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687A -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일회용 전화번호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일회용 전화번호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687A
KR20040075687A KR1020030084147A KR20030084147A KR20040075687A KR 20040075687 A KR20040075687 A KR 20040075687A KR 1020030084147 A KR1020030084147 A KR 1020030084147A KR 20030084147 A KR20030084147 A KR 20030084147A KR 20040075687 A KR20040075687 A KR 20040075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server
unique code
time
incom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775B1 (ko
Inventor
박대호
Original Assignee
박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호 filed Critical 박대호
Publication of KR20040075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04M3/42306Number translation services, e.g. premium-rate, freephone or vanity numbe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11Service processing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a party before or during a call, e.g. information, tone or routing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전화망의 전화번호 착신서비스를 이용하여 발신자에게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공개하지 않고 일정 시간만 사용가능한 일회용 전화번호를 제공하며 또한 통신사업자의 여유분 전화번호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일회용전화번호서비스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1) 발신자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2) 상기 발신자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통지하는 단계; (3)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고유코드와 맵핑되어 있는 상기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4) 상기 서비스 서버가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는 일회용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5)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와 상기 착신전화번호를 맵핑하는 단계; (6)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착신관리서버에게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착신전화번호로의 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7)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자에게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를 통지하는 단계; (8) 상기 서비스 서버가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착신관리서버에게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 해제를 요청하며 상기 (5) 단계의 맵핑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INGLE-USE TELEPHONE NUMBER SERVICE }
본 발명은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공중전화망의 전화번호 착신서비스를 이용하여 발신자에게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일정 시간만 사용가능한 일회용 전화번호를 제공하며 또한 통신사업자의 여유분 전화번호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공중전화망의 전화번호 착신 서비스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으로 걸려온 전화를 자신이 이동한 지역의 일반전화기 또는 호출기, 이동전화 등으로 통화를 연결하는 서비스이다. 최근 착신용 전화번호를 본인이 직접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일명 평생전화번호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또한 이러한 평생전화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상전화번호라 불리는 서비스가 공개되었다.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종래의 기술 국내 특허공개번호 특2002-0077761호 "다중 전화 번호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가상 전화 번호를 운영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다중 전화 번호 서비스 방법에 관하여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수신자의 실제 전화번호에 착신되는 가상의 전화번호를 변경한다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것으로, 그 가상 전화번호의 변경을 위하여는 수신자가 직접 가상 전화번호의 변경을 요청하여야 하고 또한 수신자에게 할당되는 가상의 전화번호는 항상 최소한 하나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수신자가 이러한 가상의 전화번호를 부여받기 위하여는 통신사업자에게 일정한 요금을지불하는 것이 마땅하다. 따라서 가상의 전화번호를 실제로 이용하는 시간은 매우 적으나 수신자로서는 그 가상의 전화번호를 소유하기 위하여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며, 또한 통신사업자의 측면에서는 불필요하게 전화번호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발신자가 아주 짧은 소정의 기간동안만 이용되는 가상의 전화번호(이하 "일회용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수신자의 실제 전화번호(이하 "착신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 발신자가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를 순수한 일회성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수신자의 실제 전화번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사업자가 여분으로 보유한 전화번호를 일회용 전화번호로 활용함으로써, 전화번호 사용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각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수신자 및 발신자가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사용자용 서버
300 : 메인 서버 400 : 착신관리서버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발신자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 (2) 상기 발신자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통지하는 단계 ; (3)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통지된 고유코드와 맵핑되어 있는 상기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 (4) 상기 서비스 서버가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는 일회용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 (5)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색된 일회용 전화번호와 상기 검색된 착신전화번호를 맵핑하는 단계 ;(6)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착신관리서버에게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착신전화번호로의 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 (7)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자에게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를 통지하는 단계 ; (8) 상기 서비스 서버가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착신관리서버에게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 해제를 요청하며 상기 (5) 단계의 맵핑을 해제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법은 발신자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일회용 전화번호를 부여받게 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메인 서버 및 상기 메인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용자용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용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용 서버에게 고유코드를 통지하며 또한 상기 발신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용 서버로부터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를 통지받게 되어, 발신자로서는 메인 서버가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를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용 서버가 상기와 같은 일회용 전화번호를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용 서버는 자신의 본연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부가적인 