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70Y1 -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 - Google Patents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0Y1
KR200400770Y1 KR20-2005-0022806U KR20050022806U KR200400770Y1 KR 200400770 Y1 KR200400770 Y1 KR 200400770Y1 KR 20050022806 U KR20050022806 U KR 20050022806U KR 200400770 Y1 KR200400770 Y1 KR 200400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wage
anaerobic
sedimentation tank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주
Original Assignee
범우건설엔지니어링(주)
이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우건설엔지니어링(주), 이종주 filed Critical 범우건설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5-0022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6Recirculation with an external loop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 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1차 침전조, 포기조 및 2차 침전조로 구성된 기존의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를 리모델링함에 있어서, 상기 1차 침전조의 중앙에 이동가능한 캔바스 격벽을 설치하여 1차 침전조 내부를 혐기조와 무산소조로 분할·구획하며, 상기 혐기조에는 하수를 유입시키고, 상기 무산소조에는 혐기조에서 처리된 하수가 캔바스 격벽의 상단부와 좌우측 틈새를 통해 흘러들어가도록 한 1차 침전조; 상기 무산조에서 처리된 하수를 공급받아 포기시키며, 활성화 하수를 상기 2차 침전지로 공급하는 한편, 활성화 하수(MLSS) 일부를 내부반송 이동식 펌프를 통해 상기 무산소조로 반송시키는 포기조; 상기 2차 침전조의 중앙에 양 끝단이 2차 침전조의 측벽과 소정의 간격만큼 개방된 산화구 격벽을 설치하여 양측으로 구획하고, 그 산화구 격벽에 의해 구획된 2차 침전조의 일측 공간에 산화구 경사판 침전장치를 설치하여 슬러지의 침전을 유도하고, 산화구 격벽에 의해 구획된 타측 공간에 2차 침전조 내의 하수를 산화구 격벽의 길이방향으로 순환시키는 포기기를 설치한 2차 침전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 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Re-modelling of an Activated Sludge Treatment Plant for Treatment Capacity Expansion and Biological Nutrient Removal}
본 고안은 기존의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를 개선한 고도처리용 리모델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수처리에 주로 사용되는 활성슬러지법에 적용되는 기존 장치를 리모델링하여 하수처리용량을 2배로 증가시키고, 유기물 뿐만 아니라 인과 질소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 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 속에는 배설물, 가정에서 나오는 배출물 또는 빗물 등을 통해 지역의 자연환경에서 흘러드는 오탁물 등 여러 가지 물질이 있다. 이러한 오탁물질을 되도록 경제적이면서도 그 처리된 물이 자연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하수처리장에서 이루어지며, 처리된 물은 공공수역으로 배출되거나 재이용된다. 이러한 하수는 처리 정도에 따라 1차·2차·3차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1차 처리는 하수에 떠 있는 고형물이나 미세한 부유물, 유지(油脂)의 분리·제거를 목적으로 하며 "간이처리"라고도 한다. 하수 속으로 유입된 토사 등 비중이 무거운 입자를 침사지(沈沙池)에서 침전·분리한 다음, 부유성이 큰 쓰레기를 스크린(체의 일종)으로 제거한다.
1차 침전지에서는 하수 속의 부유물질이 침전·분리되어 한결 맑아지며, 이로써 BOD 25∼35%, 부유물질 30∼40%가 제거된다.
2차 처리는 1차 처리에 이어지며, 구체적 방법으로는 활성슬러지법이 주로 쓰인다. 이는 미생물이 하수 속의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안정시키는 작용을 이용한 방법이다.
활성슬러지법은, 에어레이션 탱크에 흘러든 하수가 반송된 활성슬러지와 혼화/포기시키기 위해 기계식 에어레이터를 사용하거나 압축공기 기포(氣泡)를 이용하기도 한다.
