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5668A -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 Google Patents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5668A
KR20040075668A KR1020030024660A KR20030024660A KR20040075668A KR 20040075668 A KR20040075668 A KR 20040075668A KR 1020030024660 A KR1020030024660 A KR 1020030024660A KR 20030024660 A KR20030024660 A KR 20030024660A KR 20040075668 A KR20040075668 A KR 20040075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bar
housing
shaf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832B1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ublication of KR2004007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003Phantom keys detection and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관한 것으로, 전원에 의해 작동하게 마련된 구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모빌 조형물간 상호 반작용하게 하면서 좌,우로 모빌이 회전하게 하여 유아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하여 생동감을 구현하므로서 유아의 호기심 유발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게 한 모빌로;
천정등에 일정 길이의 연결실선으로 고정되면서 연결축을 비접촉으로 조립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형성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의해 거치되는 하우징내에 작동의 온/오프와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게 설치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우징 외주면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한 단부에 삽입홀을 뚫어 형성한 지지바와,
상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축에 다수 절곡되어 회전하게 형성하여 제1모빌 조형물을 고정실선으로 매달게 연결 설치된 절곡회전바와,
상기 절곡회전바의 수직축에 조립된 회전링에 일측 지지바의 삽입홀을 통해 고정실선으로 매달리게 설치된 제3모빌 조형물과,
상기 지지바의 타측 삽입홀을 통해 절곡회전바의 수직축에 제3모빌 조형물의 타측에 위치하게 연결 설치된 제4모빌 조형물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AUTOMATIC MOVING MOVIL }
본 발명은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게 마련된 구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모빌 조형물간 상호 반작용하게 하면서 좌,우로 모빌이 회전하게 하여 유아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하여 생동감을 구현하므로서 유아의 호기심 유발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게 한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 고조가 증대되고 있으며, 유아의 시력발달 및 감각 도구 발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태이며, 이를 위해 유아용이나 장식용으로 모빌등이 여러종류 알려지고 있으며 유통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모빌에서 매달린 모빌조형물은 수지재 실선으로 지지대에 일정 길이로 고정하거나 또는 길이를 달리하여 고정되어 있는 정도로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 인위적으로 지지대등을 움직여 주지 않으면 그대로 움지이지 않고 매달려만 있어 장식성으로 관심도가 떨어지며, 유아 용품일 경우에는 움직임이 떨어져 유아들이 모빌이라는 사물에 대해 흥미 유발정도가 낮고 사물인지에 따른 시력발달 및 시각의 감각 발달이 더디게 되는 점이 있다.
특히나 유아용 모빌은 우산살 형상의 탄력성을 갖는 지지대에 실이나 수지재의 낚시줄 같이 가는 선으로 모빌 조형물을 매달아 놓아 유아의 시각, 공간 지각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이들 모빌 조형물의 움직임성이 떨어져 유아의 인지능력 또는 시각에 의한 판단능력 증대를 도모할 수 없는 등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유아들을 위한 모빌은 단순히 꽃모양, 동물모양, 곤충모양 등 갖가지 모양의 조형물을 매달아 놓아 인위적으로 건들지 않으면 움직임이 거의 없는 것이 대부분이며, 또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더라도 일방향으로 서서히 규칙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알려지고 있으나, 움직임이 다양하지 못하여 쉽게 식상하게 되어 유아의 시선을 집중시키지 못하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에 의해 작동하게 마련된 구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모빌 조형물간 상호 반작용을 하게 하면서 좌,우로도 모빌이 회전하게 하여 유아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해서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 생동감을 구현하므로서 유아의 호기심 유발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게 한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정등에 일정 길이의 연결실선으로 고정되면서 연결축을 비접촉으로 조립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형성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의해 거치되는 하우징내에 작동의 온/오프와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게 설치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우징 외주면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한 단부에 삽입홀을 뚫어 형성한 지지바와,