서비스로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소정의 시간이란 1분 내지 10분 정도로 서비스 서버에 임의로 규정된 시간일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수신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시간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발신자는 종전의 일회용 전화번호에 의하여는 수신자와 전화통화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발신자는 다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일회용 전화번호를 통지받아야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는 착신이 지속되는 시간인 착신지속시간과 상기 고유코드가 맵핑되어 있으며, 상기 (8) 단계의 상기 소정의 시간이 상기 고유코드와 맵핑되어 있는 상기 착신지속시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유코드와 함께 착신지속시간이 맵핑되는 경우는 수신자에 의해 착신지속시간을 입력받는 경우에 이루어지며, 서비스 서버가 자체적으로 착신지속시간을 정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착신지속시간과 고유코드가 맵핑되어야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 (1) 수신자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 (2)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수신자가 착신받기를 원하는 착신전화번호를 통지하는 단계 ; (3)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통지된 착신전화번호 및 고유코드를 맵핑하는 단계 ; (4)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수신자에게 상기 맵핑된 고유코드를 통지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법은 수신자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일회용 전화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자신의 고유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착신이 지속되는 시간인 착신지속시간을 통지하는 단계가 추가되며,상기 (3)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착신전화번호,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통지된 착신지속시간을 맵핑하는 단계인 것일 수 있다. 수신자가 착신지속시간을 통지함으로써 서비스 서버는 수신자가 요청한 착신지속시간만큼 일회용 전화번호를 상기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을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유코드는 임시전화번호이며 ;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착신관리서버에 상기 임시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착신전화번호로의 착신을 요청하는 (5)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착신지속시간의 경과 후 상기 착신관리서버에 상기 임시전화번호에 대한 착신 해제를 요청하는 (6) 단계가 부가 ; 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임시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지속시간이 수신자에 의해 결정됨으로써 수신자는 상기 임시전화번호를 일회용 전화번호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유코드는 숫자가 아닌 문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숫자만으로 이루어진 전화번호의 경우 수신자가 선택할 수 있는 고유코드의 범위를 좁히며, 또한 수신자가 자신의 아이디를 고유코드로 선택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선택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고유코드는 숫자로만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알파벳, 또는 한글 등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일회용 전화번호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에 마련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 수신자가 착신받기를 원하는 착신전화번호 및 수신자의 고유코드가 저장되는 제1데이터베이스 ; 일회용 전화번호 및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의 사용 여부가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 ; 및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 및 상기 착신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제3데이터베이스 ; 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고유코드를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 ; 상기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며,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지 않는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한 결과를 맵핑하여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검색하여 맵핑한 결과를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 ;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착신관리서버에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에서 검색하여 맵핑한 결과를 이용하여 착신 요청 및 착신 해제 요청을 수행하는 착신 전환 프로그램 모듈 ;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은 수신자가 착신이 지속되기를 원하는 시간인 착신지속시간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착신지속시간이 함께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지속시간이 함께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데이터베이스는 현재 사용중인 일회용 전화번호와 이와 맵핑된 착신전화번호 및 착신지속시간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제3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 숫자는 제1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 숫자에 비하여 현저히 작으므로,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이 해당 일회용 전화번호의 착신지속시간을 판단하는 속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착신전화번호의 맵핑이 고정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일회용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수신자의 경우 고유코드를 1회에 한해 사용하는 수신자가 있을 수 있지만, 특정 웹사이트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자신의 아이디(ID)를 가지고 있거나 자신의 이메일주소를 가지는 수신자의 경우 자신의 고유코드를 장기간 유지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유코드와 착신전화번호의 맵핑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유코드가 고정되는 경우에도 발신자가 그 고유코드를 입력할 때마다 매번 새로운 일회용 전화번호를 통지받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거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구성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사용자용 서버(200)에 접속하며, 사용자용 서버(200)는 네트워크(250)를 통해 메인 서버(300)와 연결되며, 메인 서버(400)는 착신관리서버(400)와 네트워크(350)를 통해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사용자용 서버(200)의 입출력 프로그램(210)에 접속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모뎀 등의 통신중재장치가 포함된 개인용 컴퓨터, 개인휴대단말기(PDA), 노트북 등이 예상될 수 있으나 셀룰러폰, PCS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 IMT-2000, UMTS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정보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를 포함하는 통신환경을 구축하고 있으며, 네트워크(150)로서 전용선, 공중통신망(PSTN), 이동전화망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용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용 서버(200)의 입출력 프로그램(210)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웹문서를 표시하고 상기 웹문서는 사용자가 문자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사용자용 서버의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은 자동응답장치(ARS)의 제어 프로그램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일반전화로서 상기 자동응답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사용자용 서버(200)는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210), 중계 프로그램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30)로 이루어진다.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수신자의 실제 전화번호(착신전화번호)와 발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입력값으로 받아서 중계 프로그램 모듈(220)로 전달한다.