에어레이션 탱크 안의 혼합과 미생물 분해반응 시간은 약 6∼8시간 정도이며, 그 뒤 최종 침전지(2차 침전지)로 유입되면 활성오니를 침전·농축시켜 다시 에어레이션 탱크에 돌려보내고, 침전지의 상등수는 배수시킨다. 표준 활성슬러지법에서는 BOD가 85∼95%, 부유물질이 80∼90% 제거된다.
2차 처리의 중심이 되는 미생물 이용 처리법에는 이 밖에도 에어레이션 시간을 늘려 슬러지의 양을 줄이는 <장시간 에어레이션법(전산화법)>, 에어레이션 탱크의 깊이를 깊게 하여 탱크 설치부지의 면적을 줄이는 <딥 에어레이션법>, 수심을 50∼100m 늘려 하수와 활성슬러지의 혼합액이 철체 튜브 속을 강하·상승하는 동안 고농도로 산소용해시키는 <초심층(超深層) 에어레이션법>이 있으며, 공기에서 산소만 분리하여 에어레이션 탱크에 주입하는 <순산소 에어레이션법>, 수심 1∼2m 정도의 긴 원형 도랑을 에어레이션 부분으로 삼는 <산화구법> 등의 개량법도 있다.
3차 처리는 2차 처리보다 더 질소·인 등의 영양류 제거를 위한 처리법이며, "고도처리"라고도 한다. 생물학적으로 호기·무산소 반응을 통해 질화(窒化)·탈질화반응시키는 방법, 혐기성(嫌氣性)·호기성(好氣性) 반응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인(燐)의 제거능력을 높이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기존에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활성슬러지 공정에 적용되는 장치 및 공정을 도 1a 및 도 1b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a 및 도 1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활성슬러지 장치는 1차 침전조(1), 포기조(2) 및 2차 침전조(3)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질소·인의 생물학 처리 기능이 떨어지며, 처리수 용량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한국 등록특허 제10-0438151호에서는 하폐수처리장치의 반응조에서 처리공정이 변경될 경우에 반응조의 횡축포기기를 그 처리공정 특성에 따라 간편하게 혼화기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가변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 제10-0457976호에서는 유입수의 유로를 변경하여 각종 생물학적 질소·인 제거방법을 나열하여 하수고도처리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교과서적인 처리시스템 방법의 제시일 뿐 현장에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세밀히 검토해야 할 부분이 많은 방법에 기술에 불과하다.
일예로 전주환경사업소 고도처리 개량사업은(2005.7 현재) 기존 포기조 내부에 콘크리트 격벽 설치로 혐기+무산소+호기로 구획하고, 호기 무산소로 내부순환하는 A2O공정을 채택하고 있는데, A2O공정은 질소·인을 동시처리하는 대표적인 3단계 공정이나 C/N비가 낮을 경우 내부순환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질소·인의 효율적 제어가 어렵다. 아울러 내부에 설치된 콘크리트 격벽은 이동 불가하기에 유입하수 성상 변화에 따른 처리공정변화에 대처가 불가능하며, 처리용량 증가 혜택도 없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활성슬러지 공정에 적용되는 장치를 리모델링하고 내부반송시스템을 개선하여 하수처리용량 확장과 하수를 고도처리할 수 있었고, 본 고안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제적인 방법으로 질소·인의 생물학 처리 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처리수의 용량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기 위한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 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 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는 1차 침전조, 포기조 및 2차 침전조로 구성된 기존의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를 리모델링함에 있어서, 상기 1차 침전조의 중앙에 이동가능한 캔바스 격벽을 설치하여 1차 침전조 내부를 혐기조와 무산소조로 분할·구획하며, 상기 혐기조에는 하수를 유입시키고, 상기 무산소조에는 혐기조에서 처리된 하수가 캔바스 격벽의 상단부와 좌우측 틈새를 통해 흘러들어가도록 한 1차 침전조; 상기 무산조에서 처리된 하수를 공급받아 포기시키고, 활성화 하수 일부를 내부반송 이동식 펌프를 통해 상기 무산소조로 반송시키는 포기조; 상기 2차 침전조의 중앙에 양 끝단이 2차 침전조의 측벽과 소정의 간격만큼 개방된 