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080A - 화재탐지시스템 및 그 탐지방법 - Google Patents

화재탐지시스템 및 그 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080A
KR20040073080A KR1020030009031A KR20030009031A KR20040073080A KR 20040073080 A KR20040073080 A KR 20040073080A KR 1020030009031 A KR1020030009031 A KR 1020030009031A KR 20030009031 A KR20030009031 A KR 20030009031A KR 20040073080 A KR20040073080 A KR 2004007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signal
data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357B1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김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10-2003-000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357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2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재탐지시스템은 화재 발생시 즉각 담당자에게 화재 발생 사실 및 화재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재탐지시스템은 전류의 흐름 및 저항값의 변화를 통하여 화재 발생 및 화재 발생 거리를 파악하기 위한 감지부, 전류 흐름의 변화로 저항값의 변화를 계산하여 화재의 발생 및 화재 발생 거리를 포함하는 화재 정보를 알려주는 수신부 및 수신부로부터 상기 화재 정보를 전송받아 후 화재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로 연락하는 통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탐지시스템 및 그 탐지방법{System for Detecting Fi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재탐지시스템 및 그 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화재탐지시스템 및 그 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산업화 또는 정보화되면서 전력선이나 통신망 같은 국가 기간망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 기간망을 설치함에 있어서 천재지변이나 인위적인 사고로부터 국가 기간망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도시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기간망을 지하에 많이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지하에 국가 기간망을 설치하는 것은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과열이나 단선 또는 단락 등에 의하여 화재가 났을 때 화재의 발생 및 화재 발생 위치를 재빨리 알아낼 수 없고, 화재 발생을 누군가가 인지한다 하더라도 담당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은 화재의 초기 진압을 어렵게 함으로써 피해의 규모를 키우는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에 전력선 및 통신망과 같은 국가 기간망에 대한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화재탐지시스템 및 그 탐지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탐지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위한 감지부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위한 수신부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위한 통보부의 블록구성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지부, 수신부 및 통보부를 포함한다.
감지부는 전류의 흐름 및 저항값의 변화를 통하여 화재 발생 및 화재 발생 거리를 파악한다.
수신부는 전류 흐름의 변화로 저항값의 변화를 계산하여 화재의 발생 및 화재 발생 거리를 포함하는 화재 정보를 알려준다.
통보부는 수신부로부터 화재 정보를 전송받아 후 화재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로 연락한다.
이 때, 감지부는 전류가 흐르는 감지도선과 상기 감지도선 끝단에 연결된 감지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신부는 감지부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게 하고, 화재로 인한 단선이나 단락 중 어느 한 경우로 인하여 변화되는 전류를 입력받아 전류의 크기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중계기, 중계기로부터 감지부로부터 전류의 크기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일정 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감지부의 저항값을 계산하여 화재 발생 및 화재 발생 거리를 판단하는 수신 제어부, 수신 제어부로부터 감지부의 상태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창 구동부, 표시창 구동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창, 수신부를 작동하고 수신부와 감지부의 상태점검하기 위한 제어 키신호를 수신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어 키부 및 수신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통보부는 화재 발생시 전화로 통보할 담당자의 DTMF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보 데이터 저장부, 통보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거리를 음성으로 통보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 수신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하며, 수신부로부터 화재 발생 거리를 전송받으면 음성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음성 데이터와 통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DTMF 신호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송신 제어부, 송신 제어부가 통보 데이터 저장부와 프로그램 저장부의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독출하는 제1 어드레스 래치부, 송신 제어부가 음성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독출하는 제2 어드레스 래치부, 제2 어드레스 래치부에서 독출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디지털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컨버터, 독출된 어드레스의 DTMF 신호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리게 하고, 걸려오는 전화의 전화번호를 디코딩하여 DTMF 신호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 제어부로 전송하는 DTMF 인코더/디코더부, 인코딩된 DTMF 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통화가능상태가 되게 하는 후크 릴레이부,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전화 연결 인터페이스 및 통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탐지시스템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탐지시스템은 감지부(100), 수신부(200) 및 통보부(300)를 포함한다.
감지부(100)는 화재 발생과 그 거리를 전류의 흐름 및 저항값의 변화를 통하여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감지부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흐르는 감지도선(110)과 이 감지도선 끝단에 연결된 감지저항(120)을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을 위한 감지도선(110)은 직경이 0.8~0.9mm이고, 저항이 0.6Ω/m인 알루미늄 강선이고, 감지저항(120)은 R형 680Ω/m이다.