또한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210)은 중계 프로그램 모듈(220)로부터 넘어오는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수신자의 고유코드 및 발신자가 발신을 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에 일시적으로 착신되어 있는 일회용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통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중계 프로그램 모듈(220)은 네트워크(250)를 통해 메인 서버(300)의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310)과 연결되며,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310)과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210) 사이에서 착신전화번호, 고유코드, 일회용 전화번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용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사용자용 서버(200)가 메인 서버(300)와 별도로 관리하는 사용자용 서버(200)에 가입된 회원들의 아이디, 즉 수신자의 고유코드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용 서버(20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불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210)은 메인 서버(300)에 마련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210)을 통하여 메인 서버(300)에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주로 특정 웹사이트에 가입하지 않은 일반인들에게 적용될 것이다.
메인 서버(300)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310), 착신 전환 프로그램 모듈(320), 데이터베이스(330)로 이루어진다.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310)(이하 "서버용 프로그램"이라 약칭한다.)은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다.
서버용 프로그램(310)은 사용자용 서버(200)에서 넘겨주는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 혹은 발신자가 입력한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받아서 데이터베이스(330)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고유코드, 착신전화번호, 일회용 전화번호 등에 대한 맵핑을 관리하고, 착신 전환 프로그램 모듈(320)에 착신이 요구되는 일회용전화번호 및 착신 해제가 요구되는 일회용전화번호를 알려주며, 사용자용 서버(200)에 일회용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서버용 프로그램(310) 및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관계는 도 2를 설명할 때 보다 명확히 설명될 것이다.
착신 전환 프로그램 모듈(320)은 착신관리서버(400)에 연결되어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을 요청하거나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 해제를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메인 서버(300)에는 부수적으로 보안시스템, 지불 및 인증 시스템, SMS 시스템, 채팅, 커뮤니티 등의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착신관리서버(400)는 이미 공개된 기술로서, 현재 통신사업자가 소유하고 운영중인 것으로, 착신 전환 프로그램 모듈(320)의 착신 요청 내지 착신 해제 요청에 따라 착신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각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30)는 크게 3가지의 데이터베이스가 연동 구성되어 있다.
제1데이터베이스(331)는 수신자가 착신받기를 원하는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착신전화번호 필드와 수신자의 고유코드 필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신전화번호와 고유코드의 맵핑이 고정되는지 여부에 관한 고유코드 고정 필드, 착신이 지속되는 시간인 착신지속시간 필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고유코드 필드는 메인 서버(300)에서 특정의 규칙에 따라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수신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결정된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메인 서버(300)에서 특정의 규칙에 따라 고유코드를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된 고유코드 중 사용되지 않는 고유코드를 수신자에게 할당할 경우에는 수신자에게 상기 할당된 고유코드를 통지할 필요가 있다.
