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763Y1 -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 Google Patents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763Y1
KR200336763Y1 KR20-2003-0022968U KR20030022968U KR200336763Y1 KR 200336763 Y1 KR200336763 Y1 KR 200336763Y1 KR 20030022968 U KR20030022968 U KR 20030022968U KR 200336763 Y1 KR200336763 Y1 KR 200336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eiling
sculpture
fixed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riority to KR20-2003-0022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관한 것으로, 유아를 이동시킬 때마다 모빌전체를 이동하지 하지 않고 쉽게 탈착이 가능하고, 유아의 상태에 따라 자장가, 경쾌한 음악 등을 선택해서 들려줄 수 있는 모빌을 얻기 위한 것인 바,
천정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연결실선과; 지지바에 다양한 형상의 모빌을 고정실로 매달은 조형물과; 상기 천정 고정브라켓과 연결된 연결실선과; 모빌을 고정실로 매달은 조형물을 이동시에 탈착이 되도록 천정 연결실선에 탈착장치를 포함한 본체부로 구성함으로서,
크랭크방식의 자동회전 및 상하로 움직이는 조형물로 유아의 시선을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아를 이동시에 모빌을 쉽게 따라 옮길 수 있어 천정에 재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줄 일 수 있는 뛰어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본 고안은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를 이동시킬 때마다 모빌전체를 이동하지 하지 않고 쉽게 탈착이 가능하고, 유아의 상태에 따라 자장가, 경쾌한 음악 등을 선택해서 들려줄 수 있는 모빌에 관한 것이다.
모빌은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고 시력의 발달에 도움을 殮?위하여 유아가 누워 있는 침대나 천정에 매달아 설치하는 것으로 시력발달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유아들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모빌은 움직일 때 유아들이 흥미를 갖고 관찰하게 됨으로 모빌 사용시기에는 어른들이 곁에 서서 모빌을 지속적으로 흔들어 주어야 한다.
또한, 모빌이 안방에서 거실 등으로 자주 장소를 옮기게 됨으로 인하여 장착하기가 어려운 문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아를 돌보는 어른이 유아 곁을 떠나지 못하고 모빌을 흔들어 주거나 함께 놀아 주어야 함으로 매우 힘이 들고 기타의 가사 일을 거의 돌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동시 모빌을 탈착할 수 있도록 연결 실선에 탈착장치를 구성하여 이동과 장착이 편리하도록 한 모빌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음악, 동화, 자연의 소리, 부모의 음성 선택할 수 있는 선택스위치와 칩을 구성한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천정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연결실선과; 지지바에 다양한 형상의 모빌을 고정실로 매달은 조형물과; 상기 천정 고정 브라켓과 연결된 연결실선과; 모빌을 고정실로 매달은 조형물을 이동시에 탈착이 되도록 천정 연결실선에 탈착장치를 포함한 본체부로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천정에 부착한 상태의 모빌을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음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탈착 장치부를 도시한 실시도,
도 5는 보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탈착 장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구동부 8 : 지지바
10 : 절곡회전바 12,14,16 : 제1,2,3모빌조형물
20 : 축 22 : 연결실선
24 : 플렌지부 26 : 제1자성체
50 : 고정브라켓 51 : 선택스위치
52 : 제어부 53 : 볼베어링
54 : 삽입부55 : 관통구
56 : 수용부100 : 탈착장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본 고안은 천정(18)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50)과; 연결실선(22)과; 지지바(22)에 다양한 형상의 모빌(2)을 고정실로 매달은 조형물과;
상기 천정 고정 브라켓(50)과 연결된 연결실선(22)과; 모빌(2)을 고정실로 매달은 조형물을 이동시에 탈착이 되도록 천정 연결실선에 탈착장치(100)를 포함한 본체부(150)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탈착장치(100)는 볼트부(57)와 너트부(58)로 나사결합 또는 스프링과 볼베어링(53)을 측면에 다수개 구성된 삽입부(54)와 다수의 관통구(55)가 형성된 수용부(56)로 구성된 원터치결합부로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이동시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똑딱단추, 연결커넥터 밸크로테이프, 걸고리 등은 본 고안의 권리인 탈착장치에 포함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은 본체부(100)와, 천정(18)에 일정 길이의 연결실선(22)으로 고정되면서 상기 천정에 고정브라켓(50)을 고정하고, 고정 브라켓과 연결된 연결실선(22)으로 연결하였다.
다음, 상기 연결실선과 연결된 연결축을 비접촉으로 조립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형성한 연결부(4)와;
상기 연결선에 모빌(2)을 고정실로 매달은 조형물을 이동시에 탈착이 되도록 천정 연결실선에 탈착장치(100)를 구성하였다.