이러한 감지도선(110)이 정상일 경우에는 감지도선(110) 자체의 저항과 감지저항(120)의 전체 저항값이 측정되나, 화재 등에 의하여 단선이 되는 경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따라서 전체 저항값이 측정되지 않아 단선 및 화재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또한, 단락이 되었을 경우에는 전류가 감지저항(120)에는 흐르지 않고, 단락된 지점을 통하여 흐름으로써 전체 저항값은 단락된 지점까지의 감지도선(110)의 저항값이 된다. 이러한 저항값의 변동에 의하여 화재의 발생 및 그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즉, 감지도선(110)이 100m이면 정상일 때의 전체 저항값은 감지도선(110)과 감지저항(120)의 저항값은 0.6 * 100 + 680 = 740Ω이지만, 10m 지점에서 단락이 되면 전류는 감지저항(120)으로는 흐르지 않고 단락된 지점을 통하여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단락된 지점까지의 저항은 0.6 * 20 = 12Ω이 되므로 화재 발생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표시된 도면부호 130은 알루미늄 강선을 둘러싸는 열내성 수지 절연체이고, 도면부호 140은 열내성 수지 절연체를 둘러싸는 보호테이프이며, 도면부호 150은 보호테이프를 둘러싸는 PVC 외피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신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수신부(200)는 감지부(100)의 단선이나 단락에 따른 화재의 발생 및 화재 발생 거리를 계산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주고, 스프링클러, 경보벨, 송풍기 등과 같은 화재진압 관련 장비 등과 연동할 수 있다.
도 3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위한 수신부(2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200)는 중계기(210), 수신 제어부(220), 표시창구동부(230), 표시창(240), 사운드 구동부(250), 사운드 출력부(260), 제어 키부(270) 및 전원부(280)를 포함한다.
중계기(210)는 도 2의 감지부(100)와 연결되어 감지도선(110)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게 하고, 단선이나 단락에 의하여 변화되는 전류를 입력받아 전류의 크기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중계기(210)에는 감지부(100)가 복수 개 연결되고, 이 복수 개의 감지부(100) 각각은 고유 넘버가 부여된다.
수신 제어부(220)는 중계기(210)로부터 감지부(100)의 고유 넘버와 고유 넘버별 전류의 크기에 관련된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되어 있던 상기 일정 전압을 이용하여 각 감지부(100)의 저항값을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저항값으로 해당 감지부(100)가 정상 상태인지, 단선 상태인지 혹은 단락상태인지를 파악하여 화재 발생 여부 및 화재 발생 거리를 계산한다.
즉, 수신 제어부(220)의 메모리(221)에는 각 감지부(100)의 고유 넘버, 고유 넘버에 해당하는 감지부(100)의 설치 장소, 중계기(210)가 공급하는 일정 전압의 크기, 저항값에 따른 거리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정보가 저장되고, 이와 같은 화재발생정보를 바탕으로 프로세서(223)는 중계기(210)로부터 고유 넘버별 전류의 크기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메모리(221)에 저장되어 있는 일정 전압을 이용하여 고유 넘버별 저항값을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저항값은 정상상태인지 화재인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산된 저항값이 740Ω이면 정상으로 판단하지만,저항값이 무한대이거나 이보다 작을 경우는 화재로 인한 단선이나 단락으로 판단한다.
단락일 경우는 수신 제어부(220)는 고유 넘버별 저항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저항값에 해당하는 거리를 파악함으로써 이 감지부(100)가 설치된 장소 및 단락이 일어난 거리를 계산하고, 중계기(210)를 통하여 화재진압 관련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표시창 구동부(230)는 수신 제어부(220)로부터 각 감지부(100)의 상태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단선 상태이면 화재가 발생한 감지부(100)의 고유 넘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단락 상태일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한 감지부(100)의 고유 넘버와 화재가 발생한 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표시창(240)은 상기 표시창 구동부(230)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운드 구동부(250)는 수신 제어부(220)로부터 각 감지부(100)의 상태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상태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단선 상태이면 화재가 발생한 감지부(100)의 고유 넘버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단락 상태일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한 감지부(100)의 고유 넘버와 화재가 발생한 거리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사운드 출력부(260)는 사운드 구동부(250)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구동신호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한다.
제어 키부(270)는 수신부(200)의 상태점검 및 화재진압 관련장비의 수동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수신 제어부(220)로 출력한다.
전원부(280)는 수신부(2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수신부(200)에 의하여 화재 발생 및 화재 발생 구역 그리고 그 구역 안에서의 화재 발생 거리가 계산되면, 수신부(200)의 수신 제어부(220)는 화재가 발생한 감지부(100)의 고유 넘버와 화재 발생 거리를 통보부(300)로 전송한다.