반면 고유코드가 수신자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즉 수신자의 특정 웹서버의 아이디(ID)나 이메일 주소 등인 경우에는 수신자에 의해 결정된 고유코드가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제1데이터베이스(331)에 입력되어야 하며, 메인서버(300)의 일회용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330)은 동일한 고유코드가 이미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 만일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되지 않는 고유코드라면 상기 고유코드와 착신전화번호를 제1데이터베이스(331)에 맵핑하게 된다.
착신지속시간 필드는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이 유지되는 시간이 저장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착신지속시간 필드가 불필요할 수 있다. 즉,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310)은 제3데이터베이스(333)에 착신될 착신전화번호와 발신자에게 알려줄 일회용 전화번호를 맵핑한 후 일정한 시간, 즉 약 1분 내지 10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333)에 맵핑된 일회용 전화번호 및 착신전화번호를 삭제하면서 착신전환프로그램(320)을 통해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 해제를 상기 착신 관리 서버(400)에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착신지속시간 필드는 수신자에 의해 착신이 지속되기를 원하는 시간이 입력될 수 있는 경우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수신자는 자신의 착신전화번호로 착신되는 일회용 전화번호가 얼마동안 착신이 유지되는 지 미리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수신자가 착신지속시간을 미리 설정하지 않는다면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310)은 미리 지정된 시간(약 1분 내지 10분)을 상기 착신지속시간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고유코드 고정 필드는 고유코드와 착신전화번호의 맵핑이 고정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고유코드가 고정되는 경우는 수신자가 사용자용 서버(200)와 같은 특정 웹사이트의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그 회원 아이디를 메인 서버(300)의 고유코드로 활용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신자는 매번 새로운 고유코드를 부여받을 필요가 없으며, 수신자는 착신지속시간 필드만을 관리하는 것으로 착신전화번호에 대한 일회용 전화번호의 착신지속시간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고유코드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란, 수신자가 특정 웹사이트의 회원으로 가입되지 않았다는 이유 등으로 수신자가 자신의 특유한 고유코드를 부여받을 필요가 없는 경우를 말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수신자가 일회용 전화번호를 사용하기 위하여 메인 서버(300)에 접속할 때마다 새로운 임시의 고유코드를 부여받게 된다.
따라서 고유코드 고정 필드에 "비고정"이라 표시된 고유코드는, 그 고유코드 발급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는 고유코드로 분류되며,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는 고유코드로 분류되면 제3자에게 그 고유코드가 할당될 수 있다. 반면에 고유코드 고정 필드에 "고정"이라 표시된 고유코드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제3자에게 그 고유코드가 할당될 수 없다.
제2데이터베이스(332)는 통신사업자로부터 미리 할당받은 일회용 전화번호들을 미리 배정하고, 이들 일회용 전화번호가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일회용 전화번호로서는 현재 평생전화번호로 알려져 있는 050X로 시작되는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이동전화번호(011,016,017,019 등) 혹은 일반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일회용 전화번호는 통신사업자가일반 사용자에게 할당하고 남은 여유분 전화번호이면 충분한 것으로, 일회용 전화번호로 채택가능한지 여부는 전적으로 통신사업자가 어떠한 전화번호를 여유분으로 보유하고 있고 이를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업체에 판매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일 뿐이다.
일회용 전화번호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다는 것은, 그 일회용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었을 때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데이터베이스(333)는 고유코드, 착신전화번호, 일회용 전화번호, 착신지속시간 등의 필드로 구성된다.
제3데이터베이스(333)는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기 위하여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입력할 때 생성되는 레코드들로 구성된다.
발신자가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입력하는 과정은 사용자용 서버(200)에 접속하여 직접 발신자가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입력하거나 혹은 채팅 등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수신자의 아이디를 클릭하는 것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자의 고유코드가 입력되면,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310)은 제1데이터베이스(331)에서 이와 상응하는 고유코드, 착신전화번호, 착신지속시간을 검색하며, 제2데이터베이스(332)에서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는 일회용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한 결과를 맵핑하여 제3데이터베이스(333)에 저장한다. 한편, 이러한 과정이 완료되면 제2데이터베이스(332)에서 검색된 일회용 전화번호는 사용중인 것으로 표시된다.
