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092A -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외용 제제 - Google Patents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외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092A
KR20040076092A KR1020030011424A KR20030011424A KR20040076092A KR 20040076092 A KR20040076092 A KR 20040076092A KR 1020030011424 A KR1020030011424 A KR 1020030011424A KR 20030011424 A KR20030011424 A KR 20030011424A KR 20040076092 A KR20040076092 A KR 20040076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cationic
ala
weight
diac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2788B1 (ko
Inventor
전미숙
한인숙
김정철
Original Assignee
김정철
(주)트리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철, (주)트리코진 filed Critical 김정철
Priority to KR1020030011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788B1/ko
Priority to PCT/KR2004/000367 priority patent/WO2004087107A1/en
Publication of KR2004007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아미노레불린산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혼합하여 제제화된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여드름 치료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산성을 띄는 양이온성 약물인 5-아미노레불린산을 단순 리포좀이 아닌 양이온성 리포좀으로 제제화 함으로써 약물의 이온성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자체 독성을 줄일 수 있고, 세포의 약물 흡수성을 증가시켜 피지선을 효과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Methods for treating acne using ALA with cationic liposome}
본 발명은 5-아미노레불린산 (5-aminolevulinic acid; 이하 "ALA"라 약칭함) 및 양이온성 리포좀 (cationic liposome)을 혼합하여 제제 (製劑)된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여드름 치료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성을 띄는 양이온성 약물인 ALA를 단순 리포좀이 아닌 양이온성 리포좀으로 제제화 함으로써 약물의 이온성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자체 독성을 줄일 수 있고, 세포의 약물 흡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외용 제제 및 이 제제를 도포한 다음 가시광선을 쪼이는 방법을 적용한 여드름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의 발생은 모피지선 (毛皮脂腺)의 염증성 질환에 기인하며, 사춘기를 포함하여 젊은 연령층의 얼굴피부 모낭에 염증을 일으키는 매우 흔한 피부 질환이다. 사춘기가 되면 남녀 모두 성호르몬 분비가 왕성해져서 모낭 옆에 붙어있는 피지선을 자극하게 되고 그 결과 피지선이 커져 많은 피지가 분비된다. 이와 동시에 털구멍 즉 모공 입구의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접착력이 높아져 모공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된다. 그 결과 모낭 내에 피지가 쌓이고 모낭 내에 살고 있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 (Propionibacterium acne)와 같은 세균이 번식하여 염증으로 발전하는데 이것이 여드름이다. 수험생의 경우처럼 계속되는 긴장과 수면 부족 등의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더욱 심해지게 된다.
여드름의 치료는 피지 생성을 줄이거나, 모낭내 피부세포의 탈락을 정상화하거나, 혹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 균을 억제함으로써 가능하다. 국소요법으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benzoyl peroxide), 레티노산 (retinoic acid), 아젤라익 산 (azelaic acid) 등의 성분을 포함하는 약물이나 클린다마이신 (clindamycin) 또는 에리트로마이신 (erythromycin) 등과 같은 항생제 연고 등을 여드름이 있는 부위에 직접 도포하는 방법이 있으며, 전신요법으로는 여드름 세균에 대한 살균 작용을 하거나, 유리 지방산의 생성을 막아 염증을 줄여주는 테트라사이클린 계통의 항생제와 피지생성을 억제하는 레티노산 (retinoic acid)을 복용하는 방법이 있다.
5-아미노레불린산 (5-aminolevulinic acid; 이하 "ALA"라 약칭함)을 이용한 광역학 (photodynamics) 치료는 자외선 각화증 (actinic keratoses), 건선 (psoriasis), 사마귀 (verrucae) 및 피부암 (skin cancer) 등의 피부질환에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영국 광피부과학 학회 (British Photodermatology Group)의 워크샵에서는, ALA-광역학 치료가 자외선 각화증, 보웬병 (Bowen's disease) 및 표재 기저 세포암 (superficial basal cell carcinoma)에 효과를 나타낸다는 우수한 증거가 제시된 바 있다. ALA를 피부에 도포하면 상피세포에 의해 흡수되어 헴 (heme)의 전구체인 프로토포르피린 IX (protoporphyrin IX; 이하 "PpIX"이라 약칭함)가 만들어진다.PpIX는 아주 효과적인 광 감광제로 빛 에너지에 의해 삼중항 (triplet) 상태로 여기되며 주위의 산소와 반응하여 발생기 산소를 생산한다. 생성된 발생기 산소는 세포막의 상해와 세포의 사멸을 초래하여 위와 같은 피부질병들을 치료할 수 있다. 한편, ALA는 피부암 또는 기타 병적인 상태에서 비교적 선택적으로 흡수되므로 주변의 정상 조직에는 거의 해를 비치지 않는다.