다음 상기 연결부에 의해 거치되는 하우징(30)내에 작동스위치(32)와, 자장가음악과 경쾌한 음악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스위치(51)와 멜로디칩을 포함한 제어부(52)와 배터리(34)의 전원에 의해 모터(36)가 구동되게 설치한 구동부(6)를 구성하여 작동스위치에 의해 모터가 회전되도록 하였다. 또한, 아기의 상태에 따라 자장가음악이나, 빠른 음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특별히 엄마의 목소리를 녹음하여 들려 줄 수 있도록 멜로디칩을 구성하였다.
상기 구동부의 하우징 외주면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한 단부에 삽입홀(38)을 뚫어 형성한 지지바(8)와; 상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축(40)에 다수 절곡되어 회전하게 형성하여 제1모빌 조형물(12)을 고정실선(42)으로 매달게 연결 설치된 절곡회전바(10)와; 상기 절곡회전바의 수직축에 조립된 회전링(50)에 일측 지지바의 삽입홀(38)을 통해 고정실선으로 매달리게 설치된 제2모빌 조형물(14)과; 상기 지지바(8)의 타측 삽입홀(38)을 통해 절곡회전바의 수직축에 제2모빌 조형물의 타측에 위치하게 연결 설치된 제3모빌 조형물(16)을 포함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모빌의 작동은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2)은 연결부(4), 구동부(6), 지지바(8), 절곡회전바(10), 제1,2,3모빌조형물(12)(14)(16)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천정(18)등에 일정 길이의 연결실선으로 고정되면서 연결되는 축(20)을 비접촉식으로 조립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천장에 일정 길이로 고정된 연결실선(22)과, 이 연결실선(22)에 연결되면서 축(20)의 하단 플랜지부(24)상에 제1자성체(26)를 부착한 지지축(28)과, 이 지지축(28)의 제1자성체(26)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반발력을 발휘하게 하우징(30)내에 부착된 제2자성체(32)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구동부(6)는 연결부(4)에 의해 거치되는 하우징(30)내에 작동스위치(31)의 온조작으로 배터리(34)의 전원에 의해 모터(36)가 구동되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구동부(6)는 일정 모양으로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형성되는 하우징(30)과, 이 하우징(30)내 연결부(4)의 하부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한 배터리(34)와, 이 배터리(34)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게 외주면에 노출 설치한 작동스위치(31)와, 이 작동스위치(31)의 온 조작에 의해 작동하게 설치된 모터(36)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지지바(8)는 구동부(6)의 하우징(30) 외주면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한 단부에 삽입홀(38)을 뚫어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절곡회전바(10)는 구동부(6)의 모터 회전축(40)에 다수 절곡되어 회전하게 형성하여 제1모빌 조형물(12)을 고정실선(42)으로 매달게 연결 설치되고 있다.
상기 절곡회전바(10)는 모터(36)의 회전축(40)에 일정 길이 형성되어 일측단이 조립 설치되는 상부바(44)와, 이 상부바(44)의 타측단에 수직으로 일정 길이 형성한 수직바(46)와, 이 수직바(46)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부바(44)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형성되면서 2배 길이로 형성되는 하부바(48)와, 상기 수직바(46)에 제2,3모빌조형물(14)(16)을 연결한 고정실선(42)이 연결되게 조립된 회전링(5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2모빌조형물(14)은 절곡회전바(10)의 수직바(46)에 조립된 회전링(50)에 일측 지지바(8)의 삽입홀(38)을 통해 고정실선(42)으로 매달리게 설치되고 있다.
제3모빌조형물(16)은 지지바(8)의 타측 삽입홀(38)을 통해 절곡회전바(10)의 수직바(46)에 제3모빌 조형물(16)의 타측에 위치하게 연결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천장(18)에 매단 모빌(2)의 하우징(30)에 설치된 작동스위치(31)를 온 조작하면 배터리(34)의 전원이 인가된 모터(36)의 구동에 의해 작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36)의 작동으로 회전축(40)에 설치된 절곡회전바(10)가 회전을 하게 되므로서 고정실선(42)으로 하부에 연결 설치된 제1모빌 조형물(12)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회전바(10)가 회전하므로서 수직바(46)에 회전링(50)으로 연결된 제2,3조형물(14)(16)은 예를 들어 수직바(46)가 오른쪽에 있으면 어느 정도 중량을 가지고 있는 제3모빌 조형물(16)은 최대로 하강하게 되며, 이때 타측의 제2모빌 조형물(14)은 당겨져 최대로 상승한 위치에 머물게 된다.
또, 절곡회전바(10)의 수직바(46) 부분이 지지바(8)간의 중간에 있을 때는 제2,3모빌 조형물(14)(16)간 높이 차이는 없으며 동일 선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절곡회전바(10)가 회전할 때 구동부(6)를 내장한 하우징(30)이 제1,2자성체(26)(32)의 반발력을 이용 지지축(28)으로 연결실선(22)에 의해 천장(18)에 설치되고 있음에 따라 지지바(8)와 절곡회전바(10)간은 일정 회전차를 두고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즉, 절곡회전바(10)의 관성력이 지지바(8)를 형성한 하우징(30)에 전달되어 제1,2자성체(26)(32)의 반발력으로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따라서 연동하게 된다.