상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축에 다수 절곡되어 회전하게 형성하여 제1모빌 조형물을 고정실선으로 매달게 연결 설치된 절곡회전바와,
상기 절곡회전바의 수직축에 조립된 회전링에 일측 지지바의 삽입홀을 통해 고정실선으로 매달리게 설치된 제2모빌 조형물과,
상기 지지바의 타측 삽입홀을 통해 절곡회전바의 수직축에 제3모빌 조형물의 타측에 위치하게 연결 설치된 제3모빌 조형물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연결부는 천장에 일정 길이로 고정된 연결실선과, 이 연결실선에 연결되면서 축의 하단 플렌지부상에 제1자성체를 부착한 지지축과, 이 지지축의 제1자성체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반발력을 발휘하게 하우징내에 부착된 제2자성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구동부는 일정 모양으로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 연결부의 하부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한 배터리와, 이 배터리의 전원을선택적으로 인가하게 외주면에 노출 설치한 작동스위치와, 이 작동스위치의 온 조작에 의해 작동하게 설치된 모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절곡회전바는 모터의 회전축에 일정 길이 형성되어 일측단이 조립 설치되는 상부바와, 이 상부바의 타측단에 수직으로 일정 길이 형성한 수직바과, 이 수직바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부바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형성되면서 2배 길이로 형성되는 하부바와, 상기 수직바에 제2,3모빌조형물을 연결한 고정실선이 연결되게 조립된 회전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천장에 매단 모빌의 작동스위치를 온시키면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축에 설치된 절곡회전바가 회전을 하게 되므로서 제1모빌 조형물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회전바가 회전하므로서 수직바에 회전링으로 연결된 제2,3조형물은 예를 들어 수직바가 오른쪽에 있으면 어느 정도 중량을 가지고 있는 제3모빌 조형물은 최대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타측의 제2모빌 조형물은 최대로 상승한 위치에 머물게 된다.
또, 절곡회전바의 수직바 부분이 지지바간의 중간에 있을 때는 제2,3모빌 조형물간 높이 차이는 없으며 동일 선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절곡회전바가 회전할 때 구동부를 내장한 하우징이 제1,2자성체의 반발력을 이용 지지축으로 연결실선에 의해 천장에 설치되고 있음에 따라 지지바와절곡회전바간의 일정 회전차를 두고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어 제1,2,3모빌조형물의 다양한 변화로 움직이게 되어 있어 장식품 뿐 만 아니라 영, 유아의 인지능력 발전을 효과적으로 도모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인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적용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인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적용된 구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인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적용된 구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모빌 4:연결부
6:구동부 8:지지바
10:절곡회전바 12,14,16:제1,2,3모빌조형물
20:축 22:연결실선
24:플렌지부 26:제1자성체
28:지지축 30:하우징
32:제2자성체 36:모터
38:삽입홀 42:고정실선
44:상부바 46:수직바
48:하부바 50:회전링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을 도시한 도면이고,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2)은 연결부(4), 구동부(6), 지지바(8), 절곡회전바(10), 제1,2,3모빌조형물(12)(14)(16)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연결부(4)는 천정(18)등에 일정 길이의 연결실선으로 고정되면서 연결되는 축(20)을 비접촉식으로 조립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천장에 일정 길이로 고정된 연결실선(22)과, 이 연결실선(22)에 연결되면서 축(20)의 하단 플렌지부(24)상에 제1자성체(26)를 부착한 지지축(28)과, 이 지지축(28)의 제1자성체(26)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반발력을 발휘하게 하우징(30)내에 부착된 제2자성체(32)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구동부(6)는 연결부(4)에 의해 거치되는 하우징(30)내에 작동스위치(31)의 온조작으로 배터리(34)의 전원에 의해 모터(36)가 구동되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구동부(6)는 일정 모양으로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형성되는 하우징(30)과, 이 하우징(30)내 연결부(4)의 하부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한배터리(34)와, 이 배터리(34)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게 외주면에 노출 설치한 작동스위치(31)와, 이 작동스위치(31)의 온 조작에 의해 작동하게 설치된 모터(36)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지바(8)는 구동부(6)의 하우징(30) 외주면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한 단부에 삽입홀(38)을 뚫어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절곡회전바(10)는 구동부(6)의 모터 회전축(40)에 다수 절곡되어 회전하게 형성하여 제1모빌 조형물(12)을 고정실선(42)으로 매달게 연결 설치되고 있다.