제3데이터베이스(333)에서 고유코드 필드 및 착신지속시간 필드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생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착신지속시간 필드가 없을 경우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310)은 미리 정해진 시간을 이용하여 착신지속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착신관리서버(400)는 메인 서버(300)의 착신 전환 프로그램(320)의 요청에 따라 제3데이터베이스(333)와 동일한 레코드를 가지게 되며, 다만, 그 필드는 일회용 전화번호 및 착신전화번호로만 구성될 것이라 이해된다. 즉, 착신지속시간에 관한 관리는 착신전환프로그램(320)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며, 착신지속시간의 관리는 착신관리서버(400)의 기능과 무관하다. 착신관리서버(400)는 저장되는 일회용 전화번호 필드와 착신전화번호 필드를 이용하여, 그 일회용 전화번호로 호 소통 요청이 있으면 상기 착신전화번호로 호를 소통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데이터베이스(331)에서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는 011-666-6666이며, 수신자의 고유코드는 AA2340이다. 발신자가 수신자의 고유코드 AA2340을 입력하면, 제1데이터베이스(331)에서 수신자의 고유코드, 착신전화번호, 착신지속시간을 검색하고, 제2데이터베이스(332)에서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는 일회용 전화번호 중 060-2777-1234를 검색하여 그 일회용 전화번호의 착신상태를 "사용중"이라 변경하고, 그 검색된 결과들을 맵핑하여 제3데이터베이스(333)에 저장한다.
제3데이터베이스(333)에의 저장과 동시에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프로그램(310)은 착신전환 프로그램(320)을 통해 착신관리서버(400)에 060-2777-1234 전화번호에 대하여 011-666-6666으로 착신해 줄 것을 요청한다.
따라서 발신자는 060-2777-1234로 전화를 걸면 수신자의 011-666-6666 전화번호로 착신되어 수신자와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011-666-6666 착신전화번호는 착신지속시간이 1시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310)은 발신자가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입력한 시점부터 1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1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3데이터베이스의 INDEX NO.3 레코드를 삭제하며, 또한 착신전환 프로그램(320)을 통해 착신관리서버에 060-2777-1234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을 해제할 것을 요청한다.
또한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310)은 제2데이터베이스(332)의 060-2777-1234 일회용 전화번호의 착신상태에 대하여 "미사용" 상태로 변경한다.
따라서 발신자는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입력한 시점부터 1시간 이내에는 060-2777-1234 일회용 전화번호로 수신자와 전화통화를 할 수 있지만, 1시간이 경과하면 060-2777-1234 일회용 전화번호로는 수신자와 전화통화를 할 수 없으며, 수신자와 다시 통화를 하기 위하여는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입력하여 새로운 일회용 전화번호를 통지받아야 한다.
상기의 일회용 전화번호 목록은, 대체로 통신사업자가 일반 사용자에게 판매하고 남은 여분의 전화번호를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사업자에게 판매 또는 대여하는 것일 수 있다.
만일 착신지속시간을 1시간으로 강제로 규정하고, 한명의 발신자가 하루에 한번 일회용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다른 수신자와 전화통화를 한다면, 하나의 일회용 전화번호는 이론적으로 24명의 다른 수신자의 전화통화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 착신지속시간을 1분으로 강제로 규정한다면, 하나의 일회용 전화번호는 최대한 약 1440명(24x60)의 다른 수신자의 전화통화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여분으로 남는 전화번호 자원을 1000배 이상 그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수신자 및 발신자가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수신자가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서버로부터 고유코드를 얻게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수신자가 사용자용 서버(100)에 접속한다(S100).