산화구 격벽을 설치하여 양측으로 구획하고, 그 산화구 격벽에 의해 구획된 2차 침전조의 일측 공간에 산화구 경사판 침전장치를 설치하여 슬러지의 침전을 유도하고, 산화구 격벽에 의해 구획된 타측 공간에 2차 침전조 내의 하수를 산화구 격벽의 길이방향으로 순환시키는 포기기를 설치한 2차 침전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는 슬러지 콜렉터(4)를 구비한 1차 침전조(1), 포기조(2) 및 슬러지 콜렉터(4)를 구비한 2차 침전조(3)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토목구조물을 대부분 활용하면서 질소·인의 생물학 처리 기능과 처리수 용량의 증가라는 기능을 보충하였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 "하수"는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가 가능한 모두 폐수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기존의 하수종말처리장에 질소 및 인의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연속흐름 수정 바덴포(bardenpho) 5단계공정으로 리모델링하였으나 유입하수 성상의 변화에 따라서 기타 3단계(A20 또 VIP), 4단계(UCT) 공정으로도 변경가능토록 하였다. 아울러, 기존의 하수종말처리장의 용량 증대(100% 기준)를 위해서 2차 침전지내에 횡축회전 포기기 및 경사판 침전장치를 설치하였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하수가 유입되는 혐기조(15) 및 이동가능한 캔바스 격벽(16)에 의해 상기 혐기조(15)와 분할되는 무산소조(14)로 구성된 1차 침전조(10); 상기 무산조(14)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포기시키며, 활성화된 하수(23)를 상기 무산소조(14)로 반송시키는 포기조(20); 및 침전조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고, 양 끝단이 소정의 간격만큼 개방된 산화구 격벽(34)과 침전조의 측벽 사이에 설치된 경사판 침전장치(32)와, 상기 격벽(34)과 다른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포기조(20)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상기 산화구 격벽(34)의 길이방향으로 순환/포기시키는 포기기(31)를 포함하는 2차 침전조(30);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 구성요소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차 침전조(10)는 도 3을 참조하면, 하수가 유입되는 혐기조(15)와 이동가능한 캔바스 격벽(16)에 의해 상기 혐기조(15)와 분할되는 무산소조(14)로 구성된다. 상기 격벽(16)은 플로트(Float) 및 앵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유입하수 성상변화에 따라 격벽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혐기조(15)로 유입되는 하수는 후속 공정의 2차 침전조의 반송슬러지(호기성)(33)와 혐기조(15) 자체의 슬러지(혐기성)(13)와 함께 유입된다. 종래에 활성슬러지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1차 침전조는 일체의 슬러지 반송이 없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 1차 침전조(10)에 슬러지(13 및 33)를 내부반송시킴으로써 유입하수내의 탄소성분을 이용하여 질소와 인을 제거하여 혐기조(15)의 반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상기 혐기조(15) 구획의 상부는 부유성 덮개(12)를 설치하여 대기(산소)를 차단시키고, 상기 혐기조(15)의 수중 내부에는 혼화기(11)를 설치하여 혐기조(15)의 반응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슬러지(13)가 수집되는 호퍼의 표면은 통상의 방법으로 에폭시 코팅하여 비점착성 표면을 만들어 줌으로써 효율적으로 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산소조(14)에서는 상기 혐기조(15)로부터 격벽(16)의 상부나 틈새를 통과한 하수와 포기조(20)에서 내부반송된 활성화된 하수가 혼합, 반응하여 질소와 인의 제거작용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산소조(14)의 수중 내부 또한 혼화기(11)를 설치하여 무산소조(14)의 반응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1차 침전조(10)는 혐기+무산소 반응조로 리모델링함으로써 유기물 질소·인 제거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포기조(20)는 상기 무산조(14)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포기시키며, 활성화된 하수(23)를 수중모터펌프와 유동식 호스(Flexible Hose)로 구성되는 내부반송 이동식 펌프를 이용해 상기 무산소조(14)로 반송시킨다. 