상기 절곡회전바(10)는 모터(36)의 회전축(40)에 일정 길이 형성되어 일측단이 조립 설치되는 상부바(44)와, 이 상부바(44)의 타측단에 수직으로 일정 길이 형성한 수직바(46)와, 이 수직바(46)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부바(44)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형성되면서 2배 길이로 형성되는 하부바(48)와, 상기 수직바(46)에 제2,3모빌조형물(14)(16)을 연결한 고정실선(42)이 연결되게 조립된 회전링(5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2모빌조형물(14)은 절곡회전바(10)의 수직바(46)에 조립된 회전링(50)에 일측 지지바(8)의 삽입홀(38)을 통해 고정실선(42)으로 매달리게 설치되고 있다.
제3모빌조형물(16)은 지지바(8)의 타측 삽입홀(38)을 통해 절곡회전바(10)의 수직바(46)에 제3모빌 조형물(16)의 타측에 위치하게 연결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천장(18)에 매단 모빌(2)의 하우징(30)에 설치된 작동스위치(31)를 온 조작하면 배터리(34)의 전원이 인가된 모터(36)의 구동에 의해 작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36)의 작동으로 회전축(40)에 설치된 절곡회전바(10)가 회전을 하게 되므로서 고정실선(42)으로 하부에 연결 설치된 제1모빌 조형물(12)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회전바(10)가 회전하므로서 수직바(46)에 회전링(50)으로 연결된 제2,3조형물(14)(16)은 예를 들어 수직바(46)가 오른쪽에 있으면 어느 정도 중량을 가지고 있는 제3모빌 조형물(16)은 최대로 하강하게 되며, 이때 타측의 제2모빌 조형물(14)은 당겨져 최대로 상승한 위치에 머물게 된다.
또, 절곡회전바(10)의 수직바(46) 부분이 지지바(8)간의 중간에 있을 때는 제2,3모빌 조형물(14)(16)간 높이 차이는 없으며 동일 선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절곡회전바(10)가 회전할 때 구동부(6)를 내장한 하우징(30)이 제1,2자성체(26)(32)의 반발력을 이용 지지축(28)으로 연결실선(22)에 의해 천장(18)에 설치되고 있음에 따라 지지바(8)와 절곡회전바(10)간은 일정 회전차를 두고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즉, 절곡회전바(10)의 관성력이 지지바(8)를 형성한 하우징(30)에 전달되어 제1,2자성체(26)(32)의 반발력으로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따라서 연동하게 된다.
또, 모빌(2)은 제1,2,3모빌조형물(12)(14)(16)이 높이를 달리하는 변화를 주면서 계속 움직이게 되어 있어 관상용 장식품 뿐 만 아니라 영, 유아의 인지능력 발전을 효과적으로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절곡회전바(10)의 회전과 제2,3모빌 조형물(14)(16)의 높낮이 변화가계속적으로 진행함을 보여주므로서 호기심을 유발하게 되고, 영, 유아에게는 변화의 움직임에 따른 생동감을 주므로서 흥미를 유발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인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적용된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연결부(4), 구동부(6), 지지바(8), 절곡회전바(10), 제1,2,3모빌조형물(12)(14)(16)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는 천장(18)에 일정 길이로 장착되는 축(52)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기어(54)를 형성하여 하우징(30)을 거치하게 설치되는 지지축기어부(56)로 이루어지고 있다.