수신자가 착신받기를 원하는 전화번호인 착신전화번호, 즉 실제의 전화번호를 입출력 프로그램(210)을 이용하여 입력한다(S201). 사용자용 서버(100)에 입력된 착신전화번호는 중계프로그램(220)을 거쳐 메인 서버(300)에 중계된다(S202).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를 입력받은 메인 서버(300)는 여분의 고유코드를 검색하거나 새로운 고유코드를 생성하여(S203),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 및 검색된 고유코드를 맵핑하여 제1데이터베이스(331)에 저장한다(S204).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검색하는 과정은 도 2의 제1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코드고정 필드가 "비고정"이라 표시되어 있는 고유코드 중 일정기간이 경과한 고유코드를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는 고유코드라 판단하여 수신자에게 할당할 고유코드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데이터베이스에 고유코드가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별도의 필드를 두고, 그 필드에 각 고유코드의 현재 사용 여부에 관한 "사용중", "미사용"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여 "미사용"이라 표시된 고유코드를 검색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서버(300)는 사용자용 서버(200)에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맵핑된 고유코드를 사용자용 서버(200)에 전송한다(S205).
사용자용 서버(200)는 입출력 프로그램(210)을 이용하여 수신자 단말기에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통지한다(S206).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메인 서버(300)의 제1데이터베이스(331)가 생성되며, 수신자가 착신지속시간을 함께 입력할 경우 그 착신지속시간도 함께 제1데이터베이스(331)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발신자가 수신자의 일회용 전화번호를 얻게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발신자가 수신자로부터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통지받는다. 이러한 과정은 오프라인상에서 발생하거나, 혹은 채팅 사이트 등에서 수신자의 아이디를 인지하는 과정일 수 있다.
발신자가 사용자용 서버(200)에 접속한다(S100).
발신자가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입출력 프로그램(210)을 이용하여입력한다(S301). 이러한 과정은 발신자가 사용자용 서버(200)에 접속하여 수신자의 아이디(ID)를 클릭하는 과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용 서버(100)에 입력된 고유코드는 중계프로그램(220)을 거쳐 메인 서버(300)에 중계된다(S302).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입력받은 메인 서버(300)는 상기 고유코드와 맵핑되어 있는 착신전화번호를 제1데이터베이스(331)에서 검색하며(S303), 또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여분의 일회용 전화번호를 제2데이터베이스(332)에서 검색한다(S304).
그리고 상기 검색된 일회용 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맵핑하여 제3데이터베이스(333)에 저장하며(S305), 또한 착신관리서버(400)에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착신전화번호로 착신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S306).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 요청이 완료되면, 메인 서버(300)는 사용자용 서버(200)에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를 전송하며(S307), 사용자용 서버(200)는 발신자에게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를 통지한다(S308).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발신자는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를 알게 되며,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를 통해 수신자와 통화하게 된다.
한편, 메인 서버(300)는 착신지속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09), 만일 착신지속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착신관리서버에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을 해제할 것을 요청(S310)하는 동시에 제3데이터베이스(S333)에 저장된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의 맵핑을 해제하며(S311), 제2데이터베이스(332)에 저장된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의 착신상태를 "미사용"으로 변경한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내지 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발신자는 수신자와 통화하기 위한 일회용 전화번호를 실제로 단한번 사용할 수 있는 전화번호 즉 일회성으로 인식하게 됨으로써, 수신자의 실제 전화번호를 통해 수신자의 프라이버시를 엿보려는 시도를 단념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통신사업자가 여분으로 보유한 전화번호를 일회용 전화번호로 활용함으로써, 수신자 또는 발신자 등의 사용자에게는 일회용 전화번호를 무료로 이용하거나 혹은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한 이용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통신사업자에게는 전화번호 자원의 이용율 극대화를 가져다 준다.