이렇게 활성화된 하수(23)를 상기 무산소조(14)로 반송시켜 질소 제거작용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포기조(20)의 수중 내부에도 혼화기(미도시)를 설치하여 포기조(20)의 반응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포기조(20)에 이동가능한 캔바스 격벽(21)을 설치하여 포기조(20) 내부를 양측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이 캔바스 격벽(21)에 의해 구획되는 일부 공간(22)을 무산소조로 이용하고 나머지 공간(24)을 포기조로 이용하며, 내부반송 이동식 펌프를 통해 2차 침전지의 활성화 하수 일부를 상기 포기조(20)에 마련된 무산소조 공간(22)으로 반송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구조 변경을 한 반응조는 2차 침전조이다. 상기 2차 침전조는 유기물, 질소 및 인의 최종 처리를 위하여 산화구로 전환시켰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2차 침전조의 면적에 약 80%를 산화구를 설치하고, 20% 면적에 슬러지의 침전 효율을 강화하기 위해 경사판 침전장치를 설치하였다.
상기 2차 침전조는, 도 2b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조(30)의 내부 중앙에 양 끝단이 소정의 간격만큼 개방된 형태로 설치된 산화구 격벽(34)을 갖는다. 상기 산화구 격벽(34)과 침전조(30)의 측벽 사이에는 경사판 침전장치(32)가 설치되며, 상기 격벽(34)과 다른 측벽 사이에는 포기기(31)가 설치된다.
상기 포기기(31)는 횡축회전 기계식 포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용존산소 조정과 원활한 혼합을 위해 바람직하며, 포기조(20)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상기 산화구 격벽(34)의 길이방향으로 화살표를 따라 순환시킨다.
이와 같이, 화살표 방향에 따라 순환되는 활성화된 하수는 산화구 경사판 통과과정에서 슬러지(33)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등수는 배관(35)을 따라 방류되고, 나머지 하수(MLSS)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다시 재순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2차 침전조(30)는 무산소반응조+호기반응조+경사판 침전조로 리모델링함으로써 질소 및 인을 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산화구 경사판 침전장치(32)의 경사판은 55∼65°의 경사를 갖는 것이 슬러지를 하부로 가장 잘 침전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은 60°를 채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경사판 침전장치(32)를 설치함에 따라 활성화된 하수(MLSS)의 고액분리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하측 경사판(32a)(32b)의 사이에 있는 하수의 슬러지가 수중에서 수직 낙하하는 거리가 상측 경사판(32a)과 하측 경사판(32b) 사이의 거리(L)로 최소화되고, 하측 경사판(32b) 위로 슬러지가 일단 낙하하게 되면 테프론 코팅된 하측 경사판(32b)의 표면 미끄럼 작용을 통해 하부로 원활하게 미끄러져 내려가므로 신속한 침전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경사판은 침전조(30)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으로 슬러지가 하강하다가 횡축회전 기계식 포기기 또는 수중 혼화기(36)에 의해 호퍼 또는 산화구로 순환된다.
아울러, 상기 산화구 경사판 침전장치(32)의 표면은 슬러지가 고착되지 않도록 테프론으로 코팅시켜 경사판 침전장치를 자가청소(Self Cleaning)하도록 한다.
또한, 슬러지(33)가 수집되는 호퍼의 표면은 통상의 방법으로 에폭시 코팅하여 비점착성 표면을 만들어 줌으로써 효율적으로 슬러지를 수집할 수 있고, 이렇게 수집된 잉여슬러지는 배관(37)을 통하여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질소·인의 생물학 처리에는 혐기·무산소·호기 등이 조합된 3∼5단계 공정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공정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활성슬러지 장치를 리모델링하였다.