통보부(300)는 상기 전송받은 고유 넘버에 해당하는 설치 구역 및 화재 발생 거리를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를 미리 저장되어 있던 담당자의 전화번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담당자로 연락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통보부(300)의 기능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위한 통보부(3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위한 통보부(300)는 통보 데이터 저장부(305), 프로그램 저장부(310), 음성 데이터 저장부(315), 통신 인터페이스(320), 송신 제어부(325), 제1 어드레스 래치부(address latch)(330), 제2 어드레스 래치부(335), D/A 컨버터(digital/analog converter)(340),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인코더/디코더부(345), 하이브리드 회로부(hybrid circuit)(350), 후크 릴레이부(hook relay)(355), 링신호 검출부(360), 서지(surge) 방지부(365), 전화 연결 인터페이스(370), I/O 포트부(375), I/O 포트 어드레스 래치부(380), I/O 포트 어드레스 디코더부(address decorder)(385), 데이터 버퍼부(390) 및 전원부(395)를 포함한다.
통보 데이터 저장부(305)는 읽고 쓰기가 가능한 램(RAM)을 포함하며, 화재 발생시 전화로 통보할 담당자/담당 기구의 전화번호 데이터인 DTMF 신호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통보 데이터 저장부(305)에 전원이 차단될 경우를 대비하여 5V 배터리(미도시)로 백업을 하게 된다.
프로그램 저장부(310)는 데이터의 읽기 기능만이 가능한 롬(ROM)이며, 통보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음성 데이터 저장부(315)는 데이터의 읽고 쓰기 기능이 가능한 롬(ROM)이며, 화재 발생시 감지부(100)의 고유 넘버 및 화재 발생 거리에 해당하는 감지부(100)의 설치장소와 화재 발생 거리를 음성으로 통보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20)는 수신부(200)의 수신 제어부(220)와 통신을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RS232C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송신 제어부(325)는 수신부(200)의 수신 제어부(220)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320)를 통하여 통신을 하며, 상기 수신 제어부(220)로부터 화재가 발생한 감지부(100)의 고유 넘버 및 화재 발생 거리를 전송받으면 음성 데이터 저장부(31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음성 데이터와 통보 데이터 저장부(305)에 저장되어 있는 DTMF 신호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3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부(100)의 30m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되었다면 "제3구역 30m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라는 음성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송신 제어부(325)는 부가적으로 감지부(100)가 아니라 사람에 의하여 입력된 화재 발생 신호를 입력받으면 화재진압 관련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출력한다.
제1 어드레스 래치부(330)는 송신 제어부(325)가 화재 발생시 통보 데이터 저장부(305)와 프로그램 저장부(310)의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독출하여 송신 제어부(325)가 독출된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한다.
제2 어드레스 래치부(335)는 송신 제어부(325)가 음성 데이터 저장부(315)의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독출하여 송신 제어부(325)가 독출된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한다.
D/A 컨버터(340)는 제2 어드레스 래치부(335)에서 독출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디지털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DTMF 인코더/디코더부(345)는 송신 제어부(325)가 독출된 어드레스의 DTMF 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코딩하여 상기 DTMF 신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리게 하고, 걸려오는 전화의 전화번호를 디코딩하여 DTMF 신호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 제어부(325)로 전송한다.
하이브리드 회로부(350)는 전화상의 2개의 라인으로 입력과 출력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크 릴레이부(355)는 인코딩된 DTMF 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통화가능상태가 되게 한다.
링신호 검출부(36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후크 릴레이부(355) 및 하이브리드 회로부(350)를 통하여 DTMF 인코더/디코더부(345)로전송함으로써 상기 링신호가 디코딩된 DTMF 신호 데이터로 변환하게 하여 송신 제어부(325)로 전송함으로써 송신 제어부(325)가 이 디코딩된 DTMF 신호 데이터를 통보 데이터 저장부(305)에 저장되도록 한다.
즉, 링신호 검출부(360)는 화재 발생시 통보할 담당자 및 담당 기관의 전화번호를 통보 데이터 저장부(305)에 저장하기 위하여 해당 담당자와 담당 기관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으면 링신호를 검출하여 DTMF 인코더/디코더부(345)에 출력함으로써 담당자 및 담당 기관의 전화번호가 통보 데이터 저장부(305)에 저장되도록 한다.
I/O 포트부(375)는 화재진압 관련장비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쌍방과의 화재 관련 신호의 입출력을 지원한다.