또, 모빌(2)은 제1,2,3모빌조형물(12)(14)(16)이 높이를 달리하는 변화를 주면서 계속 움직이게 되어 있어 관상용 장식품 뿐 만 아니라 영, 유아의 인지능력 발전을 효과적으로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절곡회전바(10)의 회전과 제2,3모빌 조형물(14)(16)의 높낮이 변화가 계속적으로 진행함과 영, 유아에게는 변화의 움직임에 따른 생동감을 주므로서 흥미를 유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빌이 작동을 알 수 있고, 유아가 이동하면 모빌전체를 옮겨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천정에 고정브라켓을 자주 이동하는 곳에 다수개 장착하여 유아가 이동시에 탈착장치부를 탈착하여 이동하는 장소에 연결함으로써 수고를 덜 수 있는 뛰어난 특징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회전 및 상하로 움직이는 조형물로 유아의 시선을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아를 이동시에 모빌을 쉽게 따라 옮길 수 있어 천정에 재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줄 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유아용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천정(18)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50)과; 연결실선(22)과; 지지바(22)에 다양한 형상의 모빌(2)을 고정실로 매달은 조형물을 포함한 본체부와;
    상기 천정 고정브라켓(50)과 연결된 연결실선(22)과; 모빌(2)을 고정실로 매달은 조형물을 포함한 본체부를 이동시에 탈착이 되도록 천정 연결실선에 탈착장치(10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장치(100)는 볼트부(57)와 너트부(58)로 구성하여 나사결합하거나 스프링과 볼베어링(53)을 측면에 다수개 구성된 삽입부(54)와 다수의 관통구(55)가 형성된 수용부(56)로 구성된 원터치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천정(18)에 일정 길이의 연결실선(22)으로 고정되면서 연결축을 비접촉으로 조립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형성한 연결부(4)와;
    상기 연결부에 의해 거치되는 하우징(30)내에 작동스위치(32)와, 자장가음악과 경쾌한 음악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스위치(51)와 멜로디칩을 포함한 제어부(52)와 배터리(34)의 전원에 의해 모터(36)가 구동되게 설치한 구동부(6)와;
    상기 구동부의 하우징 외주면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한 단부에 삽입홀(38)을 뚫어 형성한 지지바(8)와;
    상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축(40)에 다수 절곡되어 회전하게 형성하여 제1모빌 조형물(12)을 고정실선(42)으로 매달게 연결 설치된 절곡회전바(10)와;
    상기 절곡회전바의 수직축에 조립된 회전링(50)에 일측 지지바의 삽입홀(38)을 통해 고정실선으로 매달리게 설치된 제2모빌 조형물(14)과;
    상기 지지바(8)의 타측 삽입홀(38)을 통해 절곡회전바의 수직축에 제2모빌 조형물의 타측에 위치하게 연결 설치된 제3모빌 조형물(16)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KR20-2003-0022968U 2003-07-15 2003-07-15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KR200336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68U KR200336763Y1 (ko) 2003-07-15 2003-07-15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68U KR200336763Y1 (ko) 2003-07-15 2003-07-15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763Y1 true KR200336763Y1 (ko) 2003-12-24

Family

ID=4934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968U KR200336763Y1 (ko) 2003-07-15 2003-07-15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7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9795A (en) Motorized mobile
JPS63503367A (ja) 玩具
US6068535A (en) Powered infant mobile
KR200336763Y1 (ko) 이동시 탈착되는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CN202052326U (zh) 一种音乐床铃
US6775517B2 (en) Synchronized teaching mobile
KR100504832B1 (ko) 자동 움직임을 구현한 모빌
JP2017217282A (ja) 演出出力玩具
CN213313336U (zh) 用于玩具的驱动装置和用于玩具的驱动系统
CN211987096U (zh) 牙胶玩具
US20030159320A1 (en) Carousel frame with selective display
JP2002346242A (ja) 遊戯具
US6775938B2 (en) Carousel frame with selective display
US20090221210A1 (en) Amusing display ornament
CN214634014U (zh) 一种提升儿童创造力的玩具套装
CN220294116U (zh) 双旋转婴儿床铃
KR102538657B1 (ko) 회동형 유아용 침대
KR100516449B1 (ko) 시계의 진자구동체를 이용한 동적심미감을 갖는 모형장식물 구조
CN110064209B (zh) 一种凹凸拆拼功能玩具摇铃
JP3180124U (ja) 回転つるし雛
KR200336450Y1 (ko) 시계의 진자구동체를 이용한 동적심미감을 갖는 모형장식물 구조
CN201053872Y (zh) 具有设定方向功能的平衡装置
KR100348778B1 (ko) 흔들이장치
KR950001911Y1 (ko) 보행기용 놀이판의 유희구 블록 착탈구조
KR200402212Y1 (ko) 유아용 학습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