ALA를 이용한 광역학 치료는 여드름 치료에도 적용되고 있다. 즉 ALA를 피부에 도포하면 특히 피지선에서 활발하게PpIX를 합성하고 저장한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애크니 세균도 상당량의 포르피린 (porpyrins)을 합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피지선에서는 ALA 도포에 의한 외인성 및 여드름 세균에 의한 내인성 포르피린들이 축적되어 붉은 형광색이 확연히 표현된다 (도 1 참조). 이들 포르피린 전구체들을 충분히 발현시킨 후 600∼700 nm 파장의 빛을 쪼이게 되면PpIX의 여기로 피지선이 축소되고 괴사할 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자체에도 상해를 입힌다. 따라서 ALA를 이용한 여드름 광역학 치료는 선택성과 표적성이 탁월하여 피부 부작용이 거의 없고, 피지선과 박테리아를 동시에 해결하는 합리적인 치료법이다.
한편, 리포좀은 내부에는 친수성의 공간이 있으며 외부로는 닫힌 이중의 지질막을 가지고 있는 미세 소포체를 가리킨다. 리포좀은 중앙의 친수성 공간에 수용성 분자나 혹은 약물을 내포시키며, 외부의 지질 이중막에는 지용성 약물을 붙이거나, 혹은 양전하 및 음전하 물질을 결합시킬 수 있다. 리포좀의 가장 큰 특성은 다양성과 신축성이다. 즉 리포좀은 그 구조 변경이 용이하며, 구조와 성분을 달리함으로서 전혀 새로운 물성과 기능, 용도가 제공된다. 여기에 리포좀은 생체 적합성과 분해성,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리포좀은 수없이 많은 물질 및 약물 전달 물질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리포좀에 결합하여 전달 가능한 물질로는 항암제 (adriamycin), 항진균제 (amphotericin B), 항세균제, 면역조절물질, 항원 및 항체, 조영제 (contrast medium), 헤모글로빈, 성장 인자 등의 펩타이드, 단백질, 지방, 그리고 DNA 등이 있으며, 실제 임상에서 대부분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드름 치료용 약물인 ALA의 이온성에 변화를 주지 않고 자체 독성을 줄이면서, 약물의 적용 부위에 대한 선택성, 투과성 및 흡수성 등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여드름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ALA의 피지선 축적 모식도.
도 2a는 피부에 아무 것도 도포하지 않은 경우의 모공 상태를 나타낸 사진 (대조군).
도 2b는 피부에 ALA만을 단독으로 도포한 경우의 모공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c는 피부에 본 발명의 외용 제제 [양이온성 리포좀으로 중성리포좀(Neutral liposome; 이하 "N"이라 약칭함)과 양이온 첨가제 (TAP)을 사용함; 이하 "N/TAP"과 같이 표기함]를 도포한 경우의 모공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d는 피부에 본 발명의 외용 제제 (N/SM)를 도포한 경우의 모공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e는 피부에 본 발명의 외용 제제 (N/PS)를 도포한 경우의 모공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3a 및 도 3b는 대조군 및 본 발명의 방법으로 처치한 경우에 ALA의 활성화로 인한 피지선의 괴사 정도를 나타낸 사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외용 제제를 여드름 환자에게 바르기 전과, 바른 후의 치료 경과를 나타낸 사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산성을 띄는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혼합하여 제제된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및 이 제제를 도포한 다음 가시광선에 노출시키는 방법을 적용한 여드름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ALA 1∼20 중량% 및 양이온성 리포좀 80∼99 중량%를 혼합하여 제제화된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외용 제제 제조시, 용매로 사용되는 수용액에 대하여 ALA 0.1∼5 중량% 및 양이온성 리포좀 10∼20 중량%의 농도로 첨가되며, 그 결과 상기와 같은 조성의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가 제공된다.