I/O 포트 어드레스 래치부(380)는 I/O 포트부(375)의 소정 포트를 통하여 화재관련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소정 포트의 어드레스를 래치하여 송신 제어부(325)로 전송함으로써 송신 제어부(325)가 상기 화재 관련 신호에 대응하는 조처를 위한 신호를 I/O 포트부(375)에 접속된 해당 화재진압 관련장비로 전송하도록 한다.
I/O 포트 어드레스 디코더부(385)는 I/O 포트 어드레스 래치부(380)에 의하여 래치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송신 제어부(325)에 전송한다.
데이터 버퍼부(390)는 상기 소정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화재 관련 신호에 대한 대처 동작을 송신 제어부(325)가 처리하여 I/O 포트에 접속된 화재진압 관련장비로 송신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이 때, 링신호 검출부(360)는 외부에서 화재 발생을 알리는 링신호를 검출하면 이 신호를 데이버 버퍼부를 통하여 송신 제어부(325)로 전송함으로써 송신 제어부(325)가 해당 대응동작을 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외부에서 화재 발생을 알리는 '*1234#'이라는 링신호가 검출되면, 링신호 검출부(360)는 이 신호를 송신 제어부(325)를 전송하고, 이 신호를 전송받은 송신 제어부(325)는 상기 링신호에 대한 대처 동작을 위해 구동할 해당 화재진압 관련장비와 접속된 I/O 포트의 어드레스를 래치함으로써 해당 화재진압 관련장비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재탐지시스템의 통보부(300)가 화재발생 사실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수신부(200)를 통하여 파악하는 방법, I/O 포트부(375)를 통하여 파악하는 방법 및 외부에서 화재발생을 알리는 링신호를 통하여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
서지 방지부(365)는 전화 라인 상에서 발생한 과전류나 노이즈(noize)를 제거한다.
전화 연결 인터페이스(370)는 RJ1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와 같이 통보부(300)는 수신부(200)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한 감지부(100)의 고유 넘버 및 화재 발생 거리를 전송받아 음성 데이터 저장부(315)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넘버가 의미하는 화재 발생 장소 및 화재 발생 거리에 해당하는 음성 데이터를 화재 관리 담당자 혹은 담당 기관의 전화로 전송함으로써 지하에 설치된 전력선 혹은 통신망의 화재시 담당자들에게 정확하고 신속하게 통보할 수 있다.
도면번호 400은 20 pin header로 통보부(300)에 외부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것이고, 도면번호 395는 통보부(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된 설비뿐만이 아니라 지상에 설치된 설비에 있어서도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의 발생 지역과 거리를 신속하게 담당자에게 통보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재산 피해 및 인명 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전류의 흐름 및 저항값의 변화를 통하여 화재 발생 및 화재 발생 거리를 파악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전류 흐름의 변화로 저항값의 변화를 계산하여 화재의 발생 및 화재 발생 거리를 포함하는 화재 정보를 알려주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화재 정보를 전송받아 후 상기 화재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로 연락하는 통보부를 포함하는 화재탐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전류가 흐르는 감지도선과 상기 감지도선 끝단에 연결된 감지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도선은 직경이 0.8~0.9mm이고, 저항이 0.6Ω/m인 알루미늄 강선이며, 상기 감지저항은 R형 680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감지부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게 하고, 화재로 인한 단선이나 단락 중 어느 한 경우로 인하여 변화되는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전류의 크기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중계기;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류의 크기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일정 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부의 저항값을 계산하여 화재 발생 및 화재 발생 거리를 판단하는 수신 제어부;
    상기 수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감지부의 상태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창 구동부;
    상기 표시창 구동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창;
    상기 수신부를 작동하고 상기 수신부와 감지부의 상태점검하기 위한 제어 키신호를 상기 수신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어 키부; 및
    상기 수신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는,
    화재 발생시 상기 중계기를 통하여 화재진압 관련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감지부의 상태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상태를 나타내는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구동부와 상기 사운드 구동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구동신호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는,
    화재 발생시 전화로 통보할 담당자의 DTMF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보 데이터 저장부;
    통보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거리를 음성으로 통보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
    상기 수신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하며, 상기 수신부로부터 화재 발생 거리를 전송받으면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음성 데이터와 상기 통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DTMF 신호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송신 제어부;
    상기 송신 제어부가 상기 통보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의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독출하는 제1 어드레스 래치부;
    상기 송신 제어부가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독출하는 제2 어드레스 래치부;
    상기 제2 어드레스 래치부에서 독출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디지털 형태의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컨버터;