구동부(6)는 연결부(4)의 지지축기어부(56)로 거치되는 하우징(30)내에 설치된 모터(36)의 회전축에 고정기어(54)와 맞물리게 설치한 다단기어(58)와, 이 다단기어(58)에 치합하면서 절곡회전부(10)를 하우징(30)의 정중심인 동력전달축(60)에 조립되어 회전하게 설치되는 회전기어(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모빌(2)의 작용은 축(5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기어(54)를 따라 모터(36)의 동력에 의해 다단기어(58)가 이동하면서 회전하므로서 하우징(30)도 회전하게 되어 회전기어(62)를 회전시킴에 따라 동력전달축(60)을 통해 절곡회전바(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절곡회전바(10)와 지지바(8)의 회전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관상시 호기심을 유발하게 됨은 물론 제1,2,3모빌 조형물(12)(14)(16)의 움직임에 대한 변화가 다양하여 영,유아의 호기심과 흥미 끌어 시각 인지력을 발달시키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인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적용된 구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구동부(6)가 연결부(4)의 지지축기어부(56)로 거치되는 하우징(30)내에 설치된 모터(36)의 회전축(40)에 고정기어(54)와 맞물리게 설치한 다단기어(58)와, 이 다단기어(58)에 치합하면서 절곡회전부(10)를 하우징(30)의 정중심에 조립되어 회전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있어서, 상기 다단기어(58)에 직접 연결된 동력전달축(60)을 통해 절곡회전바(10)에 동력을 전달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모빌(2)은 작동스위치(31)의 조작으로 배터리(34)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36)가 작동하여 다단기어(58)를 회전시켜 동력전달축(60)을 통해 절곡회전바(10)를 회전시켜 제1,2,3모빌 조형물(12)(14)(16)을 다양한 변화를 주변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인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적용된 구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연결부(4), 구동부(6), 지지바(8), 절곡회전바(10), 제1,2,3모빌조형물(12)(14)(16)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6)는 하우징(30)내에 내장되는 배터리(34)와, 이 배터리(34)의 전원을 인가하게 연결된 작동스위치(31)와, 이 조작스위치(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천장(18)에 제1회전축(64)으로 연결 장착되면서 하우징(30)에 고정 설치되는 제1모터(66)와, 상기 작동스위치(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30)에 고정 설치되면서 제2회전축(68)으로 절곡회전바(10)에 연결 설치되는 제2모터(7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모빌(2)은 작동스위치(31)를 온 조작하면 배터리(34)의 전원이 제1,2모터(66)(70)에 인가되어 작동을 하게 되는데, 제1모터(66)는 제1회전축(64)으로 천정에 부착되고 있어 일정 회전수로 하우징(3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모터(70)의 작동으로 제2회전축(68)을 통해 절곡회전바(10)를 회전시켜 제1,2,3모빌 조형물(12)(14)(16)로 하여금 다양한 변화로 생동감을 주면서 회전하게 하여 호기심을 유발시킨다.
또, 상기 제1,2모터(66)(70)의 회전차에 의해 지지바(8)와 절곡회전바(10)의 회전을 달리하게 함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예들의 모빌(2) 작용은 구동부(6) 부분만 작용에서 구별되며, 이외의 지지바(8)에 거치된 제2,3모빌조형물(14)(16)이나 절곡회전바(10)의 제1모빌조형물(12)의 작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하게 움직이는 모빌에 의하면 모빌 인형의 일부가 회전하면 다른 인형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하로 움직여 이를 바라보는 유아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극대화하여 하여금 본 모빌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도록 하여 유아의 지능발달, 시력발달 및 감각발달 도구의 기능을 더욱더 충실하게 이행하도록 발명한 것이다.
따라서 유아의 시각 발달을 촉진시키고, 청각과 감성 등을 동시에 발달시켜 지능 향상과 안정된 심적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효과 및 부모에게는 육아의 편의가 제공된다.
