980075548A (ko) 방범 장치
US6731208B1 (en) House intercom security system
KR20050005139A (ko) 양방향통신 시큐리티시스템
KR100495706B1 (ko)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JPH11328560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3134143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異常検出伝送装置
KR19990083803A (ko) 가정자동화시스템
KR200186166Y1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KR200301020Y1 (ko) 이동전화망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는 도난방지시스템
JPH03214995A (ja) ホームバ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