    상기 독출된 어드레스의 DTMF 신호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리게 하고, 걸려오는 전화의 전화번호를 디코딩하여 DTMF 신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 제어부로 전송하는 DTMF 인코더/디코더부;
    상기 인코딩된 DTMF 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통화가능상태가 되게 하는 후크 릴레이부;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전화 연결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화재진압 관련장비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화재 관련 신호의 입출력을 지원하는 I/O 포트부;
    상기 I/O 포트부의 소정 포트를 통하여 화재관련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소정 포트의 어드레스를 래치하여 상기 송신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송신 제어부가 상기 화재와 관련된 대처동작신호를 해당 화재진압 관련장비와 접속된 I/O 포트를 통하여 출력하는 I/O 포트 어드레스 래치부; 및
    상기 I/O 포트 어드레스 래치부에 의하여 래치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상기 송신 제어부에 전송하는 I/O 포트 어드레스 디코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후크 릴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DTMF 인코더/디코더부로 입력되어 상기 링신호가 디코딩된 DTMF 신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송신 제어부가 상기 디코딩된 DTMF 신호 데이터를 상기 통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링신호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화재 발생을 알리는 링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링신호를 상기 송신 제어부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송신 제어부가 해당 대응동작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I/O 포트부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링신호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전화 라인 상에서 발생한 과전류나 노이즈를 제거하는 서지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12. 제 7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를 접속을 위한 20 pin head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 시스템.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에는 상기 감지부가 다수 개 연결되고, 상기 수신 제어부의 메모리에 각 감지부의 고유 넘버와 각 고유 넘버에 해당하는 설치 구역이 저장되며 상기 수신 제어부는 각 고유 넘버별 저항값을 계산하여 화재가 발생한 설치구역과 화재 발생 거리를 상기 표시창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14. 제 7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의 음성 통보용 메모리는 상기 고유 넘버에 해당하는 설치 구역을 더 저장하여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화재가 발생한 감지부의 고유 넘버 및 화재 발생 거리를 상기 송신 제어부가 전송받으면 상기 송신 제어부가 상기 통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화재 발생 구역 및 화재 발생 거리를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탐지시스템.
KR10-2003-0009031A 2003-02-13 2003-02-13 화재탐지시스템 및 그 탐지방법 KR100499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031A KR100499357B1 (ko) 2003-02-13 2003-02-13 화재탐지시스템 및 그 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031A KR100499357B1 (ko) 2003-02-13 2003-02-13 화재탐지시스템 및 그 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080A true KR20040073080A (ko) 2004-08-19
KR100499357B1 KR100499357B1 (ko) 2005-07-11

Family

ID=3736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031A KR100499357B1 (ko) 2003-02-13 2003-02-13 화재탐지시스템 및 그 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155B1 (ko) * 2004-03-30 2006-12-20 오종환 자가진단 기능이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424B1 (ko) * 2012-10-05 2013-03-12 박난병 감지기마다 특정저항값을 적용한 p형 주소형 자동화재탐지시스템
KR101811393B1 (ko) * 2017-04-04 2017-12-21 주식회사 예람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155B1 (ko) * 2004-03-30 2006-12-20 오종환 자가진단 기능이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9357B1 (ko)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6446B2 (en) Two way voice communication through GSM with alarm communication
CN207718209U (zh) 一种环境监测与安全预警系统
JP3005931B2 (ja) 緊急通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70115112A1 (en) Supplemental fire alerting system
KR100499357B1 (ko) 화재탐지시스템 및 그 탐지방법
KR101868115B1 (ko) 재난발생 자동 검지 및 피난 관제 통신 시스템
KR2006000451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재 경보 장치와 방법
KR101604423B1 (ko) 일반형 화재 감지기를 이용한 스마트 감지기 베이스 장치
KR100556618B1 (ko) 전력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US5768343A (en) Alarm system backup
KR102252262B1 (ko) 접지선 도난방지 및 이상유무 감시 시스템
KR102141990B1 (ko) 지하철-철도 방송설비의 비상방송 단락 차단장치
WO2000003532A2 (en) Arrangement for establishing an alternative telecommunications path
KR101444915B1 (ko) 화재 발생 경보 시스템
KR20070108662A (ko) 방범 알림 장치
KR20030094793A (ko) 무선 센서를 이용한 방범장치
JP3266410B2 (ja) 防災監視装置
CN215868092U (zh) 一种电气火灾监控系统
CN210327002U (zh) 一种带火警保护功能的自动重合闸保护开关
JPH0854000A (ja) トンネル工事用警報設備
CN210295346U (zh) 一种火灾探测装置及系统
KR200301019Y1 (ko) 원격 자동제어반 비상 전원차단장치
KR200322203Y1 (ko) 다중건물의 고장감시 및 경보장치
KR20040079583A (ko) 다중건물의 고장감시 및 경보장치
JPH1164427A (ja) 断線報知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