즉, 기존 1차 침전지(1)는 내부에 캔바스 격벽(16)을 앵카 고정하는 방식으로 혐기·무산소 반응공간으로 구획 변경하였고, 기존 포기조(2)는 수중모터펌프와 유동식 호스(Flexible Hose)로 이동식 내부순환장치를 설치하였다.
또한, 기존 2차침전지(3)의 반송슬러지(RAS) 라인(Line)을 연장하면 활성슬러지를 혐기성 반응조로 이송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의 변경으로 질소 및 인을 90%이상 생물학적 처리할 수 있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하수처리장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포기조의 용존산소, 포기시간 및 2차 침전능력 증가 등이 포함된 공정을 이용하였다. 즉, 기존 2차 침전지 면적 20%정도에 경사판 침전장치(Lamella Plate) 설치로 침전능력을 약 100% 증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기존 2차 침전지 여백공간에 포기장치 추가로 용존산소의 포기시간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기존 포기조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간크기의 버블 대신에 미세 버블(Fine Bubble)로 변경하여 용존산소의 농도를 증가킬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기존의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활성슬러지 공정에 적용되는 장치를 리모델링하고 내부반송시스템을 개선하여 매우 경제적으로 질소·인의 생물학 처리 기능을 고도처리장치 신설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고, 처리수의 용량을 2배 정도로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기존에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활성슬러지 공정에 적용되는 장치 및 공정을 단면 형태로 나타낸 개략도,
도 1b는 기존에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활성슬러지 공정에 적용되는 장치 및 공정을 평면 형태로 나타낸 개략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델링 장치 및 공정을 단면 형태로 나타낸 개략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델링 장치 및 공정을 평면 형태로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모델링 장치의 1차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델링 장치의 1차 침전조와 포기조 사이의 내부반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델링 장치의 2차 침전조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모델링 장치에서 포기조에 캔바스 격벽을 설치하고 포기조 일부를 무산소조로 이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2차 침전조에 설치된 산화구 경사판 장치를 통해 슬러지가 신속하게 침전되는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 1차 침전조 2, 20: 포기조
3, 30: 2차 침전조 4: 슬러지 콜렉터
11: 수중 혼화기 12: 부유성 덮개
13, 23 및 33: 슬러지 14: 무산소조
15: 혐기조 16,21: 캔바스 격벽
31: 포기기 32: 산화구 경사판 장치
32a: 상측 경사판 32b: 하측 경사판
34: 산화구 격벽 35, 37: 방류관
36: 수중 혼화기 38: 미세 버블

Claims (4)

1차 침전조, 포기조 및 2차 침전조로 구성된 기존의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를 리모델링함에 있어서,
상기 1차 침전조의 중앙에 이동가능한 캔바스 격벽을 설치하여 1차 침전조 내부를 혐기조와 무산소조로 분할·구획하며, 상기 혐기조에는 하수를 유입시키고, 상기 무산소조에는 혐기조에서 처리된 하수가 캔바스 격벽의 상단부와 좌우측 틈새를 통해 흘러들어가도록 한 1차 침전조;
상기 무산조에서 처리된 하수를 공급받아 포기시키며, 활성화 하수를 상기 2차 침전지로 공급하는 한편, 활성화 하수 일부를 내부반송 이동식 펌프를 통해 상기 무산소조로 반송시키는 포기조;