상기 양이온성 리포좀은 중성 리포좀을 구성하는 지질과 양이온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성 리포좀을 구성하는 지질로는 DG, PC, POE 또는 CH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양이온 첨가제로는 DAP, TAP, DOS, SM 또는 PS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을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화합물명 아실 그룹의 카본 체인 분자량
지질 DG 1,2-디아실-sn-글리세롤(1,2-Diacyl-sn-glycerols) 10:0, 12:0, 14:0, 16:0, 18:1 400.6∼620.99
PC 1,2-디아실-sn-글리세로-포스포콜린(1,2-Diacyl-sn-glycero-phosphocholine) 10:0, 12:0, 14:0, 16:0, 18:1 565.7∼786.2
POE 폴리옥시에틸렌(10) 아실 에테르(polyoxyethylene(10) acyl ether) 16:0, 18:0, 18:1 682.9∼711.0
CH 콜레스테롤 (cholesterol) 386.66
양이온 첨가제 DAP 1,2-디아실-3-디메틸암모늄 프로판(1,2-Diacyl-3-dimethylammonium propane) 14:0, 16:0, 18:1 539.9∼648.1
TAP 1,2-디아실-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1,2-Diacyl-3-trimethylammonium propane) 14:0, 16:0, 18:1 590.4∼698.6
DOS 1,3-디아실-2-카복시스퍼밀-프로필아마이드(1,3-Diacyl-2-carboxyspermyl-propylamide) 18:1 1,089.4
SM 스퍼민 (spermine) 348.2
PS 프로타민 설페이트 (protamine sulfate) 5,000∼10,000
상기 제제는, 양이온 첨가제가 DAP, TAP 또는 DOS 등과 같은 양이온성 지질인 경우에는 ALA, 지질 및 첨가제를 처음부터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이온 첨가제가 SM 또는 PS 등과 같은 수용성 첨가제인 경우에는 ALA와 지질의 제제를 제조한 후에 첨가제를 더 추가하여 제제화를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리포좀은 상기 중성 리포좀을 구성하는 지질과 양이온 첨가제의 혼합비율이 80∼90 중량% : 10∼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성 리포좀의 바람직한 예로는 DG/CH/POE/양이온 첨가제를 중량비 50∼60/15∼20/20∼30/10∼20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PC/CH/양이온 첨가제를 중량비 60∼70/20∼30/10∼20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ALA와 양이온성 리포좀만으로 제제화된 제제를 여드름이 난 부위에 직접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피 투여에 적합한 담체로서 천연 오일 (oil), 지방산 (fatty acid) 등을 더 배합하여 외용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본 발명의 외용 제제는 다양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연고제 (ointments), 경피용 패치, 겔제 (gels), 크림제 (creams), 로숀제 (lotions), 용액제 (solutions), 산제 (powders), 카타플라스마제 (cataplasma) 또는 파스타제 (pastes)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외용 제제를 이용하는 여드름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여드름이 난 부위에 전술한 본 발명의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를 도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드름 치료 방법은 상기 과정에 더하여,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도포 부위를 가시광선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LA를 양이온 리포좀으로 제제하여 여드름 부위에 도포함으로써 충분히 ALA를 흡수되게 한 다음,PpIX가 발현된 후 가시광선으로 피지선에 손상을 줄 수 있었다.
여드름 치료용 약물인 ALA는 산성을 띄는 양이온성 약물이므로, 단순 리포좀이 아닌 양이온성 리포좀으로 제제하면 ALA의 이온성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자체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람의 피부는 전체적으로 약한 산성 pH를 가지므로 비이온성이나 중성인 리포좀보다는 양이온성 리포좀일 경우 투과성이나 흡수성이 더 좋게 된다.더욱이 AL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산성을 띄는 양이온성 물질로 용액의 pH가 중성이거나 산성이 되면 그 활동도가 크게 감소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양이온성 리포좀은 운반체로써 뿐만 아니라 ALA의 기능을 보존 더 나아가 증가시키는 장점도 있다. 이리하여 더욱 더 강화된 ALA의 기능에 힘입어 모낭에서의PpIX발현은 확연히 증가되었다.