Claims (13)

  1. (1) 발신자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
    (2) 상기 발신자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수신자의 고유코드를 통지하는 단계 ;
    (3)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통지된 고유코드와 맵핑되어 있는 상기 수신자의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
    (4) 상기 서비스 서버가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는 일회용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5)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색된 일회용 전화번호와 상기 검색된 착신전화번호를 맵핑하는 단계 ;
    (6)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착신관리서버에게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착신전화번호로의 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
    (7)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발신자에게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를 통지하는 단계 ;
    (8) 상기 서비스 서버가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착신관리서버에게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 해제를 요청하며 상기 (5) 단계의 맵핑을 해제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는 착신이 지속되는 시간인 착신지속시간과 상기 고유코드가 맵핑되어 있으며,
    상기 (8) 단계의 상기 소정의 시간이 상기 고유코드와 맵핑되어 있는 상기 착신지속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3. (1) 수신자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
    (2)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수신자가 착신받기를 원하는 착신전화번호를 통지하는 단계 ;
    (3)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통지된 착신전화번호 및 고유코드를 맵핑하는 단계 ;
    (4)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수신자에게 상기 맵핑된 고유코드를 통지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게 착신이 지속되는 시간인 착신지속시간을 통지하는 단계가 추가되며,
    상기 (3)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착신전화번호, 상기 고유코드, 및상기 통지된 착신지속시간을 맵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
    상기 고유코드는 임시전화번호이며 ;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착신관리서버에 상기 임시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착신전화번호로의 착신을 요청하는 (5)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착신지속시간의 경과 후 상기 착신관리서버에 상기 임시전화번호에 대한 착신 해제를 요청하는 (6) 단계가 부가 ;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코드는 숫자가 아닌 문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7. 일회용 전화번호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에 마련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
    수신자가 착신받기를 원하는 착신전화번호 및 수신자의 고유코드가 저장되는 제1데이터베이스 ;
    일회용 전화번호 및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의 사용 여부가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 ; 및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 및 상기 착신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제3데이터베이스 ;
    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8. 제 7 항에 있어서 :
    상기 고유코드를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 ;
    상기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며,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지 않는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한 결과를 맵핑하여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검색하여 맵핑한 결과를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 ;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착신관리서버에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에서 검색하여 맵핑한 결과를 이용하여 착신 요청 및 착신 해제 요청을 수행하는 착신 전환 프로그램 모듈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은 수신자가 착신이 지속되기를 원하는 시간인 착신지속시간을 입력받으며,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착신지속시간이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지속시간이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일회용 전화번호 서버용 프로그램 모듈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용자용 서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고유코드 및 상기 착신전화번호의 맵핑이 고정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코드는 숫자가 아닌 문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시스템.
KR1020030084147A 2003-02-20 2003-11-25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KR100616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0596 2003-02-20
KR1020030010596 2003-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687A true KR20040075687A (ko) 2004-08-30
KR100616775B1 KR100616775B1 (ko) 2006-08-28

Family

ID=3736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147A KR100616775B1 (ko) 2003-02-20 2003-11-25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413B1 (ko) 2019-05-17 2020-01-22 정구창 일회용 전화번호 이용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96B1 (ko) 2005-09-05 2007-05-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수신자 사생활 보호를 위한 전화번호 보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413B1 (ko) 2019-05-17 2020-01-22 정구창 일회용 전화번호 이용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775B1 (ko)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312B1 (ko) 웹기반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시스템
US7336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esenting and changing ring-back sounds in subscriber-based ring-back sound service
KR100697416B1 (ko) 모바일 통신 단말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7509379B2 (en) Method of triggering a transfer of data stored in a database
US20020019225A1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ing telephone directory management system of mobile phone
JP2002335336A (ja) 携帯電話機および基地局
CN101702795A (zh) 共享权限使能的移动简档的系统和方法
KR100616477B1 (ko)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AU2004229945B2 (en) System and method of notifying unpublished subscribers of requests for contact information
JP2008306721A (ja) ユーザの端末のメモリ内に格納された呼び出し番号のオペレータを識別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55653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1010952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스팸 전화 차단 방법
KR100616775B1 (ko) 일회용 전화번호 서비스 제공용 기록매체
CN100502442C (zh) 智能输入实现电话呼叫及信息查询的系统及方法
KR100683569B1 (ko)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016309B1 (ko) 폰북 정보가 공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664502B1 (ko) 녹음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99477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번호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710637B1 (ko) 전화번호 갱신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05252525A (ja) 情報案内システム、情報案内方法、情報案内サーバ及び登録者端末
KR20030000108A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주소록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86307A (ko) 지능망 환경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의 문자열 입력을이용한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1615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모드 시 배경 화면 메시지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17754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연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