그런데, 이러한 모빌은 대다수가 시각과 청각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들이므로, 후각적인 효과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모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등 장식산업이나 유아용품 산업상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8)

  1. 천정등에 일정 길이의 연결실선으로 고정되면서 연결축을 비접촉으로 조립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형성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의해 거치되는 하우징내에 작동의 온/오프와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모터가 구동되게 설치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우징 외주면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한 단부에 삽입홀을 뚫어 형성한 지지바와,
    상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축에 다수 절곡되어 회전하게 형성하여 제1모빌 조형물을 고정실선으로 매달게 연결 설치된 절곡회전바와,
    상기 절곡회전바의 수직축에 조립된 회전링에 일측 지지바의 삽입홀을 통해 고정실선으로 매달리게 설치된 제2모빌 조형물과,
    상기 지지바의 타측 삽입홀을 통해 절곡회전바의 수직축에 제3모빌 조형물의 타측에 위치하게 연결 설치된 제3모빌 조형물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천장에 일정 길이로 고정된 연결실선과, 이 연결실선에 연결되면서 축의 하단 플렌지부상에 제1자성체를 부착한 지지축과, 이 지지축의 제1자성체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반발력을 발휘하게 하우징내에 부착된 제2자성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정 모양으로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 연결부의 하부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한 배터리와, 이 배터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게 외주면에 노출 설치한 작동스위치와, 이 작동스위치의 온 조작에 의해 작동하게 설치된 모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회전바는 모터의 회전축에 일정 길이 형성되어 일측단이 조립 설치되는 상부바와, 이 상부바의 타측단에 수직으로 일정 길이 형성한 수직바과, 이 수직바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부바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형성되면서 2배 길이로 형성되는 하부바와, 상기 수직바에 제2,3모빌조형물을 연결한 고정실선이 연결되게 조립된 회전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천장에 일정 길이로 장착되는 축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기어를 형성하여 하우징을 거치하게 설치되는 지지축기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연결부의 지지축기어부로 거치되는 하우징내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기어와 맞물리게 설치한 다단기어와,이 다단기어에 치합하면서 절곡회전부를 하우징의 하단 동력전달축에 조립되어 회전하게 설치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기어에 직접 연결된 동력전달축을 통해 절곡회전바에 직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하우징내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이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하게 연결된 조작스위치와, 이 조작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천장에 제1회전축으로 연결 장착되면서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조작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면서 제2회전축으로 절곡회전바에 연결 설치되는 제2모터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KR10-2003-0024660A 2003-02-20 2003-04-18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KR100504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866 2003-02-20
KR20030010866 2003-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668A true KR20040075668A (ko) 2004-08-30
KR100504832B1 KR100504832B1 (ko) 2005-07-29

Family

ID=3736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660A KR100504832B1 (ko) 2003-02-20 2003-04-18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8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5025B2 (en) 2006-02-06 2008-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dual-damascene interconnect structures on semiconductor substrates using multiple planarization layers having different porosity characteristics
KR20160090179A (ko) 2015-01-21 2016-07-29 강희라 무선 통신을 이용한 키네틱 발광 오브젝트 제어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5025B2 (en) 2006-02-06 2008-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dual-damascene interconnect structures on semiconductor substrates using multiple planarization layers having different porosity characteristics
KR20160090179A (ko) 2015-01-21 2016-07-29 강희라 무선 통신을 이용한 키네틱 발광 오브젝트 제어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832B1 (ko) 200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99402U (zh) 婴儿玩具可动体
KR20110122803A (ko) 모빌 작동 장치
KR101417884B1 (ko) 자석식 블록 완구
KR20040075668A (ko)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US6651364B2 (en) Display globe having external dynamic ornamentation
JP3110565U (ja) 容器体に収納した吊下げ揺動玩具
KR200336763Y1 (ko)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CN213313336U (zh) 用于玩具的驱动装置和用于玩具的驱动系统
KR200336450Y1 (ko) 시계의 진자구동체를 이용한 동적심미감을 갖는 모형장식물 구조
KR100516449B1 (ko) 시계의 진자구동체를 이용한 동적심미감을 갖는 모형장식물 구조
KR200222811Y1 (ko) 유아용 모빌
CN219208967U (zh) 一种积木组装的摇摆装置
US20030159320A1 (en) Carousel frame with selective display
US6775938B2 (en) Carousel frame with selective display
RU202139U1 (ru) Юла
CN110064209B (zh) 一种凹凸拆拼功能玩具摇铃
CN219149215U (zh) 一种自动化旋转彩色陀螺装置
GB2266848A (en) Magnetic toy.
JP3041069U (ja) 装飾瓶
CN210748400U (zh) 一种环链运动展示装置
KR200472417Y1 (ko) 모빌열차
JPH11319335A (ja) 回転移動玩具
JPH02116599A (ja) 連結作動ユニット装置
JPH0726329Y2 (ja) 動作体における装飾品取付部材の動作構造
JPH081920Y2 (ja) 可動装飾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