양이온성 리포좀으로 제제된 ALA는 투과성이 탁월했고, 세포의 ALA 흡수성을 증가시켰다. 그 결과 피지선에 빠른 시간 안에 ALA를 운반시켜PpIX발현이 확연히 나타났고 이는 비이온성 혹은 중성 리포좀의 단순도포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현상이었다. 이를 볼 때, 양이온성 리포좀이 ALA의 이온성을 유지시켜 ALA의 기능이 증가되었고, 선택성, 투과의 깊이, 그리고 투과의 시간 등과 관련된 기존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충분히 ALA가 흡수되고,PpIX가 발현된 후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피지선에 손상을 줄 수 있었다. 즉 여드름이 난 부위에 양이온성 리포좀으로 제제된 0.1-5% ALA를 도포한 다음 가시광선에 노출시키는 본 발명의 방법은 피지선을 선택적이고 효과적으로 손상시켜 피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여드름 치료의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리포좀과 양이온 첨가제는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제예> 본 발명의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의 제조방법
리포좀은 먼저 중성 리포좀 제제 구성비에 따라 지질을 섞고 70oC에서 녹였다. 녹은 용액을 미리 데워진 주사기에 넣고 ALA가 포함된 식염수 혹은 5% 덱스트로즈 (dextrose)등의 수용액이 든 주사기가 연결된 사출 세트 (extrusion set)에 연결하였다. 연이어 양쪽 용액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여러 번 왔다 갔다 하면서 고르게 지질을 충분히 혼합한 후 상온에서 3-5분 정도 초음파 처리 (sonication)를 실시하였다. 상기 수용액 내에서 리포좀의 농도가 100-200 mg/ml가 되도록 하였으며, ALA는 일정한 수용액 중량에 대하여 0.1∼5 중량%의 양이 되도록 한다. 양이온성 리포좀은 첨가제가 DAP, TAP 또는 DOS와 같은 양이온 지질인 경우는 처음부터 지질과 같이 첨가하여 ALA와 같이 제제하고, SM 또는 PS와 같은 수용성 첨가제인 경우는 지질-ALA를 먼저 혼합한 후에, 첨가하여 제제하였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조성비의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양이온성 리포좀-ALA (5%) 의 제조
DG (12:0) …………………………………… 100 ㎎
CH …………………………………… 30 ㎎
POE …………………………………… 40 ㎎
양이온 첨가제 (TAP) ………………………… 30 ㎎
ALA 5 중량% (50 ㎎) 및 상기 조성의 양이온성 리포좀 20 중량%를 식염수 1 ㎖에서, 상기 제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외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양이온성 리포좀-ALA (1%) 의 제조
DG (12:0) …………………………………… 100 ㎎
CH …………………………………… 30 ㎎
POE …………………………………… 40 ㎎
양이온 첨가제 (TAP) ………………………… 30 ㎎
ALA 1 중량% (10 ㎎) 및 상기 조성의 양이온성 리포좀 20 중량%를 식염수 1 ㎖에서, 제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외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양이온성 리포좀-ALA (1%)의 제조
PC (14:0) ……………………………… 130 ㎎
CH ……………………………… 40 ㎎
양이온 첨가제 (TAP) ……………………… 30 ㎎
ALA 1 중량% (10 ㎎) 및 상기 조성의 양이온성 리포좀 20 중량%를 식염수 1 ㎖에서, 제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외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양이온성 리포좀-ALA (0.5%)의 제조
DG (12:0) …………………………………… 50 ㎎
CH …………………………………… 15 ㎎
POE …………………………………… 20 ㎎
양이온 첨가제 (TAP) ………………………… 15 ㎎
ALA 0.5 중량% (5 ㎎) 및 상기 조성의 양이온성 리포좀 10 중량%를 식염수 1 ㎖에서, 상기 제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외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양이온성 리포좀-ALA (0.1%)의 제조
PC (14:0) ……………………………… 65 ㎎
CH ……………………………… 20 ㎎
양이온 첨가제 (SM) ……………………… 15 ㎎
ALA 0.1 중량% (1 ㎎) 및 상기 조성의 양이온성 리포좀 10 중량%를 5% 덱스트로즈 1 ㎖에서, 제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외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포획효율 (Entrapment efficiency, EE)과 안정도
ALA가 리포좀에 둘러싸인 경우의 포획효율은 (EE 퍼센트)는 지질의 농도가 낮을수록 떨어졌으나 100 mg/ml의 기본농도일 경우 약 40-60% 정도였다. 피부 도포에 사용되는 리포좀-약물의 경우 정맥주사하는 경우와 달리 둘러싸인 약물만의 분리가 절실히 요구되지는 않으므로 제제 후 전체 리포좀 용액을 모두 치료에 사용하였다. 제제된 양이온성 리포좀-ALA 제제의 제조후 약 1달여간 냉장고에 보관한 결과 리포좀과 ALA 약물 모두 변화가 없고 대체로 안정하였다.