상기 2차 침전조의 중앙에 양 끝단이 2차 침전조의 측벽과 소정의 간격만큼 개방된 산화구 격벽을 설치하여 양측으로 구획하고, 그 산화구 격벽에 의해 구획된 2차 침전조의 일측 공간에 산화구 경사판 침전장치를 설치하여 슬러지의 침전을 유도하고, 산화구 격벽에 의해 구획된 타측 공간에 2차 침전조 내의 하수를 산화구 격벽의 길이방향으로 순환시키는 포기기를 설치한 2차 침전조;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 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침전지의 혐기조로 유입되는 하수는 2차 침전조의 반송슬러지(호기성)와 혐기조 자체의 반송슬러지(혐기성)를 포함하며, 상기 혐기조의 유입하수 상부에 부유성 덮개가 띄워지고, 혐기조 및 무산소조 내부에 수중모터혼화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 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구 경사판 침전장치 표면이 테프론 코팅되고, 경사판이 55∼65°의 경사로 설치되며, 활성화된 하수가 경사판을 통과하면서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 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기조에 이동가능한 캔바스 격벽을 설치하여 포기조 내부를 양측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캔바스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일부 공간을 무산소조로 이용하고 나머지 공간을 포기조로 이용하며, 내부반송 이동식 펌프를 통해 2차 침전지의 활성화 하수 일부를 상기 포기조에 마련된 무산소조로 반송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 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
KR20-2005-0022806U 2005-08-06 2005-08-06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 KR200400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806U KR200400770Y1 (ko) 2005-08-06 2005-08-06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806U KR200400770Y1 (ko) 2005-08-06 2005-08-06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0Y1 true KR200400770Y1 (ko) 2005-11-09

Family

ID=4370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806U KR200400770Y1 (ko) 2005-08-06 2005-08-06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77B1 (ko) 2007-04-02 2009-03-19 주식회사 에코빅 혐기성 및 호기성 반응처리법이 적용된 폐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77B1 (ko) 2007-04-02 2009-03-19 주식회사 에코빅 혐기성 및 호기성 반응처리법이 적용된 폐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1016A1 (en) Apparatus for Treatmenting of Sewage Using Semi-Batch and Method Thereof
US9181107B2 (en) Dissolved air flotation and equalization reactor wastewater treatment tank
CN1887741A (zh) 一种气升内循环污水处理工艺及装置
CN205258127U (zh) 一种循环流环型多段泥膜共生复合式生物反应器
CN106315853B (zh) 一种氧化沟膜生物反应器及其污水处理工艺和应用
AU2015265979B2 (en) Method for clarification of wastewater
CN102515351B (zh) 一种降低煤化工废水污染物的生物增浓装置
JP4409532B2 (ja) 畜産廃水及び糞尿等のような高濃度の窒素を含む汚廃水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CN103508635A (zh) 一种高效脱氮除磷污水处理系统及其工艺
KR102171365B1 (ko) 이중탱크구조를 이용한 연속흐름의 생물학적 하·폐수 고도처리시설
KR20110089118A (ko) 섬모볼담체 내장형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
KR200400770Y1 (ko) 기존 하수처리용 활성슬러리 장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키고고도처리용으로 개선한 리모델링 장치
CN201240970Y (zh) 一体化循环生物反应废水处理装置
JPH1110193A (ja) 担体併用硝化脱窒反応方法及びその装置
CN201334396Y (zh) 中心岛式一体化循环生物反应器废水处理设备
CN103508634A (zh) 一种能够提高活性污泥浓度的污水处理系统及其工艺
CN217148916U (zh) 生活污水处理装置
KR102440990B1 (ko) 축산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201334398Y (zh) 气升式一体化循环生物反应器污水处理装置
KR100607719B1 (ko) 산화구법에 의한 하수 처리 장치
CN201334413Y (zh) 一体化循环生物反应器废水处理装置
CN210481094U (zh) 一种水处理同步破氰除油气浮池
CN201240941Y (zh) 侧沟式一体化生物反应废水处理装置
KR200320015Y1 (ko) 슬러지 침강구역과 월류위어를 구비한 활성슬러지 포기조
KR100493646B1 (ko) 대심도 생물막법과 대심도 가압부상공법을 병행한오수ㆍ하수ㆍ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