실험예 2. 동물실험
(1) 피부 도포
백쥐의 털을 제거한 등에 각종 ALA를 도포한 후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ALA가 도포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붉은 형광은 거의 검색되지 않았다 (도 2a 참조). ALA의 단순 도포에서는 대체로 2시간 후부터 피지선에서PpIX발현이 관찰되었고 8시간 후 최고조에 달했으며, 약 24시간 후엔 붉은 형광이 거의 관측되지않았다. 리포좀 없이 ALA만 단독으로 도포한 경우 (도 2b 참조)와, 양이온 리포좀으로 제제된 ALA를 도포한 경우 (도 2c∼도 2e 참조)를 각각 비교한 결과 약 3배정도 더 높게PpIX의 붉은 형광이 검색되었다. 이 효과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양이온 리포좀의 피부에의 탁월한 투과와 흡수효과 그리고 양이온성 증가로 인한 ALA 기능의 항진에 기인한다.
(2) 자연광 조사에 의한 피지선 손상
백쥐의 털을 제거한 등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외용 제제를 도포한 다음 2시간 후 자연광을 쪼이고, 그 후 1주일 째에 피지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대조군 (도 3a 참조)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의 약물이 적용된 부위의 피지선에 선택적인 괴사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도 3b 참조).
(3) 여드름 환자에 적용
여드름 환자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외용 제제를 매일 1회씩 5일간 바르고 2주일간 지켜본 결과 증상이 호전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제제를 바르긴 전 (도 4a 참조)과 비교했을 때, 1주일 후 (도 4b 참조)에는 피지분비가 현저하게 줄어들었고 2주일 후 (도 4c 참조)에는 약간의 색소 침착과 함께 크러스트 (crust)가 떨어져 나가면서 여드름이 호전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를 이용하면 ALA의 이온성에 변화를 주지 않고 자체 독성을 줄이면서, 약물의 적용 부위에 대한 선택성을 높이고, 단시간의 투과 시간 동안원하는 깊이로 약물을 투과할 수 있는 등, 다량의 ALA를 피지선에 선택적으로 운반하여 피지선을 손상시킬 수 있었다.

Claims (11)

  1. 5-아미노레불린산 (5-aminolevulinic acid) 1∼20 중량% 및 양이온성 리포좀 80∼99 중량%를 혼합하여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리포좀은 중성리포좀을 구성하는 지질들과 양이온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1,2-디아실-sn-글리세롤 (DG), 1,2-디아실-sn-글리세로-포스포콜린 (PC), 폴리옥시에틸렌(10) 아실 에테르 (POE) 및 콜레스테롤 (C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첨가제는 1,2-디아실-3-디메틸암모늄 프로판 (DAP), 1,2-디아실-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 (TAP), 1,3-디아실-2-카복시스퍼밀-프로필아마이드 (DOS), 스퍼민 (SM) 및 프로타민 설페이트 (P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첨가제가 양이온성 지질인 경우에는 5-아미노레불린산 및 지질과 처음부터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첨가제가 수용성 양이온 첨가제인 경우에는 5-아미노레불린산과 지질의 제제를 제조한 후에 수용성 양이온 첨가제를 더 추가하여 제제화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지질과 양이온 첨가제의 혼합비율은 80∼90 중량% : 10∼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리포좀은 DG/CH/POE/양이온 첨가제를 중량비 50∼60/15∼20/20∼30/10∼20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9.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리포좀은 PC/CH/양이온 첨가제를 중량비 60∼70/20∼30/10∼20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10. 여드름이 난 부위에 제 1 항의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여드름 치료용 외용 제제 도포 부위를 가시광선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 방법.
KR1020030011424A 2003-02-24 2003-02-24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외용 제제 KR100542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24A KR100542788B1 (ko) 2003-02-24 2003-02-24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외용 제제
PCT/KR2004/000367 WO2004087107A1 (en) 2003-02-24 2004-02-23 Cationic liposome targeting sebaceous gla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424A KR100542788B1 (ko) 2003-02-24 2003-02-24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외용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092A true KR20040076092A (ko) 2004-08-31
KR100542788B1 KR100542788B1 (ko) 2006-01-11

Family

ID=3736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424A KR100542788B1 (ko) 2003-02-24 2003-02-24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외용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7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560B1 (ko) * 2007-08-23 2009-02-17 (주) 위디어 신규한 5-아미노레불린 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5147B1 (ko) * 2009-08-07 2012-04-16 글로엔엠(주) 5-아미노레불린산을 함유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EP2486920B1 (en) * 2009-09-28 2018-12-26 Toyobo Co., Ltd. Stress-alleviating agent comprising plant-derived polyamine-containing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62B1 (ko) * 2008-12-15 2010-06-15 김유근 5-아미노레불린산의 안정화 방법
KR20200125827A (ko) 2019-04-25 2020-11-05 제너럴바이오(주) 아미노레불린산 또는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560B1 (ko) * 2007-08-23 2009-02-17 (주) 위디어 신규한 5-아미노레불린 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5147B1 (ko) * 2009-08-07 2012-04-16 글로엔엠(주) 5-아미노레불린산을 함유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EP2486920B1 (en) * 2009-09-28 2018-12-26 Toyobo Co., Ltd. Stress-alleviating agent comprising plant-derived polyamine-containing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2788B1 (ko)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Leeuw et al. Liposomes in dermatology today
US6528040B1 (en) EMU oil-based formulations for use as an analgesic, anesthetic and antipruritic
US9241921B2 (en) Photosensitizer composition for treating skin disorders
JP2020143095A (ja) 生体光組成物、キットおよび方法
EP1301169B1 (de) Einen sauerstoffträger,ausgewählt aus hämoglobin oder hämoglobin- und myoglon-enthaltende zubereitung in form einer emulsion als kosmetisches externum und zur natürlichen regeneration der haut bei sauerstoff-mangel
EP1513492B1 (de) Mikro-emulsionen mit binärer phasen- und wirkstoffdifferenzierbarkeit,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nsbesondere zur topischen sauerstoffversorgung
US5411741A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skin depigmentation
AU2002324481A1 (en) Emu-based formulations for wound treatment related application information
US20070231377A1 (en) Compositions for promoting hair growth
US5166176A (en) Composition for healing damaged skin
UA89500C2 (uk) Органогель для терапевтичного застосування
DE19852245A1 (de) 5-Aminolävulinsäure-Nanoemulsion
Vanić Phospholipid vesicles for enhanced drug delivery in dermatology
WO2019090008A1 (en) Multi-factor hair growth formulation
CH702736B1 (de) Phospholipid-Emulsion, die Dihydroquerzetin beinhaltet.
CN101129378A (zh) 一种用于促进毛发生长的药物喷雾剂
KR100542788B1 (ko)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외용 제제
CA2738861C (en) Photosensitizer composition for treating skin disorders
CN105456182A (zh) 一种治疗真菌感染的外用乳膏及其生产方法
RU2379026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флуоресцент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и фотодинамической терапии
US20120276174A1 (en) Therapeutic Treatment of Dermatologic Skin Disorders
KR100479010B1 (ko)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제모용 외용 제제
KR20100037366A (ko)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과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한 리포좀을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20090274750A1 (en) Therapeutic Treatment of Dermatologic Skin Disorders
US20130149362A1 (en) Treatment product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